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743Y1 - 영공제동 자동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영공제동 자동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43Y1
KR890002743Y1 KR2019860016229U KR860016229U KR890002743Y1 KR 890002743 Y1 KR890002743 Y1 KR 890002743Y1 KR 2019860016229 U KR2019860016229 U KR 2019860016229U KR 860016229 U KR860016229 U KR 860016229U KR 890002743 Y1 KR890002743 Y1 KR 890002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air
closing
compartme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864U (ko
Inventor
안병서
Original Assignee
안병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서 filed Critical 안병서
Priority to KR2019860016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43Y1/ko
Publication of KR880007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8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61H13/30Transmitting mechanisms adjust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 of vehicle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공제동 자동제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제동장치의 공차시 완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제동장치의 공차시 제동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제동장치의 영차시 완해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제동장치의 영차시 제동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공차제동변 b : 영차제동변
c, d : 공기압축탱크 e, e' : 복식제동통
f : 응하중변 j : 중계변
7 : 피스턴실 8 : 상부개폐변실
9 : 격실 10 : 하부개폐변실
11 : 피스턴 12, 13 : 개폐변
14 : 스프링 15 : 용적공기통
N : 완해변 L : 개폐변
S : 스프링 16 : 개폐변
17 : 하향압지스프링 18 : 유통구
19 :형통공 20 : 동작전달구
21 : 받침통 22 : 공간부
23 : 스프링 24 : 받침봉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5609호 특허공보 제352호 제181-190면에 게재된 적공제동 자동 제어장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영공제동장치는 공차나 영차시 적재무게와 속도에 적합한 제동력을 자동적으로 조절되게 함으로서 높은 속도에서도 안전제동 거리 내에서 정차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동구조에 특징을 둔 것이다.
종래 제동장치는 낮은속도(약 90Km/H)에 준한 구조였기 때문에 제동력이 고속도(약 120Km/H)에서는 부적당하고 또 압력공기의 사용이 공차와 영차일 때 구분되서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공기의 소모가 과대하여 공기압축기에 무리가 생겨 고장율이 많았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차와 영차시의 제동구분을 확실하게 하여 무게와 속도에 비례한 제동력을 확보해 주므로서 평탄선이나 산악선에서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선로용량증대로 인한 수송력증대(약 50%)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압축탱크(c)(d)와 연결된 공차제동변(a)와 영차제동변(b)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1차송입관(1)과 2차송입관(1')을 연결하고 다시 제동변(a)에서는 공차제동부(2)와 영차제동부(3)로 구분된 2개의 복식제동통(e)(e')의 공차제동부(2)에 압송관(3')을 연결하고 제동변(b)에서는 복식제동통(e)(e')의 영차제동부(3)에 압송관(4)를 연결하여 영차시에 동작되게 하는 응하중변(f)에는 송입관(1)과 연통된 공기공급관(5)와 공기압축탱크(d)에서 연통된 공기중계 공급관(6)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제동변(b)로 연결된 송입관(1)(1')의 중간에는 상부에서부터 피스턴실(7)과 상부 개폐변실(8) 격실(9) 하부 개폐변실(10)으로 구분된 중계변(j)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는 피스턴(11)로 동작되게 한 개폐변(12)(13)을 내장하여 스프링(14)으로 탄지시키고 중계변(j)의 격실(9)에는 2차송입관(1')를 하부 개폐변실(10)에는 1차송입관(1)을 연결하여 격실(9)는 제동변(b)로 연통되게 했으며 중계변(j)는 공기압축탱크(d)와 응하중변(f) 및 용적공기통(15)와 연통되게 하고 공기압축탱크(d)의 저면에는 내부에 개폐변(L)을 내장하여 스프링(S)을 탄지한 완해변(N)을 설치하고, 응하중변(f)내에는 하향 압지스프링(17)이 탄지되고 주벽에 유통구(18) 및 중앙에형통공(19)이 형성된 개폐변(16)을 내장하여 개폐변(16)이 상승시에형통공(19)과 공기중계공 급관 (6)이 연통되게 했으며 개폐변(16)하부는 동작전달구(20)와 이를 받쳐주는 공간부(2 2) 내의 받침통(21)에는 스프링(23)으로 탄지된 받침봉(24)가 차량의 사이드 후램에 설치된 공지의 조정볼트(25)에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6, 26'는 공차제동변(a)와 영차제동변(b)의 피스턴, 27, 27'는 이동 개폐구, 28, 28'는 제동공기 중계공, 29, 29'는 공기유입세공 30,30'는 제동공기 유출공이며, 31, 31'는 복식제동통, e, e'의 공차시제동 피스턴 32, 32'는 영차시 제동피스턴, 33, 33'는 차단벽과 역지변을 각각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같이 공차완해시에 송입관(1)으로 압축공기를 압송시키면 압송된 공기는 제동변(a)로 유입되면서 그 압력에 의하여 피스턴(26)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며 피스턴실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공기유입세공(29)을 통해 피스턴 우측실을 거쳐 공기압축탱크(C)에 저장된다.
이때 피스턴(26)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이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개폐구(27)의 제동공기중계공(28)은 제동공기유출공(30)과 엇갈리게 됨으로 공기의 유출은 차단된 상태이며 송입관(1)으로 보내지는 공기의 압력과 압축탱크(C)의 압력이 같아서 피스턴(26)과 이동 개폐구(27)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는 공차시에만 이루워지는 것으로 공차제동시에는 제동변(a)만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중인 공차에 제동을 걸기 위해서는 송입관(1)의 공기를 배출시키면 제동변(a)의 피스턴 좌측실의 공기압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압축탱크(C)의 공기가 피스턴의 우측실로 유입되면서 그 압력에 의하여 피스턴(26)은 좌측으로 이동되고 이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개폐구(27)의 제동공기중계공(28)과 제동공기유출공(30)이 일치되면서 압송공기가 제동공기유출공(30)을 통해 압송관(3)을 거쳐 공차제동부(2)의 피스턴(31)(31')를 밀어서 공차시 제동이 걸리게 된다(제2도 참조).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차제동변으로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그 작용은 공기송입관(1)으로 압송되는 공기는 영차제동변(b)으로 공급되는 중간에 중계변(j)이 설치되어 있고, 이 중계변(j)의 개폐변(13)이 스프링(14)의 탄발력에 의하여 격실(9)의 저면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압송공기가 2차송입관(1')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공기압축탱크(d)는 비어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은 영차완해시의 작동상태로서 영차시에 하중을 받게 된 응하중변(f)의 받침봉(24)이 차량의 사이드후램에 설치된 조정볼트(25)에 접촉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받침봉(24)이 상승함에 따라 스프링(23)의 압력을 받은 받침통(21)이 상승되면서 그 위에 설치된 동작전달구(20)가 상승되면서 개폐변(16)을 밀어올려서 개폐변(16)에 천공된 T형통공(19)이 공기중계공급관(6)과 일치되면서 공기공급관(5)로 압송되는 공기가 T형통공(19)과 공기중계공급관(6)을 통해 중계변(j)의 피스턴실(7)로 유입되면서 피스턴(11)을 아래로 밀게되고 이와 연결된 개폐변(13)이 열리면서 송입관(1)의 유입공기가 격실(9)을 통해 2차송입관(1')으로 압송되어 영차제동변(b)으로 유입되어 공기유입세공(29')을 통해 압축탱크(d)에 압축된다.
이때 영차제동편(b)의 피스턴(26')는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며, 이동 개폐 구 (27')도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어서 제동공기중계공(28')는 제동공기유출 공(30')과 엇갈려있는 상태로서 이와 같은 상태가 영차 완해 상태이다(제3도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영차제동시에 송입관(1)의 압송공기를 배출시키면 영차제동변(b)의 피스턴 좌측실 압력이 떨어지면서 피스턴(26')이 좌측으로 이동되고 이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개폐구(27')의 제동공기중계공(28')가 제동공기유출공(30')와 일치되면서 압송관(4)를 통해 압송되는 공기가 복식제동통(e)(e')의 피스턴(32)(32')를 밀어서 공차시 동작했던 피스턴(31)(31')를 밀게되고 이와 동시에 공차제동변(a)도 동일한 작용을 하여 피스턴(31)(31')를 밀어주게 됨으로 제동력이 높아져 영차제동작용을 무리없이 해내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중계변(j) 상부에 설치한 용적공기통(15)는 영차시에 오동작을 방지토록 하는 것으로서 공차시 차량이 주행할 때 진동에 의한 굴신력 때문에 받침봉(24)이 조정볼트와 순간적으로 접촉됐을 때 받침봉(24)의 상승에 의하여 개폐변( 16)의 T형통공(19)을 통해 순간적으로 압송공기가 공기중계공급관(6)으로 공급됐을때 중계변(j)으로 유입되면 공차시에 영차제동이 걸리게 되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순간적으로 공급되는 압송공기는 용적공기통(15)으로 유입됐다가 응하중변(f)의 개폐변(16) 주벽에 요설된 유통구(18)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영차완해시에 압축탱크(d)의 공기가 완해변(N)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는 것은 응하중변(f)을 통해 압송되는 공기가 완해변(N)의 내부에 내장된 개폐변(L)을 밀어서 폐쇄시켜 주게 됨으로 압축탱크(d)의 공기가 유출되지 못하며 공차시에 응하중변 (f)이 동작되지 않을 때는 개폐변(L)을 스프링(S)이 우측으로 밀어서 열어주게 됨으로 압축탱크(d)의 공기가 완전히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공차시와 영차시에 무게에 비례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하여 공, 영차시 안전제동지대에 정차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특히 공차시 공기소모를 적게함으로서 에너지 절약등의 이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공기압축탱크(c)(d)와 연결된 공차제동변(a)와 영차제동변(b)에 송입관(1 )(1')을 연결하고 이와 연통 동작되는 복식제동통(e)(e') 및 응하중변(f)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제동변(b)로 연결된 송입관(1)(1') 중간에는 상부에서부터 피스턴실(7)과 상부개폐변실(8) 격실(9) 하부개폐변실(10)으로 구분된 중계변(j)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는 피스턴(11)로 동작되게 한 개폐변(12)(13)을 내장하여 스프링(14)으로 탄지시키고 중계변(j)의 격실(9)에는 2차송입관(1')를 하부개폐변실(10)에는 1차송입관(1)을 연결하여 격실(9)는 제동변(b)로 연통되게 했으며, 중계변(j)는 공기압축탱크(d)와 응하중변(f) 및 용적공기통(15)와 연통되게 하고 공기압축탱크(d)의 저면에는 내부에 개폐변(L)을 내장하여 스프링(S)을 탄지한 완해변(N)을 설치하고 응하중변(f)내에는 주벽에 유통구(18) 및 중앙에형통공(19)이 형성된 개폐변(16)을 내장하여 개폐변 (16)이 상승시에형통공(19)과 공기중계공급관(6)이 연통되게 했으며 개폐변 (16)하부에는 동작전달구(20)와 이를 받쳐주는 받침통(21)에 스프링(23)으로 탄지된 받침봉(24)가 공지의 조정볼트(25)에 접촉되도록 한 영공제동 자동제어 장치.
KR2019860016229U 1986-10-24 1986-10-24 영공제동 자동제어 장치 KR890002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229U KR890002743Y1 (ko) 1986-10-24 1986-10-24 영공제동 자동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229U KR890002743Y1 (ko) 1986-10-24 1986-10-24 영공제동 자동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864U KR880007864U (ko) 1988-06-28
KR890002743Y1 true KR890002743Y1 (ko) 1989-04-29

Family

ID=1925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229U KR890002743Y1 (ko) 1986-10-24 1986-10-24 영공제동 자동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681B1 (ko) * 1999-10-09 2002-12-26 안진원 영공식 화차용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864U (ko) 198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5720A (en) Truck damping
CN105501247B (zh) 一种用于货运列车的制动系统
US5092248A (en) Railway wagon retarder
KR890002743Y1 (ko) 영공제동 자동제어 장치
US3442502A (en) Air spring suspension for vehicles
JPH0371310B2 (ko)
US3513656A (en) Pressure translators
JPH10510781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された液圧ブレーキ装置
US4585279A (en) Load responsive brake control valve
US4202174A (en) Hydraulic drive
US3560017A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suspensions
KR100186760B1 (ko) 화차 제동자동 제어장치
WO1992006874A1 (de) Bremsdruckregelvorrichtung für eine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
CN114087306A (zh) 一种高速列车用开关型一系垂向减振器
KR950014364B1 (ko) 적공 제동 자동 제어 장치
KR200154281Y1 (ko) 화차 제동 자동 제어장치용 바란스변
FI57558C (fi) Styrventil foer skengaoende fordons trycklufts-bromsanlaeggningar
US1462159A (en) Pumping system
KR100240933B1 (ko) 화차용 제동장치
CN217107619U (zh) 一种商用车驾驶室差动式随动系统
US2338896A (en) Pneumatic shock absorber
KR910000585Y1 (ko) 사출 성형기용 윤활유 재생 주유기
KR20000038643A (ko) 변동식화차용제동장치
SU1423743A1 (ru) Гидростойка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крепи
KR200234060Y1 (ko) 철도차량의 신속완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