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055Y1 - 다축 프레스물용 콜킹다이 - Google Patents

다축 프레스물용 콜킹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055Y1
KR890005055Y1 KR2019850003870U KR850003870U KR890005055Y1 KR 890005055 Y1 KR890005055 Y1 KR 890005055Y1 KR 2019850003870 U KR2019850003870 U KR 2019850003870U KR 850003870 U KR850003870 U KR 850003870U KR 890005055 Y1 KR890005055 Y1 KR 890005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ress
caulking
shaft
ax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3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3074U (ko
Inventor
김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03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055Y1/ko
Publication of KR860013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3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0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축 프레스물용 콜킹다이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선 절단면도.
제4도는 셋팅 홀더의 일부 절개 정면도.
본 고안은 가공 칫수가 다른 축에 대하여 규격별로 다이를 교환하지 않고도 연속 공작이 가능하고 또한 같은 가공칫수를 가진 여러개의 축 가공물도 하나의 스핀들과 하나의 다이로서 콜킹 작업을 성취할 수 있는 개량된 다축 프레스물용 콜킹(Caulking)다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콜킹 다이는 한개의 축 가공물에 대하여만 가공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어서, 예를 들면 피가공물인 축의 형상과 칫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콜킹다이를 거기에 맞춰교환 설치해야 한다.
또 축의 방향이 같은 경우에도 각각의 고정을 작업자 스스로 매번 이동 조정해야하는 제한이 있다.
이런 종류의 콜킹 다이가 갖는 결점은 스핀들 하나만이 갖춰진 기계에서 여러 공정의 콜킹 작업을 매공정마다 축과 프레스 가공물을 놓았다 들어냈다 하므로 공정당 가공시간이 길어 시간당 생산량이 낮다는 것이다. 더우기 스핀들이 회전하고 있는 중에도 작업자는 계속 피가공물을 붙잡아 줘야하는 까닭에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컸다.
본 고안은 이같은 종래 콜킹다이가 안고 있던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콜킹 가공기의 베드위에 고정되는 기판(1) 상부에는 윗끝이 트인 다수의 홈(3)(3')을 가진 슬라이드(2)가 대응하는 한쌍의 안내부재(4)(4')에 의해서 운동 방향으로 미끄럼 안내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슬라이드(2)는 그 후단이 받침축(6)에 지지되어 이것을 중심으로 수평선회 가능하게 성치된 레버(7)와 한조의 링크(8)로 조합된 토글바(5)에 피봇 연결 되어있다.
상기 안내부재(4)(4')의 앞고정판(9)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슬라이드(2)의 행정 조절을 위한 조절보울트(10)가 나사 끼움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2)의 홈(3)(3')은 축가공물을 끼워(재치) 두는 곳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콜킹 가공기의 베드(도시생략)위에 올려놓고 베드상의 고정보울트에 기판(1)의 U홈(11)을 걸친 다음 콜킹 가공기의 상방에 설치된 스핀들(15)의 하단에다가 제4도에 나타난 셋팅 홀더(12)를 끼워 고정하고 하강시키면서 이 셋팅 홀더(12)의 펀치(12a) 중심에 슬라이드(2)의 전방 홈(3)의 중심 맞추기 작업을 선행한다. 이때위 레버(7)는 d2방향으로 조작하며, 중심 맞추기 종료후에는 기판(1)의 U홈(11)이 걸쳐진 보울트(도시생략)를 조여서 조정된다.
다음으로 레버(7)를 제1도의 화살표 d1방향으로 선회 시키면서 앞서의 방법대로 슬라이드(2)의 후방 홈(3')의 중심을 상기 셋탕홀더(12)의 중심에 맞춘다. 이러한 중심맞추기가 이뤄진 직후에는 조절보울트로 그 위치를 정해 둔다.
양쪽 중심 맞추기 종료후에는 스핀들(15)에서 셋팅 홀더(12)를 제거한다.
그후에는 각 홈(3)(3') 마다 가공해야할 축(13)을 끼워 세우고 이들 축(13)위에는 축(13)이 박힐 자리에 구멍이 뚫린 프레스물(14)를 앉어 끼워 자세안정을 취한후에 족답식 레버 또는 스위치를 눌러서 상기 스핀들(15)을 내려서 하강 압력을 가해준다.
이때에는 레버(7)가 전진 조작전의 상태(제1도 및 제2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앞쪽홈(3)에 끼워진 축(13)과 프레스물(14)간의 콜킬작업만이 이뤄진다. 앞쪽의 축(13)에 대한 콜킹 작업이 완료된 후 스핀들(15)을 들어 올리고 레버(7)를 제1도의 화살표 d1방향으로 조작하면 슬라이드(2)는 D2방향으로 움직이다가 그 선단면이 조절보울트(10)에 닿는 순간 멈춰 더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는 동시에 앞쪽 홈(3)이 있던 중심위치에 뒷쪽홈(3')이 이동해와서 정확하게 그 중심이 놓이게 된다.
이렇게 위치변경된 상태에서 앞서 실시한 경우처럼 스핀들(15)을 내려서 하강 압력을 가해주면 제2번 축(13')의 콜킹 작업이 이뤄지는 것이다.
양쪽 축(13)(13')에 대한 콜킹 작업이 마무리되고 나서 스핀들(15)을 완전히 상승시킨 다음에 홈(3)(3')으로 부터 프레스물(14)에 콜킹된 축(13)을 들어내면 되는 것이다.
공작물의 반출후에는 레버(7)를 d2방향으로 조작해서 슬라이드(2)를 원위치로(D1방향) 복귀 시키고 앞서 진행된 순서대로 반복 가공할 수도 있고, 또는 슬라이드(2)를 D2방향으로 옮겨 가공한 상태로 하고 다른 축을 끼워 세우고 콜킹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같은 일련의 작업과정에 있어서, 프레스물(14)과 축(13)(13')은 슬라이드(2)와 함께 따라 움직이는 것은 물론이다.
이렇듯 본 고안은 가공작업중에 피가공물인 프레스물과 축을 작업자가 손수 붙잡지 않기 때문에 작업 안전성이 한층 높고, 또한 한꺼번에 축가공물을 프레스물에 끼워 작업하므로 매공작물 마다 개개의 공작물을 투입하고 반출하는 횟수가 줄어들어 작업능률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뿐 아니라 특히, 여러축에 대한 콜킹 가공의 연속성 및 설계변경에 따른 다이 규격의 교환 설치가 불필요하므로 이에 관련된 치구감축과 원가절감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콜킹가공 대상물인 축(13)을 끼워 세울 둘 이상의 홈(3)(3')을 형상한 슬라이드(2)를 기판(1)에 직선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2)를 레버(7)와 링크(8)로 되는 토글바(5)의 선단에 피봇 지지시키며 슬라이드(2)의 전방 고정판(9)상에 상기 슬라이드의 행정조절용 조절 보울트(10)를 나사끼움 하여서된 다축 프레스물용 콜킹다이.
KR2019850003870U 1985-04-09 1985-04-09 다축 프레스물용 콜킹다이 KR890005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870U KR890005055Y1 (ko) 1985-04-09 1985-04-09 다축 프레스물용 콜킹다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870U KR890005055Y1 (ko) 1985-04-09 1985-04-09 다축 프레스물용 콜킹다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074U KR860013074U (ko) 1986-11-08
KR890005055Y1 true KR890005055Y1 (ko) 1989-07-31

Family

ID=1924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3870U KR890005055Y1 (ko) 1985-04-09 1985-04-09 다축 프레스물용 콜킹다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0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074U (ko) 198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33263A (en) Pallet locator and clamping assembly in or for a multi-station work transfer machine
JPH0525621B2 (ko)
US5168610A (en) Complex machine tool
KR890005055Y1 (ko) 다축 프레스물용 콜킹다이
JPH07237064A (ja) フレキシブル機械加工治具
JPH07185692A (ja) プレス装置
CA1317868C (en) Bending machine
CN209793179U (zh) 一种cnc工装夹具
KR0180127B1 (ko) 공작 기계의 소재 위치 결정 장치
JP3765890B2 (ja) パンチプレス
KR19990062770A (ko) 개선된 메탈 시트 패널용 펀칭머신
JPH0314533B2 (ko)
JP2000153320A (ja) ダイの芯出し調整機構
KR100345111B1 (ko) 엔.씨. 펀치 프레스 장치
CN111604403B (zh) 一种高精度异形件专用冲剪下料柔性平台工装
CN213318880U (zh) 一种用于工件的定位装置
CN215699785U (zh) 一种便于安装的四轴工装夹具
JPH06198526A (ja) ターンテーブル式の工作機械
JP3858425B2 (ja) ノックアウト装置
JPS639381Y2 (ko)
JPH0373211A (ja) 線状溝加工機
JP3737859B2 (ja) 曲げ加工プレス
JPH1177469A (ja) カムシャフト加工機の位相位置決め装置
JP4287533B2 (ja) 心押台固定機構
JPS6321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