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617Y1 - 카세트 테크의 이잭트시 ff기능 및 노이즈 발생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크의 이잭트시 ff기능 및 노이즈 발생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617Y1
KR890006617Y1 KR2019860009654U KR860009654U KR890006617Y1 KR 890006617 Y1 KR890006617 Y1 KR 890006617Y1 KR 2019860009654 U KR2019860009654 U KR 2019860009654U KR 860009654 U KR860009654 U KR 860009654U KR 890006617 Y1 KR890006617 Y1 KR 890006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ape
lever
stop lev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207U (ko
Inventor
김경하
Original Assignee
안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응수 filed Critical 안응수
Priority to KR2019860009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617Y1/ko
Publication of KR880003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11B15/106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데크의 이잭트시 FF기능 및 노이즈 발생 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결합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로서, 제3(a)도는 테이프 온상태의 평면상태도, 제3(b)도는 테이프 정지를 위하여 이잭트 스위치를 눌른 최초의 상태도, 제3(c)도는 테이프 정지를 위하여 이잭트 스위치를 완전히 눌른 상태도.
제4(a)도는 본 고안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제4(b)도는 종래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 스위치 2 : 스톱레버
3 : 센서스톱레버 4 : 센서스톱퍼
9 : 해드작동판 10 : 센서스톱 푸쉬핀
13 : 이잭트 레버
본 고안은 카세트 데크에 있어서, 테이프 온 상태에서 테이프 오프상태로 변환시킨 후 테이프를 꺼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FF기능 및 노이즈의 발생과 미청취된 테이프의 권취됨을 제거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안출한 것이다.
종래의 카세트 데크에 있어서는 테이프 "온"상태에서 테이프 "오프"상태로 변환시키는 과정과 테이프 오프 상태에서 테이프를 꺼내는 과정에서도 FF기능 및 노이즈가 발생과 동시에 미청취된 테이프가 권취되어 버림으로해서 사용자로 하여금 큰 불편을 느끼게 하는 결함은 물론 이로인한 테이프 및 기기자체의 수명상에도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었다.
즉, 카세트 데크에 있어서 테이프 "온" 도중 이잭트 레버를 누르기 시작하였을 때에는 FF기능으로 인하여 테이프가 가속으로 권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시 테이프를 청취하고자 하여서 "온"시켰을 때에는 청취하지 않은 테이프의 얼마가 이미 FF기능으로 권취되어 버렸기 때문에 다시 리뷰스위치를 눌른 후 테이프 "온"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테이프 "온"도중 이잭트 레버가 눌러지는 동안 FF기능으로 인하여 심한 노이즈가 발산하는 등의 폐단이 초래되었으며, 뿐만이 아니라, 이잭트 레버를 계속 눌러 FF기능이 상실되었을때에도 모우터가 오프되지 않아서 테이프는 계속 권취되고 있어서 심한 노이즈 현상으로 테이프 및 기기자체에도 무리한 부하를 발생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본원 고안은 이러한 상기 종래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테이프 "온"도중 이잭트 레버를 눌르면 눌름과 동시에 FF기능이 상실되면서 모우터가 오프되도록 하여 노이즈 발생 및 청취하지 않은 테이프가 더 이상 권취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카세트 데크에 있어서, 마이크스위치(1)를 온, 오프, 시키는 스톱레버(2)를 연동하는 센서스톱레버(3) 후단 우측부에 센서스톱퍼(4)를 형성하되, ""자된 센서스톱퍼(4)선단을 외측으로 45도 가량 트위스팅시켜 해드작동판(9)의 센서스톱퍼푸쉬핀(10)과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시킨 것으로서 도면부호중 5은 센서, 6은 모우터, 7은 스톱레버 지지돌편, 8은 센서스톱레버 지지스프링, 11은 핀치로울러, 12는 핀치로울러 작동구, 13은 이잭트 레버이고 14는 종래에 있어 센서스톱퍼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원고안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통상의 카세트에도 그 장착이 용이한 것으로서, 사용할 시의 작동상태를 보면, 첨부도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온"도중 테이프 "오프"를 시켜 테이프를 교체하거나 보관하고저 할 경우에는, 통상의 카세트 데크를 사용하듯이 이잭트 레버(13)를 눌르게 되면 이잭트 레버(13)의 하향에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는 해드작동판(9)의 센서스톱퍼 푸쉬핀(10)과 핀치로울러작동구(12)가 각각 센서 스톱퍼(4) 및 핀치로울러(11)를 작동시킴에 따라, 핀치로울러(11)가 테이프로 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센서스톱퍼 푸쉬핀(10)은 이와 직접접촉되어 있는 센서스톱퍼(4)를 밀어주게 되는데, 이때, 센서스톱퍼(4)와 일체로 구성된 센서스톱레버(3)가 작동함에 따라 센서스톱레버(3)의 스톱레버 지지롤펀(7)이 상부에 위치한 스톱레버(2)를 연동시켜 스톱레버(2) 선단에 위치한 마이크로 스위치(1)를 온시켜 여기에 연결된 모우터(6)를 온시키는 것인데, 본원 고안에서는 종래처럼 이잭트 레버(13)를 눌릴때, 일차적으로 FF기능 삭제하는 과정과 함께 2차적으로 모우터(6)를 스톱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FF기능과 노이즈가 발생 및 청취되지 않은 테이프 권취등의 제혈함을 수반하였던데 반하여, 이잭트 레버(13)를 눌르는 동시에 핀치로울러 작동구(12) 및 센서 스톱퍼 푸쉬핀(10)이 연동되는 핀치로울러(11), 센서(5)와 모우터(6)등을 동시에 하나의 동작으로 오프 작동시킴으로 해서 종래에 있어서 테이프 오프시 FF기능 및 노이즈의 발생과 미청취된 테이프의 권취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종래에 있어서 이잭트 레버(13) 작동시 FF기능 및 노이즈 발생과 미청취된 테이프의 권취등으로서 테이프 및 기기자체 생기는 부하로 인하여 이들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결함까지를 일소시킨 간단하면서도 실사용 가치를 일층고양시키는 신규유용의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카세트 데크에 있어서, 마이크스위치(1)를 온, 오프, 시키는 스톱레버(2)를 연동하는 센서스톱레버(3) 후단 우측부에 센서스톱퍼(4)를 형성하되, ""자된 센서스톱퍼(4) 선단을 외측으로 45도 가량 트위스팅 시켜 해드작동판(9)의 센서스톱퍼 푸쉬핀(10)과 직접접촉 되도록 구성되어 이잭트 레버(13)를 누름과 동시에 해드 작동판(9)이 센서스톱퍼(4)와 센서스톱레버(3)를 작동시켜 마이크로 스위치(1)를 오프시킴으로 마이크로 스위치(1)에 연결된 모터의 전원을 차단시켜 FF기능 및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데크.
KR2019860009654U 1986-07-05 1986-07-05 카세트 테크의 이잭트시 ff기능 및 노이즈 발생 방지장치 KR890006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654U KR890006617Y1 (ko) 1986-07-05 1986-07-05 카세트 테크의 이잭트시 ff기능 및 노이즈 발생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654U KR890006617Y1 (ko) 1986-07-05 1986-07-05 카세트 테크의 이잭트시 ff기능 및 노이즈 발생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207U KR880003207U (ko) 1988-04-13
KR890006617Y1 true KR890006617Y1 (ko) 1989-09-30

Family

ID=1925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654U KR890006617Y1 (ko) 1986-07-05 1986-07-05 카세트 테크의 이잭트시 ff기능 및 노이즈 발생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6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207U (ko) 198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6800A (ko) 전자기기의 박형전지 수납구조
DE2336443A1 (de) Geraet zur magnetischen aufzeichnung und wiedergabe mit einer einrichtung zum kassettenauswurf
KR890006617Y1 (ko) 카세트 테크의 이잭트시 ff기능 및 노이즈 발생 방지장치
JPS60120571U (ja) テ−プカセツト
JPH02129817A (ja) 押しボタン装置
KR870004051Y1 (ko) 카세트 데크의 레버 작동 캠
KR880002573Y1 (ko) Vtr 카셋트 이젝트장치
DE2623707B2 (de) Aufnahme- und Wiedergabe-Magnetbandgerät
KR890000512Y1 (ko) 하우징 록킹 장치
JPS6331232Y2 (ko)
DE2136749A1 (de) Batterie-schutzvorrichtung
JPS5566464A (en) Cord take-up device
JPS59127257A (ja) テ−ププレ−ヤのイジエクト機構
JPS5644140A (en) Tape recorder
KR920003519Y1 (ko) 카세트 도어 열림장치
JPS57212855A (en) Tape recorder for telephone
JPS56137543A (en) Preventing device for misoperation for tape recorder
JPS62120658A (ja) カセツト装着装置
JPS5447609A (en) Rewinding locking device
JPS5567963A (en) Tape recorder
JPS60107534U (ja) スイツチ装置
JPS595858U (ja) 電流制限器
JPS58176246U (ja) カセツトテ−プレコ−ダ
JPS5875408U (ja) 引出し形しや断器
JPH0668101U (ja) ポップノイズ録音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