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711B1 - 지하 구조물의 천정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 구조물의 천정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711B1
KR890001711B1 KR1019810003467A KR810003467A KR890001711B1 KR 890001711 B1 KR890001711 B1 KR 890001711B1 KR 1019810003467 A KR1019810003467 A KR 1019810003467A KR 810003467 A KR810003467 A KR 810003467A KR 890001711 B1 KR890001711 B1 KR 89000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unit
steel wire
underground
uni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976A (ko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한국본드건설 주식회사
이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본드건설 주식회사, 이종만 filed Critical 한국본드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1000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711B1/ko
Publication of KR83000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하 구조물의 천정 보강 방법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정보가용 부재의 사시도.
제2도는 보수를 필요로하는 지하 구조물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구조물에 보강측벽을 시공한 후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보강측벽 시공후의 천정보강 시공을 완료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천정보강용 부재를 연결시공하는 상태의 사시도.
제6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제6도는 본 발명을 터널에 실시할때의 천정보강용 부재의 사시도.
제7도는 보수를 필요로하는 터널의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터널에 보강측벽을 시공한 후의 종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을 터널에 실시할때의 천정보강용 부재를 연결시공하는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천정용 단위부재 3' : 아취형 단위부재
4 : 보강철근 5 : 강선관통공
6 : 강선
본 발명은 노후되었거나 잘못 설계되어 균열이 발생한 지하 암거나 수로 또는 터널등의 천정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균열이나 누수가되는 천정부분의 보강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 암거나 수로등에 있어서 설계의 하자나 노후관계로 인한 결함이 발생할 경우에 간단한 방수처리등으로 해결할 경우도 있으나 중대한 구조적인 결함이 발행한 경우에는 보강구조물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경우에 양측벽의 보강에 있어서는 벽돌을 쌓거나 콘크리트 용벽을 측벽에 접하여 타설시키는데 있어서는 기술적으로 별로 어려움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항시 문제가되는 것은 천정부분의 보강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받침기둥을 설치하기도 곤란하고 콘크리트 형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부어넣기를 실시하더라도 기존 천정과 일체화되기 어렵고, 많은 시일이 걸리면 작업이 복잡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현장작업 조건이 나쁘고, 조속히 보강공사를 실시하여야 할 지하 구조물의 천정부분을 가장 빠르고 튼튼하게 보강시킬 수 있게할 목적의 발명인 것으로 기존 지하 구조물의 측벽을 이용하여 보강측벽을 일정높이까지 시공한 연후에 천정용 단위부재를 연속하여 접합설치하고 난 다음 각 단위부재를 강선으로 체결시키고 각 공격부는 에폭시 수지등의 접착제를 그라우팅시켜 일체로 접착시키는 방법인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지하 암거 보수방법)]
첨부도면 제2도는 누수가 심하고 천정등을 보강시킬 필요가 있는 지하 암거(1)의 종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는 것으로 먼저 양측벽면에 맞대어 벽돌을 조적하거나 콘크리트 옹벽을 타설시켜 보강벽(2)을 설치하여 보강벽의 높이를 천정과 일정간격을 유지케 한 다음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천정용 단위부재(3)를 연접시공 시키는 것으로 천정용 단위부재(3)는 토강철근(4)이 매입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강선 관통공(5)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같은 천정용 단위부재(3)를 앞서 기재한 보강벽(2)의 상부에 한쪽 끝으로 부터 차례로 올려놓고 연접부 및 기존 천정과의 틈새를 에폭시 수지 접착제등을 그라우팅시켜 접착시키고, 강선관통공(5)을 통하여 강선(6)을 관통시킨 후 양단부에서 인장을 가한 후 와셔(7)와 너트(8)로 체결시키고 그라우트공(9)을 통하여 에폭시 수지접착제를 투입시켜 강선(6)과 관통공(5) 사이를 메꿈으로서 천정보강 상판이 완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2(지하터널의 보수방법)]
첨부도면 제7도는 누수가 심하고 천정등을 보강시킬 필요가 있는 터널(1')의 종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는 것으로 먼저 양측 벽면에 맞대어 보강벽(2)을 설피함은 실시예 1과 같으나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아취형 단위부재(3')를 연접시공시키는 것으로 아취형 단위부재(3')는 보강철근(4)이 매입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일정간격의 강선 관통공(5)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같은 아취형 단위부재(3')는 터널의 한쪽 단위로 부터 보강벽(2)위에 차례로 올려놓고, 강선(6)으로 체결시키고 틈 사이를 에폭시 수지 접착제로 그라우팅 시킴등은 앞서 기재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기존벽층을 이용항여 보강벽(2)을 현장시공한 후 천정용 단위부재(3)와 아취형 단위부재(3')는 현장에서 크기를 정한 뒤 공장이나 장외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실시에서 천정용 단위부재(3)와 아취형 단위부재(3')의 연결은 전 공사구간을 통하여 강선을 관통시킨후 양단부에서 체결시킬수도 있으며, 공사구간이 긴 경우에는 일정길이를 단위로하여 일정수의 단위부재(3)(3')를 한 묶음으로하여 수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작업조건이 나쁜 지하 구조물에서 가장 시공하기 어려운 천정보가을 가장 취급이 용이하고 단시일 내에 정확하게 보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3)

  1.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의 천정부분을 보수함에 있어서 기존 구조물의 양측벽 내측으로 일정높이의 보강벽을 시공한 후에 내부에 보강철근(4)을 매입하고 측면에 일정간격의 강선관통공(5)을 천공시킨 천정용 단위부재(3)를 구조물의 일측 단위로 부터 차례로 연접시키면서 틈새를 접착제로 접합시킨 후 강성관통공(5)을 통하여 강선(6)을 관통시킨 후 양단부에서 너트로 체결시키고 인장을 가한 후 강선과 강성관통공 사이에 접착제를 그라우팅시켜 메꾸어서 일체로 하여서되는 지하 구조물의 천정보강방법.
  2. 제1항을 실시함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한 단위로하여 일정수의 전청용 단위부재(3)를 한 묶음으로 체결시켜 전 공사구간을 수개의 독립된 묶음으로 나누어 시공하는 지하 구조물의 천정보강 방법.
  3. 제1, 또는 제2항을 실시함에 있어서 천정용 단위부재(3)을 아취형으로 변형시킨 아취형 단위부재(3')로 대체시킨 지하구조물의 천정보강방법.
KR1019810003467A 1981-09-17 1981-09-17 지하 구조물의 천정 보강 방법 KR890001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3467A KR890001711B1 (ko) 1981-09-17 1981-09-17 지하 구조물의 천정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3467A KR890001711B1 (ko) 1981-09-17 1981-09-17 지하 구조물의 천정 보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76A KR830007976A (ko) 1983-11-09
KR890001711B1 true KR890001711B1 (ko) 1989-05-18

Family

ID=1922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467A KR890001711B1 (ko) 1981-09-17 1981-09-17 지하 구조물의 천정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7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76A (ko) 198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84037A1 (fr) Materiau de reparation de canalisation, structure de reparation, et procede de reparation
KR20170002280A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교량 바닥판
KR101021147B1 (ko) 조립식 pc암거
US6193439B1 (en) Process for cladding substrates and constructions produced thereby
KR100936668B1 (ko) 흙막이 벽체용 합성 파일 및 그것을 이용한 원심성형방식의 흙막이 벽체
KR10116751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CN105780940A (zh) 建筑物伸缩缝防渗漏结构
CN110080394B (zh) 一种装配式预制构件的连接结构及连接方法
KR890001711B1 (ko) 지하 구조물의 천정 보강 방법
KR20060112874A (ko)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 방법
KR1003104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343369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접합방법
KR102364207B1 (ko) 프리캐스트 암거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CN210712962U (zh) 一种装配式结构构件防水构造
KR200157898Y1 (ko) 연결이음부가 형성된 조립식 피씨 암거
CN210421155U (zh) 一种波纹钢板综合管廊的预制混凝土底座
CN110359450B (zh) 装配式圆形桩结构及构筑方法
KR20220155696A (ko)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050034978A (ko) 평면, 곡면 및 각형 구조물 방수 겸 보수보강공법
KR200329054Y1 (ko) 방수성능을 가진 인접하는 피씨벽부재의 측면 연결부의구조 및 이 구조에 사용되는 피씨벽부재
JP3114141B2 (ja) 地下室
CN217176634U (zh) 一种用于隧道衬砌加固结构中预制构件的嵌入式连接结构
KR102065109B1 (ko) Pc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지하구조물 및 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RU220209U1 (ru) Угловая гидрошпонка для холодных швов бетонирования
RU220587U1 (ru) Гидрошпонка для ремонта холодных швов бетонирова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