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962B1 - 카세트형 자기 바블 메모리 - Google Patents

카세트형 자기 바블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962B1
KR890002962B1 KR1019830004219A KR830004219A KR890002962B1 KR 890002962 B1 KR890002962 B1 KR 890002962B1 KR 1019830004219 A KR1019830004219 A KR 1019830004219A KR 830004219 A KR830004219 A KR 830004219A KR 890002962 B1 KR890002962 B1 KR 890002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magnetic bubble
holder
lev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883A (ko
Inventor
도시아끼 스게다
사도루 이마이
Original Assignee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7157774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488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5715777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488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57157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48886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02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9/0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 films in plane struc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02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9/0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 films in plane structure
    • G11C19/085Generating magnetic fields therefor, e.g. uniform magnetic field for magnetic domain stabilis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형 자기 바블 메모리
제1도는 리드를 닫은 자기바블카세트의 사시도.
제2도는 리드를 연상태의 자기바블카세트의 사시도.
제3도는 호울더의 평면도.
제4도는 호울더의 부분절단 정면도.
제5도는 호울더의 좌측 정면도.
제6도는 호울더의 우측 측면도.
제7도는 리드가 닫힌 호울더의 정면도.
제8도는 제10도의 Ⅷ-Ⅷ선 단면도.
제9도는 제10도의 Ⅸ-Ⅸ선 단면도.
제10도는 호울더의 저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슬라이더의 배출스프링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제14도, 제14도, 및 제15도는 카세트의 이탈방지를 위한 실시예들의 개략도.
제16도는 제15도에 있어서 카세트 이탈방지기구의 일부분(슬라이더)의 사시도.
제17도는 호울더의 리드위치를 검출하는 기구에 관한 개략적 사시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카세트 삽입검출기구에 관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도피홈 9 : 핑거
10 : 리드 11 : 피봇축
3, 16 : 코넥터 15 : 카세트 호울더
14 : 포킷 14i : 카세트입구
20 : 사출버튼 c : 카세트
1 : 상단레버 24, 27 : 슬릿
22 : 슬라이더 25, 26, 29, 30 : 로울러
33 : 복귀스프링 35 : 사출토오션스프링
34, 36 : 핀 21 : 저면패널
32 : 레버
본 발명은 자기 바블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카세트형 자기바블 장치를 이용해서 자기바블을 제어하여 정보를 기억하고 전달하며 또한 자기바블 카세트를 호울더 코넥터에 장착하는 자기바블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카세트형 자기바블 장치가 점차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동시에 카세트를 호울더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문제에 관한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카세트를 호울더에 설치하는 것이 쉬워지면 쉬워질수록 자기바블장치의 작동중에 카세트가 호울더로부터 불의로 이탈할 가능성은 더 커지며 그에 따르는 기억정보의 상실 염려도 커진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중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카세트형 자기바블 메모리의 이와같은 요청을 충족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세트를 언제나 용이하게 장착하고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잇으며, 접촉이 잘못되거나 연결이 잘못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장난 연결부를 용이하게 수리해서 카세트를 원상 복귀시킴, 또한 과오 연결시에 자기 바블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그러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코넥터가 제공되고 또한 케이스내에 자기 바블칩, 구동코일, 바이아스자석 및 연관소자들로써 구성되는 카세트를 갖추고 자기바블 카세트를 코넥터에 의해 수용할 수 있는 호울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자기바블 메모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량은 카세트를 호울더의 카세트 포킷으로부터 카세트를 사출시키는 기구와, 사출기구를 작동시키는 사출버튼, 카세트 포킷의 카세트 입구를 덮을 수 잇고 사출버튼도 덮을 수 있을 정도로 크며 카세트 포킷의 카세트 입구정면에 제공되는 리드 및 상기 리드의 위치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도면과 관련시켜서 본 발명의 카세트형 자기바블 메모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자기바블칩, 구동코일, 바이아스자석 및 연관소자들을 포함하는 도시되지 않은 자기밥블도 메인장치가 카세트(C) 내부에 들어있고, 상기 카세트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부카바(1a)와 하부카바(1b)로써 구성된다. 카세트(C)는 정면에 요동리드(2)(swing lid)가 제공되어 있다. 리드(2)를 열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코넥터(3)를 노출시킨다. 상부카바(1a)의 높이(h1)는 하부카바(1b)의 높이(h2)보다 크다 그래서 카세트(C)는 상부카바(1a)와 하부카바(1b)가 맞닿는 평면에 대해서 비대칭이다.
카세트의 정확한 장착을 보장하기 위한 홈(4)은 상, 하부카바(1a, 1b)가 접하는 곳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홈(4)의 저면에는 접지금속(5)이 제공되며, 호울더에는 접지스프링(6)이 고정되어서 상기 접지금속(5)에 반하여 압축되도록 한다. 홈(4)과 접지금속(5)은 카세트(c)의 양측벽에 제공된다. 장착 또는 위치 검출을 위한홈(7)이 카세트의 저벽과 좌, 우벽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두개의 평행하는 도피홈(8)이 카세트의 상벽에 형성되어 있다. 리드(2)의 두개의 핑거(fingers)(9)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도피홈(8)의 말단으로 삽입될 수 있다. 통상리드(2)는 토오션 스플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닫힘 위치로 편의되고 있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카세트(c)를 받아들여서 장착하는 호울더(H)는 그 전면에 리드(10)가 있다. 제5도, 제6도, 제8도, 제9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리드(10)의 피봇축(11)이 리드(10)의 상단에 제공된다.
제8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리드(10)의 토글작동(toggle motion)을 위한 토글스프링(12)을 리드(10)와 호울더(H)의 본체사이에 배설하므로서 리드(10)가 닫힐때는 토글스프링(12)이 리드(10)쪽으로 좀더 가까워져서 리드(10)로 하여금 닫힘 위치가 되게한다. 손가락으로 놉(13)을 잡아당겨서 리드(10)를 화살표a4(제8도)쪽으로 열면(제8도), 토글스프링(12)이 피봇축(11)을 후방으로 통과한 후 토글스프링(12)은 리드를 열림방향으로 편의시켜서 리드(10)가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열리고 닫히게 한다.
제7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리드(10)을 열면 카세트포킷(14)을 노출시킨다.
제8도와 같이 측면에서 보면 코넥터(16)가 포킷(14)의 제일 안쪽 호울더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호울더의 리드(10)를 열고 카세트(c)를 카세트입구(14i)를 통하여 화살표 a2방향으로 포킷(14)속으로 넣는다. 그러면 포킷(14)내에 제공된 코넷터(16)와 카세트(c)의 콘넥트(3)가 서로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pc)이 코넥터(16)에 전기적으로 고정된다. 자기 바블장치의 제어회로 같은 주변회로가 인쇄회로기판(pc)에 형성된다. 카셋트(c)의 도피홈(8)대응하는 두개의 리브(18)가 포킷(14)의 상단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고 카세트의 삽입방향과 평행한다. 카세트가 포킷(14)에 삽입되면 카세트(c)의 핑거(9)들은 리브(18)의 외측단(18a)과 당접하고 (제8도) 화살표 a2(제1도)방향으로 거기에 작용되고 있는 힘에 의해서 밑으로 눌려진다. 그후에 카세트가 더 깊이 포킷내로 삽입됨에 따라 리브(18)는 리드(2)의 핑거(9)위를 도피홈(8)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간다. 이렇게해서 통상 닫혀있는 카세트의 리드(2)는 코넥터(16 및 3)들이 상호 연결되기 직전에 열려진다.
제7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수평 리브(19)는 포킷(14)의 좌우측벽에 형성되어서 카세트이 좌, 우측홈(4)과 맞물려저 카세트가 포킷(14)내로 삽입될때 안내되는 역활을 하며 카세트가 포킷(14)내로 거꾸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카세트는 카세트 입구(14i)를 통하여 수동으로 포킷(14)내로 밀어넣을 수가 있다. 카세트를 포킷(14)으로부터 빼낼려면 사출버튼(20)을 화살표 a1방향으로 누른다.
카세트 삽입기구와 사출기구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하고자 한다. 포킷(14)의 저널패널(21)내면위에 슬라이더(22)가 놓여있다. 슬라이더의 내측단(코넥터쪽에 있는 단)은 상방으로 굴곡되어서 일체식의 정지판(23)을 이룬다. 카세트를 포킷(14)내로 삽입하면 슬라이더(22)위에 올려진다. 카세트의 삽입방향으로 뻗는 슬릿(24)이, 제8도 및 제10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저널패널(21)에 형성된다. 두개의 로울러(25, 26)가 일정간격을 갖고서 슬라이더(22)에 고정되괴 슬릿(24)에 걸져서 제공되어 있다.
한편 제9도와 제10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사출버튼(20)의 전후운동 방향으로 뻗는 슬릿(27)이 또한 저면패널(21)에 슬릿(24)과 평행으로 형성된다. 두개의 로울러(29, 30)가 사출버튼(20)의 스템(28)에 부착되고 슬릿(27)내 및 상부에 끼워져 설치된다. 레버(32)가 피봇축(31)에 의해서 저면패널(21)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레버의 일단(32a)은 사출버튼(20)의 스템(28)에 부착된 로울러(29, 30)사이에서 지지되고, 타단(32b)은 슬라이더(22)에 부착된 로울러(25, 26)사이에 위치한다. 복귀스프링(33)이 레버(32)를 통하여 로울러(29, 30)와 사출버튼(20)을 복귀방향(화살 a1의 방향방향)으로 편의시킨다.
사출토오션 스프링(35)은 슬릿(24)에 접하고 있는 슬라이더(22)에 고정된 핀 및 저면패널(21)에 고정된 핀과 계합하여 슬라이더(22)를 카세트를 사출하는 방향(화살표 a1향)으로 변화시킨다. 제10도에서는 슬라이더(22)가 안쪽끝까지 들어가 있는 자세이다. 사출버턴(20)을 스프링(33)의 탄력과 반대인 화살표 a1방향으로 누르면 슬라이더(229는 사출스프링(35)의 탄력에 의해서 st 거리만큼 후퇴해서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사출스프링(35)은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카세트가 포킷(14)내로 삽입되면, 카세트의 전단부는 정지판(23)과 접하게 된다. 사출스프링(35)의 탄력은 슬라이더(22)상에서 화살표 a3방향으로 작동하므로 카세트는 사출스프링(35)의 탄력에 맞서서 더 밀어넣아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슬라이더(22)는 카세트와 함께 제10도에서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제8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 또는 제10도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전진한다. 슬라이더(22)가 전진하는 동안 슬라이더(22)에 고정되고 사출스프링(35)의 일단에 고정된 핀(34)이 저면패널(21)에 고정되고 사출스프링(35)의 타단과 연결된 핀(36)에 대응하는 선을 통과할때 슬라이더(22)에 스냅력(snapping force)이 작용해서 슬라이더(22)와 카세트로 하여금 코넥터(16)쪽으로 편의시켜서(화살표 a3의 반대방향), 카세트의 삽입과 코넥터(16, 3)들간의 상호 연결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한다. 레버(32)는 복귀스프링(33)에 의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편의되므로 레버(32)는 사출버튼(20)이 눌려질때까지 사출버튼을 복귀된 상태로 유지하는 자세로 남아있게 된다.
포킷(14)에 장착된 카세트는 사출버튼(20)을 복귀스프링(33)의 탄력에 맞서서 제9도에서 화살표 a1이 지시하는 방향으로 눌려서 간단히 빼낼수가 있다. 사출버튼(20)을 누르면 레버(32)의 우측단(32a)이 제10도의 위치로부터 화살표 a1이 가르키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로울러(26)는 화설표 a3가 가르키는 방향으로 밀려나고 슬라이더(22)는 카세트입구(14i)쪽으로 밀려난다. 따라서 슬라이더(22)는 정지판(23)은 카세트를 화살표 a1이 지시하는 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코넥터(3)를 코넥터(16)로부터 분리시키고 카세트를 카세트입구(14i)를 통해서 사출되게 한다. 이러한 카세트 사출작동중에, 핀(34)이 제10도의 실선이 지시하는 위치로부터 화살표 a3방향으로 이동해서 핀(36)에 대응하는 선을 지나면 사출스프링(35)의 탄력은 화살표 a3방향으로 작용해서, 슬라이더(22) 및 거기에 실린 카세트는 카세트입구(14i)쪽으로 사출된다.
제10도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피봇축(31)과 레버(32)의 좌측단(32b)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이와같은 지렛대 효과를 이용하므로서 작은힘으로써 슬라이더(22)를 구동하여 코넥터(3, 16)들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22)의 작동에 필요한 힘을 줄이기 의해서는 피복축(31)과 레버(32)의 좌측단(32b)간의 상대적 길이를 줄일필요가 있다. 그렇게되면, 레버(32)의 좌측단(32b)의 스트로크도 또한 줄어든다 사출스프링(35)의 스냅력의 작용방향은 레버(32)의 좌측단(32b)의 스트로크 범위내에서 반전하도록 관련기구가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슬라이더(22) 및 그것이 싣고 있는 카세트는 사출토오션 스프링(35)의 스냅력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사출된다. 그래서 사출스프링(35)으로써 슬라이더(22)의 스트로크를 증대시키면 레버(32)의 좌측단(32b)의 스트로크의 감소를 보상할 수가 있다.
이와 동일한 효과는 이러한 토오션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인장코일스프링(35a)을 사용해서 얻을수가 있다. 제11도 및 제12도에서 요동판(45)의 일단이 저면패널(21)의 "47"에 피봇 연결되고 그 타단은 슬라이더(22)의 "46"에 피봇연결되며, 인장코일스프링(35a)이 요동판(45)의 일단(46)과 저면패널(21)의 소정위치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이렇게되면, 코일스프링(35a)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봇축(47)을 기준으로해서 레버(32)쪽에 위치할때는 코일스프링(35a)은 슬라이더(22)를 코넥터(16)쪽으로 편의시키게 된다. 이와반대로 사출버튼(20)을 작동해서 레버(32)를 통해서 슬라이더(22)를 화살표 a3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레버(32)의 자유단(46)이 피봇축(47)을 지나가면 코일스프링(35a)의 탄력은 요동판(45)에 화살표 a3방향으로 작용하므로서 슬라이더(22) 및 카세트를 사출방향(화살표 a1의 반대방향)으로 편의시키며, 따라서 제12도가 도시하는 바와같은 상태가 이루어진다. 카세트를 포킷(14)내로 삽입해서 슬라이더(22)를 제12도의 위치로부터 제11도의 위치로 밑면 코일스프링(35a)의 작용방향은 화살표 a3의 반대 방향으로 반전해서, 스프링(35a)의 스냅력이 코넥터(3과 6)들을 상호연결시키는데 기여한다. 포킷(14)내에서 전후 운동할수 있도록 슬라이더(22)는 상자형(box-shape)으로 형성되어서 그속에 카세트를 수용한다.
카세트를 사출할때에 카세트가 외부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하겠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카세트(c)는 사출스프링(35 또는 35a)에 의해서 슬라이더(22)가 화살표방향(a3)으로, 다시말하면 제8도의 화살표 a1반대방햐으로 이동함으로써 포킷으로부터 사출된다. 이러한 사출동작시에, 만약 카세트 (c)가 관성에 의해서 슬라이더(22)의 이동거리보다 너무 큰 거리를 이동하도록 허용한다면 카세트는 호울더(H)의 카세트입구(14i)를 튕겨나와서 지면으로 떨어질수도 있다. 카세트(c)가 이와같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에 관해서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제13도에서 보여주는 이탈방지기구의 실시예에서는 호울더(H)의 카세트 포킷(14)의 상단패널(17)에 스프링설치구멍(51)을 형성하고, 판스프링으로 만든 스토퍼(52)를 상단패널(17)의 상면에 부착하여 스프링의 일부가 스프링설치구멍(51)을 통해서 포킷(14)내로 들어오게 한다. 한편 카세트(c)의 상면에는 삽입 방향으로 뻗는 길쭉한 홈(53)(제1도 및 제13도)이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c)가 호울더(H)에 장착되면 홈(53)은 호울더(H)의 스토퍼(52)의 계합한다. 카세트(53)가 사출되면, 카세트(c)의 홈의 일단(53a)이 호울더(H)의 스토퍼(52)와 당접하기 대문에 카세트이 이탈이 방지된다.
카세트를 호울더로부터 빼기 위해서는 카세트(c)를 당기면 스토러(52)기 휘어서 홈(53)으로부터 빠져나가기 때문에 카세트를 용이하게 뽑을 수가 있다.
제14도에서 보는 이탈방지기구의 실시예에서는 제13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호울더(H)의 포킷(14)의 상단패널(17)에 스프링설치구멍(51a)이 형성되고 판스프링으로 만든 스토퍼(52a)가 상단패널(17)의 상면에 부착되며 판스프링의 일부가 스프링 설치구멍을 통해서 포킷(14)내로 들어오지만, 제13도의 실시예와는 달리 카세트(c)에 특별한 홈을 설치하지를 않는다 제14도의 실시예에서는 리드(10)(제1도 및 2도)의 도피홈(8)과 핑거(9)가 이 목적으로 이용된다. 다시말하면 카세트를 삽입하면 스토퍼(52a)는 도피홈(8)의 어느하나와 계합하며, 리드(10)의 핑거(9)가 호울더(H)의 포킷의 상벽에 형성된 리브(18)를 지나고 닫힌뒤에 카세트를 사출할때는, 스토퍼(52a)가 핑거(9)의 이면과 계합됨으로서 카세트(c)의 이탈을 방지한다. 카세트를 빼낼때는 제13도의 실시예에서 카세트를 빼낼때와 같이 카세트를 당기면 스토퍼(52a)가 휘어져서 리드(10)의 핑거(9)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제15도 및 제16도에서 보는 이탈방지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판스프링으로 만든 스토퍼(54)가 호울더(H)의 슬라이더(22)상의 임의의 위치에 제공된다. 스토퍼(54)는 예로써 점용접에 의하여 슬라이더(22)의 저면에 고정시키고, 스토퍼(54)의 일부가 슬라이더(22)에 형성된 구멍 또는 홈(55)을 통하여 포킷(14)내로 들어간다. 한편 카세트(c)에는 스토퍼(54)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56)이 형성된다. 카세트(c)를 포킷(14)에 장착하면 홈(56)이 스토퍼(54)와 계합한다. 홈(56)과 스토퍼(54)간의 결합은 카세트(c)로 하여금 카세트 사출동작시에 슬라이더(22)와 함께 이동하고 슬라이더(22)가 정지하면 함께 정지해서, 카세트(c)의 이탈을 방지한다. 카세트(c)는 제13도 및 제14도의 실시예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호울더(H)로부터 빼낼수 있다. 카세트(c)를 당기면 스토퍼(54)가 휘어져서 홈(56)으로부터 빠져나가기 때문에, 카세트(c)는 호울더(H)로부터 용이하게 빼낼수 있다.
카세트(c)내에 포함되는 자기바블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기구에 관해서 아래에 설명하고자 한다. 예로서 카세트가 호울더(H)내에서 작동중에 불의로 사출되면 자기바블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가 손상받기 쉽다. 그렇기때문에 자기바블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기록하고 판독하는 작업을 중단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7도에서 사출버튼(20)은 카세트입구(14i) 근처에 제공된다. 카세트입구(14i)와 사출버튼(20)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리드(10)가 카세트 입구(14i) 정면에 제공된다. 그렇기 때문에 리드(10)를 열지않는한 카세트(c)를 장착하던가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출버튼(20)에 접근할 수도 없다. 결과적으로 불의로 사출버튼(20)을 자동한다던가 또는 부당하게 카세트(c)를 취출하는 것같은 일로 인한 돌발적인 카세트(c)의 사출을 방지한다.
리드(10)을 열면 신호가 발생해서 입구의 인쇄회로기판(pc)상의 제어회로에 전달된다. 제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러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어핀(37)이 피봇축(11)인근의 리드(10)상에 제공되고 마이크로 스위치(38)같은 신호발생수단이 호울더 본체(15)에 부착되다.
마이크로스위치(38)의 작동자(39)가 제어핀(37) 가까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6도에서와 같이 리드(10)가 닫히면 제어핀(37)은 작동자(39)에 작용을 하지 않는다.
리드(10)가 화살표 a4방향으로 요동해서 쇄선의 위치로 열리면 제어핀(37)은 자동자(39)를 눌러서 마이크로스위치(38)를 동작하게 하여서 신호가 발생된다.
제17도에서 리드(10)의 열림을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하는 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10)의 운동을 검출하는 레버(61)가 제공되어서 지지핀(62)에 대해 요동한다. 리드(10)의 피봇축(1)주위로 뻗는 레버(61)의 일단(61a)은 아아치형으로 반경이 R이다. 그러나 레버의 아아치부분의 말단부(61b)는 리드(10)의 피봇축(11)방향으로 경사되어 잇어서 반경이 줄어든다. 리드(10)는 핀(10a)을 갖고 있는데 이것은 리드(10) 닫혀 있을때는 레버(61)의 말단부(61b) 근처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하에서는 리드(10)의 핀(10a)은 리드(10)가 핀(101)에서와 같이 작은 각 α1정도로 약간만 열려도, 레버(61)의 경사단(61b)과 즉시 접촉이 된다. 리드(10)가 좀더 큰 각으로, 핀(102)에서 보는 바와같이 α2만큼 열리면 핀이 경사부(61b)를 미끄러져 내려와서 그것을 밀어 레버(61)가 소정각(θ)만큼 회전하게 한다.레버(61)가 이렇게 회전하면 레버(61)의 다른 쪽단(61c)은 관검출기(63)의 광경로(optical path)(64)를 빠져나가서 제17도에서도 도시하지 않은인쇄회로기판(pc)으로 신호가 전달된다. 핀(103)지저에서 보는 바와같이 리드(10)가 각 α2로 완전히 열려지는 동안에 레버(61)는 동일한 각 위치를 유지하고서 인쇄 회로기판(Pc)에 리드(10)의 열려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게 되는데, 그 이유는 핀(10a)이 일정한 반경 R을 갖능 아아치부분(61a)을 따라서 미끄러져 니려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리드(10)의 열림을 알리는 신호는 리드(10)를 여는 작동의 초기에 인쇄회로기판에 전달되므로 카세트의 바블장치에 전기적 신호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그 작동은 리드(10)가 완전히 열리기전에 방지된다.
제18도와 제19도는 카세트(c)를 내포하고 있는 포킷의 개략적 좌측입면도이다. 제18도에서는 카세트가 불완전하게 포킷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제19도는 카세트가 포킷내의 제자리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19도와 같이 카세트(c)가 포킷내에 완전하게 삽입된 때는 카세트(c)의 코넥터(3)는 코넥터(16)에 확실하게 연결되며 레버(40)의 로울러(41)는 카세트의 저면에 형성된 홈(7)속에 끼워진다. 그러나 카세트가 불완전하게 포킷내에 삽입되고 따라서 카세트(c)와 코넥터(16)간에 간극(G)이 형성되면 카세트의 홈(7)은 로울러(41)와 정렬이 죄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로울러(41)는 홈(7)속에 끼워질 수가 없다. 레버(40)는 호울더 본체에 피봇축(42)으로써 부착되어 있다. 레버(40)의 일단은 로울러(41)가 제공되고 타단(43)은 리드(10)의 하단부근까지 연장된다. 스프링(44)이 레버(40)를 편의시켜서 로울러(41)가 홈(7)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한편 리드(10)는 돌출부(10a)가 제공도 ; 어서 로울러(41)가 제18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카세트(c)의불완전한 삽입때문에 홈(7)속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상기 돌출부가 레버(40)의 타단(43)과 저촉된다.
이와같이 카세트의 불완전한 삽입때문에 로울러(41)가 홈(7)속으로 들어갈 수 없게되면 레버의 타단(43)은 상승된 위치에 유지되고 리드(10)의 돌출부(10a)와 저촉하고 리드(10)가 완전히 닫힐수 없게 한다. 제19도와 같이 카세트(c)가 포킷에 완전히 삽입되어서 로울러(41)로 하여금 홈(7)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레버의 타단(43)은 돌출부(10a)로부터 해제된다. 그 결과로 리드(10)는 레버의 타단(43)에 의해서 방해를 받지 않고서 완전히 닫힐 수가 있다. 리드(10)가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마이크로스위치(38)가 작동되어서 검출신호를 내고 그 신호가 제어회로레 전달된다. 검출신호를 받으면 제어회로는 카세트의 불완전 삽입을 검출한 다음 관련회로를 제어해서 자기바블 장치를 구동시키지 않도록 한다. 자기 바블장치는 카세트가 제19도와 같이 완전히 포킷에 삽입된 후에라야만 구동될 수 있다. 제6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 있는 리드(10)가의 열림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스위치(38)가 또한 카세트의 불완전한 삽입을 알리는 신호발생수단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별개의 목적을 위해서 별도의 검출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검출수단은 기계적인 마이크로스위치가 아니고 광발사소자와 광수신소자와로 구성되는 광학장치일 수도 있다. 카세트의 불완전 삽입을 검출하는 수단은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대신에 직접 레버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서 로울러(41)가 상부위치에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카세트의 삽입상태는 호울더(H)의 슬라이더(22)의 위치 또는 슬라이더(22)에 부착된 로울러(25, 26)(제10도)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카세트의 삽입상태를 알리는 검출신호와 리드(10)의 닫힘상태를 알리는 검출신호를 다처리하는 AND 회로를 제공하면 카세트의 에러 동자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결과로 카세트가 포킷에 완전히 삽입되고 코텍터가 완전히 연결되어서 리드(10)가 완전히 닫혔을때에만 전원이 카세트에 연결되어지며, 위의 조건이 이루어지지 않을때는 전원이 카세트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기바블 메모리의 에러동자을 예방할 수가 있다.

Claims (9)

  1. 코넥터가 제공되고 또한 케이스내에 자기바블칩, 구동코일, 바이아스자석 및 연관소자들로써 구성되는 자기바블장치를 갖는 자기바블 카세트 ; 및 대응코넥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자기바블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 수용포킷 및 코넥터를 가지는 카세트 호울더를 갖추며 ; 입구를 갖는 카세트 수용포킷으로부터 자기바블 카세트를 배출시키기 위한 사출기구 ; 사출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사출버튼 ; 카세트 수용포킷의 카세트 입구정면에 제공되어서 카세트 입구를 닫고서 사출버튼을 은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리드 ; 및 검출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자기바블 메모리.
  2.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 수용포킷에는 카세트를 싣고서 전후방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으며, 또한 카세트를 카세트 배출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정지부재를 갖는 슬라이더가 제공되며 사출기구의 지렛대 부재로서 역할하는 레버가 사출버튼의 스탬(stem)과 슬라이더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레버는 사출버튼에 작용되는 작동력을 슬라이더를 통하여 카세트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3. 제2항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토오션 스프링에 의해서 호울더의 본체와 연결되어서 레버의 지렛대 작용에 의해서 카세트 사출방향으로 약간 이동한 후에 토오션 스프링 탄력에 의해서 카세트 사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4. 제1항에 있어서, 사출기구는 카세트를 사출시킬 때에 카세트의 이탈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5. 제4항에 있어서, 카세트의 이탈동작 방지수단은 카세트 수용포킷 내부로 약간 들어가는 판스프링수단 및 판스프링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카세트면에 형성된 홈을 가지며 판스프링수단이 그 홈속으로 끼워들어가서 카세트가 사출될때에 카세트의 이탈동작을 방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6. 제4항에 있어서, 카세트 이탈동작 방지수단은 카세트를 싣고서 전후로 미끄러져 갈 수 있는 슬라이더에 제공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하기 위하여 카세트에 형성된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7.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는 절연케이스를 갖고 있고, 카세트가 호울더에 삽입될때 카세트의 접지단자(grounding terminal)가 호울더의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8. 코넥터가 제공되고 또한 케이스내에 자기바블칩, 구동코일, 바이아스자석 및 연관소자들로써 구성되는 자기바블장치를 갖는 자기바블 카세트, 및 대응 코넥터를 상호연결하여 상기 자기바블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수용포킷 및 코넥터를 가지는 카세트호울더를 갖추며 ; 자기바블 카세트는 위치검출을 위한 홈을 갖고 있고 ; 카세트 호울더에는 카세트 호울더의 카세트입구에 위치하여 카세트 호울더의 자기바블 카세트 입구를 은폐할 수 있는 요동리드, 및 자기바블 카세트에 형성된 홈과 연결되는 연결부 및 리드에 형성된 돌출부에 대응하여 리드의 닫힘을 방해하기 위하여 돌출부와 저촉하는 데 적합한 지지부를 갖는 요동레버가 구비되며 ; 자기바블 카세트가 카세트 호울더에 완전히 삽입될때에는 요동레버의 연결부가 자기바블 카세트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고 레버의 저지부가 리드에 형성된 돌기로부터 해제되며 ; 자기바블 카세트가 카세트 호울더에 불완전하게 삽입될때는 레버의 연결부 자기바블 카세트에 형성된 홈에 들어가지 않게 하고 레버의 저지부 리드의 돌출부와 결합하여 리드의 닫힘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자기바블 메모리.
  9. 코넥터가 제공되고 또한 케이스내에 자기바블칩, 구동코일, 바이아스자석 및 연관소자들로써 구성되는 자기바블장치를 갖는 자기바블 카세트, 및 대응코넥터를 상호연결하여 상기 자기바블 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수용포킷 및 코넥터를 가지는 카세트 호울더를 갖추며 ; 자기바블 카세트에는 코넥터를 덮는 리드가 제공되며 ; 카세트 호울더의 카세트 수용포킷에는 조작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브가 제공되어서 리드를 개방함으로써 조작수단과 당접하도록 하며 ; 카세트 호울더의 카세트 수용포킷으로부터 자기바블카세트를 사출하는 사출기구 ; 및 사출기구를 제어하는 사출버튼을 가지며 ; 카세트 수용포킷에는 내부에 슬라이더가 제공되어서 자기바블 카세트를 싣고서 전후로 미끄러져 갈 수 잇으며, 슬라이더는 정지부재를 갖고 있어서 자기바블 카세트를 배출방향으로 구동시킬 수가 있으며 ; 지렛대 작용을 할 수 있고 슬라이더와 사출버튼사이에 배설되어서 사출버튼에 작용되는 사출버튼 작동력을 슬라이더를 통해서 자기바블 카세트로 전달되게 하는 레버를 갖추고 있으며 ; 카세트 수용포킷의 카세트 입구를 덮을 수 있고 사출버튼을 은폐할 수 있는 크기의 리드를 카세트입구에 갖추며 ; 카세트 호울더에 부착된 요동레버를 갖추며, 이것의 일단에는 연결부가 있어서 이것이 자기바블 카세트에 형성된 홈에 들어가서 위치검출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다른쪽단에는 지지부가 있어서 리드의 닫힘을 저지하며, 한편 카세트 호울더의 리드에는 돌출부가 요동레버의 일단에 제공된 연결부가 자기바블카세트에 형성된 홈에 들어갈 수가 없을때는, 상기 돌출부가 요동레버의 다른쪽 단에 제공된 저지부와 저촉결합하며 ; 전기 검출신호를 발생하기 위해서 카세트 호울더의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자기바블 메모리.
KR1019830004219A 1982-09-10 1983-09-08 카세트형 자기 바블 메모리 KR890002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7775 1982-09-10
JP157774 1982-09-10
JP157776 1982-09-10
JP57-157775 1982-09-10
JP57157774A JPS5948884A (ja) 1982-09-10 1982-09-10 カセツト式磁気バブルメモリ装置
JP57157773A JPS5948883A (ja) 1982-09-10 1982-09-10 カセツト式磁気バブルメモリ装置
JP57157775A JPS5948885A (ja) 1982-09-10 1982-09-10 カセツト式磁気バブルメモリ装置
JP57157776A JPS5948886A (ja) 1982-09-10 1982-09-10 カセツト式磁気バブルメモリ装置
JP157773 1982-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883A KR840005883A (ko) 1984-11-19
KR890002962B1 true KR890002962B1 (ko) 1989-08-14

Family

ID=1565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219A KR890002962B1 (ko) 1982-09-10 1983-09-08 카세트형 자기 바블 메모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48885A (ko)
KR (1) KR890002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2891A (ja) * 1984-04-09 1985-10-25 Fujitsu Ltd カセツト式磁気バブルメモリ装置
JPS60212890A (ja) * 1984-04-09 1985-10-25 Fujitsu Ltd カセツト式磁気バブルメモリ装置
JPS6163477A (ja) * 1984-09-04 1986-04-01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エツト記録用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883A (ko) 1984-11-19
JPS6160511B2 (ko) 1986-12-20
JPS5948885A (ja) 198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3746A (en) Receiving unit for a data card containing an electronic circuit
US6726508B2 (en) Card connector
EP0338848B1 (en) Card read/write device
KR890002962B1 (ko) 카세트형 자기 바블 메모리
US4635225A (en) Magnetic bubble cassette
US6592041B1 (en) Transfer apparatus and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method and transfer method and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method
US4566079A (en) Cassette-type magnetic-bubble memory apparatus
US4630236A (en) Cassette-type magnetic bubble memory
NL194284C (nl) Cassettedetecteerinrichting voor cassettelaadmechanisme.
US4429976A (en) Easy loading camera
US6201660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123600B2 (ko)
US5999363A (en) Cassette housing having cassette stoppers to prevent mis-insertion
US5675451A (en) Multi-type cassette loading mechanism operable to sense cassette type
US4429977A (en) Easy loading camera
US6683752B2 (en) Tape cassette
JPS6123599B2 (ko)
KR920006091Y1 (ko) VTR의 카세트 캡 프리오픈(pre open)장치
JP2002236884A (ja) モバイル機器のカード挿入部開閉機構
KR970000498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로딩 감지장치
KR970005068Y1 (ko)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장치
EP1154431A2 (en) Tape cassette
JPH0341304Y2 (ko)
JPH09114934A (ja) 携帯型電子機器
JPS616051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