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597Y1 -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97Y1
KR890002597Y1 KR2019850003971U KR850003971U KR890002597Y1 KR 890002597 Y1 KR890002597 Y1 KR 890002597Y1 KR 2019850003971 U KR2019850003971 U KR 2019850003971U KR 850003971 U KR850003971 U KR 850003971U KR 890002597 Y1 KR890002597 Y1 KR 890002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pport
tent
inner diameter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3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3467U (ko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진웅기업 주식회사
이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웅기업 주식회사, 이윤재 filed Critical 진웅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3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597Y1/ko
Publication of KR860013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3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2015/326Frame members connected by elastic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
제1a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취 사시도.
제1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제2a도는 제1a도의 횡단면도.
제2b도는 제1b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4a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횡단면도.
제4b도는 종래 연결구의 사용상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구 2' : 고정돌기
5 : 내경이 지주의 외경보다 적정상태로 작은 일측 연결부
6 : 내경이 지주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큰 타측 연결부
7 : 보강돌기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연성과 탄력성등이 양호한 유리섬유등으로 제조한 지주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알루미늄등과 같이 녹이 슬지 않는 비철금속으로 성형한 연결구를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주의 일단부를 연결구의 일측에 끼워 고정 부착시켜 다른 지주의 타단부가 연결의 타측내에 자유롭게 끼워 넣거나 뺄수 있게해야 되는 데 이를 위해서는 제4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주(3)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고 중간부분에는 지주(3)가 끼워지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돌기(9)를 내부로 돌출되게 외부에서 내측으로 양쪽을 펀칭시킨 연결구(10)의 일측부(11)에는 지주(3)의 일단부(4)를 끼워서 고정시켜야 되는데 이를 위해 일단부(4)의 외면에 접착제를 적당하게 묻힌 다음 이 일단부를 연결구(10)의 일측부(11)내에 돌리면서 끼워 넣어 접착제가 굳어 지도록하여 연결구(10)가 지주(3)의 일단부(4)에 고정부착되게 하고 타측부(11')에는 다른지주(3')의 타단부(4')를 임의로 끼우거나 뺄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지주(3)와 연결구(10)를 고정부착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특히 접착제가 묻게되는 상태가 일정치 않아 사용중 연결구가 쉬 빠지게 되는 등의 불량품이 발생됨은 물론 접착제가 완전히 건조될때 까지 다음 공정이 지연되고 부착 작업을 일일이 인위적으로 해야 되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많았으며, 접착제를 묻힐때 부주의로 일단부(4)의 구멍이 막히게 되어 각 지주(3)를 분리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사용시 연결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신축끈(8)을 끼우기가 어렵게 되는등 많은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들은 해결하기 위해 연결구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지주의 일단부에 끼워 고정시키는 일측부는 그 내경을 지주의 외경보다 적정 상태로 작게하고 다른 지주의 타단부를 끼우거나 뺄수 있도록하는 타측부는 지주의 외경과 거의 같도록 성형하여 지주와 연결구의 신축성이나 탄력성등을 이용하여 간편 용이하게 끼워 고정시킬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내면 중간에 고정돌기(2)가 빙둘러 돌출되게 합성수지로 연결구(1)를 성형함에 있어서, 외면을 중간부(1')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하며 지주(3)의 일단부(4)를 끼워 고정하는 일측연결부(5)의 내경(L)은 지주(3)의 외경보다 적정 상태로 작게하되 내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지주(3')의 타단부(4')를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하는 타측 연결부(6)의 내경(L')은 지주(3)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성형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b도에서와 같이 연결구(1)의 외면에 횡으로 수개의 보강돌기(7)를 돌출하여도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8"은 각 지주를 분리시 각기 흩어지지 않도록 하고, 또 사용시에는 연결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신축끈이다.
이와같이 성형된 본 고안 연결구(1)는 그일측 연결(5)의 내경(L)을 연결구(1)와 지주(3)자체의 신축성이나 탄력성을 고려하여 지주(3)의 외경보다 작정상태로 작게 성형하였기 때문에 일측 연결부(5)에 지주(3)의 일단부(4)를 끼울때 적당한 힘을 가해 강제로 끼워주게되면 결합되는 부분의 신축성과 탄력성에 의해 일단 끼워진 다음에는 서로 완강히 결착되어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결구(1)의 지주(3)를 끼워서 고정시키면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작업 공정과 인력 및 시간의 낭비가 대폭 감축되고, 또 접착제를 사용할때에는 접착제가 연결부분의 외부로 노출되어 보기좋지 않게 되므로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던 폐단도 제거되며, 타측 연결부(6)의 내경(L')은 지주(3)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성형하므로 다른 지주(3')의 타단부(4')를 끼우거나 빼내기가 매우 용이하게되고 연결구(1)는 그 외면을 중간부(1')로 갈수록 두께를 두껍게 하였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중 파손의 염려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b도에서와 같이 외면으로 횡으로 수개의 보강돌기(7)를 적정간격으로 돌설 시키면 더욱 강도가 보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지주에 끼워 고정하기가 매우 간편 용이하여 작업성이 좋고 접착제를 사용하면 종래의 연결구 부착 방법에 의해 발생되던 많은 문제점들이 간단히 해결되는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내면 중간에 고정돌기(2)가 빙둘러 돌출되게 합성수지로 지주의 연결구(1)를 성형함에 있어서, 이 연결구의 외면이 중간부(1')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하며, 일측 연결부(5)의 내경은 지주의 외경보다 약간작은 상태로 작게하고, 타측 연결부(6)의 내경은 지주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구(1)의 외면에 횡으로 수개의 보강돌기(7)를 돌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
KR2019850003971U 1985-04-11 1985-04-11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 KR890002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971U KR890002597Y1 (ko) 1985-04-11 1985-04-11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971U KR890002597Y1 (ko) 1985-04-11 1985-04-11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467U KR860013467U (ko) 1986-11-12
KR890002597Y1 true KR890002597Y1 (ko) 1989-04-29

Family

ID=1924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3971U KR890002597Y1 (ko) 1985-04-11 1985-04-11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5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709B1 (ko) * 2001-08-03 2004-09-08 김국진 텐트지지용 폴의 연결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467U (ko) 1986-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00906T1 (de) Ankerbolzen.
ES267076U (es) Un aparato de sujecion y fijacion de seguridad combinado.
JPH0326644U (ko)
KR890002597Y1 (ko) 텐트용 지주의 연결구
CA1182268A (en) Connection coupling for the releasable attachment of an end of a first rod with a second rod
ES263322Y (es) "elemento de fijacion de metal mejorado".
EP0183394A3 (en) Waveguide hanger
KR870003138Y1 (ko) 파우어 코드 고정장치
JPH0540669Y2 (ko)
JPH017797Y2 (ko)
JPS599497Y2 (ja) ネツト固定装置
ES1034858U (es) Grapa para la fijacion de rejillas o vallas.
CN2132016Y (zh) 金属膨胀螺丝
KR900006876Y1 (ko) 텐트용 횡봉 연결고정구
JPS6134722Y2 (ko)
KR870000352Y1 (ko) 커텐장식구의 연결끈 고정장치
JPH0732056U (ja) 軒樋継手
JPS601163Y2 (ja) 型枠緊結装置
KR850001211Y1 (ko) 콘닥터 츄브의 선단 연결구 커버
JP3032921U (ja) ベルト留め具
KR900006917Y1 (ko) 철망체결밴드
KR820000238Y1 (ko) 조임 밴드
KR880002047Y1 (ko)
JPS6055104U (ja) 支線止め金具
JPH04761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