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002Y1 - 자동요람으로 된 요모차 - Google Patents

자동요람으로 된 요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002Y1
KR890003002Y1 KR2019860020140U KR860020140U KR890003002Y1 KR 890003002 Y1 KR890003002 Y1 KR 890003002Y1 KR 2019860020140 U KR2019860020140 U KR 2019860020140U KR 860020140 U KR860020140 U KR 860020140U KR 890003002 Y1 KR890003002 Y1 KR 890003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electromagnet
plate
magnetic body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0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072U (ko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2019860020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002Y1/ko
Publication of KR880012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0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2Devices for rocking or oscil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요람으로 된 유모차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앞으로 기울었을때의 작동 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뒤로 기울었을때의 작동 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회동부와 베어링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발췌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 예시 단면도로서 슈우의 후방에만 바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작동 상태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실시 예시 발췌 사시도로서 유모차를 운반차에 설치시키는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판 2 : 좌판
5 : 회동부 6,61,62 : 자성체
7 : 베어링 8 : 심봉
9 : 슈우 11 : 슈우상판
12 : 고정구 13 : 작동함
14,141,142 : 전자석 15 : 스프링
16 : 횡간 17,171 : 바퀴
18 : 지지편 19 : 운반차
21 : 삽입홈 22 : 고정편
본 고안은 요람을 유모차로 형성하며 슈우의 관성과 더불어 최소의 에너지로 연속 반복 동작을 원활하고 자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요람으로 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4-11683호를 개량시킨 것이다.
종래의 요람이나 안락의자등은 대부분이 신체를 이용하여 전, 후로 흔들리도록 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를 얻도록 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신체를 이용하므로서 충분한 휴식처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감속모터등을 이용하여 자동요람을 시도한 바 있었으나, 이는 요람의 자중을 이용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의 발생과 무거운 어린이가 탔을때와 같이 무게의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무리한 충격이 가해져 쉽게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되고 작동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결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실내. 외에서 공히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슈우와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요람을 안출한 것이며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하여 안출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84-11683호를 개량하여 보다 간단하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자동요람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측판(1), 좌판(2), 등받이(3), 오락관(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양측판(1)의 하방에 수은이 내장된 회동부(5)를 원호상으로 형성하고 좌판(2)이 저면에는 자성체(6)를 설치하며 회동부(5)의 중심부에는 심봉(8)에 축설된 베이링(7)을 설치하고 심봉(8)은 지지각(10)을 가진 슈우(9)의 상판(l1)에 고정구(12)로 고정 설치하며 슈우(9)의 상판(11)중앙에는 타이머와 릴레이가 내장된 작동함(13)을 설치하고 상판(11)의 전방으로 자성체(6)에 대응토록 전자석(14)을 설치하고, 좌판(2)의 저면과 상판(11)의 상부 네모서리에는 스프링(15)을 탄력있게 설치하며 슈우(9)의 전, 후 횡간(16)에는 바퀴(17)를 설치토록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 자성체(6)를 연철 또는 전자석이나 영구자석으로 할 수도 있고, 상기 자성체(6)와 전자석(14)을 상판(11) 후방에 제4도와 같이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제5도와 같이 상판(11)의 전방에는 극이 다른 전자석(141)과 자성체(61)를, 후방에는 극이 같은 전자석(142)과 자성체(62) 또는 영구자석과 자성체를 설치할 수도 있고, 제7도 및 제8도와 같이 바퀴(171)를 슈우(9)의 후방 횡간(16)에만 설치하되, 평상시에는 바퀴(171)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전방 횡간(16)의 하방에는 지지편(18)을 설치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제9도와 같이 저면에 바퀴(20)를 설치하고 상부 양측에는 원호상 삽입홈(21)을 길게 형성하며 이들의 상면에 고정편(22)을 설치한 운반차(19)에 상기 유모차의 슈우(9)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정지 상태에서 작동함(13)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판(11)에 설치된 전자석(14)에 자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전자석(14)의 자력권내에 있는 자성체(6)가 전방스프링(15)을 누르면서 하강하여 전자석(14)에 거의 맞붙게 되며 이에 따라 베어링(7)을 중심으로 회동부(5)를 가지 유모차의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게 되고 다시 전원을 차단하면 전자석(14)의 자력이 상실되어 눌려진 스프링(15)의 탄력과 반작용에 의하여 유모차의 상부가 다시 뒤로 기울게 되어 제3도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슈우(9)가 정지된 상태로 측판(1)에 형성된 수은을 내장한 회동부(5)와 베어링(7)에 의하여 유모차의 상체만이 회동되며 작동함(13)내에 타이머를 설치하고 간헐적으로 송전하므로서 유모차의 요람 작용을 간헐적으로 할 수 있으며 타이머의 작동시간 조정에 따라 회동상태를 빠르거나 늦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4도와 같이 전자석(14)과 자상체(6)를 상판(11)의 후방에 설치하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되고, 제5도와 같이 전방에는 서로 다른 극의 자성체를, 후방에는 서로 같은 극의 자성체를 설치하거나, 상기의 역으로 설치하게 되면, 다른 극의 자성체가 서로 붙으면서 유모차를 기울게 하고 서로 같은 극의 자성체는 반작용을 가속화시켜 동작을 보다 유연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7도 및 제8도에서와 같이 바퀴(171)를 슈우(9)의 후방 횡간(16)에 설치하되, 평상시에는 슈우(9)가 지면에 닿지 않고 지지편(18)만이 지면에 닿도록 하여 작동 도중 유모차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며, 유모차를 운반시에는 제8도와 같이 뒤로 젖힌 상태에서 운반을 하도록 하므로서 보다 안정성있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실외에서 유모차를 사용코져 할때는 운반차(19)의 삽입홈(21)에 유모차의 슈우(9)를 각각 삽입시키고 고정편(22)을 회동시켜 슈우(9)의 상부를 고정시킨 상태로 유모차를 실외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전자석의 간헐적 작동에 따라 상부체를 자동적으로 전, 후 회동시키므로서 편안하고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유아들이 기분좋게 취침을 할 수 있고 작동이 원활하게 되어 소음 발생이 없으며 고장률이 극히 적고 특히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는 회동부와 베어링을 이용하여 수동적으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실내, 외 운반이 용이하고 성인용 흔들의자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6)

  1. 측판(1), 좌판(2), 등받이(3)로 된 유모차의 상부체 하방에 슈우(9)를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좌판(2)의 저면에 자성체(6)를 설치하고 상판(11)의 전방 상부에는 전자석(14)을 설치하며 측판(1)에는 회동부(5)를 형성하여 이의 중심부에 심봉(8)으로 축설된 베어링(7)을 설치하고 심봉(8)은 슈우(9)의 상판(11)에 고정구(12)로 고정시키며 슈우(9)의 횡간(16)에는 바퀴(17)를 설치하여 운반이 가능토록 구성하여서 된 자동 요람으로 된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좌판(2)의 저면에 설치되는 자성체(6)를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하여서 된 자동 요람으로 된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전자석(14)과 자성체(6)를 상판(11)의 후방에 설치하여서 된 자동 요람으로 된 유모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판(11)의 일방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자성체와 전자석을 설치하고 타방에는 서로 같은 극성을 가진 자성체와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을 설치하여서 된 자동 요람으로 된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슈우(9)의 후방 횡간(16)에만 바퀴(171)을 설치하고 전방 횡간(16)에 지지편(18)을 설치토록 구성하여서 된 자동 요람으로 된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저면에 바퀴(20)를 설치하고 상부 양측에는 삽입홈(21)을 길게 형성하며 이들의 상면에 고정편(22)을 설치한 운반차(19)에 슈우(9)를 설치하여 운반 가능토록 구성하여서 된 자동 요람으로 된 유모차.
KR2019860020140U 1986-12-15 1986-12-15 자동요람으로 된 요모차 KR890003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140U KR890003002Y1 (ko) 1986-12-15 1986-12-15 자동요람으로 된 요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140U KR890003002Y1 (ko) 1986-12-15 1986-12-15 자동요람으로 된 요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072U KR880012072U (ko) 1988-08-26
KR890003002Y1 true KR890003002Y1 (ko) 1989-05-13

Family

ID=1925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0140U KR890003002Y1 (ko) 1986-12-15 1986-12-15 자동요람으로 된 요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0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072U (ko) 198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3173A (en) Toy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parts and detachable appendages
US6464594B1 (en) Releasable and securable mobile
CA1166666A (en) Merry-go-round stroller
US5099528A (en) Perambulator rocking unit
EP1397283B1 (en) Rocking device
ES282450U (es) Un portador de nino
EP0377472A2 (en) Miniature vehicle with magnetic enhancement of traction
KR890003002Y1 (ko) 자동요람으로 된 요모차
CN207737357U (zh) 多功能婴童手推车
KR870002247Y1 (ko) 자동요람으로 된 유모차
JPH01107788A (ja) 動物活動玩具
CN217338012U (zh) 电动儿童摇椅
EP2255857A1 (en) Magnetic levitation toy
CN2035198U (zh) 组合磁动多用摇篮
CN216331591U (zh) 一种用于儿童座椅的圆盘支撑结构
CN216302370U (zh) 一种脆性匣钵步进输送机构
KR880000331Y1 (ko)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CN217338011U (zh) 儿童用品及其底架
US20020145345A1 (en) Portable rocking device
KR900006345Y1 (ko) 유아용 자동 목마
CN113581274B (zh) 一种童车的刹车机构及童车
CN209467265U (zh) 一种具有摇马功能的变形推车
CN215665464U (zh) 一种实现自动翻转的输送板链带装置
CN110477674B (zh) 一种供电营业厅专用育婴椅
FR2773767B1 (fr) Jouet a roues pour enf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