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726B1 - 브라운관의 캐소우드 분해 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캐소우드 분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726B1
KR890003726B1 KR1019860009188A KR860009188A KR890003726B1 KR 890003726 B1 KR890003726 B1 KR 890003726B1 KR 1019860009188 A KR1019860009188 A KR 1019860009188A KR 860009188 A KR860009188 A KR 860009188A KR 890003726 B1 KR890003726 B1 KR 89000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rt
cathode
resistance
disassem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649A (ko
Inventor
정남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9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726B1/ko
Publication of KR88000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726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thermionic cathodes
    • H01J9/042Manufacture, activation of the emissive part
    • H01J9/045Activation of assembled cath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의 캐소우드 분해방법
도면은 본 발명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 히이터저항 r : 기준저항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캐소우드 에이징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직열형 히이터 캐소우드에 적합한 에이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의 화상은 높은 에너지를 가진 열전자가 전자총에서 발사되어 스크리인면의 형광체를 국부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에 필요한 열전자는 캐소우드의 탄산염이 히이터에 의해 가열 됨으로써 방출되는 것이다.
즉, 캐소우드 자체가 Mg, Si, W등을 함유하는 Ni주체의 합금으로 되고, 이의 상면에 BaC3, CaCO3, SrCO3등의 전자방사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히이터가 이를 다음과 같은 화학적 변화가 일어난다.
BaCO3―――――――――――――――BaO+CO2
이와 같은 화학적 변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Ba가 열전자를 방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과정에서 파생되는 CO2, CO, O2등은 브라운관내의 진공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열전자우드를 사전에 열분해 하여 유해성분을 증발시키는 에이징 공정을 행하고 있다.
이 애이징 공정은 브라운관의 제조에서 배기공정과 포함하여 행하고 있는바, 브라운관 제조의 배기공정중 종래 에는 정전압 E를 히이터저항 R에 직접인가하여 히이터를 가열하므로써 캐소우드상의 탄산염으로부터 CO2, CO, O2등을 증발 배기 시키게 되는데 이때 히이터저항의 소비전력 P1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1)
그런데 가열에 의한 화학적 변화가 일어날때 캐소우드의 온도가4 너무 낮으면 충분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반대로 캐소우드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탄산염이 균열 또는 증발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전자방출 및 브라운관의 수명이 치명적인 영향을 주므로 캐소우드의 온도는 적당한 범위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히이터로의 인가전압은 대략 6V로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온도 조절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으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전압 변동이 거의 없는 에이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자방출의 효율을 높이고, 브라운관의 수명을 길게 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이터 저항 R에 히이터 저항과 동일한 값을 갖는 기준저항 r을 직렬 연결시키고, 정전압 E을 2배로 인가하여 에이칭을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히이터 저항 R의 소비전력 P2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Figure kpo00002
…(2)
상기한(1)식과 (2)식에 있어서, 기준저항 r이 히이터 저항 R과 동일한 경우에는
Figure kpo00003
으로 소비전력도 동일하게되나 실제 브라운관 제조시에 사용되는 히이터의 저항 값은 정확히 R이 될 수 없고, 다소 변동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히이터의 저항 변동을 고려하여 히이터의 저항 R을 XR이라 가정하고, 외부의 기준저항 r은 오차가 극히 적은 저항을 사용 한다고 하며 상기 식(1), 식(2)는 각각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04
…(3)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4)
여기서 Po는 히이터 저항이 R일때의 소비전력, 즉
Figure kpo00007
이다.
상기한(3)식과 (4)식에 따러 저항값만을 변화시키고, 나머지는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소비전력을 측정한 결과를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소비전력치는 저항값 1
Figure kpo00008
을 100%로 하였을때의 %치로의 표시 한다.
[표1]
Figure kpo00009
상기한 표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것보다 저항 오차에 기인 하는 전력 소비의 변화 폭이 낮게 나타남을 알수 있으며, 이 점은 캐소우드의 에이징시 온도가 히이터의 소비전력에 비례하게 됨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이 거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진행 되는 것임을 입증하여 주는 것잊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히이터 저항 R에, 이와 동일한 값을 갖는 기준 저항 r을 직렬시키고 2배의 전압을 인가시킴에 따라, 히이터 저항 R의 오차에 의한 전압변동폭을 현저하게 완화시킬 수 있게 되어, 캐소우드의 에이징에 의한 불량율을 대폭 저하 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

  1. 브라운관의 히이터저항치 R과 동등한 값의 기준저항 r을 브라운관의 히이터와 직렬접속시키고, 정격의 2배의전압을 인가하여, 히이터 저항의 오차에 의한 전압 변동을 완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캐소우드 에이징 방법.
KR1019860009188A 1986-10-31 1986-10-31 브라운관의 캐소우드 분해 방법 Expired KR890003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188A KR890003726B1 (ko) 1986-10-31 1986-10-31 브라운관의 캐소우드 분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188A KR890003726B1 (ko) 1986-10-31 1986-10-31 브라운관의 캐소우드 분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649A KR880005649A (ko) 1988-06-29
KR890003726B1 true KR890003726B1 (ko) 1989-09-30

Family

ID=1925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188A Expired KR890003726B1 (ko) 1986-10-31 1986-10-31 브라운관의 캐소우드 분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7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649A (ko) 198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726B1 (ko) 브라운관의 캐소우드 분해 방법
US305606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nickel supports for oxide cathodes and cathodes provided with such supports
KR950003095B1 (ko) 산화물 음극을 가진 진공 전자관
KR880002988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드 구조체
KR100400587B1 (ko) 음극선관용 음극 구조체
US6020693A (en) Method for reducing residual spot in cathode ray tube
US6535184B1 (en) Dynamic driving vacuum fluorescent display
KR960003589Y1 (ko) 함침형 음극
US20020008453A1 (en) Cathode for electron tube
JP2610414B2 (ja) 表示装置
JPH0620285Y2 (ja) 光放射電子管
KR90000034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 구조체
JP2903880B2 (ja) 冷陰極電子銃
KR910001397B1 (ko) 선상 열음극
JPS6477834A (en) Aging method for cathode-ray tube
KR920008786B1 (ko) 산화물 음극
KR880002989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드 구조체
JPH0337932A (ja) 積層陰極
KR950030190A (ko) 함침형 음극의 제조방법
KR920010362B1 (ko) 냉음극
KR900004176B1 (ko) 수상관용 음극구조체의 흑화처리방법
KR910001562Y1 (ko) 음극선관의 방열형 음극
KR0139639Y1 (ko) 음극선관용 음극구조체
JPS6443952A (en) Electron gun for electronic tube
KR910001508B1 (ko) 음극선관의 열전자 방출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6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9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908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0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8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8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3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8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