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238B1 -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 - Google Patents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238B1
KR890004238B1 KR1019850005721A KR850005721A KR890004238B1 KR 890004238 B1 KR890004238 B1 KR 890004238B1 KR 1019850005721 A KR1019850005721 A KR 1019850005721A KR 850005721 A KR850005721 A KR 850005721A KR 890004238 B1 KR890004238 B1 KR 890004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record
casing
recording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091A (ko
Inventor
에이시 고이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젠
와다나베 가즈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젠, 와다나베 가즈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젠
Publication of KR860002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01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with vibrating mechanical coupling means between pick-up element and sound producing el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68Record carriers
    • G11B3/78Multiple-track arrangement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Toy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
제 1 도는, 본 발명실시예의 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실시예의 배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실시예의 배면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실시예의 정면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실시예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 측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실시예의 턴테이블의 평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실시예의 전기회로의 실체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실시예의요부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 2 : 케이싱
3 : 재생용바늘 4 : 음전달체
5 : 토운아암 6 : 스피이커다이아프램
7 : 전동기 8 : 센터핀
9 : 턴테이블 10 : 레코오드판설정부
11 : 개방용 스프링 12 : 레코오드호울더
13 : 녹음홈 14 : 표시부
15 : 레코오드판 16 : 선택 간
17 : 스톱퍼 18 : 힘을 주는 편
19 : 금속 스프링 20 : 금속안내판
본 발명은,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에 관한것이고, 특히, 복수의 녹음홈과 그 녹음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를 가진 레코오드판을, 케이싱에 피버트착설하여 재생위치와 비재생위치와의 사이에서 피버트회동할수 있게한 레코오드호울더에 설치지지되고, 녹음홈의 수에 따른 수의 선택간으로 임의의 녹음내용의 선택을 할수 있게한 간이음향재생기의 구조를, 그 재생선택기구의 구성에 간소화한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 창을 가진 케이싱과, 상기 창이 있는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재생용바늘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음전달체에 의해 지지되고 항상 재생시점 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피버트착설되어 있는 토운아암, 및 그 토운아암을 피버트 착설하고 있는 면과 반대쪽에 착설한 스피이커 다이아프램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속에서 전동기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센터핀에 지지된 턴테이블과, 상기 케이싱의 창 가장자리에 피버트 착설되어 있으면서 끝단가장자리부에는 레코오드판설정기를 가지고 있으며, 개방용스프링에 의해 튕겨나와, 상기 레코오드판설정부가 상기 창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도록 기울어움직이고, 상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해서 밀어줌으로서 상기 턴테이블과 평행이 되도록한 레코오드호울더와, 원주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한 복수의 녹음홈 및 그 녹음내용의 표시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표시부가 보이는 상태에서 레코오드판설정부에 설치한대로, 상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레코오드호울더를 밀어준 위치에서, 상기 녹음홈의 면이 상기 재생용바늘에 잘 맞도록 되어 있는 레코오드판과를 가진 피버트식 레코오드 홀더를 함께 구비한 형식의 간이음향재생기는, 이미 제공이 되고 있다.(일본국 특공소 51-5767호공보, 일본국 실공소 51-28969호 공보 및 특공소 일본국 57-47482호 공보).
또한, 녹음홈의 수에 대응하는 선택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녹음홈 중의 선택된 녹음내용의 녹음홈에 잘 맞을수 잇는 위치에서 상기 재생용바늘을 일시정지 시킬수 있는 재생선택기구를 가지는 간이음향재생기도, 기히 공지되고 있다.(일본국 특공소 51-19763호 공보 및 일본국 특공소 57-152568호 공보).
그리고, 일본국 특공소 57-152568호 공보에는, 선택간을, 방사상으로 뻗어내서 상호 연속되어 있는 힘을 주는편으로, 항상 케이싱의 바깥쪽으로 세력을 주는 거와 같은 금속 스프링을 사용한 선택재생이 가능한 간이음향재생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바와 같은 레코오드호울더에 복수의 녹음홈을 가지는 레코오드판을 지지하고 있으면서, 선택간에 의해 원하는 녹음내용을 선택 재생할수 있게한 것은 아직 제공되고 있지 않다.
상술한바와 같은 레코오드호울더에 복수의 녹음홈을 가진 레코오드판을 지지하고 있으면서 또한 선택간에 의해서 원하는 녹음내용을 선택재생할수 있게한 음향재생기를 얻기 위하여서는, 그 재생내용을 선택하는 선택간에 관한 구성과, 레코오드호울드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과를 조합하여 결합함에 있어서는,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비용도 많이 소요되고, 동작도 충분히 정확하다고는 할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레코오드호울더에 복수의 녹음홈을 가지는 레코오드판을 지지하고, 또한 선택간으로 원하는 녹음내용을 선택재생할수 있게하는 간이구조의 음향재생기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한 그것이 목적하는 바는, 동작이 확실한 간이음향재생기를 얻기 위한 재생선택기구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나아가서 비교적 부품점수가 적은 염가의 간이음향재생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한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도시한바와 같은 실시예와 같이, 창(1)을 가진 케이싱(2)과, 상기 창(1)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재생용바늘(3)을 가지며 또한 음전달체(4)에 의해 지지되고 항상 재생시점 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피버트착설되어 있는 토운아암(5), 및 그 토운아암(5)을 피버트착설하고 있는 면과 반대되는 쪽에 착설한 스피이커 다이아프램(6)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2)속에서 전동기(7)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센타핀(8)에 지지된 턴테이블(9)과, 상기 케이싱(2)의 창(1)의 가장자리부에 피버트착설되어 있고, 끝단연에 레코오드판설정부(10)가 있어 개방용스프링(11)에 의해서 튕겨나와 상기 레코오드판설정부(10)가 상기 창(1)의 가장자리에서 떨어지도록 경사지어 움직이고, 상기 개방용스프링(11)의 힘에 대항해서 밀어줌으로서 상기 턴테이블(9)과 평행이 되게하는 레코오드호울더(12)와, 원주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한 복수의 녹음홈(13) 및 그 녹음내용의 표시부(14)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14)가 보이는 상태에서 레코오드판 설정부(10)에 설치한 채 상기 레코오드호울더(12)의 상기 레코오드판설정부(10)에 설치된 채로, 상기 개방용스프링(11)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레코오드호울더(12)를 누른 위치에서 상기 녹음홈(13)의 면이 상기 재생용바늘(3)에 잘맞도록 되어 있는 레코오드판(15)과를 가진 피버트작동식의 레코오드호울더(12)를 갖춘 형식의 간이음향재생기에, 상기 녹음홈(13)의 수에 대응하는 선택간(16)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녹음홈(13)중의 선택된 녹음내용의 녹음홈(13)에 잘 맞을수 있는 위치에 상기 재생용바늘(3)을 일시정지시킬수 있는 재생선택기구를 결합하는 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9)의 회전주연에 돌출한 스톱퍼(17)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싱(2)의 바깥쪽에서 눌러힘을 줌으로서 이 스톱퍼(17)의 선회 궤적중에 돌출될수 있게, 상기 복수의 선택간(16)을 배치하고, 이 선택간(16)에 걸어맞추는 힘을 주는편(18)이 있어 각 힘을 주는편(18)이 상호 전기적인 도통상태로 되어 있고, 또 각 선택간(16)을 항상 케이싱(2)의 바깥쪽을 향해 힘을 가해주는 금속스프링(19)을, 상기 턴테이블(9)의 둘레를 에워쌓듯 배치되어 상기 선택간(16)을 상기 케이싱 속에서 지지를 하여 턴테이블(9)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톱퍼(17)의 선회궤적을 향해 안내하는 금속안내판(20)에 대향하게 하고, 상기 선택간(16)에는, 이것을 케이싱(2)의 바깥쪽에서 밀었을때에 상기 금속스프링(19)을 밀어서 상기 금속안내판(20)에 접합할수 있게 돌출부(21)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금속스프링(19)과 금속 안내판(20)에는, 상기 전동기(7)와 전원(22)과의 사이의 회로를 접속하고, 이들의 금속스프링(19)과 금속안내판(20)에는, 선택용의 스위치 접점을 겸하게한 것을 특징으로한,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를 제공한다.
[실시예]
제 1 도로부터 제 5 도에서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케이싱(2)은, 전체가 장방형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샤시(2a)에 하우정(2b)을 덮어씌운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샤시(2a)에는, 평면원형의 전동기호울더(23)와 음의출구돌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음의출구돌부(24)의 원형평면에는, 다수의 음의출구(25)가 개설되고 있다.
또 하우징(2b)에는, 네모로된 창(1)이 개설되고 있고, 여기에는 레코오드호울더(12)가 움직이게 끼여서 있는데, 그 한쪽편에서 창(1)속으로 들어갈수 있는 방향과 그 창(1)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피버트회동을 할수 있게 피버트착설되어 있다.
이 레코오드호울더(12)는, 그 앞쪽 가장자리에 슬릿트형상으로 입을 여는 레코오드설정부(10)를 가지고 있으며, 항상 그 입을 연 부분은 하우징(2b)의 윗면에 위치하게 되어있다.
제 5 도에서 (32)는 걸어맞춤편을 말한다.
이 레코오드판설정부(10)에는, 특히 제 3 도에서와 같이 레코오드판(15)을 레코오드호울더(12)가 창(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어 이동한 위치에서 슬리트형상의 입을 연부분으로부터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 4 도와 같이, 레코오드호울더(12)가 창(1)속으로 눌러 밀려들어가듯 피버트회동한 위치에서 설정상태가 되어 지지된다. 또한, 이 레코오드판(15)은, 그 중앙부에는 6개의 서로 다른 내용을 녹음한 녹음홈(13)이 형성되고 있고, 그 한쪽 가장자리부분에는, 그 녹음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14)가 구성되어 있다.
제 5 도에는, 내부구조를 잘 관찰할수 있게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가 사시도로 표시되어 있다.
즉, 샤시(2a)내부에는, 그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상기한바와 같이 샤시(2a)에 설치한 음의출구 돌부(24)의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며, 그 중앙에는 센타핀(8)이 세워져 설치되고 있고, 이 센타핀(8)에, 턴테이블(9)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있다. 이 음의출구돌부(24)에 의한 오목들어간 부분에 턴테이블(9)이 센타핀(8)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모양은,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단면으로 표시한 제 8 도를 곁드려서 참조하면, 명확하게 이해할수 있다.
또한, 샤시(2a)에 설치한 상기 전동기호울더(23)의 부분도 오목 들어가 있으며, 이 오목들어간 부분에 전동기(7)가 끼워져서 지지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전동기(7)와 턴테이블(9)은, 벨트(B)에 의해서 연락이 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동기의 출력측이 턴테이믈의 팀에 직접 접합하여, 소위 팀구동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11)로 표시된 개방용스프링은, 샤시(2a)내부에 세워서 설치되고 있으며, 샤시(2a)안 한쪽에 세워서 설치한 2개의 베어링부(26)에, 트래니온측(27)으로 피버트지지된 레코오드호울더(12)를, 도면의 윗쪽방향으로 탄력지지하게 되어있다. 그에 의해서 레코오드호울더(12)는 항상 상기 창(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도면에서(28)로 표시된것은 개방용스프링(11)을 걸기 위한 지주이다.
특히 제 8 도에서 표시하는바와 같이, 오목들어간 부분의 입구 가장자리는, 전체로서 턴테이블(9)의 형상을 따른 둥근형상을 하며, 그 안쪽의 같은 간격부분에 돌연(19)이 형성되고 있고, 그 돌연(29)에 금속안내판(20)이 올려 놓여져 고정되고 있다. 이 금속안내판(20)은, 턴테이블(9)의 외경보다 외경이 크며 내경이 턴테이블(9)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한 환형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환형상위의 턴테이블(9)의 외경보다는 바깥쪽에 같은 간격으로 안내구멍이 개설되고 있고, 거기에 선택간(16)을 끼워 통하게하여 안내하고 있다. 그리하여 선택간(16)을 끼워 통하게하여 안내하고 있다. 그리하여 선택간(16)은, 상기 음의 출구돌부(24)의 주변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한 베어링부(30)의 구멍에게도 끼워서 통해져 안내되어 있어 지지축방향으로 이동할수 있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제 7 도, 제 8 도로서도 명백한바와 같이, 음의 출구돌부(24)의 오목 들어간 부분에는, 상기 센타핀(8)둘레에 착설고정한 착설부와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뻗어나가고 있는 힘을주는편(18)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스프링(19)이 수납되어 있다. 이 금속스프링(19)은, 각 힘을주는편(18)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스프링(19)이 수납되어 있다. 이 금속스프링(19)은, 각 힘을주는편(18)의 선단부가, 그 탄력에 저항하여 휘어져 상기 금속 안내판(20)쪽으로 이행을 하였을때는, 그 금속안내판(20)의 맞은편 면에 접합할수 있게 형성됨과 동시에, 거기에는 길이 방향으로 자유로이 뻗어나갈수 있는 긴 구멍(31)이 형성되어 있어, 또 긴 구멍(31)에는, 상기 각 선택간(16)이 끼워져서 통하여 있다. 이 선택간(16)은, 각 힘을주는편(18)의 음의 출두돌부(24)의 오목들어간 부분의 밑을 면한 쪽에, 각 긴 구멍(31)의 폭보다는 큰 직경의 플랜지상 돌출부(21)를 가지며, 이 돌출부(21)를 통해서 상기 힘을주는편(18)에 의해서 항상 케이싱(2)의 바깥쪽에 튀어나갈수 있게 힘이 가해져서 지지되고 있으며, 케이싱(2)의 바깥쪽으로부터 눌려서 내부로 진입을 하면, 상기 부세편(18)을 그 돌출부(21)를 통해서 그 탄력에 저항하여 상기 금속안내판(20)의 상대면에 접합하는 방향으로 밀고 들어간다.
이와같은 선택간(16)은, 케이싱(2)의 바깥족으로부터 눌려서 내부로 진입 이행해 오면, 그 케이싱(2) 내부에서의 선단부는, 턴테이블(9)의 회전주연측면에 평행으로 되게 위치하게 된다.
한편 턴테이블(9)은, 그 회전측주연면의 아래에 스톱퍼(17)가 돌설되어 있어, 따라서 이 스톱퍼(17)는, 턴테이블(9)과 함께 회전을 하여, 턴테이블(9)의 회전측 주연면에 선회궤적을 그린다. 그리하여 선택간(16)은, 케이싱(2)안으로 밀려들어가서 이행하였을때, 그 선단부는 스톱퍼(17)의 선회궤적의 환형상속으로 진입하게된다.
또한, 이 턴테이블(9)의 회전측주연면은, 상기 스톱퍼(17)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부가 풀리를 겸하고 있다. 턴테이블(9)은, 특히 제 8 도에서 명백한바와 같이, 아랫쪽을 개방하고 속이 비어있는 둥근형의 항체로 형성되고 있으며, 그 속에 아래를 향하게 한 스피이커다이아프램(6)이 확대개방한 가장자리부분을 턴테이블(9)의 회전둘레면하단 가장자리에 저착하여 중심이 같게 고정되어, 그 스피이커다이아프램(6) 중앙에, 상단과 하단에 각각 플랜지를 가진 울림통(34)을 고정 설치하여 구비하고, 그 울림통(34)에는 상기 센타핀(8)을 끼워서 통하게 하고, 그 울림통(34)에 의해서 턴테이블(9)은 센타핀(8)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다. 울림통(34)의 상단의 플랜지는, 턴테이블(9)의 윗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 노출부분에는, 턴테이블(9)의 윗쪽에 한쪽의 지지식으로 지지된 막대기형상의 음전달체(4)의 자유부분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 접합하고 있다.
또한 센타핀(8)에는 하단에 플랜지를 가진 통형축(33)을 지지하고 있고, 상기 울림통(34)은, 이 통형측(33)의 축방향윗부분에 같은 축에 병설되어 있으면서, 아주 근소한 간격을 두어 떨어져서 배치된다. 울림통(34)하단의 플랜지와 통형축(33) 하단에 형성한 플랜지와의 사이에, 바늘누름스프링(35)을 배치하고, 그리하여 울리통(34)을 통해서 턴테이블(9)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제 5 도, 제 6 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턴테이블(9)위에는, 음전달체(4)가 전술한것처럼, 분담지지하고 있는데, 이 음전달체(4)위에는, 턴테이블(9)의 윗면을 따라가는 방향으로 요동할수 있게, 후단에서 피버트착설된 토운아암(5)의 전단부가 접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토운아암(5)의 전단부 위부분에는, 상기 레코오드판(15)의 녹음면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재생용바늘(3)이 있어, 그 부분이 픽업으로 되어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 (36)은 리턴스프링이며, 그것에 의해서 픽업의 부분은 항상 재생시점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 토운아암(5)이 피버트착설되어 있는 후단부는, 약간 연장해서, 캔슬레버(39)를 구성하고 있다. 이 캔슬레버(39)는, 특히 제 6 도로서도 명백한바와 같이, 픽업의 부분이 레코오드판(15)의 중심부, 환언하면 턴테이블(9)의 중심부 근처에 있는 재생종점에 이르게 되면, 턴테이블(9)의 윗면으로부터 래디얼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을 하며, 제 5 도와 같이, 픽업의 부분이 턴테이블(9)의 래디얼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부분에 있을때는, 턴테이블(9)의 윗면 안으로 들어와서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샤시(2a)내의 턴테이블(9)옆에는, 호울더걸어멈춤레버(38)가, 턴테이블(9)의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피버트회동할수 있게 지지되고 있다.
이호울더걸어맞춤레버(38)는, 일단에 아래를 향한 훅크(38a)를 가지고 있으며, 피버트착설부를 끼고 반대쪽에는, 턴테이블(9)의 윗면 높이까지 올라선 피동편부(38b)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피버트착설부에는, 상기훅크(38)가, 전술한 레코오드호울더(12)의 걸어멈춤편(32)쪽을 향하는 힘이 가해지도록 스프링(38c)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훅크(38a)는, 레코오드호울더(12)가 제 4 도와 같이 창(1)가운데 밀려들어간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때는, 레코오드호울더(12)에 설치한 걸어멈춘편(32)을 걸어멈추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레코오드호울더(12)는 그 레코오드판 설정부(10)에 설정지지한 레코오드판(15)이, 제 8 도에 일점쇄선으로 표시한바와 같이, 재생용바늘(3)에 잘 맞는 상태로 유지할수 있는 위치에 지지된다.
그런데, 제 6 도와 같이, 토운아암(5)의 픽업이 재생종점에 도달하여 캔틸레버(37)가 턴테이블(9)의 래디얼방향 바깥쪽으로 돌출을 하게 되면, 이 캔틸레버(37)는, 턴테이블(9)의 회전에 의해서, 제 5 도에 표시하는 피동편부(38b)에 닿게되어, 이 피동편부(38b)를 밀게 된다.
이와같이 되어, 훅크(38a)는, 스프링(38c)의 힘에 저항해서 걸어맞춤편(32)은 걸어맞춤이 풀려서 개방되고, 레코오드호울더(12)는 개방용스프링(11)에 의해서 창(1)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피버트회동하여, 레코오드판(15)은 재생용바늘(3)과의 맞추어짐이 해제되게 된다.
제 5 도에서 (39)로 표시한 것은, 시동스위치버턴이며, (40)은 시동스위치의 한개의 접점이고, (41)은 시동스위치의 또다른 한개의 접점으로, 접점(40)위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열려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시동스위치버턴(39)은, 접점(41)에서 전진과 후퇴가 자유롭도록 가설되어 있으며, 접점(41)의 탄력에 의해서, 제 1 도와 같이 레코오드호울더(12)가 창(1)속으로 밀려들어간 상태에서는 레코오드판설정부(10)속에 그 상단부가 들어가고, 그 상태에서는 레코오드판(15)이 레코오드판설정부(10)가운데서 삽입이 되지 않게 하는 저지막대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레코오드판(15)은, 반드시 제 3 도와 같이, 레코오드호울더(12)가 창(1)으로부터 떨어져나가는 방향으로 피버트회동한 위치에서만, 레코오드호울더(12)에 삽입지지된다. 또한, 따라서, 제 4 도와 같이, 레코오드판(15)을 레코오드판설정부(10)안에 지지한 상태에서 레코오드호울더(12)를 창(1)속에 밀어넣는 상태로 만들면, 당연히 레코오드판(15)은, 제 3 도에 표시하는것처럼, 재생용바늘(3)에 잘 맞는 위치에 설정되어 레코오드호울더(12)가 완전히 밀려들어간 위치에 이르기전에, 레코오드판(15)이 시동버턴(39)의 상단을 밀어, 시동버턴(40)에 눌려서 접점(40)은, 접점(41)에 접합하여 그 시동스위치를 온의 상태로 만든다. 이렇게 함으로서 전동기(7)에 통전되고, 턴테이블(9)은 재생을 위하여 구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이 전회로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42)로 표시한 것은 배테리 케이스이며, 여기에 후에설명하는 전원(22)으로서의 전지가 수납된다. 또한, 제 5 도에 있어서, (43)으로 표시한 것은 가변저항기이며, 이것은, 전원(22)과 전동기간의 회로중에 배치하여, 이것에 의해서 적당한 전압으로 전동기(7)를 구동하기 위해 조절할수 있다.
제 7 도에는, 전기회로를 실체도로하여 표시하고 있는데, 이 도면에 의하면, 접점(40)은, 금속안내판(20)에, 또 접점(41)은, 전동기(7)와 금속스프링(19)에 각각 접속되고 있으며, 전동기(7)의 또 다른 단자의 한개는, 전원(22)을 거쳐서 상기 가변저항기(43), 금속안내판(20)에 차례로 직열로 접속되고 있다.
이와같은 전기회로를 가진 이 음향재생기는, 우선 제 3 도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레코오드판(15)을 레코오드호울더(12)의 레코오드판설정부(10)내부에 삽입을 하고, 다음에 레코오드판(15)의 표시부(14)에 표시한 녹음내용의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그것에 상당하는 선택간(16)을 누른다. 그렇게 하면, 예를들면, 제 8 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선택간(16)은, 금속스프링(19)의 힘을 주는편(18)한개를 금속 안내판(20)에 접합을 시킨다.
이에 의해서, 제 7 도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전동기(7), 전원(22), 가변저항기(43), 금속안내판(20), 금속스프링(19), 시동스위치의 접점(41), 전동기(7)의 통전회로가 성립하게되고, 전동기(7)는 작동을 하여, 턴테이블(9)은 회전을 한다. 그렇지만, 턴테이블(9)의 회전축 둘레면에는, 스톱퍼(17)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어, 이 스톱퍼(17)도 같이 선회하게 된다. 이 스톱퍼(17)의 선회궤적의 환형상속에, 상기 밀려들어와서 전진한 선택간(16)의 선단부가 진입하여 있어서, 스톱퍼(17)는, 그 진입하고 있는 선택간(16)에 닿아서 턴테이블(9)의 회전을 일시정지 시킨다. 이때 벨트(B)는, 턴테이블의 회전축 주면에 대해서 슬립프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턴테이블(9)의 정지위치는, 턴테이블(9)위의 토운아암(5)에 구성한 재생용바늘(3)이 선택한 녹음홈(13)에 잘 맞는 위치로 된다.
다음에, 선택간(16)의 밀어누른 압력을 해제하면, 선택간(16)은, 금속스프링(19)의 힘을주는편(18)의 힘에 의해서 처음자리로 복귀를 한다. 그와 동시에, 부세편(18)도 금속 안내판(20)으로부터 떨어짐으로, 금속안내판(20), 금속스프링(19)사이의 전기적도통상태가 차단되어, 전동기(7)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레코오드호울더(12)를 창(1)속에 밀어넣듯이 피버트작동시켜 레코오드판(15)을 재생용바늘(3)에 잘 맞도록한 상태로 설정을 하면, 레코오드판(15)이, 시동버턴(39)을 밀게 됨으로, 시동스윗치의 접점(41)이 접점(40)에 접합을 하여, 여기에, 전동기(7), 전원(22), 가변저항기(43), 금속안내판(20) 시동스위치의 접점(40), 시동스위치의 접점(41), 전동기(7)의 통전회로가 성립하여, 전동기(7)는 작동을 하여 턴테이블(9)을 회전시킨다. 이때는 이미 선택간(16)에 의해서 재생용바늘(3)의 위치가 특정한 녹음홈(13)에 잘맞을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 그 선택된 녹음내용이 재생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재생이 종료하는 재생종점이 픽업이 이르게 되면, 캔틸레버(37)가 턴테이블(9)의 윗면으로부터 래디얼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호울더걸어멈춤레버(38)를 밀어서, 훅크(38a)를 걸어멈춤편(32)으로부터 떼어놓는다.
이와같이하여, 레코오드호울더(12)는, 창(1)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추동하여, 레코오드판(15)으로부터 바늘압력이 제거되어, 레코오드판(15)을 레코오드호울더(12)로부터 제거할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선택간(16)은, 재생선택용의 스위치 접점을 겸하는 금속스프링(19)에 의해서, 항상 케이싱(2)의 바깥쪽에 세력이 가해져 있으며, 역시 재생선택용의 스위치 접점을 겸하는 금속안내판(20)에 의해서 케이싱(2)내 턴테이블(9)에 설치한 스톱퍼(17)의 회전궤적 안으로 돌출할수 있도록 안내되어 있어, 레코오드호울더를 케이싱에 피버트착설하여 이루어지는 형식의 간이음향재생기가, 그 재생선택용 스위치기구를 선택간(16)의 동작기구 이외에 특별히 설치하는 일없이, 선택간(16)에 의한 재생선택을 하는 방식의 간이음향재생기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코오드호울더에 복수의 녹음홈을 가진 레코오드판을 지지하고 있으면서, 또 선택간에 의해 원하는 녹음내용을 선택하여 재생할수 있게 한 간이구조의 음향재생기를 제공할수 있으며, 또한, 그것은 동작이 확실하여 비교적 부품의 점수가 적은, 염가의 간이음향재생기로 된다.

Claims (4)

  1. 창을 가지고 있는 케이싱과, 상기 창이 있는 쪽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는 재생용바늘을 가지며, 또 음전달체에 의해서 지지되어 항상 재생시점 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피버트착설되어 있는 토운아암 및 그 토운아암을 피버트착설하고 있는 면과 반대되는 쪽에 설치한 스피이커다이아프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케이싱속에서 전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센타핀에 지지된 턴테이블과, 상기 케이싱 창의 가장자리부분에 피버트착설되어 있으면서 레코오드설정부를 가진 개방용스프링에 의해서 튕겨 나와 상기 레코오드판설정부가 상기창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떨어져 나오도록 경사지어 이동하고, 상기 개방용스프링의 힘에 저항해서 밀므로서 상기 턴테이블과 평행을 이룰수 있게 한 레코오드호울더와, 원주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한 복수의 녹음홈 및 그 녹음내용의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가 보이는 상태에서 레코오드판설정부에 설치된채, 상기 개방용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상기 레코오드호울더를 누른 위치에서 상기 녹음홈의 면이 상기 재생용바늘에 잘 맞도록 되어 있는 레코오드판과를 가진 피버트작동식의 레코오드호울더를 갖춘 형식의 간이음향재생기에, 상기 녹음홈의 수에 대응하는 선택간의 조작으로 상기 녹음홈중 선택한 녹음내용의 녹음홈에 잘 맞는 위치에서 상기 재생용바늘을 일시 정지시킬수 있는 재생선택기구를 결합하는 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9)의 회전둘레 가장자리에 돌출한 스톱퍼(17)를 설치하여, 상기 케이싱(2)의 바깥쪽에서 밀어서 눌러줌으로서, 이 스톱퍼(17)의 선회궤적속으로 돌출할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선택간(16)을 배치하고, 이 선택간(16)에 걸어 맞도록된 세력편(18)이 있어 각 세력편(18)이 서로 전기적인 도릉상태가 되어 있으며, 또한 각 선택간(16)을 항상 케이싱(2)의 바깥쪽을 향해 힘을 줄수 있게 금속스프링(19)을, 상기 턴테이블(9)의 둘레가장자리를 에워싸듯 배치하여 상기 선택간(16)을 상기케이싱속(2)에 지지하여 턴테이블(9)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톱퍼(17)의 선회궤적을 향하여 안내하는 금속안내판(20)에 면을 대하게 하고 상기 선택간(16)에는, 이것을 케이싱(2)바깥쪽에서부터 밀었을때 상기 금속스프링(19)을 밀어 상기 금속안내판(20)에 접합될 수 있게 돌출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금속스프링(19)과 금속안내판(20)에는, 상기 전동기(7)와 전원사이에 회로를 접속하여, 이들의 금속스프링(19)와 금속안내판(20)에, 선택용의 스위치 접점을 겸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한,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스프링(19)이, 상기 센타핀(8) 둘레에 설치되어 방사상으로 세력편을 돌출시킨 환형상체로 형성되었으며, 선택간(16)은, 케이싱(2)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턴테이블(9)의 회전 둘레면 바깥쪽의 스톱퍼(17) 선회궤적의 중에 돌출할수 있게 배치되어, 금속안내판(20)은, 상기 케이싱(2)의 상기한 한쪽과 평행을 이룰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금속스프링(19)에 대향하고 있는, 간이음향 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기(7)와 턴테이블(9)과는, 밸트로 연락되고, 있는,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턴테이블(9)은, 스피이커다이아프램(6)이 구성되고 있는 부분의 회전 둘레면이, 밸트를 걸어주는 풀리로 되어 있는,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
KR1019850005721A 1984-08-23 1985-08-08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 KR890004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75535A JPS6154002A (ja) 1984-08-23 1984-08-23 簡易音響再生機の再生選択機構
JP59-175535 1984-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091A KR860002091A (ko) 1986-03-26
KR890004238B1 true KR890004238B1 (ko) 1989-10-27

Family

ID=1599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721A KR890004238B1 (ko) 1984-08-23 1985-08-08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74370A (ko)
JP (1) JPS6154002A (ko)
KR (1) KR890004238B1 (ko)
AU (1) AU556386B2 (ko)
GB (1) GB21635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9502B1 (de) * 1985-02-01 1988-01-13 Erich Dr.h.c. Döring Tonwiedergabegerät für ruhende platten- oder blattförmige Tonträger
JPS6252757A (ja) * 1985-08-31 1987-03-07 Ozen Corp 選択式音響再生機のレコ−ド盤交換機構
US4680747A (en) * 1985-11-07 1987-07-14 Blake Joseph W Iii Multi-message phonograph system
JPS62120601A (ja) * 1985-11-20 1987-06-01 Ozen Corp 選択式音響再生機のレコ−ド盤交換機構
US4823332A (en) * 1987-03-09 1989-04-18 Ozen Corporation Simplified sound reproducing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a plurality of record discs
JPH04243906A (ja) * 1990-09-26 1992-09-01 Lonza Ag α−窒化ケイ素粉末の製造方法
TW529753U (en) * 2001-11-13 2003-04-21 Lite On It Corp Optical disk data storage device having two-type disk input way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5404A (en) * 1976-08-21 1978-03-09 Watanabe Kenkyusho Toy cassette player
US4195844A (en) * 1977-07-13 1980-04-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diovisual card reproducing device
JPS5573968A (en) * 1978-11-29 1980-06-04 Watanabe Kenkyusho:Kk Simple record player
JPS57152568A (en) * 1981-03-17 1982-09-20 Ozen Corp Sound reproducing device
JPS5877055A (ja) * 1981-10-30 1983-05-10 Ozen Corp 紐巻上げ定トルクスプリングで駆動されるレコード盤を有し且つ始動選択杆で始動する多重音響再生機
US4485466A (en) * 1983-01-05 1984-11-27 Mattel, Inc. Stylus shielding and unshielding apparatus for a phonograp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501330D0 (en) 1985-02-20
GB2163588B (en) 1989-08-02
AU556386B2 (en) 1986-10-30
JPH0325842B2 (ko) 1991-04-09
AU3764085A (en) 1986-02-27
JPS6154002A (ja) 1986-03-18
US4574370A (en) 1986-03-04
KR860002091A (ko) 1986-03-26
GB2163588A (en) 198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42850Y2 (ko)
KR890004237B1 (ko) 복수의 녹음을 제생할수 있는 간이음향재생기
JPH07307050A (ja) ミニディスク兼用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ーヤー
KR890004238B1 (ko) 간이음향재생기의 재생선택기구
JPS60217576A (ja) デイスクケ−ス
US4150831A (en) Toy record player
JPH01243201A (ja) 複数録音溝を有するレコード盤のための音響再生機
JPS62120601A (ja) 選択式音響再生機のレコ−ド盤交換機構
JPS6076001A (ja) 複数録音溝を有するレコ−ド盤のための簡易音響再生機
JPS6331844B2 (ko)
JPH0334122B2 (ko)
US4694444A (en) Record disc replacing means
KR920002938B1 (ko) 여러개 녹음홈을 가지는 레코오드 음반을 위한 음향 재생기
US3542371A (en) Combination player for discs and tape-cartridges
JPS592105B2 (ja) 玩具レコ−ドプレ−ヤ
JPS62125501A (ja) 複数録音溝を有するレコ−ド盤のための簡易音響再生機
KR920003995B1 (ko) 레코오드 플레이어를 갖는 cd 체인저(changer)
JPS61239457A (ja) 記録円盤保持装置
JPS6327315Y2 (ko)
KR910003045B1 (ko) 원반상부재 이송장치
KR870002045Y1 (ko)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자동복귀기구
JPS6245322Y2 (ko)
JPH0721739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219776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810875Y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