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240Y1 -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백색잡음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백색잡음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240Y1
KR890004240Y1 KR2019850017712U KR850017712U KR890004240Y1 KR 890004240 Y1 KR890004240 Y1 KR 890004240Y1 KR 2019850017712 U KR2019850017712 U KR 2019850017712U KR 850017712 U KR850017712 U KR 850017712U KR 890004240 Y1 KR890004240 Y1 KR 890004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noise
transistor
signal
diod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7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160U (ko
Inventor
남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17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240Y1/ko
Publication of KR870011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1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H03G3/345Muting during a short period of time when noise pulses are detected, i.e. bla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백색잡음 제거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백색잡음을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파형도.
본 고안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TR)용 백색잡음제거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수평동기신호가 존재하더라도 화면에서 백색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백색잡음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VTR의 수평동기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영상신호가 화면상에 없다고 판단하여 이때에 화면을 제거하도록 하였으나, 수평동기신호가 없는 경우에 VTR의 작동속도를 변화(예를들어, 보통 재생시에서 정지화면으로 또는 2-3배 속으로 바꾸는 경우나 또는 그 반대로 하는 경우)시키게 되면 화면의 중앙에 백색잡음이 나타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없이하도록 수평동기신호가 존재하더라도 백색잡음이 발생되면 그 순간 화면을 지울 수 있도록 하여 시청시에 VTR의 작동속도를 변속하더라도 항상 명료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VTR용 백색잡음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도를 참조하면 수평동기신호(ㄱ)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상신호(ㄴ)내에 백색잡음신호(ㄷ)가 존재함을 알수 있고, 여기에서 백색잡음신호(ㄷ)의 기간(t2~t3)사이에는 통상의 영상신호보다 그 진폭이 크다는 것을 알수 있다.
즉 전압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트랜지스터(Q1,Q2)및 저항(R1-R2및 R8)로 구성된화면 뮤팅장치에 있어, 트랜지스터(Q4)및 분배저항(R11-R16)과 콘덴서 (C4)로 구성된 이득 조정기(가)의 출력을 분배저항(R10, R17-R19)과 콘덴서(C5)및 다이오드(D3)로 구성된 임게치 한정기 (나)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및 다이오드(D1)로 구성된 스위칭부(다)에 연결하고, 스위칭부(다)의 출력은 화면 뮤팅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하되 영상신호 입력(A)을 이득 조정기(가)의 트랜지스터(Q1)공급하여된 구성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 구성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이오드(D2)에 인가되는 뮤팅신호는 채널전환시 발생되는 정극성펄스이고, 이 펄스는 트랜지스터(Q2)를 도통시켜 입력(A)에 인가되어 콘덴서(C0)와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접지시켜 뮤팅작동을 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동기신호(ㄱ)와 백색잡음신호(ㄷ)가 같이 존재한다면 이 신호는 입력(A)에서 이득 조정기(가)의 결합콘덴서(C2)와 저항(R16)을 통과하게 되는데 저항(R16)을 통과하면서 감쇄되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저항(R11, R12)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고, 저항(R14-R15)및 콘덴서(C4)는 트랜지스터(Q4)의 동작 특성을 안정화 시키기위한 것이고,동시에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콜렉터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득 조정기(가)에서는 통상 영상신호나 수직동기신호와 같은 입력신호에 대하여서는 트랜시즈터(Q4)가 일정하게 작동되는데 이때 저항(R13)에서 나타나는 전위는 임게치 한정기(나)의 다이오드(D3)를 도통시키지 못하는 전위가 되도록 저항(R10, R13)의 크기를 설정한다.
이후 백색잡음신호(ㄷ)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서는 다이오드(D3)를 도통시키기에 충분한 전압이 발생되어 임게치 한정기(나)의 다이오드를 도통시켜 저항(R19)에 흐르는 전류는 증가시키므로 저항(19)양단 전압강하는 크게되어 스위칭부(다)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는 전원(VCC)이 출력으로 나타나서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시간(t2t3)동안 화면뮤팅트랜지터(Q2)를 온 시키게 되고, 교류신호성분인 백색잡음(ㄷ)만을 콘덴서(C0)로 통하여 접지시키므로서 결국 출력단자(0)의 출력 신호에서 백색잡음을 제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영상신호는 제2도에서와 같이 직류성분으로 되므로 영상신호는 콘덴서(C0)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영상신호의 제거는 없게된다. 이후의 영상신호나, 수평 동기신호에서는 이득 조정기(가)의 출력이 임게치 한정기(나)의 다이오드(D3)를 도통시키지 못하므로 스위칭부(다)의 트랜지스터(Q3)가 온 상태로 유지되므로 다이오드(D1)에는 점지 전위가 인가되므로 다이오드 (D1)가 오프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며, 수평동기신호의 유무에 상관없이 백색 잡음 신호를 제거할 수 있어 VTR의 재생속도 변환시에 명료한 화면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트랜지스터(Q1, Q2)및 저항(R1-R3및R8)로 구성된 화면 뮤팅장치에 있어, 트렌지스터(Q4)및 분배저항(R11-R16)과 콘덴서(C4)로 구성된 이득 조정기(가)의 출력을 분배저항(R10, R17-R19)와 콘덴서(C5)및 다이오드(D3)로 구성된 임게치 한정기(나)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및 다이오드(D1)로 구성된 스위칭부(다)에 연결하고, 스위칭부(다)의 출력은 화면 뮤팅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하되 영상 신호 입력(A)을 이득 조정기(가)의 트랜지스터(Q4)에 공급하게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백색잡음 제거장치.
KR2019850017712U 1985-12-27 1985-12-27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백색잡음 제거장치 KR890004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712U KR890004240Y1 (ko) 1985-12-27 1985-12-27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백색잡음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712U KR890004240Y1 (ko) 1985-12-27 1985-12-27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백색잡음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160U KR870011160U (ko) 1987-07-15
KR890004240Y1 true KR890004240Y1 (ko) 1989-06-26

Family

ID=1924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7712U KR890004240Y1 (ko) 1985-12-27 1985-12-27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백색잡음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2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160U (ko) 1987-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240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백색잡음 제거장치
KR0176628B1 (ko) 크로마 버어스트 검출 시스템
JPH05151705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回路
KR840000111A (ko) 자동 미동조해제 방지장치
CA1045709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a video signal
JPS628990B2 (ko)
KR800001740Y1 (ko) 자동이득 제어장치(自動利得制御裝置)
KR910004622Y1 (ko) 비데오 시스템 자동 선택회로
KR850001845Y1 (ko) 수직 톱니파 제어장치
KR910000067B1 (ko) 비데오 테이프의 음성 및 영상 잡음 처리회로
JP2735544B2 (ja) 映像信号再生装置
KR920002121Y1 (ko) 비데오 신호의 동기 안정화 회로
KR0117235Y1 (ko) Vcr의 복사 방지 신호 기록장치
KR910003465Y1 (ko) Tv용 직류 흑레벨 안정화 장치
KR970002992B1 (ko) 무입력신호시 텔레비전의 휘도제어장치
KR900009706Y1 (ko) 비데오 카메라의 경고문자 녹화 방지회로
CA1166705A (en) Phase detector circuit
KR940004269Y1 (ko) 영상재생기의 재생화면 안정화회로
KR930000776Y1 (ko) 변속재생시 화면 떨림방지회로
KR900002362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 자동제어회로
KR920005314B1 (ko) 비디오신호 스위칭회로
KR930004942Y1 (ko) 비디오 화면상태 표시회로
KR930006784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변속재생시 노이즈바 조정회로
KR930008228Y1 (ko) Tv 시청시 비디오신호 뮤트회로
JPS5834589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スピ−ド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