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776Y1 -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76Y1
KR890002776Y1 KR2019850017132U KR850017132U KR890002776Y1 KR 890002776 Y1 KR890002776 Y1 KR 890002776Y1 KR 2019850017132 U KR2019850017132 U KR 2019850017132U KR 850017132 U KR850017132 U KR 850017132U KR 890002776 Y1 KR890002776 Y1 KR 890002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terminal
electrolytic capacitor
contain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7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236U (ko
Inventor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7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76Y1/ko
Publication of KR870011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2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2Vents or other means allowing expan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0Sealing, e.g. of lead-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us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덴서 2 : 단자
3 : 도체핀 4 : 용기
5 : 밀폐용뚜껑 6 : 탄성재
7 : 도체편 8 : 요(凹)부
본 고안은 전해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덴서 내부의 가스발생이나 증기압승으로 인한 콘덴서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콘덴서는 밀폐식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내부에 압력이 상승할 경우 예컨데 단자들 사이에 절연상태가 불량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인 스파크로 말미암아 가스가 발생할 경우나 또는 콘덴서의 출력단에 과부하가 걸려 용기내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함침액의 증발로 증기압이 상승할 경우 계속 내부압력이 증가하다보면 결국에는 콘덴서가 폭발하게 되며, 그로인해 제품자체를 못쓰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콘덴서의 폭발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콘덴서 상단에 방폭공을 설치하므로써 용기 내부에 압력이 증가할 때 상기 방폭공이 작동되어 용기 내부압력을 감소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런 방법은 방폭공으로 내부압력이 배출될 경우 상기 방폭공을 따라 용기 내의 함침액이 누수되어 회로기판을 더럽게 하거나 단자들 간에 쇼트현상이 일어나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도 콘덴서 내부에 휴즈가 설치되어 콘덴서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었으나, 이는 콘덴서 내부에 휴즈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휴즈가 끈어질경우 콘덴서를 아주 못쓰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덴서 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할때 상기 압력으로 인하여 콘덴서단자들을 쇼트시키며 상기 쇼트로 인한 과전류가 상기 단자와 타회로 소자간에 설치된 휴즈를 절단시키므로써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된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콘덴서(1)의 각 단자(2) 중앙에 상기 단자(2)와 수직되도록 도체핀(3)을 형성시켜 용기(4) 상단의 밀폐용뚜껑(5)과 상기 밀폐용뚜껑(5) 하단에 부착된 탄성재(6)사이에 상기 도체핀(3)이 위치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탄성재(6)의 중앙에는 요(凹)부(8)를 형성시켜 상기 요(凹)부(8)에도 도체편(7)을 설치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9는 휴즈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내부와 외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콘덴서용기(4) 내의 가스발생 또는 증기압이 상승하게되면 콘덴서단자(2)들을 쇼트시켜 과전류를 발생시키므로써 단자(2)와 타회로소자 간에 연결된 휴즈(9)를 절단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개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밀폐용뚜껑(5)과 탄성재(6)사이에는 단자(2)의 중앙에 상기 단자(2)와 수직으로 형성된 도체핀(3)을 설치하고, 상기 탄성체(6) 중앙에는 요(凹)부(8)를 형성시켜 도체편(7)을 설치하며, 단자(2)와 타회로소자 사이에는 휴즈(9)를 설치시키게 되는데, 콘덴서(1) 내부의 절연상태 불량으로 인한 단자(2)들 간에 전기적인 스파크현상으로 가스가 발생하거나 또는 콘덴서(1)의 내부온도 상승에 의한 함침액의 증발로 증기압이 발생하게 되면 콘덴서 용기(4) 내의 압력상승이 탄성재(6)의 요(凹)부(8)를 압압하게 되어 상기 요(凹)부(8)가 상부로 밀려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요(凹)부(8) 내에 설치된 도체편(7)이 단자(2)들에 형성된 도체핀(3)을 쇼트시켜 과전류를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과전류로 인해 단자(2)와 타회로소자 사이에 설치된 휴즈(9)를 절단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키게 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부위는 콘덴서용기(4) 내의 압력상승으로 탄성재(6)의 요(凹)부(8)가 상부로 밀려올라감에 따라 상기 요(凹)부(8) 내의 도체편(7)이 단자(2)에 형성된 도체핀(3)을 쇼트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본 고안은 콘덴서(1) 내부에서의 단자(2) 간을 쇼트시켜 소자외부에 설치된 휴즈(9)를 절단시키므로서 회로를 차단시켜 콘덴서(1)의 폭발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전해콘덴서의 결점인 함침액의 누수를 방지하여 회로의 오염이나 타회로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콘덴서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때 작동하도록 된 콘덴서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콘덴서(1)의 각 단자(2) 중앙에 상기 단자(2)와 수직되도록 도체핀(3)을 형성시켜 용기(4) 상단의 밀폐용뚜껑(5)과 상기 밀폐용뚜껑(5) 하단에 부착된 탄성재(6) 사이에 상기 도체핀(3)이 위치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탄성재(6)의 중앙에는 요(凹)부(8)를 형성시켜 상기 요(凹)부(8)에도 도체핀(7)을 설치해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
KR2019850017132U 1985-12-19 1985-12-19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 KR890002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132U KR890002776Y1 (ko) 1985-12-19 1985-12-19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132U KR890002776Y1 (ko) 1985-12-19 1985-12-19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236U KR870011236U (ko) 1987-07-16
KR890002776Y1 true KR890002776Y1 (ko) 1989-04-29

Family

ID=1924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7132U KR890002776Y1 (ko) 1985-12-19 1985-12-19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236U (ko) 198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0336A (en) Burn and explosion-resistant circuit package for a varistor chip
US3553542A (en) Capacitor disconnect device
US4698725A (en) Pressure sensitive interrupters for capacitors
US4245277A (en) Electrolytic capacitor provided with a pressure relief valve
KR840008547A (ko) 통신 회로용 선로 보호기
DE3877534D1 (de) Funkenstrecken-ueberspannungsableiter mit wenigstens einem schmelzleiter.
KR930008900A (ko) 전기 블레이드 퓨즈
KR890002776Y1 (ko) 전해콘덴서의 안전장치
JPH05251290A (ja) ケース入りコンデンサ
EP0093455A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disconnecting an electric capacitor in the case of a short circuit
KR880008360A (ko) 금속화된 필림 캐퍼시터
KR860006817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US3367439A (en) Ignition safety switch
JPS5936901Y2 (ja) 保護装置を備えたコンデンサ
KR880008431A (ko) 집적회로 칩 밀봉체 및 그 제조방법
CN219488251U (zh) 一种保险丝盒
KR890002777Y1 (ko) 콘덴서의 보호장치
JPS6041715Y2 (ja) 保安装置付油入電力用コンデンサ
JPS6052655B2 (ja) コンデンサ電動機
JP3079760B2 (ja) ケース入りコンデンサ
JPS6112673Y2 (ko)
JPS6041714Y2 (ja) 防爆装置付コンデンサ
JPH0356030Y2 (ko)
KR960009065Y1 (ko) 필름 콘덴서의 방폭 구조
JPS61302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