KR890006741Y1 - 터미널 블록 - Google Patents

터미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741Y1
KR890006741Y1 KR2019870003821U KR870003821U KR890006741Y1 KR 890006741 Y1 KR890006741 Y1 KR 890006741Y1 KR 2019870003821 U KR2019870003821 U KR 2019870003821U KR 870003821 U KR870003821 U KR 870003821U KR 890006741 Y1 KR890006741 Y1 KR 890006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nnel
terminal block
bolts
cr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8621U (ko
Inventor
배준집
Original Assignee
배준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준집 filed Critical 배준집
Priority to KR2019870003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741Y1/ko
Publication of KR8800186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6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7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터미널 블록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압착단자 고정 작업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을 채널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을 채널로부터 이탈시키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2' : 걸림턱
3 : 경사면 3' : 삽입홈
4 : 연장부 5, 5', 5" : 지지벽
6, 6' : 암나사공 7 : 도전판
8 : 스프링 9, 9' : 승강체
10, 10' : 상판 11, 11' : 관통공
12, 12' : 볼트 13, 13' : 와셔
본 고안은 주로 압착단자들을 상호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에 관한 것으로 터미널 블록의 고정판으로 사용되는 채널(Channel)로부터 손쉽게 착탈할수 있으며 볼트 해체시 볼트 및 와셔등이 상승된 위치에 정지하여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터미널 블록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터미널 블록 본체 상방에 2개의 암나사공이 천설된 도전판을 고정하고 이에 와셔 및 관통공을 갖는 접속판을 끼운 2개의 볼트를 도전판의 암나사공에 체결할수 있도록 된 것이고, 채널에 여러개의 터미널블록을 고정하자면 채널의 일단에 한개씩 순차로 끼우고 적정위치에 정지하도록 밀어주어야 하므로 여러개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부분의 경우 작업이 더디게 되고 또한 이와같이 하여 설치한 터미널블록들 중에 정비를 위하여 어느 하나를 교체하려면 해당 터미널블록을 기준으로 하여 어느 일방의 터미널블록들을 모두 밀어 빼내야 하고 해당 터미널 블록을 교체하여 채널에 재차 끼우고 밀어 정위치에 정지하도록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더욱 더디고 불편하게 되며, 또한 터미널 불록에 고정시킨 압착단자를 해체하는 등의 정비보수 작업시에 양측의 다른 압착단자들과 접촉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아울러 터미널 블록에 압착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하여는 볼트를 해체 하였을시 이탈되는 볼트 및 와셔, 접속판을 분실되지 않도록 하여 압착단자를 와셔 및 접촉판과 함께 볼트에 끼운 후 볼트를 수직으로 세워 도전판의 암나사공에 끼우고 회전시켜 줌으로써 나착되게 하였던 것이므로 작업의 능률이 매우 저조하게 되었으며 볼트 해체시 볼트 및 와셔 그리고 접속판이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또한 압착단자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를 다소 세게 조이면 볼트의 나사산이 파손되어 차후 볼트를 해체시키고저 할때 쉽게 빠지지 않아 정비 보수가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종래의 터미널블록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채널에 터미널블록을 신속하게 고정하고 간단하게 이탈시킬수 있게 하며 또한 볼트의 해체시 볼트 및 와셔등의 도전판의 암나사공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승토록 한 후 정지되도록 하여서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양측하방에 걸림턱(2), (2')을 형성하고 일측의 걸림턱(2)외측을 연장하여 경사면(3)및 삽입홈(3')을 갖는 연장부(4)를 구성하며, 내측으로는 지지벽(5), (5'), (5")을 입설하고 그 단부 사이에 두개의 암나사공(6), (6')이 천설된 도전판(7)을 삽착하며, 스프링(8)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설된 승강체(9), (9')의 상판(10), (10')에는 관통공(11), (11')을 천설하고 이에 볼트(12), (12')및 와셔(13), (13')을 삽입하여서된 것이며, 미설명부호 14는 채널, 15는 압착단자, 16은 전선, 17은 격판, 18은 부착면이며, 19는 스프링(8)의 중심축이고, 20, 20'은 승강체(9), (9')의 하판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채널(14)의 어떤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해당 위치의 채널(14)타단에 걸림턱(2')을 끼우고 이어서 채널(14)의 일단에 경사면(3)이 접촉되도록 한 상태로 하방으로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 연장부(4)가 외측으로 전개되면서 그 걸림턱(2)이 채널(14)의 일단을 통과하여 걸림턱(2')과 함께 채널(14)에 터미널 블록을 고정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하여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 블록은 채널의 어느 위치이던지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시킬수 있는 것이며, 이와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채널(14)에 다수의 터미널블록을 고정한 후에는 제2도에 표현된 바와같이 상승되어 있는 볼트(12')의 하단에 압착단자(15)를 끼우고 드라이버로 볼트(12')를 하방으로 누르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볼트(12')가 하강하면서 도전판(7)의 암나사공(6')에 체결되어 압착단자(15)는 상판(10')과 도전판(7)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어서 양호한 접촉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다른 볼트(12)의 하방에 다른 압착단자를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터미널블록에 다수의 압착단자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사용하다가 보면 정비 보수시에 터미널 블록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제5도에 보인 바와같이 평드라이버의 하단을 삽입홈(3')에 끼우고 드라이버를 시계방향으로 젖히면 연장부(4)가 시계방향으로 휘면서 걸림턱(2)이 채널(14)의 일단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본체(1)을 잡고 제5도의 도면상우측으로 약간 젖히면서 들어 올리면 쉽게 이탈시킬수 있으므로 새로운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블록을 전기한 바의 제4도에 보인 방법으로 다시 채널의 해당 위치에 간편하게 고정시킬수 있게되어 교체 작업 역시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보수, 정비를 위하여 압착단자(15)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경우에 양측의 압착단자와 접촉될 우려가 있다면 상기한 방법으로 해당 터미널블록만을 빼내어 교체 후 원위치에 고정할수 있게 됨을 물론이며, 현재 터미널블록에 고정되어 있는 압착단자(15)는 드라이버로서 볼트(12), (12')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키면 승강체(9), (9')의 하판(20), (20')이 스프링(8)의 탄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고 그러므로 상판(10), (10')이 와셔(13), (13')및 볼트(12), (12')를 수직으로 상승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압착단자(15)를 빼내고 새로운 압착단자를 볼트(12), (12')의 하방에 끼운 후 전기한 바와같이 드라이버로써 볼트(12), (12')가 도전판(7)에 체결되어 압착단자의 교체 작업 역시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볼트(12), (12')를 다소 무리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나사산의 손상이 있을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본고안에서는 볼트(12), (12')를 빼낼때 스프링(8)이 승강체(9), (9')를 상방으로 상승시켜 상판(10), (10')이 와셔(13), (13')및 볼트(12), (12')를 강제상승시켜 주므로 볼트(12), (12')를 용이하게 빼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본 고안은 터미널블록의 착탈이나 압착단자의 고정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능률을 대폭 개선시킬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본체(1)양측 하방에 걸림턱(2), (2')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지지벽(5), (5'), (5")을 입설하며 그단부 사이에 두개의 암나사공(6), (6')이 천설된 도전판(7)을 삽착하되, 일측의 걸림턱(2)외측을 연장하여 경사면(3) 및 삽입홈(3')을 갖는 연장부(4)를 구성하며, 스프링(8)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설된 승강체(9), (9')의 상판(10), (10')에는 관통공(11), (11')을 천설하고 이에 볼트(12), (12') 및 와셔(13), (13')을 삽입하여서 된 터미널 블록.
KR2019870003821U 1987-03-25 1987-03-25 터미널 블록 KR890006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821U KR890006741Y1 (ko) 1987-03-25 1987-03-25 터미널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821U KR890006741Y1 (ko) 1987-03-25 1987-03-25 터미널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621U KR880018621U (ko) 1988-10-29
KR890006741Y1 true KR890006741Y1 (ko) 1989-09-30

Family

ID=1926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821U KR890006741Y1 (ko) 1987-03-25 1987-03-25 터미널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7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454B1 (ko) * 1999-07-21 2002-04-13 윤종용 단자 접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621U (ko) 198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0917A (en) CPU card mounting structure
US4640571A (en) Electrical connector blocks
US4907989A (en) Terminal block insert device screw
US3081507A (en) Connector
CN105823019A (zh) 一种便于安装的灯座
KR890006741Y1 (ko) 터미널 블록
KR100879625B1 (ko) 전기접속 단자대
US4778412A (en) Buss bar assemblies
US20030032332A1 (en) Fuse box
CN205782696U (zh) 一种便于安装的灯座
CN215220502U (zh) 一种电容器安装结构及带安装结构的电容器
US2218210A (en) Electrical connector
US2121329A (en) Wire connecter
CN212162234U (zh) 一种改进的充电桩接线端子
KR20040008001A (ko) 클램프 치구
KR100325647B1 (ko) 측정 장치
KR200382285Y1 (ko) 단자 접속 장치
CN211107857U (zh) 一种卡式踏板用转换器快速调整装置
CN110685979B (zh) 一种紧固连接结构及洗衣机
CN220155761U (zh) 具有锁紧功能的接线装置
KR200161141Y1 (ko) 파이프 클램프의 체결구조
CN217823274U (zh) 一种快速接线装置及具有该快速接线装置的互感器
CN217848332U (zh) 一种连接稳定的d-sub连接器
CN218361449U (zh) 立柱整形装置
CN218386594U (zh) 一种槽式电缆桥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