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462Y1 -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 - Google Patents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462Y1
KR890003462Y1 KR2019860005387U KR860005387U KR890003462Y1 KR 890003462 Y1 KR890003462 Y1 KR 890003462Y1 KR 2019860005387 U KR2019860005387 U KR 2019860005387U KR 860005387 U KR860005387 U KR 860005387U KR 890003462 Y1 KR890003462 Y1 KR 890003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s drum
pulse
terminal
diod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5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7146U (ko
Inventor
김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05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462Y1/ko
Publication of KR8700171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71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11: 저항 C1-C6: 콘덴서
D1-D4: 다이오드 TR1: 트랜지스터
VR1-VR3: 가변저항 1 : 미분회로부
2 : 리미터회로부 3 : 발진회로부
4 : 저역필터부
본 고안은 베이스 드럼의 소리를 내게 하는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제 베이스 드럼을 사용하는 대신 간단하게 음향기기에 적용함으로써 현장감있고 다이나믹한 베이스 드럼 소리를 낼 수 있게 한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실제 악기연주에 대신하여 음향효과를 내는 것으로 에코밴드가 있어 음악연주에 간편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이는 단지 음악의 멜로디만을 내는 것으로 음악연주의 배경으로 등장하는 타악기, 특히 베이스 드럼에서 나는 소리를 대신하는 소리가 없어 실제 베이스 드럼을 사용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때 녹음된 베이스 드럼 소리를 사용하기도 하나 이는 음악의 흐름에 따라 자유자재로 적시에 사용하는데에는 많은 불편이 있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단점을 감안하여, 실제 베이스 드럼 소리와 같은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만들어 음향기기를 통해 재현함으로써 간편하게 생음악에 대용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펄스입력단자(Pi)는 다이오드(D1)를 통해 저항(R1)(R2)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그 접속점은 콘덴서(C1), 저항(R3)으로 구성된 미분회로부(1), 다이오드(D2)(D3)로 구성된 리미터회로부(2), 다이오드(D4) 및 저항(R4)을 통한후 저항(R5-R10), 콘덴서(C2-C5), 가변저항(VR1)(VR2) 및 트랜지스터( TR1)등으로 구성되는 발진회로부(3)의 입력측에 접속하며, 그의 출력측은 저항(R11), 콘덴서(C6)로 구성된 저역필터부(4) 및 가변저항(VR3)을 통해 출력신호단자(So)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면의 미설명부호 Vcc는 전원단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Vcc)를 통해 전원이 인가된 후, 펄스입력단자(Pi)를 통해 제2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형펄스가 입력되면 이 입력 구형펄스는 다이오드(D1)를 통해 미분회로부(1)에 입력되어 제2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으로 미분되게 되고, 이 미분된 펄스가 리미터회로부(2)를 통하여 일정치 이상의 신호값이 커트된후 다이오드(D4)를 통해 제2도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으로 정류된후 공지의 발진회로부(3)의 입력단자(A)에 입력되어 그의 출력단자(B)로부터는 일정주파수로 발진된 신호가 출력된다. 즉, 발진회로부(3)의 입력단자(A)에 펄스가 입력되면(제2도의 (c)), 그 펄스가 콘덴서(C3)를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가 온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는 반전된 신호가 출력되며, 이 반전된 출력신호가 콘덴서(C2-C5)를 통해 위상이 반전되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정궤환 인가됨으로써 발진회로부(3)의 발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발진신호는 입력펄스에 따른 과도현상에 의해 발진하며 그의 감쇠시간은 가변저항(VR1)의 값을 조정함에 따라 정해지게 되고 발진주파수는 가변저항(VR2)의 값을 조정함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발진된 신호는 지역필터부(4)를 통해 필터링된후 가변저항(VR3)을 통해 그의 크기가 결정되어 출력되게 되는바, 상기에서 발진주파수가 베이스 드럼 소리의 주파수와 같은 100KHz-200KHz가 되도록 가변저항(VR2)의 값을 조정하면 출력신호(제2도 (d))는 베이스 드럼을 두드렸을때와 같은 주파수로 출력되게 된다.
결국, 입력 구형펄스의 상승순간의 최대펄스 전압치로 드럼을 치는 것과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입력 구형펄스의 상승 순간의 최대 전압치를 이용하여 발진회로부(3)를 구동시킴으로써 베이스 드럼에서 나는 소리와 같은 음향효과를 내는 주파수를 출력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펄스입력단자(Pi)는 다이오드(D1), 미분회로부(1), 리미터회로부(2), 다이오드(D4)를 통해 발진회로부(3)의 입력단자(A)에 접속하고 그의 출력단자(B)는 지역필터부(4) 및 가변저항 (VR3)을 통해 출력신호단자(So)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
KR2019860005387U 1986-04-21 1986-04-21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 KR890003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5387U KR890003462Y1 (ko) 1986-04-21 1986-04-21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5387U KR890003462Y1 (ko) 1986-04-21 1986-04-21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146U KR870017146U (ko) 1987-11-30
KR890003462Y1 true KR890003462Y1 (ko) 1989-05-25

Family

ID=1925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5387U KR890003462Y1 (ko) 1986-04-21 1986-04-21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4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146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6384A (en) Variable filter circuit, especially for synthesizing and shaping tone signals
KR890003462Y1 (ko) 베이스 드럼 음원회로
US3465088A (en) Musical instrument percussive keyer with variable signal decay
US3598891A (en) Musical tone-forming circuitry including filter and random noise modulation
US4160402A (en) Music signal conversion apparatus
US3637913A (en) Tone generator employing asymmetrical wave generator rectangular
US4198891A (en) Circuit for simulating sounds of percussive instruments
KR890003464Y1 (ko) 심벌즈 음원회로
KR890003461Y1 (ko) 탬버린 음원회로
KR890003463Y1 (ko) 클라브스(clave) 음원회로
US4044643A (en) Musical instrument circuit providing celeste and vibrato effects
JPS5913667Y2 (ja) 楽音信号発生回路
JPS6233596B2 (ko)
JPS58102293A (ja) 楽器用増幅器
SU43043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частотного вибрато
JPS5848717Y2 (ja) 音色制御開閉回路
JPH0535615Y2 (ko)
JPS587435Y2 (ja) 電子楽器の効果回路
JPH0419589Y2 (ko)
JPH0419590Y2 (ko)
JPS6232316Y2 (ko)
US4351213A (en) Player for digitally recorded music
KR910003568Y1 (ko) 전자 키보드의 플루트 (flurte) 음색 발생회로
JPS5918468Y2 (ja) 電子楽器における共鳴音合成装置
JPS5825431Y2 (ja) 電子楽器の振幅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