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363Y1 -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363Y1
KR890006363Y1 KR2019870012660U KR870012660U KR890006363Y1 KR 890006363 Y1 KR890006363 Y1 KR 890006363Y1 KR 2019870012660 U KR2019870012660 U KR 2019870012660U KR 870012660 U KR870012660 U KR 870012660U KR 890006363 Y1 KR890006363 Y1 KR 890006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core
recess
deflection yoke
coi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2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619U (ko
Inventor
조돈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2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363Y1/ko
Publication of KR890003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취부구조
제1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는 편향요크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서 상측조정구를 삽입할때의 편향요크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서 하측조정구를 삽입할때의 편향요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스크린부 6 : 돌부
7 : 요입부 8,. 8' : 요입홈
9 : 조정구 10 : 삽지돌편
11 : 삽지돌기 12 : 삽지홈
13 : 조정구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브라운관에 조립되어 캐소우드에서 나온 전자비임을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페라이트코어의 높이를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편향요크의 패라이트코어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편향요크의 코일쎄퍼레이터는 한쌍의 코일쎄퍼레이터편(1') (1")이 결합되어 하나의 코일쎄퍼레이터(1)가 형성되는바 그 코일쎄퍼레이터의 내부에는 수평코일(미도시함)이 취부되고 외부에는 페라이트코어(2)에 권선된 수직코일(3)이 취부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편향요크에서는 코일쎄퍼레이터 (1)와 수직코일(3)간의 상하간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부위에 고정돌기(4)등을 형성함에 의하여 페라이트코어(2)의 높고 낮음을 변경할 수 없었다. 즉 한 종류의 코일쎄퍼레이터(1)에 여러 종류의 폐라이트코어(2)를 사용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크린부(5')의 상부에 돌부(6) 및 요입부(7)와 페라이트코어(2)의 상측에 삽지돌기(11)를 형성하여서 조정구(9) (13)에 의해서 페라이트코어(2)의 높낮이가 변할 수 있도록 하며 요입부(7)를 형성하여 매직솔더(15)를 충입시키므로서 접착력이 강하고 편향요크의 특성 변화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코일쎄퍼레이터(1)를 형성하는 코일쎄퍼레이터편(1') (1")의 내, 외면에 각각 수평코일(미도시함)과 수직코일(3)이 치부되고 외면 전, 후부에 수직코일 전, 후 유동방지돌편(4) (4')이 돌출 형성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쎄퍼레이터(1)의 스크린부(5')의 상부는 상측이형상의 돌부(6)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횡방향으로 연속반복 형성하여서 된 하측의형상의 요입부(7)를 형성하여서 이 요입부(7)에 하부양측에 요입홈(8) (8') 이 각각 형성된형상의 조정구(9)의 삽지돌편(10)이 삽입되도록 하고 또한 페라이트코어 (2)의 상측에 형성된 삽지돌기(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부에 삽지홈(12)이 형성된 조정구(13)가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한 종류의 코일쎄퍼레이터(1)로 여러 종류의 페라이트코어(2)를 사용 검토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갈이 조정구(13)를 삽지돌기(11)에 삽입하여서 조정구(13)의 하면에서부터 삽지흠(12)의 하면까지의 길이(h')만큼 수직코일(3)이 권선된 폐라이트코어(2)를 음극선관의 정면쪽인 스크린(SCREEN) (5')쪽으로 전진시킴으로써 특성변화를 시킬 수 있다.
또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의 (9)의 삽지돌기(10)를 스크린부(5')의 삽지홈(7)에 삽입시켜서 조정구(9)의 상면에서부터 삽지홈(8)의 상면까지의 길이(h)만큼 수직코일(3)이 권선된 페라이트코어(2)를 네크(14)쪽으로 후퇴시킴으로서 특성변화를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코일쎄퍼레이터(1)와 수직코일(3)간의 접착력 강화를 위해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부(5')의 상부에 반복형성된 요입부(7)에 의하여 매직솔더(MAGIC SOLDER) (15)를 투입시 매직솔더(15)가 요입부(7)에 충입됨으로써 종래 요입부(7)가 형성되지 않았던 스크린부(5)에 매직솔더(15)를 투입할시에 접착성이 좋지 않았던 결점도 해소시킨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게를 이용해서 빔을 상하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코일(3)의 상하 방향 유동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상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없이 고정시켰던 것을 본 고안운 적용함으포써 폐라이트코어(2)외 높이를 조정할 수가 있어서 특성조정이 용이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편향요크는 한 종류의 코일쎄퍼레이터도 여러 종류의 페라이트코어를 사용, 검토할 수가 있는 페라이트코어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어서 편향요크의 특성변화를 조정할 수 있고 수직코일과 코일 쎄퍼레이터의 접착제인 매직솔더의 접착력이 강하도록 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원가절감효과와 접착력이 강하고 제품신뢰성이 높은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코일쎄퍼레이터(1)의 스크린부(5')의 상부는 상측이형상의 돌부(6)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횡방향으로 연속방법 형성하여서 된 하측의형상의 요입부(7)를 형성하여서 이 요입부(7)에 하부양측에 요입홈(8) (8')이 각각 형성된형상의 조정구(9)의 삽지돌편(10)이 삽입되도록 하고 또한 폐라이트코어(2)의 상측에 형성된 삽지돌기(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부에 삽지홈(12)이 형성된 조정구(13)가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취부구조.
KR2019870012660U 1987-07-31 1987-07-31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취부구조 KR890006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660U KR890006363Y1 (ko) 1987-07-31 1987-07-31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660U KR890006363Y1 (ko) 1987-07-31 1987-07-31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19U KR890003619U (ko) 1989-04-13
KR890006363Y1 true KR890006363Y1 (ko) 1989-09-21

Family

ID=1926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2660U KR890006363Y1 (ko) 1987-07-31 1987-07-31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3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19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6840A (en) Cathode-ray tube having a faceplate panel with a substantially planar periphery
KR890006363Y1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취부구조
CA1098577A (en) Picture display tube with detachable getter
JPS581741B2 (ja) ミクロセル用マスクを備えたセルホ−ルダ
JPS59215643A (ja) テレビジヨン表示方式
JPS5434712A (en) Deflection yoke
JPS5825038A (ja) 電子管用電子銃支持構体
JPS5839000Y2 (ja) 偏向ヨ−グ
KR890005705Y1 (ko) 편향요크에서 퀵-리턴(Quick-Return) 권선을 위한 페라이트 코어의 구조
KR930000957Y1 (ko) 편향요크
KR900002013Y1 (ko) 편향요크의 수직코일 유동방지구조
KR930006178Y1 (ko) 편향요크의 수직코일 취부구조
ES8204880A1 (es) Perfeccionamientos en un miembro para electrodo de canon electronico para un tubo de rajos catodicos.
KR950001330Y1 (ko) 편향요크의 코일세퍼레이터구조
KR890006583Y1 (ko) 흑백 모니터용 편향 요크의 수평코일
KR890006364Y1 (ko) 편향요크용 코일쎄퍼레이터(coil deparator)의 결합구조
KR0123345Y1 (ko) 편향요크
KR200240122Y1 (ko) 코일세퍼레이터의 자성편 이중 취부구조
KR900008157Y1 (ko) 편향요크의 자성편 취부구조
KR0123604Y1 (ko) 브라운관의 편향요크
KR890006376Y1 (ko) 편향 요크의 코일세퍼레이터
KR930002207Y1 (ko) 편향요크의 터미널보드 취부구조
KR890007282Y1 (ko) 편향요크용 코일쎄퍼레이터
KR890005096Y1 (ko) 소형편향 요크의 보정철편 취부구조
KR940004789Y1 (ko) 프로적숀(projection) tv용 편향요크의 터미널보드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