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564B1 - 현상장치(現像裝置) - Google Patents

현상장치(現像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564B1
KR890004564B1 KR1019850003750A KR850003750A KR890004564B1 KR 890004564 B1 KR890004564 B1 KR 890004564B1 KR 1019850003750 A KR1019850003750 A KR 1019850003750A KR 850003750 A KR850003750 A KR 850003750A KR 890004564 B1 KR890004564 B1 KR 890004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alternating voltage
latent image
switch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582A (ko
Inventor
미쯔아끼 고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6000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상장치(現像奬置)
제1도는 본 발명이 사용된 전자복사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중 일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중 요부의 단면도.
제4도는 토너의 입자직경 분포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5도는 바이어스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파형을 나타내는 타입 차아트.
제6도는 실시예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7도는 바이어스 전원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8도는 바이어스 전원의 다른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감광드럼 10 : 현상장치
11 : 현상로울(roll) 12 : 토우너 코우팅 블레이드
13, 14 : 사이드 프레임 15 : 프론트 프레임
16 : 로우너 누설방지 블레이드 17 : 리어 프레임
20 : 전자복사기 21 : 복사기동체
22 : 원고대 24 : 노광램프
25 : 결상렌즈 어레이(結像lens array) 26 : 제전램프(除電lamp)
27 : 대전기(帶電器) 29 : 전사전 대전기(轉寫前帶電器)
30 : 급지부 31 : 급지카셋트
32 : 급지로울러 33 : 급지 가이드
34 : 반송로울러 35 : 정렬로울러
36 : 전사대전기 37 : 박리 대전기(剝離帶電器)
38 : 클리닝 장치 38a : 클리닝 블레이드
39 : 반송벨트 40 : 정착기(定着器)
41 : 히이트 로울러 42 : 배출구
43 : 배출 트레이(tray) 44 : 반송부
50 : 바이어스 전원 51 : 승압 트랜스
52 : 가변 직류전원 53,56,57,58 : 발진기
54 : 분주기 55 : 스위칭 회로
59 : 전환회로 CD : 복사농도
OD : 원고농도
본 발명은 전자복사장치에 사용되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잠상면과 토우너면을 미세한 간격으로 대향시키고 이 간격에 교류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토우너를 정전 잠상부에다 비상부착(飛翔付着)시킬 수 있게 한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팩시밀리, 프린터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자복사장치에 캐스캐이드법(cascade법)이나 마그네트 브러쉬법(magnet brush법)과 같은 현상법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컬러기록에 대한 실용화가 크게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미정착상(未定着像)을 중복시켜 현상할 수 있는 감광체에다 비접촉상태로 현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접촉 현상법이라 불리워지고 있는 이상과 같은 현상방법에 대해서는 영국특허 제1,458,766호 및 미국특허 제 38,657호와 제 3,893,418호에 그 기본적인 원리가 소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방법에 있어서는, 표면상에 토우너를 얇은 막으로 균일하게 형성시켜서 된 원통형상의 로울을 정전잠상면에 약 5∼500미크론 정도로 근접시킨 다음 이 간격에다 교류전압을 바이어스로 인가하므로써 토우너를 비상진동(飛翔振動)시켜서 선택적으로 부착시키도록 되어있다.
특히, 미국특허 제 3,893,418호는 현상된 화상의 단계적인 색조특성(" t-1 ")이 인가된 교류전압의 주파수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주파 절환에 의해 계조재현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비접촉 형상방법에 대하여 검토해 본 결과, 토우너의 비상특성이란 것은 인가되는 교류전압의 크기나 주파수같은 외적인 요인에 크게 의존한다는 종래의 해석이외에, 토우너 자체의 성질이나 형상이 상기한 외적요인과 커다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는 바, 개개의 외적요인만으로 현상조건을 정의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것임을 알아냈다.
즉, 인가되는 교류전압의 조건은 토우너의 대전량이나 입자의 직경(무게)에 따라서 알맞게 변화시켜야만 하는 것이며, 최대의 토우너 비상감도(飛翔感度)를 얻을 수 있는 주파수나 전압은 이용하는 토우너 마다 매번 변한다는 점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점들에 대해서 꼼꼼하게 조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실제적으로 토우너의 대전량이나 입자직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자면, 종래방식의 비접촉현상에 이용하는 로우너로는 그 대전량과 입자직경의 평균치로부터 벗어나는 정도가 극단적으로 적은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나, 이렇게 되면 토우너의 생산성에 큰 제약이 따르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실제적으로 어느정도 평균치로부터의 벗어나는 것이 부득이하기 때문에 현상과 가정에서의 비상표율이나 현상결과는 만족할만한 수준에 다다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일정한 주파수의 전압을 인가하는 현상방법에서는 전술한것 처럼 좁은 범위에서 특정 토우너만이 주로 비상하게 되기 때문에 높은 해상력을 얻을 수는 있으나, 화상의 치밀한 정도와 계조 재현성에 있어서는 종래 방식(예컨데 자기 브러쉬 현상법)에 비하여 열등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써, 한정되어 있는 성 상범위내의 토우너입자 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성상범위의 토우너입자를 진동비상 시켜서 계조성과 치밀성이 우수한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고감도의 현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정 성상 범위내의 토우너입자가 특정주파수의 교류전계에 대하여 현저하게 진동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인가되는 교류전계의 주파수를 시간적으로 변화시키게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는, 현상제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현상영역중 정전잠상 유지체에 대해서 미소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현상제 보유체와 상기 현상제 보유체와 정전잠상 유기체간의 미소간결에 시간적으로 주파수가 변화하는 교번전압을 인가하고, 이 교번 전압에서 발생되는 교번전계로써 상기 현상제를 정전잠상 유지체에 선택적으로 비상시키는 전압인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압인가 수단에 의하여 인가되는 교번전압은 고르지 못한 형상상태를 발생 시키지는 않기 때문에, 소정의 한 주기중에 복수의 다른 주파수가 나타나게 이 주기가 차례차례 반복되도록 하는 한편, 그 반복주기는 정전잠상 유지체 표면의 정전잠상이 현상체 보유체와 정전잠상 유지체와의 대향영역 중에서 현상유효영역(현상동작이 가능한 영역)을 통과하는 시간내에 최소한 한 주기(바람직하게는 보다많은 주기)가 종료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현상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전자복사기(20)를 표시한 단면도로서, 이 복사기(20)의 구성상태 및 개요는 다음과 같다.
도면중 부호 21은 복사기 동체를 나타낸 것인바, 이 동체(21)의 상부에는 왕복으로 수평이동을 하는 원고대(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에는 무정형 셀레니움(無定形 Seleniwn)으로된 감광드럼(6)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감광드럼(6)의 주위에는 대전기(27)와 노광램프(24) 및 결상렌지 어레이(25)등으로 이루어진 노광광학계와 현상장치(10), 전사전 대전기(29), 전사대전기(36), 박리대전기(37), 클리닝 블레이드(38a)를 포함하는 클리닝장치(38), 제전램프(26)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체(21)의 측면부에는 급지부(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급지부(30)는 동체(21)로부터 분리자재한 급지 카셋트(31)와 이 급지 카셋트(31)에 담겨져 있는 기록지(p)를 급지방향으로 공급하는 급지 로울러(32), 수동 조작으로 급지 가이드(33)에 삽입된 기록지를 급지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로울러(3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급지부(30)와 후에 설명할 정착기(40)의 사이에는 상기한 전사 대전기(36)가 설치되어 있는 전사부를 경유하여 기록지(p)를 반송하기 위한 기록지 반송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부(44)는 급지부로부터 공급되는 기록지(p)를 반송하기 위한 기록지 반송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부 (44)는 급지부로부터 공급되는 기록지(P)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전사부로 반송하는 정렬 로울러(35)와, 상기 전사부로부터 다시 정착기(40)방향으로 기록지(p)를 반송하는 반송벨트(3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반송부(44)에 연장하여 설치되며 한쌍의 히이트 로우러(41)를 구비하여서 된 정착기(40)가 설치되어 있으며, 동체(21)의 측면부와 정착기(40)의 사이에는 기록지(p)를 동체밖으로 배출하는 한쌍의 배출구(42)와 배출되는 기록지를 받아들이는 배출구트레이(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로된 전자복사기(20)의 주요 복사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감광드럼(6)이 대전기(27)에 의해 약 700V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어서 노광램프(24)에 의해 원고대(23)에 놓여진 원고(도시하지 않았음)가 조사되어 지는바, 이로인한 반사광이 결상렌즈 어레이(25)를 매개하여 감광드럼(6)상에 결상(結像)시키는 일련의 화상 토광동작이 행해지므로써 감광드럼(6)상에 화상모양의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는 후에 설명할 현상 장치(10)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이 현상되어진 후, 전사전 대전기(29 : 약 800V로 승압된 800Hz의 교류 코로나 충전기)에 의해서 감광드럼(6)이 제전(濟電)되고 토우너에 대한 하전(荷電)이 행해져서 전사가 용이한 상태로 된다. 한편, 급지부(30)로부터 전사부로 공급되는 기록지(p)는 전사 대전기(36 : 정극성의 직류 코로나 충전기)에 의해 하전이 된 후 박리 대전기(37 : 교류 코로나 충전기)에 의해 제정되므로써 화상의 전사와 감광드럼(6)으로부터 박리되어 진다.
그리고 기록지(p)는 반송벨트(39)에 의해 정착기(40)로 반송된후 정착기(40)의 히이트 로울러(41)에 의해 약 170∼180℃로 가열되고 가압되어 정착된 다음 동체(21)의 밖으로 배출되어 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전사후의 감광드럼(6)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잔류하는 토우너가 클리닝장치(38)의 클리닝 블레이드(38a)에 의해서 제거되며, 잔류전하는 제전램프(36)에 의해 소거되어 복사장치는 다음 사이클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본발명에 관련된 현상장치(10)를 설명한다.
제2도는 현상장치(10)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그 요부 단면도로서, 이 현상장치(10)는 현상로울(11) 및 토우너 코오팅 블레이드(1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현상로울(11)은 현상장치(10)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13)(14)사이에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감광드럼(6)과 등속회전할 수 있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드(12)는 100미크론 정도 두께의 스테인레스판이나 인청동판으로 된 것으로서, 한쪽의 종단을 프론트 프레임(15)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쪽의 종단은 현상로울(11)에 접촉되고 있다. 토우너 누설방지 블레이트(16)는 100미크론 정도의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된 것이며, 일단은 케이싱을 구성하는 리어 프레임(17)에 고정되는 한편 다른 일단은 현상로울(11)에 접속되고 있다.
상기한 케이싱의 상부에는 뚜껑(18)이 달려 있는데, 이는 개폐 가능한 것으로, 토우너 공급구를 개폐시킨다.
한편, 현상로울(11)과 감광드럼(6)을 일정한 미소간격으로 유지시키는 가이드 로울러(19)가 현상로울(11)가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현상로울(11)과 감광드럼(6)의 미소간격은 토우너층의 두게보다 작아도 좋으나, 그 경우에는 해당간격 내에서 토우너의 응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토우너층의 두께보다 크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현상로울(11)에는 바이어스전원(50)이 접속되는바, 이 전원(50)은 직류전압이 중첩된 교류전압으로서, 그 내부 구성과 작용은 후에 설명할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감광드럼(6)과 현상로울(11)이 등속도(130mm/sec)로 회전하면, 토우너(TN)가 자체무게에 의해 이동하여 현상로울(11)과 블레이드(12)의 사이에 이끌려 들어가는바, 블레이드(12)에 의해 마찰대전(摩擦帶電)되는 동시에 30∼40미크론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 두께는(토우너층의 두께는) 블레이드(12)의 가압력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토우너는 제4도에 제4(b)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은 입자직경분포를 갖는 것으로, 50%의 평균입경이 11.5미크론이다. 또한 현상로울(11)에서 토우너의 전하량은 약 30마이크로 쿨롬/그램인데, 이 전하량은 토우너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감광드럼(6)은 대전기(27)에 의해 대전된 후 노광광선이 조사되어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토우너층이 이 감광드럼(6)에 대향해서 근접해 가면, 전원(50)에 의해 현상로울(11)과 감광드럼(6)과의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및 감광드럼(6)사의 감상전위에 의해서, 현상로울(11)과 감광드럼(6)과의 간격에 형성되는 전계가 서서히 증가되게 된다. 그리서 토우너를 움직이는 힘이 비상조건에 도달하는 영역에서 토우너층중의 토우너가 감광드럼(6)으로 비상을 개시한다. 이 싯점으로부터 현상공정이 개시되는 것인바, 토우너는 이때 감광드럼(6)과 현상로울(11)의 사이를 왕복운동하면서 비상한다. 그리고 현상로울(11)과 감광드럼(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영역의 전계가 강해지면 토우너가 비상하지 않게 될 때까지 이 현상은 계속되게 된다. 감광드럼(6)과 현상로울(11)이 대치하는 영역중 로우너가 실제로 비상가능한 것은 일부의 미소간격 뿐인바,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 영역을 "현상유효영역"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 즉 바이어스 전원(50)에 의해 감광드럼(6)과 현상로울(11)간의 간격에 인고가되는 현상용 바이어스 전압에 대해 설명한다.
제5도는 상기 전압의 출력파형례를 표시한 것인데, 이 경우 진폭 1100볼트의 교류전압을 약 +400볼트로 더 높이는 동시에 교번전압의 주파수를 N1.N2.N3의 세종류로 변화 시키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N1,N2,N3,N1,N2,…의 반복주기(t1)는 현상의 불균형을 일으키지는 않기 때문에 감광드럼(6)상의 정전잠상이 감광드럼(6)과 현상로울(11)과의 사이의 현상유효영역을 통과하는 기간내에 적어도 1회, 바람직하게는 보다많은 횟수로 반복되는 것이 좋다.
이를 고려하여 각 주파수(N1,N2,N3)이 교변전압의 인가시간(t2,t3,t4)을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N1=400HZ,N2=800HZ,N3=1400HZ,
Figure kpo00001
=100HZ로 설정했다. 이와같이 설정한 이유는, 50%의 평균입자직영이 각각 11.5미크론, 13미크론, 10.5미크론인 토우너(제4도의 분포곡선 B,C,C에 대응)에 대해 각각 주파수를 다변화시켜서 현상의 정도가 가장 적합하게 되는 주파수를 조사해 보았을때, 곡선 B,C,D에 대해 각각 800HZ,1400HZ,400H에서 최적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즉, 상기한 것처럼 복수의 주파수로된 전압을 반복하여 인가한 결과, 종래에는 특정범위의 입자직경으로된 토우너 만이 현상에 기여할 수 있었음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광범위한 입자직경의 토우너에 걸쳐서 현상에 기여할 수 있었으므로, 현상효율 자체의 향상과 더불어, 입자직경이 다른 것의 현상에 기여하므로써 계조재현성이 현격하게 좋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한 토우너의 제조마다 변화하는 평균입자직영에 대해서도 영향을 덜 받으며 보다 안정된 현상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6도는 실시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횡측으로는 원고농도(OD)를, 종축으로는 복사농도(CD)를 표시한 것이며, 곡선, E는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단일 주파수(800HZ)의 교번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에 관한 것이고, 곡선 F는 본 실시예에 따라 3가지의 서로 다른 주파수(400,800,1400HZ)의 교번전압을 인가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제6도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것은 종래 기술에 비해서 재현코자 하는 제조범위가 현저하게 확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계조 재현성의 향상은 전술한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N1,N2,N3의 값을 변화시킴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토우너의 평균입자직경이나 분포가 다른점에 관해서는 또다른 주파수의 조합이 필요하다.
제7도 및 제8도에는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3종류로 변화 하는 교번전압을 출력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전원(50)의 구체적인 구성례가 도시되어 있다.
제7도의 구성은 승압트랜스(51)와, 승압트랜스(51)의 1차 측에 접속된 가변 직류전원(52), 소정 주파수의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한개의 발진기(53), 3종류의 다른 분주비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 분주비에 따른 주파수를 만들어 내는 프로그래머블 분주기(54), 이 분주기(54)의 분주출력에 근거하여 직류전원(52)으로부터 승압 트랜스(51)로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 회로(55)등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며, 승압 트랜스(51)의 2차측 출력으로 부터는 주파수가 3종류로 변화하는 교번전압이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8도의 구성은 제7도에서와 같은 하나의 발진기(53)와 프로그래머블 분주기(54)대신에 3개의 다른 주파수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3개의 발진기(56)(57)(58)와 아날로그 스위치같은 전환회로(59)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환회로(59)로써 발진(56)(57)58)의 각 출력을 전환하여 스위칭회로(55)에 인가함에 따라 주파수가 3종류로 변화하는 고압 교번전압을 발생시키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토우너의 입자직경이 현상특성에 주는 영향은 그중력과, 비상시의 공기의 점성저항, 또는 관성력등에 기인한다고 생각되며, 단순히 입자직경의 차이뿐만 아니라 토우너의 재질, 즉 비중이 다른 토우너에 대해서도 다른 주파수의 최적치가 존재한다고 생각되는 한편, 이드 최적치를 이용한 바이어스 전원 주파수제어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토우너의 대전량과 비상감도간의 상관관계도 큰데, 대전량이 크기에 의해서도 적정수준이 인가전압과 주ㅍ수가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대전량 분포의 평균치 이탈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는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토우너의 대전분포에 대해서는 측정기준이 없으므로 확인이 불가능하다.
어쨌든, 본 실시예로 얻어지는 화상에 대해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최고 농도 및 계조재현성을 개선시킨 이외에도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인정된다. 이것은 입자직경이나 비중등의 성상에 관해 분포평균치로부터 벗어나는 토우너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시간적 분포를 가지는 주파수의 교류전계를 현상유효영역에 형성시키는 것이며, "활성화"되는 토우너의 양을 증대시키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종래와 같이 일정한 주파수를 인가하는 방법에 따르면 이러한 주파수에 대응되는 특정의 토우너밖에 활성화될 수 없다는 점이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직경이나 대전량에 관하여 다른 분포를 가지는 토우너를 효율적으로 비상시키거나 제어하기 위하여 바이어스 전원(50)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바이어스의 주파수에 대해서도 분포를 갖게하므로써, 종래에는 불가능하게 여겨지던 토우너의 특성에 대한 허용범위를 확대시킴과 동시에, 화질면에서 볼때도 우수한 비접촉 방식의 현상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인가하는 주파수를 N1,N2,N3의 3종류로 하였으나, 2종류만 해도 좋래보다 충분히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3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특별한 문제는 없다. 여와는 달리, 레벨을 높혀야 하는 교번 전압은 감광드럼(6)의 대전전위와 토우너의 대전극성에 따라 다르며, 명암등을 고려하여 검토를 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교번전압의 주파수, 범위, 주파수의 값, 승압전위나 파형등을 토우너의 종류나 현상장치의 구성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교번전압의 주파수를 다른 값에서 단계적으로 절환시키도록 했으나, 소정의 값에서 연속적으로 변화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서 기본적으로는 현상간격(감광드럼과 현상로울사이)에 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변하는 교류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활성화된 토우너의 범위를 확대시키는 한편, 현상 간격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토우너의 진동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토우너의 비상도 달거리도 각각 변화 시킬 수 있고, 토우너가 정전잠상에 부착되는 확률이나 비정전 잠상부로부터의 재복귀확률도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이 기계적으로나 토우너의 재질적으로도 허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한편, 현상장치의 구성도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바, 1자성 성분형 또는 2자성 성분형(캐리어는 직경이 작은 것에 한한다)의 현상장치에 있어서도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자성 토우너는 비중이 무겁기 때문에 이용 주파수는 상기 실시예보다 조금 낮은 값(1KHZ∼600HZ)에서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외에도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11)

  1. 현상제를 보유하고 있는 현상제 보유체(11)와 미소간격을 유지한채로 대향하고 있는 정전잠상 유지체(6)상의 정전잠삼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유체(11)와 정전잠상 유지체(6)간의 미소간격에다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주파수의 교번전압을 인가하고 이 교번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교번전계로 상기 현상제를 정전잠상 유지체(6)에 선택적으로 비상시키는 전압인가수단(50)을 구비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압인가수단(50)에 의해 인가되는 교번전압은 복수의 다른 주파수가 차례로 나타나는 주기로 되어있는 것이고, 이 주기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것이 현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압인가수단(50)에 의해 인가되어지는 교번전압은 복수의 다른 주파수가 차례로 나타나는 주기를 갖고서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한편, 상기 교번전압은 정전잠상 유지체(6)표면의 정전잠상이 현상제 보유체(11)와 유지체(6)에 대향영역 사이의 현상유효영역을 통과하는 시간내에 상기한 주기가 최소한 1회는 종료되어지도록 설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압인가수단(50)은 승압 트랜스(51)와, 상기 승압 트랜스(51)의 1차측에 접속되는 가변 직류전원(52), 상기 직류전원(52)으로부터 승압 트랜스(51)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칭 회로(55), 상기 스위칭 회로(55)가 단속동작을 하도록 시간적으로 주파수가 변화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수단등을 구비하므로써, 상기 승압 트랜스(51)의 2차측으로부터 주파수가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교번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된 현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현상제 보유체(11)와 정전잠상 유지체(6)가 대향되는 미소간격은 토우너층의 두께보다 큰폭으로 설정되어진 현상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전압인가수단(50)으로부터 인가되어지는 교번전압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주파수는 현상체의 입자직경분포에 따라 각각 설정되어진 현상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전압인가수단(50)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번전압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주파수는 현상제의 비중분포에 따라 각각 설정되어져 있는 현상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전압인가수단(50)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번전압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주파수는 현상제의 입자직경 분포에 따라 각각 설정되어져 있는 형상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전압인가수단(50)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번전압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주파수는 현상제의 비중분포에 따라 각각 설정되어지도록 된 현상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스위칭 제어수단은 소정의 주파수신호를 출력하는 하나의 발진기(53)와, 상기 발진기(53)의 발진신호를 복수의 다른 분주비로 분주하여서 된 복수의 다른 주파수신호를 소정의 순서대로 반복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로써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를 분주기(54)로 구성되어져 있는 현상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스위칭 제어수단은 복수의 다른 주파수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발진기(56)(57)(58)와, 상기 발진기(56)(57)(58)가 각종 주파수와 출력신호를 출력하면 이러한 각종 주파수의 신호를 소정의 순서대로 반복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절환수단(59)으로 구성되어진 현상장치.
KR1019850003750A 1984-06-01 1985-05-30 현상장치(現像裝置) KR890004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10906A JPS60256163A (ja) 1984-06-01 1984-06-01 現像装置
JP59-110906 1984-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582A KR860000582A (ko) 1986-01-29
KR890004564B1 true KR890004564B1 (ko) 1989-11-15

Family

ID=1454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750A KR890004564B1 (ko) 1984-06-01 1985-05-30 현상장치(現像裝置)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53426A (ko)
EP (1) EP0164262B1 (ko)
JP (1) JPS60256163A (ko)
KR (1) KR890004564B1 (ko)
DE (1) DE356462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0361A (ja) * 1985-02-20 1986-08-25 Toshiba Corp 現像装置
JPH07120109B2 (ja) * 1986-09-30 1995-12-20 株式会社東芝 記録装置
JPS63279261A (ja) * 1987-05-11 1988-11-16 Toshiba Corp 現像方法
US5172171A (en) * 1990-12-03 1992-12-15 Beaudet Leo A High speed apparatus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using single component nonconductive, nonmagnetic toner
US5153617A (en) * 1991-02-20 1992-10-06 Salmon Peter C Digitally controll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toners to substrates
US5287127A (en) * 1992-02-25 1994-02-15 Salmon Peter C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US5307127A (en) * 1992-02-28 1994-04-2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using one component toner with improved flowability
US5255057A (en) * 1992-05-29 1993-10-19 Eastman Kodak Company Gray scale monocomponent nonmagnetic development system
JP3663980B2 (ja) * 1999-06-23 2005-06-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937573B2 (ja) * 2005-11-30 2012-05-23 京セラミタ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2190A (en) * 1963-06-28 1966-02-01 Ibm Method and apparatus for copying
US3893418A (en) * 1974-05-30 1975-07-08 Xerox Corp Xerographic developing apparatus
US3924943A (en) * 1974-06-11 1975-12-09 Xerox Corp Segmented biased transfer member
DE2611503C2 (de) * 1975-04-28 1986-09-04 Xerox Corp., Rochester, N.Y. Elektrostatisches Kopiergerät
US4124483A (en) * 1977-10-13 1978-11-07 Christenson Lowell B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pile driving by electro-osmosis
JPS56101169A (en) * 1980-01-14 1981-08-13 Canon Inc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method
JPS5614260A (en) * 1979-07-16 1981-02-12 Canon Inc Developing device
JPS5931979A (ja) * 1982-08-16 1984-02-21 Toshiba Corp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64262A3 (en) 1986-01-22
DE3564627D1 (en) 1988-09-29
US4653426A (en) 1987-03-31
EP0164262B1 (en) 1988-08-24
KR860000582A (ko) 1986-01-29
JPH0568694B2 (ko) 1993-09-29
JPS60256163A (ja) 1985-12-17
EP0164262A2 (en) 198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3497A (en) Developing device
US5010367A (en) Dual AC development system for controlling the spacing of a toner cloud
EP0334581B1 (en) Apparatus for developing latent electrostatic images
JP3423348B2 (ja) 画像形成装置
US4669852A (en) Developing apparatus
US5339142A (en) AC/DC spatially programmable donor roll for xerographic development
US5144371A (en) Dual AC/dual frequency scavengeless development
KR890004564B1 (ko) 현상장치(現像裝置)
US76134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29496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lurity of adjustable developing units
CA2077817C (en) Development system
US5187523A (en) Developing apparatus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using two component developer
US6459862B1 (en) Developing apparatus
US5978633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ire strobing in a hybrid scavengeless development system
EP0193069B1 (en) Developing apparatus
JP3366764B2 (ja) 現像剤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印刷機及び現像方法
EP0606142A2 (en) "Color select" development and system application
US5504563A (en) Scavengeless donor roll development
US629543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njection charging system and a two component contact development device
US5539506A (en) Edge raggedness and background removal by post development member
US5491538A (en) Development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width development nip
EP05885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photoconductive surface to a uniform potential
JPH0854777A (ja) 画像形成方法
JPH11184186A (ja) 画像形成装置
CA2049742A1 (en) Develop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