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561Y1 - 완금지지대 고정용 판 너트 - Google Patents

완금지지대 고정용 판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561Y1
KR890005561Y1 KR2019860017149U KR860017149U KR890005561Y1 KR 890005561 Y1 KR890005561 Y1 KR 890005561Y1 KR 2019860017149 U KR2019860017149 U KR 2019860017149U KR 860017149 U KR860017149 U KR 860017149U KR 890005561 Y1 KR890005561 Y1 KR 890005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lt
nut
diame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764U (ko
Inventor
정화춘
Original Assignee
정화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춘 filed Critical 정화춘
Priority to KR2019860017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561Y1/ko
Publication of KR880010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5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완금지지대 고정용 판 너트
제1도는 본 고안 판 너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판 너트를 완금지지대 고정용볼트의 나사에 체결한 경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종래 완금지지구를볼트에 너트로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본 고안은 전주에 완금지지대와 완금을볼트에 고정시킬때 먼저 완금지지대를 가고정할 수 있는 금속제판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판면에 볼트의 나사산의 직경크기보다 큰 구명에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크기보다 작고 나사골과 나사골 사이의 크기보다 큰 구멍을 연결하여된 완금지지대 고정용 판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 완금지지대를볼트 나사에 너트로 채우는 것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공 1명이 주상에서 전주밴드용볼트와 완금지지대 및 완금을 한꺼번에 조립부착하기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왜냐하면 완금지지대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작업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볼트, 완금지지대, 완금 순서로 차례로 고정작업을 하게된다. 완금을 전주에 고정시킬때에는 제3도와 같이 완금지지대(20)의 장방형 볼트공(20')을 통하여 전주(21)에볼트(22)와 일차너트(23)로 일차고정시키면 반원받침제(26)2개는 전주(21)에 밀착되고, 1차너트(23)위에 완금(24)를 끼워서 2차 너트(25)를 채워서 완금(24)를 고정 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에 1차너트(23)의 두께가 두꺼워서 완금(24)위치가 전주(21)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전선로 하중에 의해서 U볼트(22)가 휘어지므로 선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U볼트(22)에 4개의 너트(23.25)를 채워야 하기 때문에 즉, 1차너트(23)를 U볼트(22)의 최종단부에서부터 끼워서 필요한만큼 (23)를 회전시키면 너트(23)가 U볼트(22)의 나사를 따라서 전진하여 이동되게 한다. 그러나 이런한 나사조임 작업은 U볼트(22)가 길어서 나사조임이 매우 번거롭고 그 작업시간이 많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얇은 금속판에 U볼트의 나사산의 직경보다 약간 큰 구멍을 형성하여 U볼트의 나사부가 자유롭게 통과되도록하고 U볼트의 나사골과 나사골 사이에 금속박판너트를 끼워질 수 있도록하여 완금지지대를 고정할 때에 너트의 회전조임 작업이 필요없도록하여 나사 조립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완금지지대 고정용 판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성은 금속박판으로 된 평판(1)에 완금 지지대 고정용 U볼트의 나사산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d1)을 갖는 제1구멍(2)을 형성하고, 또한 U볼트의 나사골의 직경보다는 크고 나사산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d2)의 제2구멍(3)을 형성하되, 제1구멍(2)에 제2구멍(3)을 연통시킴과 동시에 연통부(4)의 폭은 제2구멍(3)의 직경으로하며, 연통부(4)의 연부(4a, 4b)는 상호 어긋나게 틀어서 형성 하여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 구성의 작용효과는 제2도를 참조하여 살명하면 제1구멍(2)의 직경은U볼트(10)의 나사산(10a)의 직경보다 크르로 U볼트(10)의 나사부(11)는 제1구멍(2)에 자유롭게 꼽혀 진다. 이후 평판(1)은 U볼트(10)의 나사부(11)에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켜 즉, 완금지지대(12)면에 밀착되게 평판(1)을 이동시켜 제1구멍(2)에서 제2구멍(3)쪽으로 평판(1)을 밀면 연통부(4)의 연부(4a, 4b)가 U볼트(10)의 나사부(11)의 나사골(10b)에 끼워지면서 평판(1)이 이동되고 그 이후에는 제2구멍(3)의 원형단부연부(3')가 나사골(10b)에 끼워져 U볼트 (10)는 평판(1)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연부 (4a, 4b)는 상호 어긋나게 틀어져 있으므로 이 부분은 나선상의 나사골(10b)에 쉽게 끼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평판(1)을 단순히 잡아당겨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U볼트(10)로 완금지지대 (12)를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한 것이다.
이와 같이 평판(1)으로 완금지지대(12)를 고정한 다음 통상과 같이 U볼트(10)에 완금(13)을 끼워서 너트(14) 2개를 나사조임하게 되는데 완금(13)이 완금지지대(12)면으로 접촉하면서 평판(1)을 압압하므로 너트(14)의 조임력에 의하여 완금지지대(12)와 평판(1), 완금(13)이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U볼트에 너트를 회전시켜서 고정하지 않고 단순히 평판을 잡아당기는 것으로 체결고정되므로 완금지지대의 체결고정 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금속박판으로 된 평판(1)에 완금지지대 고정용 U볼트의 나사산 직경 보다 약간 큰 직경(d1)을 갖는 제1구멍(2)을 형성하고, 또한 U볼트의 나사공의 직경보다는 크고 나사산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d2)의 제2구멍(3)을 형성하되 제1구멍(2)에 제2구멍(3)이 연통됨과 동시에 연통부(4)의 폭은 제2구멍(3)의 직경으로하며, 연통부(4)의 연부(4a, 4b)는 상호어긋나게 틀어져 형성하여된 완금지지대 고정용판 너트.
KR2019860017149U 1986-11-05 1986-11-05 완금지지대 고정용 판 너트 KR890005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149U KR890005561Y1 (ko) 1986-11-05 1986-11-05 완금지지대 고정용 판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149U KR890005561Y1 (ko) 1986-11-05 1986-11-05 완금지지대 고정용 판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64U KR880010764U (ko) 1988-07-28
KR890005561Y1 true KR890005561Y1 (ko) 1989-08-22

Family

ID=1925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149U KR890005561Y1 (ko) 1986-11-05 1986-11-05 완금지지대 고정용 판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5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64U (ko) 198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0603A (en) Clamp for securing bar hanger to electrical wiring box
US4210374A (en) Set-screw bushing including integral electrical clamp
US4440535A (en) Sheet metal fastener
KR890005561Y1 (ko) 완금지지대 고정용 판 너트
US2937226A (en) Conductor spreader
US4339105A (en) Clamp for securing large can-type capacitors to a circuit chassis
FR2442365A1 (fr) Dispositif d'assemblage de panneaux
KR0133372Y1 (ko) 결합장치
JPH0313969Y2 (ko)
JPS5847697Y2 (ja) 円筒形電気部品のシヤ−シ板への取付具
JPS6342554Y2 (ko)
JPS599361Y2 (ja)
JPH0136303Y2 (ko)
CN214063501U (zh) 方便快速拧紧的紧固件
JPH0238347Y2 (ko)
JPH0231866Y2 (ko)
JP2605907Y2 (ja) アンテナ取付金具
JPS5827532Y2 (ja) アンテナ装置
KR0135244Y1 (ko) 가공지선 설치용 지지대
JPH07298465A (ja) 電線の固定方法
JPS6334329Y2 (ko)
JPH0516818Y2 (ko)
KR880004210Y1 (ko) 파이프 지지구
JPH0234819Y2 (ko)
JPH0615067Y2 (ja) 懸吊支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