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580Y1 - 합성수지용기의 성형 금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용기의 성형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80Y1
KR890002580Y1 KR2019860000040U KR860000040U KR890002580Y1 KR 890002580 Y1 KR890002580 Y1 KR 890002580Y1 KR 2019860000040 U KR2019860000040 U KR 2019860000040U KR 860000040 U KR860000040 U KR 860000040U KR 890002580 Y1 KR890002580 Y1 KR 890002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ainer
synthetic resin
mold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0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2168U (ko
Inventor
이재유
Original Assignee
이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유 filed Critical 이재유
Priority to KR2019860000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580Y1/ko
Publication of KR870012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2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50Moulds having cutting or defla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수지용기의 성형 금형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하여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내지 제2도에 의거 성형된 한 예시도.
제4도 제3도의 일부분을 절취한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요부 확대 단면도.
본 고안은 합성수지용기(예컨데 막걸리용기, 육모용모트, 1회용 샴푸등)의 중앙을 절취하여 분할하는데 있어 용기절취를 용이하게 할수 있는 돌출날을 형성시키므로서 성형품의 획기적인 품질향상을 꾀한 용기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압출기로 부터 압출된 가연성 합성수지관을 인입시켜 공기압력으로 용기를 연속 성형하는 금형에 있어서, 동일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대부분 금형은 금형의 내주면에 무늬 모양만 조각되어 있고 그 절취할 중앙부위 및 양연결부위가 민자로 되어 있어 용기를 성형후 일일이 칼이나 가위로 절단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절단시 약간만 부정확하여도 그 절단면이 일정치 못하여 사용에 많은 불편을 주었고 외관이 지저분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금형의 양단부위에 절단칼을 캠식으로 두어 일단용기가 성형이 되면 그 절단칼이 용기의 양단 연결부분을 제외하고 거의 절단토록 된 것인데 이는 금형내의 성형된 용기가 채굳기전 상태이므로 정확히 절단되지 못하여 실제 용기를 지면에 세우려할때 제대로 세워지지 않아 많은 불편이 따라 실용적이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용기 성형후 간편히 절취코자 하는 부위만 손으로 찢어주면 일률적으로 균일하게 절취도록 된 것이고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제1도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1, 1a는 주지된 합성수지용기의 금형인데, 이 금형(1)(1a)의 내면 중앙부에는1.5-2㎜ 정도의 요홈(3)이 요설되어 있고 양측부에는 돌출날(4)이 돌설되어 있다.
5, 5a는 금형(1)(1a)의 돌출날(4) 외측에 형성된 여유공간부인데, 한공간부(5)는 공기 주입구(6)가 설치되어 압력공기의 주입이 용이토록 되어 있다.
도면중 제6도-제7도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동일구조는 제1도-제5도와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7은 금형(1)(1a)의 내면 중앙부에 2.5-3㎜정도 돌출된 돌기인데, 이 돌기(7)의 선단은 뾰족하게 되어 있다.
8은 금형(1)(1a)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제 용기이고 9, 9a는 용기(8)의 절취부이며, 10은 용기(8)의 절취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중앙 또는 일측을 절취하여 사용하는 용기를 성형하는 성형금형에 관한것으로서 통상과 같이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어 공급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관이 본 고안의 벌려진 금형(1)(1a)내로 유입이 된후 다시 금형이 닫혀짐과 동시에 공기주입구(6)에서 압력공기가 주입되어 여유공간부(5)에 위치한 합성수지관 중앙으로 순간 투입되므로 합성수지관은 금형(1)(1a)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요구되는 합성수지용기(8)가 연속적으로 성형되는 이는 통상의 방법과 같다.
이때 제1도, 제2도, 제5도와 같이 금형(1)(1a)의 내면중앙부에 1.5-2㎜ 정도의 요홈(3)이 요설되어 있어 가연성 합성수지관이 금형(1)(1a)내면에 닿아 밀착되면서 계속 송입되는 압력공기에 의해 눌려지므로 금형(1)(1a)의 내면 중앙부요홈(3)에 합성수지관의 해당부위가 얇아지면서 압입되게 된다.
동시에 금형(1)(1a)의 내면 양측부분과 여유공간부(5)(5a)간에 돌설된 돌출날(4)에 의하여 해당되는 합성수지관 부위역시 돌출날(4)의 선단부분측이 얇게 내향 돌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합성수지용기(8)가 성형이 되면 그 합성수지용기(8)의 중앙부분은 외향으로 볼록하고 얇은 절취부(9)와 그 양측부분은 내향으로 얇게 들어간 절취부(9a)가 각각 형성되어 필요시 손으로 각 절취부(9)를 잡고 뜯어주면 간편히 절취되어 제4도와 같이 하나의 용기로 형성되며 또한 막걸리 용기, 1회용 샴푸 용기 및 기타 1회용 용기의 경우 개구부위가 간편히 절취되어 요구하는 내용물등을 인출시켜 사용할수가 있다.
또한 제6도 및 제7도와 같이 금형(1)(1a)의 내면 중앙부에 제1도, 제2도, 제5도와 같이 요홈(3)을 요설치 않고 선단이 뾰족한 돌기(7)를 돌설하여도 용기(8) 성형후 뜯기 용이한 절취부를 얻을수 있는 동일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용기(8)를 성형하는 금형(1)(1a)을 제작함에 있어서, 금형(1)(1a)의 내면 중앙부에 1.5-2㎜정도의 요홈(3)이나 2.5-3㎜정도 선단이 뾰족한 돌기(7)를 설치하고 그 양측부에는 돌출날(4)을 돌설시켜 주므로서 용기(8) 성형후 절취부(9)(9a)가 형성되어 별도의 도구 없이도 극히 간편하고 정확하게 절취 사용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용기를 성형하는 금형을 구성함에 있어서, 금형(1)(1a)의 내면 중앙부에는 1.5-2㎜정도의 요홈(3)을 요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용기의 성형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금형(1)(1a)의 내면 중앙부에 선단이 뾰족한 2.5-3㎜정도의 돌기(7)를 돌설하여서된 합성수지용기의 성형금형.
KR2019860000040U 1986-01-07 1986-01-07 합성수지용기의 성형 금형 KR890002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040U KR890002580Y1 (ko) 1986-01-07 1986-01-07 합성수지용기의 성형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040U KR890002580Y1 (ko) 1986-01-07 1986-01-07 합성수지용기의 성형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168U KR870012168U (ko) 1987-08-03
KR890002580Y1 true KR890002580Y1 (ko) 1989-04-29

Family

ID=1924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0040U KR890002580Y1 (ko) 1986-01-07 1986-01-07 합성수지용기의 성형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5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168U (ko) 198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21444A (ko) 다층성형체 제조용 금형 및 다층성형체 제조방법
KR920000442A (ko) 습식 면도기 유니트 및 그것의 사출성형 방법
KR880012323A (ko) 일회용 면도기 봉입 성형방법
IS3640A7 (is) Aðferð við að framleiða hettu á dreifibrúsa, samsvarandi hetta og dreifibrúsi
KR890002580Y1 (ko) 합성수지용기의 성형 금형
ATE186491T1 (de) Querdüse für eine form mit innerem anschnitt
EP0320799A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footwear such as slippers, and slipper obtained with the process
US2908942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plastic flowers and leaves in multicolor design
KR0145961B1 (ko) 식물접목용 크립 제조방법
CN210501234U (zh) 一种可在模内给手环、手表的腕带自动切水口的模具
DE3570200D1 (en) Long hair trimmer for a dry-shaver
JPS6079929A (ja) プラスチツク容器成形方法
JPH054973Y2 (ko)
JPS57193331A (en) Synthetic resin molded product and manufacture thereof
JPH03352Y2 (ko)
JPS5826106Y2 (ja) 異形プラスチツクス中空体を製造するための吹込成形金型
JPS642039U (ko)
KR910001606Y1 (ko) 플래스틱 성형기의 사출금형
JPS5922735A (ja) 合成樹脂押出モ−ルのエンドキヤツプ成形方法
KR20010082893A (ko) 만곡된 모자챙심 제조방법
JPS55133914A (en) Mold preventing production of burr
JPH06254954A (ja) ブロー成形機
KR880001622Y1 (ko) 인조잔디
KR840002628A (ko) 복합 신발창의 제법
DE60005407D1 (de) Form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verschlüssen mit d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