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928Y1 - 경보 회로 - Google Patents

경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928Y1
KR890003928Y1 KR2019860009026U KR860009026U KR890003928Y1 KR 890003928 Y1 KR890003928 Y1 KR 890003928Y1 KR 2019860009026 U KR2019860009026 U KR 2019860009026U KR 860009026 U KR860009026 U KR 860009026U KR 890003928 Y1 KR890003928 Y1 KR 890003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alarm
conduction
lamp
alarm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236U (ko
Inventor
류한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9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928Y1/ko
Publication of KR880001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9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보 회로
제1도는 본고안에 따른 경보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ED : 발광 다이오우드 LAMP : 램프
ZD : 제너 다이오우드 BZ : 부우져
SW : 누름스위치 SCR : 다이리스터
본 고안은 시스템의 각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각종 경보를 감시하는 경보 표시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상 발생시 가시 가청 경보를 표시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상신호 전송 장치 또는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이상발생시 즉 전원의 오프 또는 프레임의 오수신 등과같이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시스템의 경보를 발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같은 경보 회로로 종래에는 기계적 접점릴레이를 사용한 경보회로가 주종을 이루고 있어 기구적인 구조로 인한 접점불량 및 산화마모가 발생되어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쉽게 온, 오프되는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스위칭 특성과 단방향 스위칭 특성을 가진 3단자 단방향성 다이리스터를 사용하여 가시 및 가청 경보를 발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이상 발생시 트랜지스터의 도통에 의해 가시경보를 발하게 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도통시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시정수회로의 트리거펄스로 다이리스터의 게이트를 열어주어 경보를 발하게 하는 회로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고안에 다른 경보회로의 전체회로도로서 도면중 R1-R1은 저항,1C1-C3은 콘덴서, Q1-Q3는 트래지스터, D는 다이오우드, ZD는 제너다이오우드, SCR은 다이리스터, SW는 평상시 오프상태에 있는 누름스위치, BZ는 부우져, LED는 발광 다이오우드, LAMP는 램프, Vcc는 직류전원(-48볼트)이다.
시스템에서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입력단자(1)로 "하이"상태의 신호가 입력하고 이상이 없을때에는 "로우"상태가 입력한다.
시스템에 이상이 없어 입력단자(1)로 "로우"상태의 신호가 입력하면 트랜지스터(Q1)는 오프상태가 되므로 발광 다이오우드(LED)도 점등이 되지 않음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2) 및 (Q3) 모두 "오프"상태에 있게 되므로 램프(LAMP) 및 부우져(BZ) 모두 동작을 하지 않는다. 지금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여 입력단자(1)로 "하이"상태의 신호가 입력하면 트랜지스터(Q1)는 도통을 하여 전류는 점등수단이 되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에미터, 저항(R2), 발광 다이오우드(LED)를 통해 흐르고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는 점등이 된다.
동시에 또다른 전류 루프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에미터와 다이오우드(D)와, 저항(R3) 및 (R4)로 형성되므로서 상기 저항(R4)의 양단전압에 의한 트랜지스터(Q2)의 순방향 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2)는 도통을 하게된다. 따라서 램프(LAMP)는 점등이 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우드(LED)의 점등과 함게 가시경보를 발하게 된다. 한편 트랜지스터(Q1)의 도통에 의한 전류루프는 상기 트랜지스터(Q1), 다이오우드(D), 저항(R5), 저항(R6)으로도 형성되므로서 상기 저항(R5)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C1)에 의해 시정수로 급격히 상승된 트리거펄스가 되며 이 트리거펄스는 상기 제너다이오우드(ZD)를 통하면서 저항(R7)에 의한 바이어스 전압으로 트랜지스터(Q3)가 도통상태로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부하가 되는 저항(R10)의 전압에 의해 3단자단 방향성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를 트리거하여 상기 다이리스터(SCR)는 도통이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리스터(SCR)와 직렬 접속된 부우져(BZ)는 경보음을 발하게 된다. 또한 전원에 접속된 콘덴서(C3)는 전원의 온, 오프시 발생하는 잡음펄스를 바이패스시켜 안정된 동작을 할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이 콘덴서(C3)가 없을시에는 전원의 온, 오프시 발생하는 잡음이 저항(R10)을 통해 상기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를 트리거하여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콘덴서(C2)는 또한 잡음 바이패스용 콘덴서이다.
경보음을 인식한 오퍼레이터는 상기 경보음에 의한 소음제거를 위해 알람 리세트 누름 스위치(SW)를 눌러 상기 다이리스터(SCR)의 애노드전위가 영이되도록 하므로서 "온"상태의 다이리스터를 "오프"시켜 가청경보를 발생하는 부우져(BZ)의 경보음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에 점등된 발광다이오우드(LED)와 트랜지스터(Q2)에 의해 점등된 램프(LAMP)는 계속 시스템의 이상발생을 표시하는 가시정보를 유지한다. 지금 전술한 바와같이 발생된 경보 발생요인이 제거되면 트랜지스터(Q1)의 입력에는 "로우"상태의 신호가 입력하게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어 발광 다이오우드(LED) 및 램프(LAMP)를 소등하게 함으로써 시스템이 정상동작 되고 있음을 알수 있게한다. 즉 초기화상태가 되어 다음 경보신호를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준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시스템의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여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를 변화시킴으로써 가시경보를 발생하게 하고 동시에 오퍼레이터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경보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반도체 제어소자인 다이리스터를 사용하여 가청경보를 발생하게 함은 물론 리세트 스위치로 다이리스터를 제어하여 시끄러운 경보음을 차단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오퍼레이터가 경보를 인식하고 경보가 계속되는 것을 육안으로 체크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된다.

Claims (1)

  1. 시스템의 비정상 상태를 인식시키는 경보 회로에 있어서, 이상 발생 신호를 입력하여 발광 다이오우드(LED)를 점등하는 스위칭을 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도통에 의한 램프(LAMP)를 점등하는 스위칭을 하는 트랜지스터(Q2)를 구비하는 점등 수단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도통에 의한 트리거펄스를 발생하는 시정수회로(R5, R6,및 C1)의 상기 트리거펄스를 소정 전압으로 유지하여 트랜지스터(Q3)를 스위칭 하고 다이리스터(SCR)를 도통시키는 트리거펄스 발생 수단과, 상기 다이리스터(SCR)의 도통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하고 누름스위치(SW)의 압압에 의해 상기 다이리스터를 오프시켜 경보음 소거를 하는 경보음 발생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2019860009026U 1986-06-26 1986-06-26 경보 회로 KR890003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026U KR890003928Y1 (ko) 1986-06-26 1986-06-26 경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026U KR890003928Y1 (ko) 1986-06-26 1986-06-26 경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236U KR880001236U (ko) 1988-02-23
KR890003928Y1 true KR890003928Y1 (ko) 1989-06-10

Family

ID=1925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026U KR890003928Y1 (ko) 1986-06-26 1986-06-26 경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9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236U (ko) 198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2047A (en) Lamp failure detection apparatus
KR890003928Y1 (ko) 경보 회로
US5859592A (en) Reduced current consumption circuit for LED devices
US4820935A (en) Multiple function driver circuit
US3264626A (en) Alarm system
US3447145A (en) Constant surveillance alarm system for a plurality of remote locations
US4740686A (en) Optical sensor circuitry
US3529305A (en) Condition monitoring system
KR890003143Y1 (ko) 화재감지기 작동 표시 회로
SU4588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игнализации
FI906151A (fi) Piiri valo-opasteiden kaksoishehkulankalamppujen toiminnan valvomista varten
US20030218436A1 (en) Lamp monitor and lamp
SU12658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игнализации о состо нии цепи нагрузк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KR900003297Y1 (ko) 전원 온-오프시 오동작 방지회로
JP3012394B2 (ja) 警報装置
GB1386798A (en) Lamp failure warning circuits
JPS6213196Y2 (ko)
KR0125279Y1 (ko) 에어백 시스템에서의 경고동 구동회로
JPS647702B2 (ko)
KR870001304Y1 (ko) 음성다중 방송신호 선택회로
SU58148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ноготочеч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SU106526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сигнальной ламп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473836A (ja) ヒューズ切れ検出装置
ATE147203T1 (de) Mit einer parallelschaltung versehene serienschaltung
SU120682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ноготочеч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