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273B1 - 실(絲)의 권취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絲)의 권취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273B1
KR890002273B1 KR1019850009470A KR850009470A KR890002273B1 KR 890002273 B1 KR890002273 B1 KR 890002273B1 KR 1019850009470 A KR1019850009470 A KR 1019850009470A KR 850009470 A KR850009470 A KR 850009470A KR 890002273 B1 KR890002273 B1 KR 890002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uide
creeping
return point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796A (ko
Inventor
가스야스 히라이
Original Assignee
무라다 기가이 가부시기가이샤
무라다 준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 기가이 가부시기가이샤, 무라다 준이찌 filed Critical 무라다 기가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ribbon winding ; Arrangements for preventing irregular edge forming, e.g. edge raising or yarn falling from the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ribbon winding ; Arrangements for preventing irregular edge forming, e.g. edge raising or yarn falling from the edge
    • B65H54/385Preventing edge raising, e.g. cree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絲)의 권취방법 및 장치
제1a도-제1c도는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팩케이지 및 트래버어스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드럼의 전개도.
제3도는 드럼의 안내홈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제4도는 트래버어스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트래버어스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크리이핑장치의 측면도.
제7도는 크리이핑캠 및 캠판의 작용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제8a도-제8h도는 싱크로캠과 크리이핑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11도는 종래 일반적인 트래버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2도는 안내홈이 2개의 왕복로를 보유하고 있는 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3도는 제12도에 표시된 드럼을 사용한 경우의 팩케이지 및 실의 트래이버스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제14a도-제14c도는 제12도에 표시된 드럼을 사용하여 크리이핑을 행한 경우의 팩케이지 및 실의 트래버스동작을 표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래버어스가이드 (20) : 싱크로캠
(26) : 크리이핑캠 (A) : 안내홈
(A1)(A2) : 왕복로 (P) : 팩케이지
(Y) : 실
본 발명은 각종의 섬유기계에 있어서 회전하는 보빈위에 실을 권치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연기(假撚機)나 방사(紡絲)권치기등의 섬유기계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실은 회전하는 보빈위에 팩케이지로서 권치된다. 실은 보빈의 축방향에 따라서 좌우로 트래버어스되면서 권치되고, 보통은 이고(耳高)라고 불리우는 팩케이지 양쪽끝부분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리이핑 또는 에지(edge)컨트롤 등이라고 불리우는 동작이 함께 행해진다.
이 크리이핑이라 함은,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실의 좌우에 있어서의 반환점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화시킨것으로서 이것에 의하여 팩케이지(P) 양쪽끝부분에 권회되는 실의 양의 감소하여 상기한 이고가 방지된다.
팩케이지(P) 양쪽끝부분에 있어서의 실의 감소량비율은 실이 최대의 트래버어스폭로서 운동하고 있는 시간(t1)과 최대트래버어스 폭보다 적은폭으로서 운동하고 있는 시간(t2)과의 비에 의해서 결정되며, 이 비 즉, (t2)/(t1+t2)를 적당한 정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이고가 없는 양호한 팩케이지형상이 얻어진다.
실을 권치할때에 다른문제로서 팩케이지표면에 나타나는 리본형상의 권회라고 불리우는 현상으로서 리본형상의 권회는, 팩케이지위에서 실이 어느정도의 길이에 걸쳐서 서로 평행하고 또한 직접적으로 중합된 경우에 발생하며, 이 중합된 실부분이 서로 얽혀서 실의 풀려나오는 것을 곤란하게한다고 하는 결점을 생기게한다.
리본 형상의 권회를 회피하는 정치로서 본출원인은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드럼(1)의 외주에 2개의 왕복로(A1)(A2)를 보유하는 안내홈을 설치하고, 그홈에 따라서 실안내용 트래버어스가이드를 주행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홈의 좌우각끝부분에 있어서의 반환점을 각각 드럼축방향으로 거리(D)만큼 다르게 한것이며, 이것에 의하면 제13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트래버어스된다.
상기한 왕복로(A1)(A2)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 드럼(1)에 의하여 권치된 팩케이지(P)는 상기한 리본형상의 권치가 감소하고 또 이고도 개선되지만, 팩케이지양쪽끝부분에는 제13a도에 표시한바와같이 실의 각 반환점에 상당하는 위치에 전과 다름없이 적은 2개의 이고(E1)(E2)가 발생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한 왕복로(A1)(A2)를 보유하는 드럼(1)을 사용해서 다시금 크리이핑까지도 행하여 실을 권치하는 것에 고안하여 제14b도에 표시하는 권치방법을 시도하였다.
제14b도가 실제 실의 트래버어스동작을 표시하고, 이것에 의하여 권치된 팩케이지(P)는 제14a도에 표시한바와같이 팩케이지 바깥쪽의 이고는 방지되었으나, 안쪽의 실 반환점에 있어서 적은 이고(E3)가 남아있었다.
제14c도는 제14b도에 표시된 실의 트래버어스동작을 가령 1왕복분(分)의 안내홈밖에는 보유하지 않는 종래의 드럼을 사용하여 행하였던 것과같이 순서를 바꾸어서 표시한것이다.
즉 제14b도에 있어서 바깥쪽 및 안쪽의 각 반환점이 그리는 각 궤적에 대하여, 그 1주기내에 각부분 (F1)-(F6)를
Figure kpo00002
의 순서로 바꾸어 늘어놓은 것으로서, 이 도면에서 명백한바와 같이 상기한
Figure kpo00003
의 부분에 있어서, 실 반환점이 일시 정체하고, 이때문에 상기한 이고(E3)가 형성되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각종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고 및 리본 형성의 권회의 두가지 결점을 동시에 해소할수 있는 실의 권치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복수의 왕복로를 보유하는 안내홈을 형성한 드럼을 사용해서 실을 트래버어스시키는 것에 의하여 좌우각 끝부분에 있어서의 실의 반환점을 각각 드럼축방향으로 교대로 변화시킴과 이울러, 바깥쪽의 반환점과 안쪽의 반환점에 각각 서로 다른 크리이핑동작을 행하게하는 것이다.
크리이핑은 상기한 안내홈에 따라서 실을 안내하는 트래버어스 가이드를 캠으로서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고, 또한 상기한 변환점의 한쪽에 있어서 캠과 트래버어스가이드와의 연계를 단절하여 크리이핑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위한 장치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의 바깥쪽 및 안쪽의 반환점의 한쪽에 위치하였을때 크리이핑 속행(續行)되고, 다른쪽에 위치하였을때 크리이핑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한 각 변환점은 서로 다른 크리이핑궤적을 그리고, 양자의 총합이 권치된 팩케이지의 양쪽부분의 형상을 결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드럼의 전개도를 표시하며, 외주에 형성된 나선상의 안내홈(A)은 굵은 실선으로서 표시되고, 왼쪽끝의 제1왼쪽 반환점(L1)에서 오른쪽끝의 제1오른쪽 반환점(R1)까지의 1점쇄선으로서 표시되는 제1왕로(往路)(AP1), 제1오른쪽 반환점(R1)에서 왼쪽끝의 제2왼쪽 반환점(L2)까지의 2점쇄선으로서 표시되는 제1복로(復路)(Ar1), 제2왼쪽 반환점(L2)에서 오른쪽끝의 제2오른쪽끝의 제2오른쪽 반환점(R2)까지의 가늘은 실선으로서 표시되는 제2왕로(AP2), 제2오른쪽 반환점(R2)에서 원래의 제1왼쪽 반환점(L1)까지의 점선으로서 표시되는 제2복로(Ar2)로 이루어진다.
이들 제1왕로(AP1), 제1복로(Ar1), 제2왕로(AP2) 및 제2복로(Ar2)는 차례로 접속되어서 1개의 연속된 무단상(無端狀)의 안내홈(A)을 형성하고, 제1왕로(AP1)와 제1복로(Ar1)로서 제1왕복로(A1)를, 제2왕로(AP2)와 제2복로(Ar2)로서 제2왕복로(A2)를 형성한다.
드럼(1)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1왼쪽 반환점(L1)과 제1오른쪽 반환점(R1)과의 사이, 즉 제1왕로(AP1)의 축방향길이는(l1), 제1복로(Ar1)의 축방향길이는(l2), 제2왕로(AP2)의 축방향길이는(l3), 제2복로(Ar2)의 축방향길이는(l4)로서 각각 표시되며, 각 길이(l1)-(l4)는 l1=l3 인것외에는 서로 다른것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한 축방향에 있어서의 제1왼쪽 반환점(L1)과 제2왼쪽 반환점(L2)과의 간격 및 제1오른쪽 반환점(R1)과 제2오른쪽 반환점(R2)과의 간격은 모두 동일값(D)을 표시한다.
각 왕로 또는 복로의 한쪽끝에서 다른쪽끝까지를 뒤에서 설명하는 트래버어스가이드가 주행함에는 제1왕로(AP1)에서는 m1회전, 제1복로(Ar1)에선는 m2회전, 제2왕로(AP2)에서는 m3회전, 제2복로(Ar2)에서는 m4회전만큼 드럼(1)이 회전할 필요가 있으며, 이 회전수를 와인두수라고 불리우면, 제1왕복로(A1)의 와인드수(m1+m2)와 제2왕복로(A2)의 와인드수(m3+m4)는 서로 다르게 되도록 설정하고 있으며, 상기한 각 와인드수는 예컨대 m1=m3=3.75, m2=3.65, m4=3.85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트래버어스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원통형의 전기한 드럼(1)은 캠박스(2)내에 수납되고, 그 캠박스(2)내에는 드럼축과 평행하게 가이드로드(3)가 건절질러서 설치되며 또한 캠플레이트(4)가 축(5)에 의해서 덮개체(6)에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지지되어있다.
캠플레이트(4)의 밑바닥면에는 그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캠홈(7)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캠박스(2)에 고정된 앞부분 플레이트(8)에는 드럼축방향으로 창(窓)(9)이 형성되어있다. 트래버어스가이드(10)는 가이드로드(3)에 미끄럼작동이 자유자재롭게 계합하는 슬라이드블록(11)과, 그 슬라이드블록(11)에 축(12)으로서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지지된 가이드 아암(13) 및 캠슈우(14), 가이드 아암(13)에 지지된 슬라이드피이스(15) 및 실가이드(16)로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가이드아암(13)은 앞부분플레이트(8)의 창(9)내를 미끄럼작동이 자유자재롭게 되어 있으며, 캠슈우(14)는 드럼(1)의 안내홈(A)과 계합하고, 슬라이드피이스(15)는 캠플레이트(4)의 캠홈(7)과 끼워맞추어져있다.
도면표시하지 않은 모우터등의 구동원에 의해서 드럼(1)이 한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캠슈우(14)가 안내홈(A)내를 주행하며, 따라서 트래버어스가이드(10)는 가이드로드(3)에 안내되어서 드럼축방향으로 왕복주행한다.
가이드아암(13)의 경사는 슬라이드피이스(15)를 안내하는 캠홈(7)의 경사에 의존하며, 캠플레이트(4)가 제5도에 표시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가이드아암(13)은 안내홈(A)의 제1 또는 제2왼쪽 반환점(L1)(L2)에 있을때(10a)로서 표시하는 자제를 취하고, 제1 또는 제2오른쪽 반환점(R1)(R2)에 있을때 (10b)로서 표시하는 자세를 취한다.
(Y)는 실가이드(16)로서 안내되는 실, (17)은 실(Y)을 권치하는 보빈, (18)은 팩케이지(P)에 접촉하여 화살표방향(19)으로 회전하는 마찰로울러이다.
제5도 및 제6도에 크리이핑장치가 표시되며 캠과 트래버어스가이드와의 연계를 단절하는 장치로서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트래버어스가이드(10)를 크리핑시키는 캠(26)에 의하여 요등되고, 일단이 트래이버어스가이드(10)에 연동연결된 레버(32)와, 전기한 캠(26)과 동일방향에서 걸어맞춤하는 싱크로캠(20)과 드럼(1)을 연동연결하고, 드럼(1)이 그 외주에 형성한 안내홈(A)의 왕복로가 전로를 거쳐 회전하는 사이에 싱크로캠(20)이 1회전하는 비율로 감속연결하는 기어(24)(25), 벨트(22), 풀리(21)로 이루어진 감속연결기구인것으로서, (20)은 드럼(1)의 축에 고정된 풀리(21)에서 무단벨트(22)(23) 및 감속용기어(24)(25)를 개재하여 회전구동되는 싱크로캡, (26)은 펄스모우터(27)에서 무단벨트(28)를 개재하여 회전구동되는 크리이핑캠이다.
싱트로캠(20)의 드럼(1)에 대한 감속비는 안내홈(A)의 전체와인드수(m1+m2+m3+m4)의 역수(逆數)로 설정된다. 즉, 전기한 예에따르면 m1=m3=3.75, m2=3.65, m4=3.85 이므로, 3.75+3.65+3.75+3.85=15의 역수 즉, 1/15로 설정되어서 드럼(1)이 15회전하였을때 싱크로캠(20)이 1회전한다.
싱크로캠(20)은 지름이 일정한 큰지름캠면(20a)과 지름이 일정한 적은지름캠면(20b)을 각각 대량 180도의 범위내에서 보유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크리이핑캠(26)은 지름이 각도에 비례하여 증대하는 형상을 이루며, 단부(段部)(26c)를 포함하지 않는 소정의 각도내에 있어서 싱크로캠(20)의 수십분의 1의 속도로서 천천히 왕복회전 된다.
(30)은 축(31)으로서 도면표시하지않은 기름에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지지된 V자형 요동아암이며, 그 요동아암(30)의 한쪽레버(32)에는 상기한 각 캠(20)(26)과 대응하는 캠로울러(33)(34)가 설치되고, 다른쪽 레버(35)에는 2개의 레버(36)(37)을 보유하는 연동아암(38)이 축(39)에 의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지지되어 있다. (40)은 팩케이지(P)를 그 양쪽끝에서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지지하는 크레이들 아암이며, 축(41)에 의하여 기틀에 선회가 자유자재롭게 지지되고, 그 크레이들아암(40)의 기부(期部)에는 브라켓(42)을 개재히여 1/3원호상의 캠판(43)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연동아암(38)의 한쪽레버(36)에는 상기한 캠판(43)의 캠면(43a)에 접촉하는 캠로울러(44)가 설치되고, 다른쪽레버(37)에는 제5도에 표시한 전기한 캠플레이트(4)와의 사이에 연결로드(45)가 연결되어 있다.
(46)은 캠플레이트(4) 및 연결로드(45)를 제5도 아래쪽으로 잡아당겨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이며, 그 스프링(46)의 힘에 의해서 상기한 캠로울러(44)는 항상 캠판(43)에 맞닿게하고, 캠로울러(33)(34)중에서 한쪽이 싱크로캠(20) 또는 크리이핑캠(26)과 항상 맞닿게 한다.
상기한 크리이핑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상 싱크로캠(20) 및 캠판(43)이 없는 것으로 가정하여 먼저 설명한다.
드럼(1) 및 마찰로울러(18)가 회전구동되어서 실의 권치가 개시되면, 동시에 펄스모우터(27)가 구동되어서 크리이핑캠(26)이 왕복회전한다. 크리이핑캠(26)의 캠면에따라서 캠로울러(34)가 위아래로하여 요동아암(30)이 축(31)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연결로드(45)를 개재 하여 캠플레이트(4)가 축(5)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캠홈(7)의 경사가 주기적으로 변화하고, 트래버어스가이드(10)는 그 좌우의 반환점에 있어서 축(12)에 대한 슬라이드피이스(15)의 위치가 변화하기때문에 가이드아암(13)이 상기한 반환점에서 제5도 2점쇄선(10c)으로서 표시한바와같이 요동하여 실의 트래버어스폭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킨다.
이렇게하여 얻어지는 실의 트래버어스동작은 제7도에 표시된다.
캠판(43)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그 캠판(43)의 캠면(43a)은 그 기단부(期端部)(43b)에서 앞쪽끝부분(43c)으로 접근함에따라 크레이들아암(40)의 축(41)중심에서 멀어지는 형상으로되어 있으며, 크레이들아암(40)이 윗쪽으로 선회함에 따라서 캠면(43a)이 캠로울러(44)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되어 있다. 따라서 팩케이지(P)의 지름이 증대함에따라서 연동아암(38)은 축(39)을 중심으로 시계바늘반대방향으로 선회하고, 연결로드(45)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실의 트래버어스폭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지는 실의 트래버어스 동작은 제7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보빈축에 수직인 직선(G)과 실의 최대트래버어스폭인 직선상의 궤적(H)과의 사이에 소정의 각도(u)가 형성된다. 이 각도(u)는 제5도에 표시하는 팩케이지(P)양쪽의 테이퍼로 되어서 나타내고, 그 팩케이지(P)의 어깨부분에 있어서의 형상의 무너짐을 방지한다.
싱크로캠(20)을 포함한 설명을 하기 이전에 싱크로캠(20)과 크리이핑캠(26)의 동작관계에 대해서 제8도에 의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제8a도-제8d도는 크리이핑캠(26)이 원점위치에 있는 경우 즉, 크리이핑캠(26)은 비교적 적은지름캠면(26b)이 캠로울로(34)와 대향하는 위치에있는 경우를 표시하고, 제8e도-제8h도는 크리이핑캠(26)이 상기한 원점위치에서 최대회전각(θ)만큼 회전하여 비교적 큰지름캠면(26a)이 캠로울러(34)와 대향하는 위치에 왔을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이해하는 바와같이, 크리이핑캠(26)의 적은지름캠면(26b)이 캠로울러(34)와 대향하고 있는 경우 다른쪽 캠로울로(33)는 싱크로캠(20)의 큰지름캠면(20a)하고만 맞닿게하여, 이때 크리이핑캠(26)의 적은지름캠면(26b)에서 캠로울로(34)를 이반(離反)시키고, 캠로울러(33)가 싱크로캠(20)의 적은지름캠면(20b)과 대향할때는 캠로울로(34)는 크리이핑캠은 적은지름 캠면(26b)이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서 캠로울러(33)는 싱크로캠(20)의 적은 지름캠면(20b)에서 이반한 위치에 있다.
크리이핑캠(26)의 큰지름캠면(26a)이 캠로울러(34)와 대향하고 있을때 그 큰지름캠면(26a) 및 캠로울러(34)는 서로 항상 맞닿게 하고, 다른쪽 캠로울로(33)는 싱크로캠(20)의 큰지름캠면(20a) 및 적은지름캠면(20b)의 어느 것과도 맞닿게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각 캠(20)(26)과 캠로울러(33)(34)와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각 캠의 지름 및 축(31)의 위치등이 설정된다.
또한 제8a도-제8d도 및 제8e도-제8h도는 각각 싱크로캠(20)이 90도씩 차례로 시계바늘방향으로 회전한경우를 표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싱크로캠(20)이 제8a도 또는 제8e도의 위치에있을때 전기한 트래버어스가이드(10)가 드럼(1)의 안내홈(A)의 제1왼쪽 반환점(L1)에 위치하도록 싱크로캠(20)의 부착각도를 설정해놓으면 트래버어스가이드(10)가 제1오른쪽 반환점(R1)에 왔을대 싱크로캠(20)은 제8b도 도는 제8f도의 위치에 있고, 트래버어스가이드(10)가 제2왼쪽 반환점(L2)에 왔을때 싱크로캠(20)은 제3c도 또는 제3g도의 위치에 있으며, 트래버어스가이드(10)가 제2오른쪽 반환점(R2)에 왔을때 싱크로캠(20)은 제8d도 또는 제8h도의 위치에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싱크로캠(20) 및 크리이핑캠(26)의 동작설명을 근거로하여 다음에 크리이핑장치전체의 동작을 제1도 및 제8도로써 설명한다.
트래버어스가이드(10)가 제1왼쪽 반환점(L1)에 있을때 싱크로캠(20) 및 크리이핑캠(26)은 제8a도의 위치에 있으며, 캠로울러(33)가 싱크로캠(20)의 영향을 받지않고 크리이핑동작이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때의 실의 위치는 제1b도에 있어서의 반환점(Ta)으로서 표시된다.
계속하여 트래버어스가이드(10)가 제1오른쪽 반환점(R1)에 왔을때 싱크로캠(20)은 90도만큼 회전하여 제8b도의 위치를 취하고, 캠로울러(34)가 크리이핑캠(26)의 적은지름캠면(26b)과 접하기 때문에 크리이핑이 개시되며, 이때 실은 제1b도의 반환점(Tb)을 취한다.
그다음으로 트래버어스가이드(10)가 제2왼쪽 반환점(L2)에 왔을때 싱크로캠(20)은 제8c도의 위치를 취하고, 캠로울러(34)와 크리이핑캠(26)의 적은 지름캠면(26b)과의 접촉이 보전되기때문에 크리이핑이 계속되어서 실은 제1b도의 반환점(Tc)을 취한다.
계속하여 트래버어스가이드(10)가 제2오른쪽 반환점(R2)에 왔을때 싱크로캠(20)은 제8d도의 위치를 취하고, 재차 캠로울러(33)가 싱크로캠(20)의 큰지름캠면(20a)과 접하므로 크리이핑이 정지되며, 실은 제1b도의 반환점(Td)을 취한다.
상기한 각동작이 몇번인가 반복되는 중에 크리이핑캠(26)이 서서히 회전하고 캠로울러(34)가 크리이핑캠(26)의 큰지름캠면(26a)위에 얹히면, 제8e도-제8h도에 표시한바와같이 캠로울러(33)와 싱크로캠(20)과의 접촉이 일절 행해지지 않게된다. 따라서, 이동안 요동아암(30)은 싱크로캠(20)의 영향을 받지않고 크리이핑캠(26)은 영향만을 받기때문에 크리이핑이 계속해서 행해지며, 실의 각 반환점은 제8e도-제8h도에 대응하여 제1b도(Te)-(Th)에 표시하는 위치를 각각 취한다.
크리이핑캠(26)은 제8e도-제8h도의 위치에서 서서히 반대반향으로 회전하여 제8a도-제8d도의 위치를 취하도록 주기적으로 왕복회전하기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실의 트래버어스 및 크리이핑운동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행해지며, 제1b도에 표시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제1b도에 나타낸 크리이핑궤적을 전기한 제14b도 및 제14c도의 경우와 동일하게(J1)-(J5)의 각 부분으로 구분한후(J1)(J4)(J5)(J2)(J3)의 순서로 배열변경하면 제1c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되며, 실의 반환점이 팩케이지끝부분 이외에서 체류하지 않는 것이된다. 따라서 얻어진 팩케이지(P)는 제1a도에 표시한바와같이 이고가 없는 양호한 형상으로되며, 또 리본형상의 권회도 방지된다.
제1b도에 있어서 실이 최대폭으로 트래버어스를 행하는 시간(V)은 크리이핑캠(26)의 1왕복회전에 있어서 캠로울러(34)가 상기한 크리이핑캠(26)은 큰지름캠면(26a)과 접촉하지않는 시간이며, 따라서 크리이핑캠(26)의 형상이나 회전각(θ)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크리이핑비율이나 크리이핑폭(W)을 자유자재롭게 변경할수 있다.
제9도는 크리이핑캠(26)을 좌우대칭인 대략 달걀모양의 형상으로 한 경우의 예를 표시하며, 이 캠(26-1)을 한방향으로 연속회전시키는 것에 위해서도 동일한 작용을 할수가 있다. 또 제10도는 또 다른 예를 표시하며, 이 예에 있어서는 전기한 캠로울러(33)대신에 철편(47)을 요동아암 앞쪽 끝에 고정부착하고, 그 철편(47)과 대향하는 위치에 도면 표시하지 않는 회로에 의해서 제어구동되는 전자마그넷트(48)가 설치되어있다. 그 전자마그넷트(48)는 제8a도 및 제8d도에 상당하는 기간만 여자되어서 철편(47)을 흡인하고 캠로울러(34)와 크리이핑캠(26)을 이반시킨다. 이 예에 의해서도 동일한 작용을 행할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을 좌우의 반환점이 각각 다른위치에 교대로 변화하도록 트래버어스되므로 리본형상의 권회가 방지되고, 또한 각 반환점에 대하여 서로 다른 크리이핑동작이 행해지므로 각 크리이핑을 적당하게 설정하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고를 해소하고 소망하는 팩케이지형상을 얻을수가 있다.

Claims (2)

  1. 회전하는 팩케이지(P)에 실(Y)을 좌우로 트래버어스시키면서 권취하는 방법에 있어서, 좌우의 각끝부분에 있어서의 실의 반환점을 각각 교대로 변화시킴과 아울러, 각 반환점에 대해여 서로 다른 크리이핑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의 권치방법.
  2. 외주에 서로 다른 복수의 왕복로(A1)(A2)를 보유하는 나선상의 안내홈(A)을 형성한 드럼(1)과, 상기한 안내홈(A)에 따라서 실(Y)을 트래버어스시키는 트래버어스가이드(10), 그 트래버어스가이드를 크리이핑시키는 캠(26)과, 상기한 안내홈(A)의 소정의 반환점에 있어서 상기한 캠(26)과 트래버어스가이드(10)와의 연계를 단절하는 장치로 이루어진 실의 권치장치.
KR1019850009470A 1984-12-19 1985-12-17 실(絲)의 권취방법 및 장치 KR890002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67740A JPS61145075A (ja) 1984-12-19 1984-12-19 糸の巻取装置
JP59-267740 1984-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796A KR860004796A (ko) 1986-07-14
KR890002273B1 true KR890002273B1 (ko) 1989-06-27

Family

ID=1744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470A KR890002273B1 (ko) 1984-12-19 1985-12-17 실(絲)의 권취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67071A (ko)
JP (1) JPS61145075A (ko)
KR (1) KR890002273B1 (ko)
DE (1) DE3545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5B2 (ja) * 1988-07-27 1994-01-05 村田機械株式会社 糸の巻取方法および装置
JPH0275572A (ja) * 1988-09-13 1990-03-15 Murata Mach Ltd 糸の巻取方法および巻取装置
JPH02305766A (ja) * 1989-05-19 1990-12-19 Murata Mach Ltd 糸のトラバース方法
JP2511711B2 (ja) * 1989-09-30 1996-07-03 帝人製機株式会社 糸条の巻取方法
DE19548887B4 (de) * 1995-12-29 2006-11-02 Rieter Ingolstadt Spinnereimaschinenbau Ag Verfahren zum Aufwickeln von Fäden
DE19642618A1 (de) * 1996-10-16 1998-04-23 Sahm Georg Fa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Fadens in Wildwicklung auf eine Auflaufspule
TW368490B (en) * 1997-02-27 1999-09-01 Barmag Barmer Maschf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inding a continuously advancing textile yarn into a core supported package by controlling the acceleration and/or deceleration of the yarn guide to modify the yarn deposit in the package edges
JP3696778B2 (ja) * 1999-10-15 2005-09-21 村田機械株式会社 綾振ドラム
TR200301809T4 (tr) 2000-01-13 2004-01-21 Barmag Ag Bir iplik bobinini sarmak için yöntem ve düzenek.
CN101100255A (zh) * 2007-08-03 2008-01-09 江苏海源机械有限公司 一种纱线卷绕成筒子的横动装置
CN112739635B (zh) 2018-10-09 2023-07-07 日本Tmt机械株式会社 纱线卷取机以及卷装的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32345A (de) * 1942-04-02 1944-05-31 Schlafhorst & Co W Fadenführungstrommel an Kreuzspulmaschinen.
US3690579A (en) * 1971-11-15 1972-09-12 Northrop Carolina Inc Textile thread winder with improved thread traversing mechanism
JPS5713058A (en) * 1980-06-30 1982-01-23 Murata Mach Ltd Prevention of ear part highness in yarn rolling
GB2112029B (en) * 1981-11-02 1986-06-25 Murata Machinery Ltd Yarn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
JPS59133173A (ja) * 1983-01-18 1984-07-31 Toray Ind Inc 炭素質繊維パツケ−ジ
JPS60167855A (ja) 1984-02-10 1985-08-31 Murata Mach Ltd 綾振ドラム
EP0173118B1 (de) * 1984-08-18 1988-04-20 B a r m a g AG Zylindrische Kreuzsp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45080C2 (ko) 1989-09-07
JPS61145075A (ja) 1986-07-02
US4767071A (en) 1988-08-30
KR860004796A (ko) 1986-07-14
JPH0127942B2 (ko) 1989-05-31
DE3545080A1 (de) 198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4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yarn into a package
KR890002273B1 (ko) 실(絲)의 권취방법 및 장치
US3796386A (en) Thread feeder for textile machines
US4474337A (en) Yarn guide assembly for winding machine
US6904745B2 (en) Thread-guiding device for open-end spinning frames
US431357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winding several yarns
US432204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inding roving packages
US5112001A (en) Yarn winding method
WO2003020624A1 (en) Device and apparatus with magnetic thread-guide for winding a thread onto cylindrical supports
US3693896A (en) Apparatus for winding strands of thermoplastic material, particularly of glass filaments in the course of their production
EP0066128B1 (en) Device for forming yarn packages
US2205384A (en) Winding
US2277574A (en) Winding
WO2001028907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fadens auf eine spule
JPH04213562A (ja) 綾巻きボビンを製造する方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綾巻きボビン
US2924398A (en) Traversing mechanism for high speed winding
DE3060495D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utomatic take-up of a yarn on to a bobbin
US2804273A (en) Method of winding filling, cam, and cop produced thereby
US20030192982A1 (en) Servo-controlled traverse mechanism for winder
US656862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ind angle and waywind during strand package buildup
US4921181A (en) Yarn traverse winding apparatus
US4484713A (en) Thread reeling apparatus
JPH0369821B2 (ko)
US3695524A (en) Yarn winding apparatus
KR200338138Y1 (ko) 연사기의 트래버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6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