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64Y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64Y1
KR890001964Y1 KR2019840002291U KR840002291U KR890001964Y1 KR 890001964 Y1 KR890001964 Y1 KR 890001964Y1 KR 2019840002291 U KR2019840002291 U KR 2019840002291U KR 840002291 U KR840002291 U KR 840002291U KR 890001964 Y1 KR890001964 Y1 KR 890001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arc
enclosure
exhaust
exhaus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29U (ko
Inventor
가이 세쓰오 호소
히로시 후지이
히데오 스하라
후미유끼 히사쓰네
시게미 다마루
기요미 야마모도
신지 야마가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전기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5224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70360U/ja
Priority claimed from JP84303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09236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전기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filed Critical 미쯔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40006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 차단기
제1도는 종래의 회로 차단기를 일부 절제한 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 차단기의 제1실시예에 의한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회로 차단기의 제2실시예에 의한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의 횡단면도.
제5도는 제3도 회로 차단기의 베이스를 이면에서 관찰할 경우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횡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의 횡단면도.
제8도는 제2도의 어터치멘트의 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의 일부를 절제한 횡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어터치멘트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회로 차단기의 제7실시예의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회로 차단기의 제8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 2 : 베이스
2a : 저부 3a : 고정접점
4a : 가동접점 5 : 소호판
5a : 절결부 18 : 아아크배기구
100 : 차단기구 R : 릴레이부
A : 함체
본 고안의 전로를 차단하는 회로차단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는 접점이탈시에 아아크가 발생한다.
이 아아크 및 이에 수반하여 생기는 고온의 가스는 회로 차단기의 내부압력을 급격하게 상승시키지만 이 내압을 억제하기 위한 아아크의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1도는 이와 같은 아아크배기구를 설치한 종래의 회로 차단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커버, (2)는 베이스로서, 커버(1)의 베이스(2)에 의하여 함체 A를 구성한다.
함체 A내에는 차단기구(100)가 수장되어 있다.
차단기구(100)는 고정접촉자(3), 이 고정접촉자(3)와 섭탈하는 가동접촉자(4 ), 과전류가 흐를 때에 가동접촉자(4)를 고정접촉자(3)에서 이탈시키는 전자트립기구나 열동트립기구등의 릴레이부(도시없음) 및 소호판(5)을 장착하고 있다.
고정접촉자(3)에는 고정접점(3a), 가동접촉자(4)에는 가동접점(4a)이 각기 대향되게 장설되었고, 이들 접점(3a)(4a) 근방에 상기 소호판(5)이 배치되어 있다.
(6)은 크로스바(7)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절연재로된 아암이고, 그것이 유동단부에는 가동접촉자(4)가 핀(8)에 의하여 유착되어 있다.
(9)는 가동접촉자(4)와 릴레이부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션트(shunt)이다.
(10)은 절연재로된 폐색판이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폐색파(10)에는 아아크의 배기구(18)가 형성되어 있다.
(11)은 베이스(2)의 단부에 설치된 전원측단자이고, 고정접촉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12)는 조작레버이다.
다음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레버(12)를 우측으로 제껴꺼주면 도시되지 않은 토글링크기구를 통하여 아암(6)이 크로스바(7)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서, 가동접촉자(4)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점(4a)을 고정접점(3a)에 접촉되게 된다.
과전류가 흐르게되면, 릴레이부가 작동하여 토글링크기구를 통하여 아암(6)을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동접점(4a)을 고정접점(3a)에서 이탈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전로가 차단된다. 여기에 있어서 가동접점(4a)가 고정접점(3a)에서 이탈할 경우에 양접점(3a)(4a)간에 아아크가 발생되지만, 이 아아크는 소호판(5)의 방향으로 신장되어 고온의 가스와 함께 배출구(1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는 아아크 배출구(18)가 함체 A의 비교적 상측에 위치하여 있으므로 배출구(18)에서 배출되는 아아크가 함체A의 상면 즉, 조작부측에 까지 연재하는 위험성이 있어서, 안전관리상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아크가스중에 함유하는 도전성 용융물이 접점(3a)(4a)보다 후측, 즉 아아크 배출구(18)의 반대측에 부유하는 아암(6)에 부착하며, 가동접촉자(4)와 크로스바(7)와의 사이의 절연저항이 저하되고, 크로스바(7)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각극의 릴레이 부간에서 단락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더우기 상기 도전성 용융물이 트립기구에 부착하여 고화하면, 트립동작이 저해 될 우려성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아아크가스에 의한 위험성이나 절연열화 및 트립동작의 불량등의 발생이 없는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회로 차단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의 일부를 절제한 횡단면도이다.
더우기 설명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R는 전자 트립기구를 구성하는 릴레이부로서, 철심(13)과 그 철심(13)에 권회된 코일(14)과, 요오크(15)와, 요오크(15)에 지지된 가동철편(16)과, 스프링(1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14)의 일단은 션트(9)에 그 타단은 부하측 단자(23)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2)의 저부(2a)에는 아아크 배기구(18)가 형성되고, 이 아아크 배기구(18)는 소호판(5)의 절결부(5a)에서 단자(11)측 즉, 전원측의 고정접점(3a) 근방에 위치되었다.
(19)는 아아크 배기구(18)에서 베이스(2)의 저부(2a)를 따라 연장되는 배기통로서, 이 배기통로(19)는 베이스(2)의 저부(2a)에 터널공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되고, 부하측단자(23)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개구부(19a)가 있다.
다음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레버(12)를 우측으로 제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토글링크기구에 의하여 아암(6)이 트로스바(7)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가동접점(4a)는 고정접점(3a)에 접촉되어 폐로상태가 된다.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릴레이부 R가 작동하여 토글링크기구에 의하여 아암(6)을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동접점(4a)을 고정접점(3a)에서 이탈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전로가 차단되는 것이다. 가동접점(4a)이 고정접점(3a)에서 이탈될 경우에 양접점(3a)(4a)간에 아아크가 발생한다.
이때에 아아크는 소호판(5)방향으로 신장되지만, 소호판(5)의 절결부(5a)에서 전원측에 아아크 배출구(18)가 친설되어 있으므로, 신장된 아아크는 소호판(5)을 향하여 신장됨과 동시에 발생되는 고온고압의 가스는 제2도에 화살표와 같이 베이스(2)의 저부(2a)에 형성된 아아크 배출구(1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함체 A의 상면 측으로는 연재하지 아니한다.
또한 아아크 배출구(18)는 접점(3a)(4a) 근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아크가스는 신속하게 외부로 유출하고, 이에 따라서, 아아크가스중의 도전성 용융물도 신속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아암(6)또는 트립기구등에 도전성 용융물의 부착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아아크 배출구(18)에서 유출하는 아아크가스는 배기통로(19)를 통하여 개구부(19a)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기통로(19)는 베이스(2)의 저부(2a)에 터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합면이 없으므로 통로외부와의 절연저항이 저하하지 아니하는 잇점이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2)의 저부(2a)이면에 제5도에서와 같이 요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요구와 저부(2a)이면에 장착되는 이면판(21)에 의하여 배기통로(19)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성형시의 배기통로(19) 형성이 용이하여서 금형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공파이프(22)가 베이스(2)의 저부(2a)에 인서어트 성형되어 있고, 이 중공파이프(22)에 의하여 배기통로(19)가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배기통로(19)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배기통로(19)의 개구부(19a)를 전원측단자(11)가 배치된 측에 설치하면 배출되는 아아크가스에 의하여 이차 단락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지만 상기 각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구부(19a)를 부하측에 설치함으로써 이차단락사고를 없게 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아크 배출구(18)가 릴레이부 R에 가깝게 위치된 점을 제외하고는 제2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접점(3a)(4a)사이에 아아크가 발생되면, 아아크가스는 접점(3a)(4a)후측으로 흐르며, 아아크 배기구(18)에서 유출되지만, 이때에 릴레이부 R측으로 부유하려는 도전성 용융물은 아아크가스의 기류를 타고 강제적으로 아아크 배기구(18)에서 배출되므로 제2도의 경우와 동일하게 아암(6)이나 트립기구의 릴레이부 R등에 도전성 용융물의 부착을 경감할 수 있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이고, 제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터널형태의 배기통로(19)대신 제3도와 동일한 요구와 이면판(21)에 의하여 배기통로(19)를 형성시킨 것이다.
더우기 배기통로(19)의 개구부(19a)를 전원측 단자(11)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설치하면 배출되는 아아크가스에 의하여 이차 단락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지만, 상기 각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구부(19a)를 부하측단자(23)가 설치된 측에 설치함으로써, 이차단락사고를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배기통로(19)의 내벽에는 필요에 따라 배기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열흡수체나 절연저항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한 내절도료 또는 열흡수와 절연저항의 저하억제를 위한 요철부등을 설치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느것이나 배기통로(19)를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배기통로(19)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고, 아아크 배출구(18)를 직접 베이스(2)이면에 개부하여도 된다.
이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6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의 일부절제한 횡단면도이다.
더우기 다음설명에서 제1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베이스(2)의 저부(2a)에는 아아크 배기구(1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아아크 배기구(18)는 고정접점(3a)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2)의 저부(2a) 이면에는 어터치멘트(20)가 착설되었고, 이 어터치멘트(20)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배기통로(19)가 형성되었다. 이 회로 차단기는 3상걔폐기용이고, 배기통로(19)도 각상에 대응하게 3개 설치되었다. 그리고 아아크 배기구(18)는 배기통로(19)를 통하여 함체 A의 외부와 연통되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기통로(19)는 전원측 단자(11)와 반대측 즉, 부하측에 개구부(19a)가 있다.
더우기 제8도에 있어서 (24)는 각 배기통로(19)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 (25)는 어터치멘트(20)를 함체 A에 착설하기 위한 나사등이 삽입되는 착설공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동접점(4a)이 고정접점(3a)에서 이탈할 경우에 양접점(3a)(4a)간에 발생하는 아아크는 베이스(2)의 저부(2a)의 아아크 배기구(18)에서 배출되고 함체 A의 상면측에는 연재하지 아니한다.
또한 아아크 배기구(18)는 가스압이 최고의 접점(3a)(4a) 근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생된 아아크가스는 즉시 아아크 배기구(18)에서 외부로 유출하고, 배기통로(19)를 통하여 개구부(19a)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회로 차단기를 다수의 착설판에 병설하고, 각 회로 차단기의 조작부가 노출되게 파넬을 설치할 경우 각 회로 차단기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여야 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어터치멘트(20)를 사용함으로써, 높이가 낮은 기종이라 할지라도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 높이 h가 다른 어터치멘트(20)를 수종 준비하여두면 각 기종마다 높이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회로 차단기의 차단용량에 따라 발생하는 아아크의 강도나 가스의 량도 다르기 때문에 각 용량마다 배기통로(19)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서 대응되기 때문에 회로 차단기 본체에 대하여서만은 공용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제10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7실시예의 회로 차단기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터치멘트(20)에 구성된 배기통로(19)의 양측면에 제9도에서와 같이 교호하게 돌출된 돌출부(26a)(26b)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결과 배기통로(19)가 지그잭형상으로 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아아크 배기구(18)에서 개구부(19a)에 이르는 절연저항을 높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출되는 아아크가스의 온도저하를 촉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개구부(19a)에서 먼지등이 침입하여 접점부에 부착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배기통로(19)의 개구부(19a)를 전원측단자(11)가 배치되어 있는 축에 설치하면, 배출되는 아아크가스에 의하여 이차 단락사고를 발생하는 위험성이 있지만,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구부(19a)를 부하측에 설치함으로써, 이차단락사고를 없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기통로(19)의 내벽에는 제10도에서와 같은 돌출부(26a)(26b)외에 필요에 따라서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열흡수체나 절연저하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한 내열도료등을 도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우기 아아크 배기구(18)를 상기 실시예의 위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베이스저부(2a)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개구부(19a)도 어터치멘트(20)의 이면이나 측면에 개구하여도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에에서는 어터치멘트(20)에 배기통로(19)를 설치할 경우이지만, 배기통로(19)가 베이스(2)의 저부일 경우 이면과 어터치멘트(20)의 양측에 설치하여도 된다.
어느것이나간에 양자의 접합면의 최소한 일측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제13도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통로(19)내에 필터(27)가 장진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배기통로(19)에는 각 상에 공통되어서 각상마다 필터(27)를 준비할 필요없이 1매의 필터(27)를 장착하는 것만으로서 되는 것이다.
더욱, 배기통로(19)의 개구부(19a)를 함체 A의 전원단자측에 설치하면, 아아크가스에 의한 2차단락의 위험이 있지만,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구부(19a)를 부하단자(23)측에 설치함으로써, 2차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단기구를 수납한 함체의 저부에 아아크 배기구를 1개 또는 복수개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저부이면에 어터치멘트를 착설하여 상기 이면과 어터치멘트와의 접합면의 최소한 일측에 배기통로를 형성하고, 아아크가스를 외부에 효율적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함체내의 내압의 언밸런스를 완화하고, 아아크가 함체의 상면에 연재할 위험성이 없고, 안정성은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아크 가스중의 도전성 용융물이 부착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고, 절연열화 및 트립동작불량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터치멘트 착설로 높이를 증가할 수 있어서, 복수개의 이종의 회로 차단기를 병설할 경우라도 각 회로 차단기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함체(A)내에 차단기구(100)를 수납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함체(A) 저부(2a)에 배기구(18)를 형성하고, 상기 함체(A)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배기구(18)를 차단기구(100)의 접점부근에 개구하여서 된 회로 차단기.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배기구(18)를 차단기구(100)의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소호판(5) 선단부 근방에 개구하게 한 회로 차단기.
  4. 청구범위 제1항에서 있어서, 배기구(18)에서 함체(A) 저부(2a)에 따라 연장된 배기통로(19)를 상기 함체(A)의 저부(2a)에 형성하여서 된 회로 차단기.
  5.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배기통로(19)를 부하측에 개구하여서 된 회로 차단기.
  6.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함체(A)의 저부(2a)에 터널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배기통로(19)를 형성하여서 된 회로 차단기.
  7.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함체(A) 저부(2a)의 이면에 형성된 요구와, 상기 이면에 장착된 이면판(21)에 의하여 배기통로(19)가 형성되게 하여서 된 회로 차단기.
  8.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중공파이프(22)를 함체(A) 저부(2a)에 인서어트 형성에 의하여 배기통로(19)를 형성하여서 된 회로 차단기.
  9.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함체(A)의 저부(2a)이면에 어터치멘트(20)를 착설하여 상기 이면과 어터치멘트(20)와의 접합면의 최소한도 일측에 배기통로(19)를 형성하여서 된 회로 차단기.
  10.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배기통로(19)를 지그잭으로 형성하여서 된 회로 차단기.
  11.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함체(A)에 복수개의 배기구(18)의 전부와 연통되는 배기통로(19)를 형성하여서 된 회로 차단기.
  12. 청구범위 제11항에 있어서, 필터(27)를 장진하여서 된 회로 차단기.
KR2019840002291U 1983-04-28 1984-03-16 회로 차단기 KR8900019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522483U JPS59170360U (ja) 1983-04-28 1983-04-28 回路しや断器
JP58-84303 1983-05-12
JP8430383A JPS59209236A (ja) 1983-05-12 1983-05-12 回路しや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29U KR840006429U (ko) 1984-12-03
KR890001964Y1 true KR890001964Y1 (ko) 1989-04-10

Family

ID=2640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291U KR890001964Y1 (ko) 1983-04-28 1984-03-16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9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29U (ko) 198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6215C (en) Circuit breaker apparatus with line terminal shields
EP2212896B1 (en) Arc gas exhaust passage for a circuit breaker with a double break contact arrangement
EP0212197B1 (en) Circuit breaker with arc gas vent baffle
JPH0821307B2 (ja) 回路遮断器
JPS59181439A (ja) 回路しや断器
KR100324801B1 (ko) 개폐기
US5153545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rc baffle insert
KR890001964Y1 (ko) 회로 차단기
CN212365877U (zh) 一种塑壳断路器
JP4147347B2 (ja) 配線用遮断器
JP4696665B2 (ja) 漏電遮断器
CN113745073B (zh) 一种具有零飞弧装置的塑壳断路器
JP3117055B2 (ja) 回路遮断器
KR100364825B1 (ko) 배선용차단기의 아크가스 배기장치
JP3380732B2 (ja) 回路遮断器
KR100504561B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소호부 구조
KR102070140B1 (ko) 소형 저압용 차단기의 아크런너 설치구조
JPH0654632B2 (ja) 消孤装置
KR0176736B1 (ko) 한류성능이 양호한 회로차단기의 접촉자
KR200345668Y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소호부 구조
KR200224235Y1 (ko) 배선용차단기의소호장치
JPH01189833A (ja)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KR890003416Y1 (ko) 회로차단기
JPH0535552Y2 (ko)
KR20040000826A (ko)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커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