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516Y1 -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516Y1
KR890005516Y1 KR2019860008875U KR860008875U KR890005516Y1 KR 890005516 Y1 KR890005516 Y1 KR 890005516Y1 KR 2019860008875 U KR2019860008875 U KR 2019860008875U KR 860008875 U KR860008875 U KR 860008875U KR 890005516 Y1 KR890005516 Y1 KR 890005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microcomputer
interrupt
pulse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445U (ko
Inventor
차동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8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516Y1/ko
Publication of KR880001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4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5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3Arrangements in which a pulse is delivered at the instant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of an input signal is present or at a fixed time interval after this inst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인터럽트 발생회로.
제2도는 일반적인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
제3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4(a)도, 제4(b)도는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실시예.
제5도는 각 인터럽트 발생 회로의 각부 파형도.
제6도는 본 고안 회로도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콤 5 : 인터럽트 발생회로
7 : 베이스 드라이브회로 8 : 파형 합성회로
9 : 전력변환부 M : 모우터
Q1~Q6: 트랜지스터 CP1~CP6: 비교기
T : 트랜스 10 : 지연회로
EN1: 익스크루시버 노아게이트
본 고안은 60HZ의 교류 전원(AC)으로 2배의 인터럽트 시그널(INTERRUPT SIGNAL)이 출력되게 한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마이콤을 사용하는 제어 기기들은 대개 제1도와 같이 60HZ의 교류 전원으로 트랜지스터(Q)를 구동시켜 인터럽트 시그널을 마이콤에 인가되도록 구성시키고 있으나 다이오드(D1)에 의한 전압 강하의 요인에 의하여 제5(a)도 파형과 같이 항상 지연 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60HZ의 상용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순한 시계 및 카운터에만 적합할뿐 디지탈 제어에 의한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등에는 부적합한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제2도와 같이 비교기(CP1)(CP2)로 구성시켜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보통의 마이콤이 인터럽트 시그널의 폴링에이지(FALLING-EDGE)시 인터럽트 루우틴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1초에 60번의 인터럽트만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도 디지탈 제어에 의한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경우에 펄스폭 변조 신호를 마이콤(1)에 인가시키기 때문에 교류 1주기분에 대한 펄스폭 변조 데이타를 수렴한 후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순으로 처리하여야만 되기 때문에 프로그램 처리시 지연 요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류 전원으로서 동기되는 120HZ의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게 하여 종래 60HZ 인터럽트시보다 교류1주기분에 대한 인터럽트의 활용도를 두배로 늘려주므로써 지연 시간을 없애고 마이콤의 제어 용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프로그램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트랜스 2차측에 비교기를 통하여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게 구성한 회로에 병렬로 지연 회로를 구성시킨후 익스크루시버 노아게이트를 통하여 마이콤에 인터럽트 신호가 인가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이를 제3도 및 제4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인터럽트 발생부로써 교류전원(AC)이 인가되는 트랜스(T)의 2차측 인덕턴스 코일(L2)에 비교기(CP3)를 연결하고 저항(R5)(R6) 및 다이오드(D3)를 통하여 비교기(CP4)의 출력이 익스크루시버 노아게이트(EN1)의 일측에 인가되게 구성시키며 트랜스(T)의 2차측 인덕턴스 코일(L3)에 가변저항(VR1) 및 콘덴서(C1)로 구성된 지연회로(10)를 구성시킨후 비교기(CP5)에 연결시키고 저항(R7)(R8) 및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연결된 비교기(CP6)의 출력이 익스크루시버 노아게이트(EN1)의 타측에 인가되게 구성시켜 마이콤(1)에 인터럽트 신호가 인가되게 구성한 것이다.
제4(a)도는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를 나타낸 실시예로서 교류전원(AC)과 구동 모우터(M) 사이에 전력 변환부(9)를 구성시킨 것으로 전력변환부(9)의 각 트랜지스터(Q3-Q6)의 콜렉터측에 순방향성 다이오드(D3-D6)를 연결 구성시키고 트랜지스터(Q3)(Q4)를 아날로그 스위치(SW)에 병렬로 연결시킨 후 트랜지스터(Q5)(Q6)를 모우터(M)에 병렬로 연결 구성시켜 트랜지스터(Q3-Q6)의 베이스측(T1-T4)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원에 따라 모우터(M)의 구동이 제어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제4(b)도는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제어회로로써 제3도의 인터럽트 발생회로(5)는 일측으로 마이콤(1)에 인가되며 타측으로 파형 합성회로(8)에 인가되게 구성시키며 앤드게이트(A1)(A2), 인버터(I1)(I2), 버퍼(B1)로 파형 합성회로(8)를 구성시키어 베이스 드라이브 회로(7)에서 각 트랜지스터(Q3-Q6)의 베이스측 전원을 공급하게 구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제3도의 트랜스(T)의 2차측 코일(L2)에 유기된 전원은 비교기(OP3)와 저항(R5)(R6)을 통하여 비교기(OP4)에 인가되므로 제로 크로싱(ZERO-CROSSING)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파형의 왜형을 방지하므로써 제5(b)도와 같은 출력을 얻게 되므로써 종래의 제1도에서 다이오드(D1)에 의하여 제5(a)도와 같이 파형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트랜스(T) 2차측에서 코일(L3)에 유기된 전원은 가변저항(VR1) 및 콘덴서(C1)로 구성된 지연회로(10)를 통하여 비교기(CP5)에 인가되고 저항(R7)(R8)을 통하여 비교기(CP6)에 인가되므로써 제5(c)도와 같이 지연된 펄스가 출력하게 되고 익스크루시버 노아게이트(EN1)에는 노우드 점(B)(C)에 인가되는 펄스에 따라 제5(d)도와 같은 인터럽트 신호를 마이콤(1)에 인가시키게 되는 것으로 교류전원 60HZ에 동기되어 120HZ의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4(b)도에서 인터럽트 발생회로(5)의 120HZ의 인터럽트 신호가 마이콤(1)에 그리고 비교기(CP4)의 출력이 파형 합성회로(8)에 인가되게 되면 파형 합성회로(8)의 논리 소자로써 원하는 펄스를 만들 수가 있는 것으로 베이스 드라이브 회로(7)를 통하여 제6도의 파형도(T1-T4)와 같은 펄스가 제4(a)도의 트랜지스터(Q3-Q6)의 베이스측에 연속적으로 인가됨으로써 디지탈 제어 신호에 의하여 모우터(M)가 구동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부하 전류의 상태 변화에 상응한 펄스폭 변조 신호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각종 펄스폭 변조 데이타(PWM)를 마이콤의 내부에 수렴하고 이 데이타들을 서어치하여 교류 1주기 동안에 제6도의 펄스변조파(PWM)처럼 마이콤(1)에 전송하여야 할때에 종래의 인터럽트 회로에서는 마이콤 내부의 타이머 분주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1주기분에 대한 데이타를 모두 마이콤(1)에서 수렴해야 하나 본 고안에서는 교류1주기에 인터럽트 시그널이 두번씩 인가되므로써 교류 반주기분의 데이타만을 수렴하여도 교류 1주기를 모두 제어할 수가 있는 것으로 마이콤의 여분을 충실히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두배 이상의 펄스폭 변조 데이타(PWM)를 수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트랜스(T)의 2차측 코일(L2)에 유기되는 전원이 비교기(CP3)(CP4)를 통하여 마이콤(1)에 인터럽트 신호를 인가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트랜스(T)의 2차측 코일(L3)을 병렬로 연결 구성시키어 가변저항(VR1) 및 콘덴서(C1)로 구성된 지연회로(10)를 통하여 비교기(CP5)(CP6)로 출력되게 구성시킨후 익스크루시버 노아게이트(EN1)의 출력이 마이콤(1)에 인가되게 구성시킨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
KR2019860008875U 1986-06-23 1986-06-23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 KR890005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875U KR890005516Y1 (ko) 1986-06-23 1986-06-23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875U KR890005516Y1 (ko) 1986-06-23 1986-06-23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45U KR880001445U (ko) 1988-03-15
KR890005516Y1 true KR890005516Y1 (ko) 1989-08-21

Family

ID=1925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875U KR890005516Y1 (ko) 1986-06-23 1986-06-23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5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45U (ko) 198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6993A (en) Controlling apparatus for high frequency high voltage power source for corona discharge processing
US5917721A (en) Apparatus for reducing the effects of turn on delay errors in motor control
US4333042A (en) System for driving a motor by a pulse width modulation inverter
JPH0437669B2 (ko)
KR880011987A (ko) Pwm 전력 변환장치
US574795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powering a two-phase asynchronous motor
GB2316817A (en) Power supply unit for improving power factor
US4319316A (en) Controlled power supply apparatus
US6775158B2 (en)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and method
KR890005516Y1 (ko) 펄스폭 변조 초퍼 회로의 인터럽트 발생회로
US45996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transistorized polyphase pulse inverter
JP3286046B2 (ja) 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JPH02146963A (ja) 電圧型pwm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2000324842A (ja) 電力変換装置の制御装置
JPH10295082A (ja) 単相インバータの制御方式
JP2539204B2 (ja) スイツチング電源装置
JP267958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EP0457807B1 (en) Waveform generation and control
JPH025676Y2 (ko)
JPS6126316B2 (ko)
JPH0732606B2 (ja) 電流形インバ−タの制御装置
JP2522448B2 (ja) インバ―タ装置
JPS6132914B2 (ko)
JPH0642781B2 (ja) 電圧形インバータ
JPH04304169A (ja) 電源用pwm装置および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