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522B1 - 디스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522B1
KR890003522B1 KR1019850004422A KR850004422A KR890003522B1 KR 890003522 B1 KR890003522 B1 KR 890003522B1 KR 1019850004422 A KR1019850004422 A KR 1019850004422A KR 850004422 A KR850004422 A KR 850004422A KR 890003522 B1 KR890003522 B1 KR 890003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carriage
disc
clamp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646A (ko
Inventor
가즈히꼬 이노우에
쯔토무 가와사끼
토시오 아바나
Original Assignee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다니 가쯔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다니 가쯔마 filed Critical 티악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8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consecutive-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11B17/0286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mounted on a pivotal le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0Protective measures on heads, e.g. against excessive temperature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크 구동장치의 일부 잘라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는 장치의 클램퍼(clamper)를 작동시킨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장치의 정면도.
제6도는 제2도장칭의 정면도.
제7도는 제1도장치의 카트리지 위치 및 캐리지제어기구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제7도 기구의 분해사시도.
제9도는 제7도 기구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 기구의 우측면도.
제11도는 제9도 기구의 정면도.
제12도는 제9도에 있는 기구를 카트리지로 작동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 기구의 우측면도.
제14도는 제12도 기구의 정면도.
제15도는 카트리지의 정면도.
본 발명은,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라고 불워지고 있는 가요성 자기디스트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자기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구동장치는 예컨대 1981년 5월 10일에 공개된 일본특허공개공보 58-77080에 알려져 있으며, 이와같이 디스크구동장치는, 디스크의 한쪽면에 접촉하는 한쪽의 자기헤드와, 디스크의 다른쪽면에 접촉하는 다른쪽의 자기헤드를 가지고 있다. 한쪽의 자기헤드는 디스크면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있지만 다른족의 자기헤드는 아암에 의하여 지지되고, 디스크에 접촉하는 위치와, 디스크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취한다. 다른쪽의 자기헤드의 디스크에 대한 접촉 또는 벌어지는 제어는 플런저 솔레노이드(plunger solenoid)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같이 플런저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다른쪽의 자기헤드의 디스크에 대한 접촉, 떨어지는 것을 제어하면, 한쪽 및 다른 쪽의 자기헤드를 다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할때에, 다른쪽의 자기헤드를 디스크로부터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자기헤드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디스크의 손상이 방지된다.
그러나 자기헤드를 소망하는 트랙까지 이동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sccess time : 호출시간)이 길어진다는 결점, 그리고 플런저 솔레노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가 비싸지게 된다는 결정점이 생긴다. 이때문에 다른쪽의 자기헤드를 디스크에 접촉시키기위한 프런저 솔레노이드를 생략하고, 디스크회전대에 디스크를 클램프하기위한 클램퍼에 연동시키고, 크램프동작과 동시에 다른쪽의 자기헤드를 디스크에 접촉시키는 방식이 이미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크램퍼를 동작시키면 아랫쪽 캐리지에 부착되어 있는 한쪽 헤드에 윗쪽 캐리지에 부착되어 있는 다른쪽의 헤드가 맞닿게되고, 각각의 헤드의 거울면이 마무리된 캡면의 견고한 흡착상태가 생기고, 한쪽의 헤드로부터 다른쪽의 헤드를 떨어지게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며, 헤드를 지지하고 있는 짐발사포토(gimbal support)의 파손이 생길염려가 있다.
이와같은 무제를 해결하기위하여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클램퍼의 이동기구의 동작을 금지하고,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된 때에만 클램퍼의 이동기구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같이하면,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한쌍의 헤드의 접촉은 저지된다. 그러나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클램퍼의 이동기구를 잘못 조작하면 접촉저지기구에 과대한 힘이 가해지고, 이 부분이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접촉 저지 기구를 견고하게 만들 필요가 있으며, 필연적으로 생산비가 놓아 지게되었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클램퍼를 이동시키고, 그의 조정 및 수리를 하는 경우에는, 접촉저지기구에의한 저지를 어떠한 수단으로 해제하지 않으면 안되며, 작업성이 좋지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쌍의 자기헤드 동지의 접촉을 간단한 구성으로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클램퍼의 작동을 디스크 카트리지의 부착·이탈과 관계없이 행할수 있는 디시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실시에를 보여주는 도면의 부호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자기디스크 카트리지(20)의 기록매체디스크(18)를 지지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된 디스크 회전대(16)를 포함하는 디스크회전 기구와, 디스크 회전대(16)에 대하여 디스크(18)의 착·탈이 가능한 디스크 비보호유지 위치로부터 디스크 보호유지위치로 이동하고, 이 디스크 보호 유지위치에서 디스크(18)를 눌러 디스크회전대(16)에 디스크(18)를 고정시키기위한 클램퍼(26)와,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클램퍼(26)에 디스크 보호유지위치와 디스크 비보호 유지위치를 가지기 위한 클램퍼 이동기구(25)와 디스크 회전대(16)의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터 디스크 회전대(16)위에 디스크 카트리지(20)를 삽입하기위한 개구(37)가 있으며, 적어도 회전기구, 클램퍼(26), 그리고 클램퍼이동 기구(25)를 수용하는 용기(10)와, 디스크(18)의 한쪽면에 접촉하여 신호 변환을 하도록 배치된 한쪽의 자기헤드(54)와, 디스크(18)에 접촉하는 위치와, 디스크(18)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하고, 디스크(18)에 접촉하는 위치에서는 한쪽의 자기헤드(54)에 대향하여 신호를 변환하는 다른쪽의 자기헤드(55)와, 한쪽의 자기헤드(54)를 지지하고, 디스크(18)의 반경방향으로 자유로 이동할수 있도록 배치된 한쪽의 캐리지(56)와, 다른쪽의 자기헤드(55)를 지지하고, 단른쪽의 자기헤드(55)를 디스크(18)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1의 위치와, 다른쪽의 자기헤드(55)를 디스크(18)에 접촉 시키기 위한 제2의 위치와를 취할 수 있도록 한쪽의 캐리지(56)에 자유로 회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 다른쪽의 캐리지(63)와, 다른쪽의 자기헤드(55)가 한쪽의 자기헤드(5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항상 다른쪽의 캐리지(63)를 편기하도록하는 수단과, 한쪽 및 다른족의 자기헤드(54), (55)의 디스크(18)의 반경방향의 위치를 경정하기 위하여, 한쪽 및 다른쪽의 캐리지(56), (63)를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기위한 기구와, 디스크캐트리지(20)가 열린구멍(37)을 통하여 디스크회전대(16)위에 삽입되어 있지 않는 때에는 다른쪽의 캐리지(63)를 편기시키는 수단의 편기력에 역행하여 제1의 위치에서 보호 유지하고, 디스크캐트리지(20)가 열린구멍(37)을 통하여 디스크회전대(16)위에 삽입되고 도한 클램퍼(26)가 디스크를 보호유지하는 위치에 있도록 클램퍼 이동기구(25)가 동작하고 있을때에는, 다른쪽의 캐리지(63)가 제2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다른쪽의 캐리지(63)와 클램퍼 이동기구(25)와 열린구멍(37)으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캐리지(20)와에 각기 관련되어있는 캐리지 제어기구(66)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장치와 관계가 있는 것이다.
디스크구동장치의 작용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캐리지 제어기구(66)는, 클램퍼(26)의 작옹에만 따라 움직여서 다른쪽의 캐리지(63)의 보호유지를 해제하지않고, 디스크 캐트리지(20)의 삽입과 클램퍼(26)의 작동과 양쪽에 따라 움직여서 다른쪽의 캐리지(63)의 보호 유치를 해제하고, 다른쪽의 자기헤드(55)의 디스크(18)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캐리지제어기구(66)는, 클램퍼 이동기구(25)의 동작을 저지하는 거시 아니므로 클래퍼 이동기구(25)는 디스크 캐트리지(20)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도 동작할 수 있다. 이때문에 클램퍼 이동기구(25)의 조정 및 수리를 디스크 카트리지(20)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캐리지 제어기구(66)는 클램퍼 이동기구(25)의 작동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므로, 클램퍼의 이동기구(25)로부터 강력한 힘을 받는일이 없다. 따라서 캐리지 제어기구(66)를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할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구동장치 전체의 구성애 대하여 설명하면 제1도-제6도에 도시한 용기(10)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die casting)으로 형성된 받침기체(11)와 전면 및 저면을 덮어씌운 카바(12)로 구성되고,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명백한바와같이 디스크 회전용 모오터(13)는 축받이(14)로 기체(11)에 부착되고, 이 모오터(13)의 회전축에는 움푹들어간곳(15) 림(rim)또는 허브(hub)라고 불리워지는 디스크 회전대(16)가 고착되어 있다. 이 디스크 회전대(16)는 움푹들어간곳(15)의 가장자리에 디스크 중앙의 아랫면이 얹어놓여진 링형상 지지면(17)을 가지고 있다. 이 디스크 구동장치는 제15도에서와같이 후렉시불 자기 디스크(18)와 이것을 둘러쌓은 상자형상인 쟈켓(19)즉 포위체로 구성되는 평면형상 4각형의 디스크캐트리지(20)를 이대로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쟈켓(19)에는 디스크(18)의 중앙관통공(21)을 둘러쌓는 디스크 중앙 부분(18a)를 노출시키기위한 중앙의 열린구멍(22), 반경방향으로 뻗쳐있는 자기헤드 삽입개구(2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쟈켓(19)안에서 디스크(18)만을 회전하여 기록하거나 재생할수가 있다. 더우기 디스크캐트리지(20)의 하면도 상면과같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쟈켓(19)에는 기록제 디스크에 잘못하여 다른 기록을 하는것을 방지 하기 위한 잘라낸부분(24)이 설치되어 있다.
제1도-제4도에서와같이, (26)은 클램퍼이며 콜드(colled)라고도 불리워지고 있는 부분이다. 이 클램퍼(26)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조작물(38)에서 클램퍼(26)를 지지하는 아암(27)에 이르기까지의 것으로 구성되는 클램퍼 이동기구(25)에 의하여 이동 조작되고, 제3도에 표시한 디스크 보호유지위치와 제4도에 표시한 디스크 비보호 유지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클램퍼 조작아암(27)은 그의 한족 끝부분(27a)과 기체(11)와의 사이에 설치된 편기장치 및 힌지(hinge)로서의 판용수철(28)에 의하여 제3도 및 제4도에서 화살표(29)로 표시한바와같이 디스크 비보호유지방향의 편기력을 받고 있다. 클램퍼(26)는 아암(27)의 다른쪽 끝부분(27b)의 축(30)에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또한 축(30)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 용수철(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디스크 구동지지체(16)방향의 편기력이 부여되고 있다. 더우기 이 클램퍼(26)는, 디스크(18)의 관통공(21)에 삽입되는 끝이 가느다란부분(26a)과 디스크(18)의 중앙부분(18a)을 밀기위한 플랜지부분(26b)이 있다. 아암(27)은 그의 선단부분(27b)에 금속판을 가지며, 이곳에 제3도에서 보요주는 디스크 비보호유지위치결정 걸어맞춤부(31)및 제1도에서 보여주는 걸어맞춤부(32), (33)이 설치되어 있다. 기체(11)에 고착된 프레임(34)의 윗면부분에서 이루어지는 스톱퍼부분(35)에 이어맞춤부(32)가 제3도에서와 같이 맞닿게되므로, 용수철(28)에 의한 아암(27)의 회동은 이 위치에서 저지된다. 용기810)의 디스크 착·탈 조작면(36)에는 제5도 및 제6도에서와같이 가늘고 긴 디스크캐트리지 삽입개구(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37)는 제15도의 디스크캐트리지(20)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슬롯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이 개구(37)의 연장수 평면에 디스크회전대(16)의 지지면(17)이 거의 일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작면(36)에는 조작수단으로서의 디스크 클램프 조작손잡이(38) 즉 클램프조작 레버가 배치되어있다. 이 조작부(38)는 회동축(39)의 한쪽끝에 고착되어 있으며, 제1도 및 제3도에 보여주는 클램프 이동기구(25)의 디스크 비보호유지위치에 대응하여 제5도에서 보여주는 개구(37)를 가로막지 않는 비차단위치를 취하고 있으며, 또한 제5도 및 제4도에서 보여주는 클램프 이동기구(25)의 디스크 보호유지 위치에 대응하여 제6도에서 보여주는 개구(37)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위치를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손잡이(38)는 제1도에서 명백한바와같이 디스크 삽입조작부(40)를 가지고 있다. 이 디시크 삽입조작부(40)는 디스크삽입방향으로 튀어나온 부분이며 축(39)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갈수록 돌출량이 적어지는 경사면(41)을 가지고 있다. 디스크캐트리지(20)가 제1도에서 표시하는 스톱퍼(42)까지 확실하게 삽입된 경우에는, 이 디스크 삽입조작부(40)는 디스크캐트리지(20)의 삽입에 관여하지 않으나, 디스크캐트리지(20)의 삽입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조작 손잡이(38)를 제5도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경사면(41)이 캐트리지(20)의 가장자리에 닿고, 조작손잡이 (38)의 회동에 따라서 경사면(41)이 캐트리지(20)에 대한 위치가 변화하고, 캐트리지(20)는 원활하게 밀려들어가게 된다.
조작손잡이(38)의 조작을 클램퍼(26)로 전달하기위한 클램퍼 이동기구(25)는, 제1도에서 가장 명백한 바와같이, 후레임(34)에 부착된 축받이(43), (43)에서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또한 그의 한쪽끝에 조작손잡이(38)가 고착된 회동축(39)고, 이 축(39)의 다른쪽 끝에 크랭크(crank)형상으로 고착된 아암(44)과, 이 아암(44)에 크랭크 형상을 세워설치된 핀(45)과, 이 핀(45)에 걸어 맞춰지고 그의 한쪽끝부분이 고정축(46)에 의하여 자유자재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회동판(47)과, 이 회동판(47)의 다른쪽 부분에 고착된 핀으로 구성된 걸어맞춤부분(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구를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동축(39)은 조작손잡이(38)즉 조작레버의 지점에 고착된 화살표(49)로 표시된 디스크 캐트리지(20)의 삽입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아암(44)은 후레임(34)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한 축(39)의 선단에 크랭크를 구성하는 것처럼 고차되고 또한 조작 손잡이(38)에 평행하게 뻗쳐있다. 핀(45)은 축(39)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핀(45)은 아암(27)에 있어서의 회동축(39)의 고착면과 반대되는 면에서 직각으로 돌출하고, 그의 중심이 축(39)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되어있으며, 화살표(49)로 표시하는 디스크 삽입 방향으로 뻗쳐져 있다. 후레임(34)에 고착된 고정축(46)에 자유자재로 회동하도록 지지되고 있는 회동판(47), 그의 양쪽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슬러트(50)의 안쪽둘레면에서 이루어지는 핀(45)이 걸어합쳐진면을 가지고 있으며, 아암(44)의 회동, 즉 핀(45)의 각동 위치의 변화에 따라서 디스크 삽입방향에서 직교하는 방향인 평면내에서 회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우기 슬러트(50), 즉 핀(45)이 걸어합쳐진면은, 축(39)의 중심과 핀(45)의 중심을 이어주는 직선이 디스크 보호유지 장치(25)의 이동반경을 포함하는 평면과 거의 평행하게 될때까지 핀(45)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동판(47)의 선단에 설치된 걸어합쳐진부분(48)은 화살표(49)로 표시하는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돌출하는 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동아암(27)에 설치된 돌출걸어맞춤부(32),(33)에 끼워진 상태로 걸어지고 있다. 제1도에 표시하는 (52), (53)은 각각 둘레의 고리이다.
이 플로피 디스크 구동장치는 양면 기록재생형이므로, 디스크(18)의 하면에 접촉하는 신호변환기로서의 한쪽의 자기헤드(54)와 상면에 접촉하는 다른쪽의 자기헤드(55)를 가지고 있으며, 한쪽의 헤드(54)는 한쪽의 캐리지(56)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헤드(55)는 다른쪽의 캐리지(63)에 부착되어 있다. 아랫쪽의 캐리지(56)는 디스크(18)의 반경방향 즉 디스크(18)의 삽입방향과 일치하여 뻗어있는 2개의 가이드레일(57)에 가이드되어 디스크(18)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캐리지(56)는 제1도에서와 같이, 톱니받침(58)과 작은 잡니바퀴(59)로 구성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를 통하여 스텝핑모우터(60)에 결합되고, 모우터(60)의 구동에 따라 이동한다. 회전-직선 변환기구는, 톱니받침(58)과 작은 톱니바퀴(59)에 한정하지 않고 공자의 α로 감은 스틸벨트 또는 리드 스크루(lead screw)등으로 구성된 것이라도 물론 지장은 없다. 아랫쪽의 헤드(54)는 짐발 용수철(61)로 아랫쪽의 캐리지(56)에 부착되어 있으며, 윗쪽의 헤드(55)는 힌지(hinge)로 기능하 판 용수철(62)로 아랫쪽 캐리지(56)에 자유 자재로 회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 윗쪽 캐리지(63)에 짐발용수철(64)로 부착되어 있다. 윗쪽 캐리지(63)는 코일용수철(62a)에 의하여 제2도에서와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편기되어 있다. 이 편기력에 역행하여 윗쪽 캐리지(63)를 디스크가 떨어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돌출부(65)가 윗쪽 캐리지(63)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의 (66)은 캐리지위치 및 캐리지 제어기구이며, 제7도-제14도에서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기구(66)는, 제7도 및 제8도에서 가장 명백해지고 잇는 바와같이, 합성수지제의 캐리지제어레버(67)와, 합성수지제의 카트리지 위치제한레버(68)와, 용기(10)의 기체(11)에 고착된 금속제의 레버지지체(69)와, 압축코일용수철(70)과, 제9도에 표시도어 있는 용수철(71)과, 캠구성의 회동체(72)와, 레버지지체(69)에 고착된 회동체(72)를 자유자재로 지지하는 축(73)으로 구성된다.
레버지지체(69)는, 제8도에서 명백한바와같이 한쌍의 지지부(74)(75)를 가지고 있으며, 이곳에 대향해서 네개의구멍(76), (77), (78), (79)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이 지지체(69)는 카트리지(20)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안내 아암(69a)을 가지고 있으며, 다시 회동 체지지부(69b)를 가지고 있다. 회동 체지지부(69b)에는 제8도에 표시한바와같이 축(73)이 세워져 설치되고, 이곳에 회동체(72)가 자유로 회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합성수지제 캐리지제어레버(67)는, 캐리지 걸어맞추는 부분(80)및, 회동 체걸어맞추는 부분(81)과, ㄷ자형상으로 지지되는부분(82)으로 형성된다. ㄷ자형상으로 지지되는부분(8)의 대향부분(82a),(82b)의 바깥쪽에는 원주형상축(83), (8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83), (84)이 레버 지지부(74), (75)의 구멍(76), (77)에 자유자재로 회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삽입은 ㄷ자형상으로 지지되는부분(82)의 대향부분(82a), (82b)이 서로 가까와지도록, 부분(82a)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고, 축(83), (84)을 구멍(76), (77)에 맞추어지게 한 상태에서 상기 변형을 원상태로 되돌려 놓음으로써 달성시키고 있다. 따라서 레버(67)의 지지는 극히 간단하게 달성된다.
합성수지제 카트리지 위치제한 레버(68)는, 카트리지(20)를 아랫쪽헤드(54)에서 떨어진 위치로 보존하기위한 카트리지 위치제한부분(85)과, 아암(27)에 걸어맞추는부분(86)과, ㄷ자형상으로 지지되는부분(87)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ㅅ자형상으로 지지되는부분(87)의 대향부분(87a), (87b)의 바깥쪽에는 한쌍의 원주형상의 축(88), (89)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88), (89)이 레버지지부(74), (75)의 구멍(78),(79)에 자유로 회동할 수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삽입은 ⊃자형상으로 지지되는 부분(87)의 대향부분(87a), (87b)이 서로 가까와지도 부분(87a)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고, 축(88), (89)을 구멍(78), (79)에 맞추어지게한 상태에서 상기 변형을 원상태로 되돌려 놓음으로써 달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68)의 지지는 극히간단하게 달성 된다.
제8도에서와같이 캐리지제어레버(67)에 용추철을 걸어맞추는 구멍(89)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카트리지위치제한레버(68)에 용수철을 걸어맞추는 구멍(9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 용수철(70)이 제7도에서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지제어레버(67)에는 용수출(70)에 의하여 제7도에서는 시계 회전반대방향, 제11도에서는 시계 회전방향의 편기력이 부여되고 있다. 한편 카트리지 위치제한레버(68)에는 용수철(70)에 의하여 제7도에서는 시계 회전방향, 제11도에서는 시계 회전반대방향의 편기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용수철(70)로 두개의 레버(67), (68)의 편기력이 이루어지고, 구성이 간략화되어 있다. 카트리지 위치제한레버(68)의 제7도에서와 같은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동은, 이 걸어합쳐진면(68a)이 레버지지체(69)에 맞닿게됨으로써 제한을 받게 된다.
캠처럼 움직이는 회동체(72)는, 용수철(70)에 대항하여 캐리지 제한레버(67)를 제7도-제11도에서 표시한 제1위치에 있도록 하고, 디스크캐트리지(20)의 삽입에 따라 움직여 캐리지제어레버(67)의 제1위치의 보호유지를 해제하는 것이며, 제8도에서와 같이 비원형 바깥 둘레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의 걸어맞춤면(72a)과 이에 직각을 이룬 제2의 걸어맞춤면(72b), (72c)을 가지고 있으며, 이 걸어맞춤면(72a), (72b), (72c)이 캐리지 제어레버(67)의 걸어맞춤면(67a)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축(73)에서 제1의 걸어맞춤면(72a)까지의 높이는, 축(73)에 제2의 걸어맞춤면(72b), (72c)까지의 높이보다도 크므로, 캐리지제어레버(67)를 제9도-제11도의 제1위치와, 제12도-제14도으 제2위치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 회동체(72)는 축(73)에 돌려감겨져서 되돌아가는 용수철(71)에 의하여 제8도에서와같이 시계방향의 편기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돌출부(72d)가 지지부(69)의 스톱퍼(69c)에 부딧쳐서 그 이상 회동 하는 것이 제한을 받도록 되어 있다. 회동체(72)는, 제11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디스크 캐트리지(20)로 밀게되는 눌리는부분(72e)을 가지고 있다.
제1도, 제2도, 제9도, 제12도에서 표시하는(19)은 복귀 조작부이며, 클램퍼 지지아암(27)에 일체화되어있으며, 캐리지 제어레버(67)의 끝머리에 있는 걸어맞춤부분(67b)에 걸어함쳐지게되는 부분이다.
다음에 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크 캐트리지(20)가 삽입되지 않고 또한 클램프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각 부분을 제1도, 제3도, 제5도, 제9도-제11도의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디스크 캐트리지(20)가 삽입되고, 또한 클램프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 부분은 제2도, 제4도, 제6도, 제12-14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우선 손잡이(38)가 제1도 및 제5도의 위치에 있으며, 클램프가 조작하지 않고 있으면, 클램퍼(26)를 지지하는 아암(27)은, 제3도에서와같이 용수철(28)의 편기력에 의하여 클램퍼(26)를 디스크회전대(16)에서 떨어지게한위치로 되돌려지고 있다. 또한 윗쪽의 헤드 캐리지(63)는 용수철(62)에 의하여 제3도에서와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편기되어 있지만 아암(27)의 윗쪽을 통해서 캐리지 제어레버(67)의 걸어맞춤부분(80)에 돌출부(65)에 의하여 걸어맞춤되고, 이 돌출부(65)가 캐리지제어레버(67)로 들어올려지고 있으므로, 윗쪽헤드(55)를 아랫쪽 헤드(54)에서 떨어지게한 위치에 있다.
다음에 디스크캐트리지(20)를 제1도에서와같이화살표(49)로 표시하는 방향 즉 디스크회전대(16)의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삽입하면, 클램퍼(26)와 디스크회전대(16)와의 사이를 통하여 제10도에서와같이, 카트리지위치제한 레버(68)와 지지체(69)의 안내 아암(69a)과의 사이에 삽입되고, 카트리지(20)의 끝머리가 제11도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회동체(72)는 용수철(71)의 편기력에 대항하여 축(73)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제12도 및 제14도의 상태로 된다. 그러나 클램퍼(26)를 디스크 회전대(16)를 향하여 밀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캐리지제어레버(67)가 제9도에서와 같이 아암(27)의 복기조작부(91)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캐리지제어레버(67)는 제9도-제11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우기 제9도-제10도의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위치제한레버(68)가 높은 위치에 유지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20)가 아랫쪽의 헤드(54)에 충돌되지 않도록 삽입된다.
그후 조작손잡이(38)를 제5도의 위치에서 제6도에서와같이 거의 90도로 회전시키면, 조작손잡이(38)의 회동에 따라 아암(44)도 약 90도 회동하고, 또한 회동판(47)이 핀(45)에 의하여 밀려서 소정각도만큼 회동하고, 이 끝머리의 핀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분(48)이 회동 아암(27)의 걸어맞춤부분(33)을 밀어 판용수철(28)의 편기력에 대항하여 아암(27)을 제3도에서와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클램퍼(26)의 끝머리 좁은부분(26a)이 디스크(18)의 관통구멍(21)및 디시크회전대(16)의 움푹들어간곳(15)으로 들어가고, 디스크중앙부분(18a)이 클래머(26)의 플런지형상부분(26b)과 디스크회전대(16)의 지지면(17)과의 사이데 끼워지게 된다. 아암(27)이 제2도 및 제4도에서와같이 회동하면 아암(27)에 설치된 복기조작부(91)에 의한 캐리지재어레버(67)의 제한이 해제되고, 이 레버(67)가 제7도에서와같이 용수철(70)의 작동에 의하여 제7도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캐리지 걸어맞춤부분(10)이 제7도에서 낮아지게 된다. 이때에 비원형 바깥둘레면이있는 캠구성의 회동체(72)가 카트리지(20)의 삽입에 따라 움직여 이미 제14도에서 보여준바와 같이 회동하고있으므로 캐리지제어레버(67)의 회동이 회동체(72)에 의하여 제한을 받지 않는다. 캐리지제어레버(67)가 제12도-제14도의 위치에 있게되면 윗쪽캐리지(63)는 이로인하여 제한을 받지 않게 되므로 용수철(62a)에 의하여 제4도에서와같이 회동되고, 카트리지(20)내의 디스크(18)에 헤드(55)가 접촉한다.
또한 클램퍼(26)를 지지하는 아암(27)이 제4도에서와같이 회동하면, 이 아암(27)에 의하여 카트리지 위치제한 레버(68)의 걸어맞춤부분(86)이 밀려 위치제한레버(68)가 제11도의 상태에서 제14도에서와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카트리지 제한부(85)가 내려가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20)도 내려가며, 카트리지(20)가 기록재상가능한 소정의 높이로 배치된다. 더우기 용수철(70)은 용수철(71)보다도 강하므로 회동체(72)는 제14도의 상태를 보호유지되고, 카트리지(20)를 밀지 않는다. 따라서 회동체(72)를 설치함으로써 디스크(18)의 회전을 방해하는 결점이 생기지 않는다.
디스크카트리지(20)를 끄내기위해서 우선 손잡이(38)를 제6도의 위치로부터 제5도의 위치로 되돌려놓으면, 핀으로 이루어진 걸어맞춤부분(48)에 의하여 아암(27)을 밀어주는것이 해제되고 아암(27)은 용수철(28)의 힘으로 제3도의 상태로 되돌려진다. 이 결과 아암(27)에 의하여 카트리지 위치제한 레버(68)의 걸어맞춤부분(86)을 밀어부는 일이 해제되고, 레버(68)는 용수철(70)의 힘으로 제12도-제13도의 위치에서 제9도-제11도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카트리지(20)도 위치제한레버(68)에 의하여 약간 들어올려지게 된다. 한편 제3도에서와같이 아암(27)의 회동에 따라서 캐리지제어레버(67)의 끝머리 이어합쳐진부분(67b)이 아암(27)에 설치된 복귀조작부(91)에 의하여 들어올려지고, 레버(67)가 제14도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제9도-제10도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로 인하여 윗쪽헤드캐리지(63)도 제3도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그후 카트리지(20)를 빼내면 카트리지(20)와 회동체(72)와의 관계는 없어지고, 회동체(72)는 제9도-제10도의 위치로 용수철(71)의 힘에 의하여 되돌아온다.
이 장치에서는 카트리지(20)를 삽입하지않는 상태에서 손잡이(38)를 돌려서 크램퍼(26)를 낮출수가 있다.
즉 크램퍼이동기구(25)의 동작을 금지하는 기구가 설치되지 않고 있으므로 클램퍼(26)의 상·하 이동은 자유롭다. 그러나 클램퍼(26)를 이동하여도 카트리지(20)를 삽입하지않는 한 윗쪽의 헤드(55)및 캐리지(63)는 캐리지제어레버(67)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윗쪽 헤드(55)와 아랫쪽헤드(54)와의 흡착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헤드(54), (55)를 지지하는 용수철(61), (64)의 파손도 생기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67), (68)가 ㄷ자형상으로 지지되는 부분(82), (87)을 가지고 있으며, 이 탄성변형으로 축(83), (84), (88), (89)를 구멍(76)-(79)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있으므로 적은 부품으로 극히 용이하게 조립 할 수 있다.
또한 레버(67)와 레버(68)와를 공통의 용수철(70)로 편기하도록 구성되고 있으므로 부품수가 감소하고 구성이 간략화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변형 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클램퍼(26)를 아암(27)에 의하여 지지하지않고 수직으로 뻗어있는 축에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하고, 이 클램퍼(26)를 조작레버 또는 아암등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조작손잡이(38)의 수동조작으로 클램퍼(26)를 상·하로 움직이게하는 대신 클램퍼(26)를 상·하로 움직이게하는 플런져 소레노이드를 설치하고, 밀어주는 조작으로 전기적으로 클램퍼(26)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효과에 있어서, 클램퍼이동기구(25)를 작동 시킨다하더라도 한쌍의 헤드(54), (55)상호간의 접촉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크카트리지(20)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클램퍼(26)를 동작 시킬 수가 있게 되고, 조정·수리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한쌍의 자기 헤드(54), (55)의접촉을 저지하는 기구는, 디스크카트리지에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되어있으므로 큰힘이 가해지는 염려가 거의 없게 된다.

Claims (7)

  1. 자기디스크카트리지(20)의 기록매체디스크(18)를 뒷받침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된 디스크회전대(16)를 포함하는 디스크회전기구와, 디스크회전대(16)에 대하여 디스크(18)를 붙쳤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디스크를 보호유지하지 않는 위치에서 디스크를 보호유지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 디스크보호유지 위치에서 디스크(18)를 밀어 디스크회전대(16)에 디스크(18)를 고정시키기위한 클램퍼(26)와,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클램퍼(26)에 디스크보호유지 위치와 디스크비보호유지 위치와를 부여하기위한 클램퍼이동기구(25)와, 디스크회전대(16)의 축방향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디스크회전대(16)위에 디스크카트리지(20)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트인곳(37)이 있고, 회전기구, 클램퍼(26), 클램퍼이동기 기구(25)를 수용하는 용기(10)와, 디스크(18)의 한쪽면에 접촉하여 신호변환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된 한쪽의 자기헤드(54)와, 디스크(18)에 접촉하는 위치와, 디스크(18)로부터 떨어진 위치와를 선택적으로 취하고, 디스크(18)에 접촉하는 위치에서는 한쪽의 자기헤드(54)에 대향하여 신호를 교환하는 다른쪽의 자게헤드(55)와, 한쪽의 자기헤드(54)를 뒷받침하고, 디스크(18)의 반경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있는 한쪽의 캐리지(56)와, 다른쪽의 자기헤드(55)를 뒷받침하고, 다른쪽의 자기헤드(55)를 디스크(18)로부터 떨어지게하기위한 제1의 위치와, 다른쪽의 자기헤드(55)를 디스크(18)에 접촋키기위한 제 2으 위치와를 취할 수 있도록 한쪽의 캐리지(56)에 자유자재로 회동할 수 있게부착되어 있는 다른쪽의 캐리지(63)와, 다른쪽의 자기헤드(55)가 한쪽으 자기헤드(5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항상 다른쪽의 캐리지(63)를 편기하는 수단과, 한쪽 및 다른쪽의 자기헤드(54), (55)의 디스크(18)의 반경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한쪽 및 다른쪽의 캐리지(56), (63)를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와, 디스크카트리지(20)가 구멍트인곳(27)을 통하여 디스크 회전대(16)위에 삽입되어 있지 않는 때에는 다른쪽의 캐리지(63)를 편기하는 수단인 편기력에 역행하여 제1의 위치에 보호유지하고, 디스크 카트리지(20)가 구멍트인곳(37)을 통하여 디스크회전대(16)위에 삽입되고 또한 클램퍼(26)가 디스크 보호유지 위치에 있도록 클램퍼이동기구(25)가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다른쪽의 캐리지(63)가 제2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다른쪽의 캐리지(63)와 클램퍼 이동기구(25)와 구멍트인곳(37)에 삽입되는 디스크 카트리지(20)와에 각기 관련이 있는 캐리지제어기구(66)로 구성되는 디스크 구동장치.
  2. 캐리지제어기구(66)는, 제1의 위치에 다른쪽의 캐리지(63)를 보호유지하는 캐리지보호유지와 제2의 위치가 얻어질 수 있도록 다른쪽의 캐리지(63)의 보호유지를 해제하는 캐리지 보호유지해제 위치와를 선택적으로 취할수 있도록 다른쪽의 캐리지(63)에 걸어맞추하도록 하고, 클램퍼(26)가 디스크비보호유지 위치로부터 디스크보호유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캐리지 보호유지해제 위치가 얻어지도록 클램퍼 이동기구(25)에도 걸어맞춤 되어 있는 캐리지 제어레버(67)와, 캐리지제어레버(67)를 자유자재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레버지지체(69)와, 캐리지제어레버(67)를 캐리지보호유지해제 위치가 얻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편기하는 레버편기용추철(70)과, 디스크카트리지(20)가 디스크회전대(16)에 삽입되지 않고 있는 때에는, 캐리지제어레버(67)를 레버편기용수철(70)에 대항하여 캐리지보호유지 위치에 있도록 보존하고, 디스크카트리지(20)가 디스크회전대(16)위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디스크카트리지(20)에 의하여 밀려 캐리지제어레버(67)가 캐리지보호유지해제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회동하는 회동체(72)들로 구성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기재의 디스크 구동장치.
  3. 레버지지체(69)는, 대향하는 한쌍의 지지부(74), (75)를 가지고 있으며, 캐리지제어레버(67)는 탄성변형할 수있는 ㄷ자형상으로 지지되는부분(82)을 가지고 있므며, 이 ㄷ자형상으로 지지되는부분(82)의 대향부분(82a),(82b)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한쌍의 축(83),(84)이 있고, 이 한쌍의 축(83),(84)이 한쌍의 지지부(74), (75)에 형성된 한쌍의 구멍(76), (77)에서 자유자재로 회동할 수 있도록 삽입된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기재인 디스크 구동장치.
  4. 레버지지체(69)는 금속으로 형성된것이며, 캐리지제어레버(67)는 합성수지로 형성된것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기재인 디스크 구동장치.
  5. 클램퍼 이동기구(25)와, 클램퍼(26)를 지지하는 아암(27)고, 아암(27)을 자유자재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디스크 비보호유지 위치가 얻어지는 방향의 편기력을 아암(27)에 공여하기 위한 판용수철(28)과, 조작수단인 클램프조작에 따라 움직여 디스크 보호유지 위치가 얻어지도록 아암(27)을 변위시키고, 조작수단인 클램프 해제조작에 따라 디스크 비보호 위치가 얻어지도록 아암(27)을 변위시키는 기구로 구성되는 것이며, 캐리지제어레버(67)는 아암(37)에 걸어맞춤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 제2항기재인 디스크 구동장치.
  6. 클램퍼(26)가 디스크 비보호유지 위치에 있을때에는 구멍트인곳(37)에 삽입된 디스크카트리지(20)를 한쪽의 자기헤드(54)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로 보호유지하고, 클램퍼(26)가 디스크보호유지 위치에 있게 되도록 클램퍼이동기구(25)가 작동하여 디스크(18)가 한쪽의 자기헤드(54)에 접촉하도록 디스크카트리지(20)를 변위시키는 카트리지위치제한레버(6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범위 제2항기재의 디스크 구동장치.
  7. 한쪽의 자기헤드(54)를 한쪽의 캐리지(56)에 부착하기위한 판용수철(61)과, 다른쪽의 자기헤드(55)를 다른쪽의 캐리지(63)에 부착하기위한 판용수철(64)을 가지는 것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기재의 디스크 구동장치.
KR1019850004422A 1984-06-28 1985-06-21 디스크 구동장치 KR890003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33547A JPS6111965A (ja) 1984-06-28 1984-06-28 記録媒体デイスク駆動装置
JP59-133547 1984-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646A KR860000646A (ko) 1986-01-30
KR890003522B1 true KR890003522B1 (ko) 1989-09-23

Family

ID=1510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422A KR890003522B1 (ko) 1984-06-28 1985-06-21 디스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09281A (ko)
EP (1) EP0166381A3 (ko)
JP (1) JPS6111965A (ko)
KR (1) KR890003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166U (ja) * 1984-05-28 1985-12-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可撓性磁気デイスク装置
JPH0755711Y2 (ja) * 1985-04-03 1995-12-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用記録再生装置
KR920004585B1 (ko) * 1986-05-26 1992-06-11 오끼뎅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의 수동식 헤드 로우딩 장치
US4875119A (en) * 1987-03-03 1989-10-17 Teac Corporation Head loading mechanism for flexible disc drive
US5173893A (en) * 1989-03-03 1992-12-2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sc double insertion preventing mechanism for disc player
JPH0697531B2 (ja) * 1989-03-03 1994-11-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US5243480A (en) * 1990-07-27 1993-09-07 Mitsumi Electric Co., Ltd. Floppy disk drive
JP2983435B2 (ja) * 1993-07-30 1999-11-2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及び該粒子から得られるスチレン系樹脂発泡成形体
US5771139A (en) * 1995-08-03 1998-06-23 Phase Metrics Integrated spring head/gimbal assembly holder
TW408316B (en) 1997-11-13 2000-10-11 Teac Corp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3424A (en) * 1979-06-21 1983-07-12 Sycor, Inc. Pressure arm assembly for disc recorders
US4602306A (en) * 1981-10-30 1986-07-22 Teac Corporation Recorder/reproducer apparatus with a disc-shaped record medium
JPS5877081A (ja) * 1981-10-30 1983-05-10 Teac Co 記録媒体デイスク駆動装置
JPS5877080A (ja) * 1981-10-30 1983-05-10 Teac Co 記録媒体デイスク駆動装置
US4419703A (en) * 1981-11-16 1983-12-06 Dma Systems Corporation Disc cartridge loading mechanism
US4509086A (en) * 1982-06-22 1985-04-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registering a diskette in a diskette drive
JPS5990260A (ja) * 1982-11-12 1984-05-24 Hitachi Ltd フロツピ−デイスク駆動装置
US4577249A (en) * 1983-01-31 1986-03-18 Gill Cantwell Disc loading apparatus
JPS60192166U (ja) * 1984-05-28 1985-12-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可撓性磁気デイ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66381A2 (en) 1986-01-02
JPS6111965A (ja) 1986-01-20
EP0166381A3 (en) 1988-09-14
JPH028388B2 (ko) 1990-02-23
US4709281A (en) 1987-11-24
KR860000646A (ko) 1986-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3677A (en) Magnetic disk drive having a movable drive motor loading mechanism
KR890003522B1 (ko) 디스크 구동장치
EP0135969B1 (en) Optical disc player
KR900007502Y1 (ko) 디스크 구동장치
JPS6319947B2 (ko)
US4669008A (en) Disk support device
KR890006303Y1 (ko) 디스크 구동장치
JPS6218981B2 (ko)
JPH0115939B2 (ko)
JP2516161Y2 (ja) ディスク装置
KR890003560B1 (ko) 자기 디스크(disk)구동장치
US20020114255A1 (en) Disk adapter
JP2526807B2 (ja) 記録媒体ディスク駆動装置
JPH0237160Y2 (ko)
KR100809722B1 (ko) Hsa 장착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JPH056599Y2 (ko)
JPH05307827A (ja) 記録媒体ディスク駆動装置
JPH067486Y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US6259582B1 (en) Chucking device in FDD
JP3685911B2 (ja) コンパチブルドライブ装置
US6442121B1 (en) Optical pickup dust-proofing structure
JPH067487Y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US20020024912A1 (en) Positioning system for use in a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349881Y2 (ko)
JP3045330U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