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064Y1 - 자동차의 전자식 연료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자식 연료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064Y1
KR890006064Y1 KR2019860016746U KR860016746U KR890006064Y1 KR 890006064 Y1 KR890006064 Y1 KR 890006064Y1 KR 2019860016746 U KR2019860016746 U KR 2019860016746U KR 860016746 U KR860016746 U KR 860016746U KR 890006064 Y1 KR890006064 Y1 KR 890006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uel
fixed
cap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103U (ko
Inventor
은종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6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064Y1/ko
Publication of KR8800081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1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0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08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the valves opening in direction of fue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자식 연료 분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조립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노즐부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사구멍 2 : 노즐
3,3',3",3'",3"",3""", 3""" : 링 4,4',4" : 휠터
5 : 캡 6 : 칼라
7,7' : 파이프 8,8' : 지지체대
9 : 로드밸브 10,10' : 스프링
11 : 코일 12 : 플러그
13 : 코아 14 : 카바
15 : 스크류 16 : 와샤
17 : 헤드밸브 18 : 압력조절몸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원리를 이용하여 압력조절기능을 첨가한 것으로써 엔진의 여러가지 작동상태에 따라서 최적제어를 수행하고 연소실에서 연료의 완전연소를 실현할 수 있게된 자동차의 전자식 연료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엔진에 있어서는 기계식 연료 공급 장치가 공연비 조절에 제약이 많아 여러가지 엔진의 작동상태에서 연료량 제어가 용이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연소실에서 연료의 완전연소가 이루이지지못하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분사구멍(1)이 나선형으로 뚫린 노즐(2)과 링(3)이 하단부면에 삽입고정되고 하부 외측으로는 휠터(4)가 장착된 캠(5)과 칼라(6)가 파이프(7) 고정된 외부지지체대(8)의 내부에 링(3')과 함께 삽입고정된 내부지지체대(8')의 하부 중앙에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하부로 외부지지체대(8)와 캡(5) 사이에는 링(3")이 삽입되어지고 캡(5)내부로는 로드밸브(9)가 삽입되어지되 로브밸브(9)의 상부로는 스프링(10)이 삽입되어 내부지지체대(8')에 삽입된 코일(11)이 내장되며 플러그(12)와 연결고정된 코아(13)의 상부로 삽입되어진 카바(14)의 중앙내부로 링(3"')과 삽입되어 고정된 스크류(15)의 하단부에 있는 와샤(16)에 밀착되고 또한 카바(14)와 플러그(12)의 사이에는 링(3"")(3""')이 각각 삽입되고 외부지지체대(8)의 외측 상부면에는 파이프(7')가 고정되며 헤드밸브(17)와 스프링(10')이 삽입되어진 압력조절 몸체(18)가 링(3""")과 함께 결합되고 코아(13), 내부지지체대(8')의 일면에는 휠터(4')(4")가 각각 장착되어서 구성되어진 것으로 미설명부호 19는 공간부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원은 솔레노이드부가 손상되었을 경우에 교체가 가능하도록 나사식으로 솔레노이드부를 고정하였으며 분사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뿐만 아니라 연료량제어를 밸브의 개폐기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분사압력은 별도의 압력조절기를 사용하지 않고 연료의 분사압력조절을 간단하게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연료분사기의 일부에 설치하였고 또한 분사시 연료와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시키기 위해 분사구멍을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선회속도를 유도시키어 난류 강도를 증가시키고 난류의 특성중 운동량 전달 및 확산 등을 연료와 공기의 혼합에 이용한 것으로써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플러그(12)로 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1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코일(11)에 자력이 발생하게 되어 로드밸브(9)를 A방향으로 운동시키는데 이때 로드밸브(9)가 열림과 동시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연료펌프로 부터 파이프(7)를 통해외부지지체대(8)내에 연료저장탱크로 이용되는 공간부(19)로 공급된 연료가 캡(5) 내부에 형성된 연료통로를 통과하여 도면 제2도와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즐(2)의 상부면에 상하로 관통되게 나선형으로 뚫린 다수의 분사구멍(1)을 통해 분사시키게 되어 있는데 이때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지지체대(8)의 외측 상부면에 파이프(7')가 고정되고 헤드밸브(17)와 스프링(10')이 삽입되어진 압력 조절몸체(18)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 저장탱크로 이용되는 공간부(19)에 저장된 연료의 압력이 상승하여 일정압력을 넘게되면 연료가 헤드밸브(17)를 B방향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헤드밸브(17)에 의해 스프링(10')이 압축되면서 압력조절몸체(18)내로 밀려들어오는 연료가 파이프(7')를 통해 연료탱크로 되돌려 보내지고 또한 연료저장탱크로 이용되는 공간부(19)에 저장된 연료의 압력이 일정압력이하로 저하되면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밸브(17)가 원래상태대로 닫히게 되어 있는 것으로 별도의 압력조절기를 사용하지 않고 연료분사기의 일부에 간단하게 설치하였을뿐만 아니라 분사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스크류(15)는 스프링(10)의 탄성력을 조절할뿐만 아니라 일정 탄성력으로 유지되도록 스프링(10)을 지지해주고 칼라(6)는 로밸브(9)가 연료를 분사하기 위해 열릴때 로드밸브(9)의 열림도를 제한하고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되어 있으며 링(3)(3')(3")(3"')(3"")(3""')(3""")은 연료의 기밀을 유지시켜주게 되어진 것으로 본원은 연료소비율을 개선하고 배기 공해 가스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

  1. 파이프(7)가 고정된 외부지지체대(8)에 링(3')과 동시에 삽입된 내부지지체대(8')의 하부 중앙에 다수의 분사구멍(1)이 나선형으로 뚫린 노즐(2)과 링(3), 휠터(4)가 각각 장착되어진 캡(5)과 칼라(6)가 결합되고 또한 외부지지체대(8)와 캡(5) 사이에는 링(3")이 삽입되고 캡(5) 내부에 삽입된 로드밸브(9)의 상부에는 스프링(10)이 삽입되어 플러그(12)가 고정되고 코일(11)이 내장된 코아(13)에 삽입되어진 카바(14)에 링(3"')과 함께 삽입고정된 스크류(15)의 하단부에 있는 와샤(16)면에 밀착되고 카바(14)와 플러그(12) 사이에는 링(3"")(3""')이 각각 삽입되고 외부지지체대(8)의 외측 상부면에는 파이프(7')가 고정되고 헤드밸브(17), 스프링(10')이 삽입된 압력조절몸체(18)가 링(3""")과 함께 결합되고 또한 코아(13), 내부지지체대(8')의 일면에는 휠터(4')(4")가 각각 장착되면서 분사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께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전자식 연료분사장치.
KR2019860016746U 1986-10-31 1986-10-31 자동차의 전자식 연료 분사장치 KR890006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746U KR890006064Y1 (ko) 1986-10-31 1986-10-31 자동차의 전자식 연료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746U KR890006064Y1 (ko) 1986-10-31 1986-10-31 자동차의 전자식 연료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103U KR880008103U (ko) 1988-06-29
KR890006064Y1 true KR890006064Y1 (ko) 1989-09-11

Family

ID=1925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746U KR890006064Y1 (ko) 1986-10-31 1986-10-31 자동차의 전자식 연료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0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103U (ko) 198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498A (en) Fuel injector with at least one movable needle-guide
ES2006151A6 (es) Valvula inyectora de combustible
RU98120937A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опливным инжектором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086661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US5651346A (en) Accumulator-type injection system
CA2159608C (en) Fuel injec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325055B1 (en) Flow control valve
US5150684A (en)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unit for engine
DE3882617T2 (de) Elektromagnetisch gesteuertes Brennstoffeinspritzventil für Verbrennungsmotoren.
EP0353763B2 (en) A fuel supply device of an engine
KR890006064Y1 (ko) 자동차의 전자식 연료 분사장치
WO2001050009A3 (de) Brennstoffeinspritzventil
KR880012888A (ko) 전자 밸브
KR930000351B1 (ko) 2행정 엔진용 연료분사장치
ES8504338A1 (es) Tobera de inyeccion de combustible liquido
ES8403572A1 (es) Dispositivo de boquilla de inyeccion para la camara de combustion de un motor de combustion interna.
JPH0515572Y2 (ko)
KR950011701B1 (ko) 자동차의 직접 연료 분사장치
JPH02119670A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2001003833A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
KR19980044428A (ko) 디젤 엔진의 다노즐 인젝터
KR200149886Y1 (ko) 엔진의 연료 분사장치
KR920012726A (ko) 2행정 엔진용 연료분사장치
JPS59141757A (ja) デイ−ゼルガスエンジン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S62143055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