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943Y1 - 가스레인지의 자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의 자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943Y1
KR890002943Y1 KR2019860006850U KR860006850U KR890002943Y1 KR 890002943 Y1 KR890002943 Y1 KR 890002943Y1 KR 2019860006850 U KR2019860006850 U KR 2019860006850U KR 860006850 U KR860006850 U KR 860006850U KR 890002943 Y1 KR890002943 Y1 KR 890002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shaft
opening
clos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515U (ko
Inventor
이부수
Original Assignee
이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수 filed Critical 이부수
Priority to KR2019860006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943Y1/ko
Publication of KR870018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43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레인지의 자동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상태에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타이머 조절손잡이부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 타이머 제어부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타이머 제어부의 결합상태에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타이머 제어부와 괘지편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6도 (a)(b)(c)(d)는 본 고안의 캠과 작동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용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 개폐축봉부의 작동상태도.
제8도는 제7도에서 반원형관을 절개시켜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가스레인지 1 : 타이머
2 : 타이머축봉 3,3' : 캠
4,4' : 돌턱 6 : 약불조절판
8 : 약불눈금 9 : 타이머조절손잡이
12,12' : 작동구 13,13' : 괘지턱
15,15' : 결속구 16 : 개폐손잡이
17 : 개폐축봉 18 : 회전원판
19,19' : 이동구 20 : 스프링
21 : 반달형관
본 고안 타이머축에 캠을 2중으로 설치하여 일정한 시간에 약불로 제어됨에 이어 일정한 시간후에 자동소화되도록 한 가스레인지의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타이머에 소화용 연동기구를 연설하여 타이머로 취사시간을 설정해 놓고 버어너에 점화한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에 의해 소화연동기구가 작동되어 자동으로 소화되도록 한 가스레인지의 자동소화장치가 안출된바 있으나 이는 단지 소화작동만 될뿐 불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시킬수 없어 밥을 지을 경우 약불로 조절하여 뜸을 들일수가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레인지의 일측벽에 타이머를 부착하고 이 타이머축봉에 캠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개폐스위치를 2단으로 제어하도록 하므로 타이머에 의해 일정한 시간에 경과하면 약불로 조절이 되고 계속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소화 되도록 하므로 불의 세기와 소화작동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기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레인지(1)의 내부 일측벽에 타이머축봉(2)이 축지된 타이머(1)를 고정설치하고 타이머축봉(2)에 돌턱(4)(4')을 각각 갖는 캠(3)(3')을 설치하되 일측캠(3)은 타이머축봉(2)에 고정시키고 일측캠(3')은 밀착유설시키며 화살표(6')와 파지구(5)가 형성된 약불조절판(6)에 연결구(7)(7')를 일체로 형성하여 타이머축봉(2)에 유설된 일측캠(3')에 연결 고정하고 약불눈금(8)을 갖는 타이머 조절손잡이(9)의 일측으로 지시구(10)를 일체로 형성하여 약불조절판(6)과 타이머축봉(2)에 설치시키고 받침대(11)(l1')에 축지된 작동구(12)(12')의 일측은 캠(3)(3')에 삽입시키되 일측단은 괘지턱(13)(13')을 형성하여 철선(14)에 지지된 결속구(15)가 괘지되는 것이며 개폐손잡이(16)가 설치된 개폐축봉(17)의 축상에 회전원판(18)을 축설하고 회전원판(18)의 상부 일측에 이동구(19)를 일체로 형성하여 개폐축봉(17)의 회전으로 스프링(20)과 이동구(19')가 내설된 반달형관(21)의 장공(22)을 따라 좌. 우 이동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23은 체결 및 이완시켜 스프링(20)의 탄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이고 24,24'는 반달형관(21)을 지지하는 고정구를 나다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에서 캠(3)은 타이머축봉(2)에 밀착유설되어 있어 타이머 조절손잡이(9)의 회전으로 캠(3)과 캠(3')이 함께 회전되나 약불조절판(6)에 형성된 파지구(5)의 회전으로는 연결구(7)(7')로 연결된캠(3')이 회전되도록 한것으로 타이머(1)의 작동으로 약불조절판(6)의 화살표(6')가 "0"을 가리키면 캠(3')의 돌턱(4')이 제6도(d)에서와 같이 상사점으로 되어 캠(3')에 삽입된 작동구(12')의 일측을 상승시키면 타단은 하강하여 작동구(15')은 괘지턱(13')에 괘지된 결속구(15')가 자유롭게 되며 스프링(20)으로 탄지되어 결속구(15')에 괘지된 이동구(19')가 탈리되며 스프링(20)의 탄력으로 이동구(19)를 밀어 버어너를 개폐시키는 개폐축봉(17)이 회전되어 다음 결속구(15)에 괘지되면서 회전된 거리만큼 불은 약불로 약해지는 것이며 지시구(10)가 "0"에 맞추어지면 캡(3)의 돌턱(4)이 제6도(b)에서와 같이 상사점이 되어 전기와 같이 결속구(5)를 탈리시킴으로 스프링(20)도 탈리되므로 압축된 탄력으로 개폐축봉(17)을 회전시켜 제8도에서와 같이 버어너를 폐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15분의 취사시간중에서 10분은 강불, 5분은 약불로 취사하려면 약불조절판(6) 형성된 파지구(5)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화살표(6')가 타이머 조절손잡이(9)에 약불눈금(8)의 5분으로 표시된 위치에 맞추고 난 다음 전체취사시간 15분을 타이머 조절손잡이(9)를 돌려 지시구(10)를 15분 눈금에 맞추고 개폐손잡이(16)를 돌려 점화시키며 이때 반달형관(21)안에 있는 스프링(20)이 회전원판(18)에 달린 이동구(19)에 의하여 압축됨과 동시에 결속구(15')에 걸리게 된다.
10분뒤 캠(3')의 돌턱(4')이 제6도 (d)에서와 같이 상사점에 도달함과 동시에 작동구(12')를 상승시킴으로써 괘지턱(13')에 걸려있는 결속구(15)를 탈리시켜 압축된스프링(20)의 탄력이 이동구(19)(19')를 결속구(15)까지 밀게되어 가스의 불이 약불로 되며 이어 5분뒤에는 캠(3)의 돌턱(4)이 제6도(b)에서와 같이 상사점에 도달하여 작동구(l2)를 상승시킴으로 괘지턱에 걸려있는 결속구(15)를 탈리시켜 반달형관(21) 내부에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20)의 탄력으로 이동구(19)(19')를 움직여 개폐축봉을 회전시킴으로 자동으로 완전히 소화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2]
강불이나 약불에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을 자동으로 취사하려면 약불조절판(6)의 파지구(5)를 돌려 화살표(6')를 "0"의 위치로 하고 취사예정시간을 타이머 조절손잡이(9)에 붙은 지시구(10)을 예정시간을 맞추어 놓고 개폐손잡이(16)을 돌려 점화시킨후 타이머(1)에 의해 취사 예정시간에 도달되며 캠(3)(3')이 상사점에 함께 도달되어 작동구(12)(12')를 상승시켜 괘지턱(13)(13')에 있는 결속구(14)(15')를 탈리시키므로 스프링(20)의 탄력이 이동구(19)를 밀어 단번에 완전히 소화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3]
타이머를 사용하지 않고 개폐손잡이만을 돌려 수동으르 취사하려면 약불의 조절판(6)의 파지구(5)를 돌려 화살표(6')가 "0"의 위치로 확인하고 타이머 조절손잡이(9)에 붙은 지시구(10)을 정지상태로 위치시키면 캠(3)은 상사점에 캡(3')은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어 결속구(15')만 작동만 되고 결속구(15)는 작동되지 않아 개폐축봉(17)으로 회전시켜 점화시키면 결속구(15)에 괘지된 이동구(19')가 스프링(20)을 장공(22)의 일측에 압축시켜 놓으므로 개폐손잡이(16)의 회전이 자유로워 수동으로 작동되는 일반적인 가스레인지(A)로서의 작동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뿐만아니라 타이머(1)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불의 세기를 조절하며 자동으로 소화되도록하여 밥을 지을때 약불로 뜸을 알맞게 들일수가 있을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낭비되던 가스를 약하게하여 에너지 절약에 일익을 담당할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가스레인지(A)의 내부 일측벽에 타이머축봉(2)이 축지된 타이머(1)를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타이머축봉(2)에 돌턱(4)(4')을 갖는 캠(3)(3')을 설치하되 일측 캡(3)은 타이머축봉(2)에 고정시키고 일측캡(3)은 밀착유설시키며 파지구(5)가 형성된 약불 조절판(6)을 타이머축봉(2)에 유설된 일측캡(3')에 연결고정하여 타이머조절손잡이(9)의 일측으로 지시구(10)를 형성하여 타이머축봉(2)에 축설시키고 캡(3)(3')에 연결삽입된 작동구(12)(12')의 일측을 괘지턱(13)(13')으로 형성하여 철선(14)에 지지된 결속구(15)를 괘지시키며 개폐손잡이(16)가 설치된 개폐축봉(17)의 축상에 이동구(19)를 일체로 형성된 회전원판(18)을 설치하여 개폐축봉(17)의 회전으로 이동구(19)를 스프링(20)이 내설된 반달형관(21)의 장공(22)을 따라 좌, 우 이동시켜서 된 가스레인지의 자동제어장치.
KR2019860006850U 1986-05-19 1986-05-19 가스레인지의 자동제어장치 KR890002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850U KR890002943Y1 (ko) 1986-05-19 1986-05-19 가스레인지의 자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850U KR890002943Y1 (ko) 1986-05-19 1986-05-19 가스레인지의 자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515U KR870018515U (ko) 1987-12-24
KR890002943Y1 true KR890002943Y1 (ko) 1989-05-10

Family

ID=1925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850U KR890002943Y1 (ko) 1986-05-19 1986-05-19 가스레인지의 자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9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515U (ko) 198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1469B (zh) 燃气灶和燃气灶的运行方法
CN101718344B (zh) 电子式燃气定时控制装置
WO1998050736A1 (en) Gas-saving arrangements for gas-fired cooking equipment
KR890002943Y1 (ko) 가스레인지의 자동제어장치
US6378516B1 (en) Damper-controlled gas supply system
KR100293802B1 (ko) 가열조리기
GB2001747A (en) Gas-fired appliance
EP0506633A2 (en) Device driven by the opening of a domestic gas-oven to light interior thereof and for the contemporaneous safety of the electronic ignition
CN214891375U (zh) 一种家用燃气灶定时关闭装置
KR100514763B1 (ko) 양면그릴용 점화밸브장치
CN115560361B (zh) 一种节能双炒单温灶
KR100202105B1 (ko) 가스오븐렌지의 렌지버너 가스누설 경보방법
TWI690677B (zh) 瓦斯爐機械式定時裝置改良
JPH10185205A (ja) ガスコンロ
JP3277134B2 (ja) 加熱調理器の感温センサー
JPS6325411A (ja) ガス器具のガス供給制御装置
KR200253013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작동 램프 점등 장치
KR930003923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200339291Y1 (ko) 타임머가 장치된 가스버너
KR0155490B1 (ko) 가스오븐렌지 그릴버너의 자동소화 제어방법
GB2233756A (en) Ignition control for gas heating appliance
KR940001423Y1 (ko) 가스레인지의 안전장치
KR200203815Y1 (ko) 가스밸브의 자동차단장치
JPH01118026A (ja) ガス器具
KR200342628Y1 (ko) 가스레인지의 가스 자동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