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006Y1 - 엘리베이터용 가림판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가림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5006Y1 KR890005006Y1 KR2019860019928U KR860019928U KR890005006Y1 KR 890005006 Y1 KR890005006 Y1 KR 890005006Y1 KR 2019860019928 U KR2019860019928 U KR 2019860019928U KR 860019928 U KR860019928 U KR 860019928U KR 890005006 Y1 KR890005006 Y1 KR 8900050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late body
- elevator
- ladder
- hoistwa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용 가림판의 개략한 측면도와 함께 도시한 승강로 하부의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판체 5 : 보조판체
6 : 핀 7 : 받침판
8 : 링크 9 : 걸림돌기
10 : 체결편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내릴때 승객의 발이 건물바닥면과 엘리베이터 사이 공간부로 빠지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인 엘리베이터용 가림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로 하방에 설치된 각종 기기들을 보수하거나 점검할 때 가림판을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가림판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바닥판(1) 전면에 단순히 평판상으로된 판체(13)를 브라켓(14)으로 고정한 구조이어서 승강로 하방에 설치된 각종 기기들을 보수하거나 점검할때에는 별도의 사다리(15)를 이용하여 승강실 하방으로 출입하여야 했고, 승강로 하방에 걸쳐진 사다리가 쉽게 넘어져 제위치에 있지 않는 경우 또다른 사다리를 준비하여야 하는 등 불편이 있었으며, 때로는 작업자가 사다리없이 승강로 하방으로 뛰어내리는등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상 엘리베이터의 운행시에는 가림판으로 사용되고 필요시에는 사다리로도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엘리베이터용 가림판을 제고코저 한 것인바,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바닥판(1)의 전면에 판체(2)를 스크류(3)로 고정하고 판체(2)와 바닥판(1) 사이에는 브라켓(4)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판체(2)의 중앙부에 판체(2)와 동일 평면상으로 된 보조판체(5)를 설치하여 이들을 핀(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판체(2)의 하방에는 판체(2)와 동일폭을 가진 다수의 받침판(7)를 설치하여 각 받침판(7)을 링크(8)로 연결함과 함께 하방 받침판의 양측에는 판체(2)에 형성된 걸림돌기(9)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체결편(1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은 판체(2)와 받침판(7) 사이에 결합된 힌지, 12는 보조판체(5)에 형성된 체결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가 운행중인 통상의 상태에서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판체(2) 하방에 연결된 다수의 받침판(7)을 절첩한 후 하방 받침판에 설치된 체결편(10)을 판체(2)에 형성된 걸림돌기(9)에 결합하여 통상의 가림판과 같이 사용하다가 승강로 하방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보수하거나 점검코저 할때에는 각 받침판(9)를 펼쳐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도 및 제2도와 같은 상태에서 각 스크류(3)를 풀어내고 판체(2)를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판체(2)와 바닥판(1)이 평행이 이루어지도록 한후 판체(2)의 중앙부에 핀(6)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보조판체(5)를 180도 회전시켜 보조판체(5)이 체결공(12)이 상방으로 위치되게 보조판체(5)를 바닥판(1)에 고정시키면 보조판체(5)와 판체(2)는 직각을 이룬 상태로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돌기(9)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편(10)을 걸림돌기(9)에서 이탈시키면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힌지(11)가 90도 각도로 접혀짐과 동시에 각 받침판(7)의 자중에 의해 링크(8)들이 하방으로 펼쳐져 사다리 형태가 되므로 각 받침판을 밟고 승강로 하방으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판체(2)의 하방에 절첩 가능한 다수개의 받침판(7)을 연결하여 가림판과 사다리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승강로 하방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보수하거나 점검할때 별도의 사다리를 준비하지 않고도 승강로 하방으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다리 준비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바닥판(1)의 전면에 판체(2)를 고정하고 판체(2)와 바닥판(1) 사이에는 브라켓(4)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판체(2)의 중앙부에 보조판체(5)를 설치하여 이들을 핀(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판체(2)의 하방에는 동일폭을 가진 다수의 받침판(7)을 설치하여 각 받침판(7)을 링크(8)로 연결함과 함께 하방 받침판의 양측에는 판체(2)의 걸림돌기(9)에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체결편(10)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가림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9928U KR890005006Y1 (ko) | 1986-12-12 | 1986-12-12 | 엘리베이터용 가림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9928U KR890005006Y1 (ko) | 1986-12-12 | 1986-12-12 | 엘리베이터용 가림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2195U KR880012195U (ko) | 1988-08-27 |
KR890005006Y1 true KR890005006Y1 (ko) | 1989-07-29 |
Family
ID=1925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60019928U KR890005006Y1 (ko) | 1986-12-12 | 1986-12-12 | 엘리베이터용 가림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5006Y1 (ko) |
-
1986
- 1986-12-12 KR KR2019860019928U patent/KR8900050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2195U (ko) | 1988-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61208A (en) | Modular elevator car | |
JP2019001222A (ja) | トラック用乗降ステップ | |
US3685093A (en) | Hinge construction | |
US4642953A (en) | Moveable stair apparatus | |
KR910006134A (ko) | 건설현장용 랜딩 플랫폼과 오버헤드 프로텍터 | |
JPWO2003020629A1 (ja) |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装置 | |
CA2094108A1 (en) | Portable window perch assembly | |
KR890005006Y1 (ko) | 엘리베이터용 가림판 | |
US4280243A (en) | Bulk loading facility having a drop way | |
RU2003112057A (ru) | Складываемый блок кабина-цапфа для башенного крана | |
US3269486A (en) | Ladder holder | |
US4993514A (en) | Ladder levelling device | |
KR200356582Y1 (ko) | 이동식 접이 계단 | |
JPH06171429A (ja) | 産業機械の歩行用台 | |
JP2890117B2 (ja) | 安全装置付転倒防止脚立 | |
CN219638756U (zh) | 爬梯系统 | |
CN218589540U (zh) | 开关柜屏顶作业安全带悬挂器 | |
JP4690602B2 (ja) | 手摺付作業台 | |
JP4155937B2 (ja) | 手摺付き作業台 | |
JPH1018742A (ja) | 多目的脚立 | |
KR970002753Y1 (ko) | 탱크 트레일러의 안전 난간장치 | |
KR102230963B1 (ko) |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 |
CN216999355U (zh) | 内侧张拉用折叠踏板 | |
KR940003467Y1 (ko) | 콤바인 발판 고정장치 | |
JPH063074Y2 (ja) | 格納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2120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