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147B1 - 조립식 pc암거 - Google Patents

조립식 pc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147B1
KR101021147B1 KR1020100068798A KR20100068798A KR101021147B1 KR 101021147 B1 KR101021147 B1 KR 101021147B1 KR 1020100068798 A KR1020100068798 A KR 1020100068798A KR 20100068798 A KR20100068798 A KR 20100068798A KR 101021147 B1 KR101021147 B1 KR 101021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culverts
fixing grooves
tensile steel
stee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102010006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01F5/005Culverts ; Head-structures for culverts, or for drainage-conduit outlets in sl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 또는 지하 공동구나 창고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PC암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C암거의 양끝단부에 서로 대칭의 개방형 정착홈을 사방으로 형성하고, 이들 각각의 정착홈은 한 쌍의 체결공에 의해 연통되게 하며, 양측부에 위치하는 정착홈은 PC암거의 상부로부터 관통된 주입공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이들을 인장강선 및 스트랜드콘을 통해 상호 결속 시공함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PC암거 간의 결속력 및 수밀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서로 대응하여 생성되는 6면체의 정착홈으로 충입된 경화 상태의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는 서로 이웃하는 PC암거의 전단키 역할을 하여 상호 간의 견고한 결속 작용 및 이를 통해 유입되고자 하는 우수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PC암거의 내측으로 우수가 유입되지 못하는 동시에 금속재의 스트랜드콘과 인장강선에 대한 부식의 우려가 없어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PC암거 내의 주철근이나 헌치근에 대한 손실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더욱 우수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고, PC암거에 대한 설치시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여 시공 편리성이 뛰어난 동시에 PC암거의 생산성은 물론 적재 및 운반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지수재 및 마감재의 절단이나 공극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수밀 효과가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PC암거 {Prefabricated PC culvert}
본 발명은 우수 및 오수 등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로 또는 지하 공동구나 창고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PC암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PC암거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안함에 따라 지중 매설된 PC암거에 대한 강력하고 견고한 결속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외부로부터 지하수 및 우수가 유압되거나 내부의 오수 및 우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PC암거에 대한 시공 품질이 가일층 향상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거는 우수 및 오수와 농공업용수 등의 운반 및 배출을 위한 수로를 형성하고자 지중 매립되거나, 인도 및 차도 등의 통행로를 만드는데 사용되며, 전기 통신 및 냉,온열 관로를 매설하기 위한 지하 공동 또는 농수산물 저장 창고 등의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암거는 통상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Precast concrete box culvert; 이하 "PC암거"라고 칭함)가 대표적인 것인데, 상기의 PC암거는 내부에 공동구가 형성된 상태를 갖도록 설계된 수치에 따라 각 단위별로 제작되고, 단위별로 제작된 PC암거는 현장에서 상호 연속적인 조립과 연결을 통해 시공되는 것이다.
즉, 통상적인 PC암거는 도 1의 도시와 같은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PC암거(10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공동구(101)가 형성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만들어져 있고, 상기 공동구(101)의 내측 각 모서리부분에는 경사상의 헌치(haunch)부(102)를 형성하며 이들 헌치부(102)의 중간부에는 요홈 형태로 된 정착홈(10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정착홈(103)을 경유하도록 그 PC암거(100)의 측면에는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104)이 형성되고 있고, PC암거(100)의 양측 끝단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돌출부(105)와 안치홈부(106)를 형성함에 따라 단독의 개별 PC암거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다수의 PC암거(100)(100')를 매설 지점에 대하여, 도 2의 도시와 같이 연속적인 조립과 연결작업을 수행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의 PC암거(100)(100')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별도의 인장강선(200)과 스트랜드콘(Strand cone;300)을 사용하게 된다.
즉, 도 3의 도시와 같이 각기 다른 PC암거(100)(100')의 양끝단이 돌출부와 안치홈부가 서로 계지 결합되도록 횡방향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일측의 PC암거(100)로부터 노출된 체결공(104)으로 별도의 인장강선(200)을 삽입하여 상기의 정착홈(103) 내측으로 노출되게 한다. 이어, 정착홈(103)으로부터 노출된 인장강선(200)의 일측 끝단에 별도의 스트랜드콘(300)을 삽입한 상태에서, 스트랜드콘(300) 내측의 쐐기(301)를 해머 등을 이용하여 타격함에 따라 인장강선(200)에 대한 스트랜드콘(300)의 고정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웃하는 PC암거(100')의 내측 정착홈으로 노출된 인장강선(200)의 타측단에 별도의 유압인장기를 장착한 후, 상기 유압인장기를 작동시켜 상기 인장강선(200)에 강력한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별도의 스트랜드콘(300)이 체결되게 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인장강선(200)은 PC암거(100)(100')의 헌치부 즉, 사방의 헌치부에서 동시에 인장 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두 개의 PC암거(100)(100')를 사방의 인장강선(200)으로 견고하고 안정되게 결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PC암거는 양측단으로부터 각기 대응하는 돌출부와 안치홈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일치되는 방향으로만 조립 시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현장에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중량물인 PC암거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서로 이웃하는 PC암거의 돌출부와 안치홈부가 서로 정확히 일치하도록 방향을 맞춰주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돌출부와 안치홈부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는 기존의 PC암거는 공장에서의 생산과정이나 적재 및 운반과정 또는 시공과정에서 돌출부 및 안치홈부의 모서리부분이 미성형되거나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이들 미성형 및 파손된 부분에 의한 공극 또는 틈새로 인해 수밀성이 크게 떨어져 누수 또는 외부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고, 서로 이웃하는 PC암거의 접합면 사이에 삽입되는 지수재를 절단시키거나 이탈시키는 유해결함부로 작용하게 되어 누수로 인한 하자 보수와 오수의 유출로 인한 주변 토양의 심각한 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존의 PC암거는 인장강선을 고정하기 위한 정착홈이 PC암거의 내측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정착홈으로 노출된 인장강선에 스트랜드콘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콘형 쐐기가 정착수단의 내부로 충분하고 깊게 삽입되지 못하게 되어 서로 이웃하는 PC암거의 결속 상태에서 상기 인장강선과 스트랜드콘과의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인장력 산출서에 의한 인장력을 100% 만족시키지 못하여 PC암거 간의 틈새를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PC암거 간의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들 틈새를 통해 지중의 지하수나 우수 등이 PC암거의 내부로 침투하거나 PC암거 내의 오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의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인장강선에 작용하는 스트랜드콘과의 슬립 현상으로 인해 서로 이웃하는 PC암거 간의 틈새가 발생하게 되면 연약지반이거나 지반의 부등침하 등이 발생하는 경우 PC암거의 수직방향 처짐이나 침하 또는 붕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측압에 의한 변형이나 좌굴 등의 문제점이 드러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존의 PC암거는 양측단에 인장강선을 삽입하기 위한 체결공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PC암거의 외면으로부터 지하수나 우수 등이 상기 PC암거의 틈새 및 개방된 체결공을 통해 체결공의 내부를 따라 정착홈으로 유입되면 상기 정착홈으로부터 우수 등이 PC암거의 내부로 누출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고, 상기와 같이 체결공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는 금속 재질의 인장강선이나 스트랜드콘을 부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PC암거에 대한 내구성 저하는 물론 전체 시공 구조의 결함을 가속시켜 그 사용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통상적인 PC암거는 생산 과정에서 보강의 목적으로 주철근과 헌치근을 종횡으로 엮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PC암거는 내측 헌치부의 중간부에 정착홈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정착홈이 형성되는 지점에는 부득이하게 주철근 및 헌치근을 절단시켜야 할 필요성을 갖고 있어 결국 주철근 및 헌치근에 대한 결손으로 인해 PC암거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구조적인 취약성을 갖게 되는 것이고, 이를 보강하기 위해 과도한 주철근 및 헌치근의 사용에 따라 PC암거에 대한 생산단가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PC암거의 양끝단부에 서로 대칭의 개방형 정착홈을 사방으로 형성하고, 이들 각각의 정착홈은 한 쌍의 체결공에 의해 연통되게 하며, 양측부에 위치하는 정착홈은 PC암거의 상부로부터 관통된 주입공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서로 면접된 PC암거를 인장강선을 통해 중복되게 결속하여 시공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인장강선과 스트랜드콘과의 슬립 현상을 방지하여 100%의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PC암거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고 있던 정착홈이 없으므로 주철근 및 헌치근의 손실이 없어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수밀성이 우수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누수 또는 내부의 오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한 조립식 PC암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PC암거를 매설하기 위한 지반의 터파기공정과; 터파기 부분에 대한 버림 콘크리트층 시공공정과; 버림 콘크리트층의 상부면에 대한 수평작업을 위한 모래층 형성공정과; 상기 모래층에 대한 제1의 PC암거 안치 공정과; 제1의 PC암거에 대한 제2의 PC암거 안치공정과; 제1의 PC암거와 제2의 PC암거에 대한 인장강선 및 스트랜드콘의 결속공정과; 제2의 PC암거에 대한 제3의 PC암거 안치공정과; 제2의 PC암거와 제3의 PC암거에 대한 인장강선과 스트랜드콘의 결속공정과; 제n-1의 PC암거에 대한 제n의 PC암거 안치공정과; 제n-1의 PC암거와 제n의 PC암거에 대한 인장강선과 스트랜드콘의 결속공정과; 제1 내지 제n의 PC암거로부터 대응 형성되는 정착홈 내에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를 포설하는 공정과;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의 경화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PC암거와 스트랜드콘 및 인장강선이 고정되게 하는 경화공정과; 터파기 지역에 대한 되메움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되,
상기의 PC암거는, 사각 박스 형태로 된 PC암거 내부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공동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동구의 내측에는 사방으로 헌치부를 형성하며, 상기 PC암거의 양측 끝단에는 양측 대칭 형태의 정착홈을 형성하되, 상기 정착홈은 PC암거의 상부면과 양측면 및 공동구의 하측 상면에 각기 구분 형성되고, 이들 양측 끝단의 정착홈은 한 쌍의 체결공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하며, PC암거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정착홈 중 일측 끝단의 정착홈은 PC암거의 상부로부터 형성된 주입공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장강선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랜드콘의 위치가 PC암거의 끝단면에 위치하므로 유압인장기를 통해 충분하고도 강력한 인장력을 부여하여 인장강선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후 인장강선에 대한 슬립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서로 이웃하는 PC암거 간의 결속력 및 수밀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서로 이웃하는 PC암거에 의해 생성되는 상호 간의 정착홈으로 채워지는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에 의해 스트랜드콘을 포함한 인장강선이 매립 고정되는 동시에 체결공으로 충입되는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가 인장강선을 감싸며 경화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PC암거에 대한 전단핀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더욱 견고한 결속력이 유지되는 것이며, 인장강선이 삽입된 체결공을 통해서 상기의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가 충입됨에 따라 경화 상태의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는 서로 이웃하는 PC암거의 전단키 역할을 하여 상호 간의 견고한 결속 작용 및 이를 통해 유입되고자 하는 우수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PC암거의 내측으로 우수가 유입되지 못하는 동시에 금속재의 스트랜드콘과 인장강선에 대한 부식의 우려가 없어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PC암거의 끝단면에만 제한적으로 형성되는 정착홈으로 인해 PC암거 내의 주철근이나 헌치근에 대한 손실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더욱 우수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양측의 끝단면이 동일한 대칭 형태로 제작되므로 PC암거에 대한 설치시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여 시공 편리성이 뛰어난 동시에 PC암거의 공장 제작시 모서리나 코너부의 미성형이나 균열 또는 충돌 파손이 크게 줄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적재 및 운반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매끈한 끝단면으로 인해 지수재 및 마감재의 절단이나 공극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수밀 효과가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PC암거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PC암거를 연속 시공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PC암거를 연속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암거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암거를 연속 시공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C암거의 측면 전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C암거의 평면 전체도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에 따른 PC암거에 대한 시공 순서도로서,
도 8a는 최초 PC암거에 대한 또 다른 PC암거의 평면 결속 과정도
도 8b는 연접한 PC암거에 대한 인장강선의 평면 결속 상태도
도 8c는 또 다른 PC암거에 대한 평면 결속 상태도
도 8d는 또 다른 인장강선을 이용한 PC암거의 평면 결속 상태도
도 8e는 서로 이웃하는 PC암거의 정착홈에 대한 그라우팅 포설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f는 서로 이웃하는 PC암거의 사이에 대한 수밀 보강 상태를 보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암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암거를 연속 시공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C암거의 측면 전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C암거의 평면 전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C암거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PC암거(10)의 내측에는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사각의 공동구(11)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공동구(11)의 내측 코너부분에는 보강 역할을 수행하는 경사상의 헌치부(12)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PC암거(10)의 양측 끝단부에는 개방된 요홈 형태로 된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은 PC암거(10)의 상단 양끝단에 정착홈(13a)(14a)과 양측면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정착홈(13b)(13c)(14b)(14c) 및 공동구(11)의 하측 상면 양끝단에 형성되는 정착홈(13d)(14d)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은 PC암거(10)의 양측 끝단에 각기 대칭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각의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은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체결공(15)(15')에 의해 관통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PC암거(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정착홈(13b)(13c)(14b)(14c) 중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정착홈(13b)(13c)의 경우에는 PC암거(10)의 상부면으로부터 형성된 주입공(16)(16')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PC암거(10)는 상,하 및 좌,우 벽체와 양끝단이 모두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생산 과정에서 미성형부가 발생할 소지가 크게 줄어들게 되는 것이고, 적재나 운반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충돌에 의한 부분 파손의 우려가 감소하는 것이며, 접합면의 단순화로 인해 지수재 등의 기밀부재에 대한 절단이나 파손에 따른 공극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누수 방지 효과가 탁월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PC암거(10)는 내장되는 주철근이나 헌치근 등의 결손이나 손실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과 내구성이 종래의 PC암거 보다 더욱 강화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PC암거(10)를 공장에서 대량으로 미리 제작한 상태에서, 이들 PC암거(10)를 현장으로 옮겨 횡방향으로의 연속적인 결속 시공을 통해 오수나 우수의 배출 또는 지하 공동구로의 역할을 안정되고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본 발명의 PC암거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은 PC암거(10)를 지중 매설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반의 터파기 공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고, 터파기 공사가 완료되면 해당 굴착부의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몰탈의 포설을 통해 버림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버림 콘크리트층은 고중량체인 PC암거에 대한 시공과정에서의 안정적인 바닥 지지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굴착부에 대한 수평면을 형성함에 있어 유리함을 얻고자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버림 콘크리트층에 대한 양생이 종료되면 버림 콘크리트층의 상부면에 대하여 일정 두께를 갖도록 모래를 포설하여 균일하고 정확한 상태의 수평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모래층은 굴착부에 대한 수평도를 완성하는데 매우 적합한 소재인 동시에 고중량체인 PC암거(10)에 대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지탱시켜 시공 편리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버림 콘크리트층과 모래층의 형성 과정은 기존의 통상적인 PC암거 시공 방법과 동일하므로 관련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 상기와 같이 모래층에 의한 바닥부에 대한 수평 상태가 이루어지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제1의 PC암거(10')를 굴착부로 이동시켜 내려놓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은 제1의 PC암거(10')에 대하여 또 다른 PC암거(10")를 측면으로 운반시켜 상기 제1의 PC암거(1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내려놓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의 PC암거(10')와 제2의 PC암거(10")에 대한 고정 및 결속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인데, 도 8a의 도시와 같이 제1의 PC암거(10')와 제2의 PC암거(10")에 형성된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의 체결공(15)(15') 중 제1의 체결공(15)을 통해 하나의 인장강선(20)을 삽입시켜 두 개의 PC암거(10')(10")를 관통되게 한다.
이때, 상기의 인장강선(20)은 제2의 PC암거(10")의 노출된 끝단으로부터 삽입하여 제1의 PC암거(10')의 타측 끝단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제1의 PC암거(10') 끝단으로 노출된 인장강선(20)의 단부에 별도의 스트랜드콘(30)을 체결 및 고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장강선(20)의 삽입과 스트랜드콘(30)의 고정 작업은 서로 이웃하는 PC암거(10')(10")의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 중 제1의 체결공(15)에 대하여 동시에 적용되는 것이어서 결국 상기의 제1의 PC암거(10')와 제2의 PC암거(10")는 사방으로 인장강선(20)이 삽입된 상태를 갖게 될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인장강선(20)의 삽입 과정과 노출된 인장강선(20)의 일측 끝단에 대한 스트랜드콘(30)의 체결이 이루어지면 제2의 PC암거(10") 끝단으로 노출된 인장강선(20)의 끝단에 대하여 또 다른 스트랜드콘(30')을 임시로 체결하고, 그 스트랜드콘(30')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의 인장강선(20) 끝단에, 도 8b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유압식 인장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입식 인장기를 작동시켜 상기의 인장강선(20)에 강력한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함에 따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PC암거(10')(10")는 강력한 인장력에 의해 견고하고도 강력한 밀착 및 결속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또 다른 PC암거를 연속적으로 운반 및 결속하면 되는 것인데, 도 8c의 도시와 같이 또 따른 PC암거(n-1)를 운반하여 미리 결속된 PC암거의 측면에 이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해당 PC암거(n-1)의 측부로부터 또 다른 인장강선(20')을 삽입시켜 상기와 같은 일측 스트랜드콘(30)의 고정 작업과 타측 스트랜드콘(30')의 고정 및 유압 인장기를 통한 강력한 인장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인데, 이때 삽입되는 인장강선(20')은 전기한 바와 같은 제1의 PC암거(10')와 제2의 PC암거(10")를 결속하기 위한 일측의 체결공(15) 방향이 아닌 연접하여 이웃하는 타측의 체결공(15')으로 상기의 인장강선(20')을 삽입한 후 전기한 바와 같은 스트랜드콘(30)(30')의 고정 및 인장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도 8d의 도시와 같이 연속 반복적으로 결속 시공되는 다수의 PC암거(10')~(10n)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PC암거(10')~(10n) 마다 두 개의 인장강선(20)(20')이 평면상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며 반복적으로 결속되게 함에 따라 더욱 강력한 인장 결속력을 갖게 하는 동시에 단일의 인장강선(20)(20')에 과다한 인장력이 부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장력으로부터 다수의 PC암거(10')~(10n)가 연속적으로 결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많은 수의 PC암거(10')~(10n)를 다수의 인장강선(20)(20')(20")과 스트랜드콘(30)(30')(30")을 이용하여 순차 연속적으로 결속시키면 지그재그 상태로 연속하는 사방의 인장강선(20)(20')(20")에 의해 다수의 PC암거(10')~(10n)는 수직 및 수평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강력한 결속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PC암거(10')~(10n)의 결속 작업이 마무리되면, 상기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연속하여 배열된 PC암거(10')~(10n)의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에 대한 마감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인데, 전기한 바와 같이 상기의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은 모두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개방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도 8e의 도시와 같이 PC암거(10')~(10n)의 상부면과 공동구(11)의 하측 상부면에 위치하고 있는 정착홈(13a)(14a)(13d)(14d)에 의해 생성된 평면상 육각형 형상의 정착홈에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를 주입하여 서로 이웃하는 PC암거(10')~(10n)에 대한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PC암거(10')~(10n)의 측면에 위치하는 정착홈(13b)(13c)(14b)(14c)의 경우에는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의 직접 투입이 어려울 것이므로 이때에는 상기 측면의 정착홈(13b)(13c)(14b)(14c)에 대하여 별도의 거푸집(70)을 덧대어 고정함에 따라 상기의 정착홈(13b)(13c)(14b)(14c)이 밀폐되게 한 상태에서 PC암거(10')~(10n)의 상면에 노출된 주입공(16)(16')을 통해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를 투입시키면 주입공(16)(16')을 통해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가 거푸집으로 밀폐된 상태의 측면 정착홈(13b)(13c)(14b)(14c) 내측으로 채워지면서 서로 이웃하는 PC암거(10')~(10n)에 대한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는 PC암거(10')~(10n)를 제작하기 위한 콘크리트 몰탈보다 강력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수축율이 극히 낮아 경화가 완료된 시점에서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과의 틈새를 유발하지 않아 외부로부터의 지하수나 우수 등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고,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의 내측으로 채워져 경화되는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는 상기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 내부에 노출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인장강선(20)(20')(20")의 끝단과 그 인장강선(20)(20')(20")을 결속하고 있는 스트랜드콘(30)(30')(30")이 매립되게 하므로 이들 인장강선(20)(20')(20")과 스트랜드콘(30)(30')(30")은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의 내측에 매립 고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일체화됨에 따라 더욱 강력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는 포설 과정에서 서로 대향된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의 체결공(15)(15')을 통해 그 체결공(15)(15')의 내측으로 스며들면서 경화되어 서로 이웃하는 PC암거(10')~(10n)의 결속구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PC암거(10')~(10n)에 작용하는 전단저항에 대하여 대항하는 전단키(Shear key)의 역할을 수행하게 됨은 물론 체결공(15)(15')의 내부와 인장강선(20)(20')(20")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완벽하게 메워주는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의 인장강선(20)(20')(20")이 공기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지하수나 우수에 노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므로 금속재로 이루어진 인장강선(20)(20')(20")이 부식되거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의 내구성 및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는 단일 개체의 PC암거(10')~(10n)를 놓고 보았을 때 평면상 등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의 PC암거(10')~(10n)를 서로 연접하여 밀착시키는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PC암거(10')~(10n)의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이 마주하면서 평면상 직육면체와 같은 형상을 생성하게 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직육면체의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 내측으로 포설되어 경화되는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는 흡사 다이아몬드의 형태와 같은 경화 모양을 갖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은 형태로 경화된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는 사방으로의 경사면에 의해 PC암거(10')~(10n)에 작용하는 측부 및 상,하부의 토압 및 부등침하에 대한 견고하고도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전단응력을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의 경화부에 대한 파손이나 전단으로 인한 시공 부실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수의 PC암거(10)(10')(10")(10n-1)(10n)를 연속적으로 결속 시공하는 과정에서 서로 이웃하는 PC암거(10)(10')(10")(10n-1)(10n)의 대향면에 대하여 별도의 수팽창지수재(50) 및 발포충전재(60)를 삽입함에 따라 이들 PC암거(10)(10')(10")(10n-1)(10n) 사이의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인데, 도 8f의 도시와 같이 평면 형태로 된 PC암거(10)(10')(10")(10n-1)(10n)의 대향 끝단면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는 수팽창지수재(50)를 밀착 형성하고, 그 PC암거(10)(10')(10")(10n-1)(10n)의 끝단 내측으로는 폴리에틸렌 계열의 발포충전재(60)를 밀착 형성한 상태에서, 전기한 바와 같이 인장강선(20)(20')(20")과 스트랜드콘(30)(30')(30") 및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40)를 통해 PC암거(10)(10')(10")(10n-1)(10n)의 결속 작업이 종료되게 하면, 이들 PC암거(10)(10')(10")(10n-1)(10n)를 매립하기 위한 굴착부에 대한 되메움 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지하수나 우수 등이 상기의 수팽창지수재(50)에 유입되면서 본래의 특성에 따라 수팽창지수재(50)가 팽창하여 이들 PC암거(10)(10')(10")(10n-1)(10n)의 사이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하므로 상호 수밀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발포충전재(60)는 고탄력 및 고도의 쿠션 특성을 갖고 있어 서로 이웃하여 결속되는 PC암거(10)(10')(10")(10n-1)(10n)의 인장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이들 PC암거(10)(10')(10")(10n-1)(10n)의 사이의 틈새를 재차 메워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 상태의 PC암거(10)(10')(10")(10n-1)(10n)는 외부로부터 지하수나 우수 등이 내부로 전혀 유입될 수 없는 동시에 PC암거(10)(10')(10")(10n-1)(10n)의 내부 공동구(11)를 따라 배출되는 오수나 우수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므로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PC암거 11 : 공동구
12 : 헌치부 13,14 : 정착홈
15,15' :체결공 16,16' : 주입공
20 : 인장강선
30 : 스트랜드콘
40 :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팅재
50 : 수팽창지수재
60 : 발포충전재
70 : 거푸집

Claims (6)

  1. 사각 박스 형태로 된 PC암거(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공동구(12)와 헌치부(12)가 형성되고, 상기 PC암거(10)의 양측 끝단에는 양측 대칭 형태의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을 형성하고, 이들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은 한 쌍의 체결공(15)(15')에 의해 관통되어진 공지의 PC암거에 있어서,
    상기 정착홈(13a)(13b)(13c)(13d)(14a)(14b)(14c)(14d)은 PC암거(10)의 상부면과 양측면 및 공동구(11)의 하측 상면에 각기 구분 형성되고, PC암거(10)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정착홈(13b)(13c)(14b)(14c) 중 일측 끝단의 정착홈(13b)(13c)은 PC암거(10)의 상부로부터 형성된 주입공(16)(16')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PC암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68798A 2010-07-16 2010-07-16 조립식 pc암거 KR101021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798A KR101021147B1 (ko) 2010-07-16 2010-07-16 조립식 pc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798A KR101021147B1 (ko) 2010-07-16 2010-07-16 조립식 pc암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147B1 true KR101021147B1 (ko) 2011-03-14

Family

ID=4393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798A KR101021147B1 (ko) 2010-07-16 2010-07-16 조립식 pc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1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29B1 (ko) * 2013-10-22 2015-02-25 엠비텍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의 연결구조
KR20160129435A (ko) 2015-04-30 2016-11-09 (주)대흥 조립식 pc 암거
KR20170011172A (ko)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자동차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의 소음저감부재 충전방법
CN107059667A (zh) * 2016-12-29 2017-08-18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门形装配式钢筋混凝土箱型涵洞及其施工方法
KR101817712B1 (ko) * 2017-08-25 2018-01-11 박영현 암거 및 암거 시공방법
CN108867697A (zh) * 2018-08-31 2018-11-23 江苏金贸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带有防渗漏预设结构的混凝土预制管廊
WO2021088596A1 (zh) * 2019-11-04 2021-05-14 北京城建设计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形心跟踪和缝宽控制的预制装配式构件张拉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604A (ko) * 2001-07-19 2003-01-29 이윤주 구름수단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설치방법
KR100411659B1 (ko) * 2001-07-19 2003-12-18 이윤주 그라우트용 관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암수 전단키내 모르타르 채움을 통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암거의 접합방법
KR100783009B1 (ko) * 2007-08-20 2007-12-07 삼호콘크리트(주) 인서트 체결용 pc암거 조립체
KR100934608B1 (ko) * 2009-06-24 2009-12-31 김형중 단부 고정형 강선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604A (ko) * 2001-07-19 2003-01-29 이윤주 구름수단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설치방법
KR100411659B1 (ko) * 2001-07-19 2003-12-18 이윤주 그라우트용 관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암수 전단키내 모르타르 채움을 통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암거의 접합방법
KR100783009B1 (ko) * 2007-08-20 2007-12-07 삼호콘크리트(주) 인서트 체결용 pc암거 조립체
KR100934608B1 (ko) * 2009-06-24 2009-12-31 김형중 단부 고정형 강선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29B1 (ko) * 2013-10-22 2015-02-25 엠비텍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의 연결구조
KR20160129435A (ko) 2015-04-30 2016-11-09 (주)대흥 조립식 pc 암거
KR20170011172A (ko)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자동차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의 소음저감부재 충전방법
CN107059667A (zh) * 2016-12-29 2017-08-18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门形装配式钢筋混凝土箱型涵洞及其施工方法
CN107059667B (zh) * 2016-12-29 2019-11-05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门形装配式钢筋混凝土箱型涵洞及其施工方法
KR101817712B1 (ko) * 2017-08-25 2018-01-11 박영현 암거 및 암거 시공방법
CN108867697A (zh) * 2018-08-31 2018-11-23 江苏金贸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带有防渗漏预设结构的混凝土预制管廊
WO2021088596A1 (zh) * 2019-11-04 2021-05-14 北京城建设计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形心跟踪和缝宽控制的预制装配式构件张拉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147B1 (ko) 조립식 pc암거
KR1012047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결합된 공동구용 합벽 구조물
CN104018518B (zh) 预制式地下连续墙以及施工地下室外墙和楼板的方法
KR100495782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1331261B1 (ko) 피씨 지중연속벽을 활용하여 스트럿구조나 어스앙카 구조에서 시공가능한 지하조립식 피씨 저류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15515B1 (ko) 결속용 클램프
CN108729564A (zh) 装配式建筑体系
KR100824833B1 (ko) 연결고리에 강재핀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암거.
KR101318773B1 (ko) I형 콘크리트 충진거더와 바닥판을 일체로 결합한 t형 합성 단위거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0938395B1 (ko) 강합성 벽체파일을 이용한 지하차도의 시공방법
KR100936668B1 (ko) 흙막이 벽체용 합성 파일 및 그것을 이용한 원심성형방식의 흙막이 벽체
KR102431393B1 (ko)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20100009802A (ko) Pc옹벽패널을 이용한 완전 pc 조립 저류조
CN104863162A (zh) 一种用于膨胀土地区的基坑支护体系及其施工方法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KR101184719B1 (ko) 기성파일과 바닥판 슬래브 겸 프리캐스트거더의 강결블럭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20080024425A (ko) 연결고리에 갈고리철근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조립식피씨암거.
KR101259054B1 (ko) 회전기능을 갖는 전단 좌굴 방지용 박스구조체
JP2634381B2 (ja) 分割型ボックスカルバート及びその組立方法
JPH05230845A (ja) L型ブロック擁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733928B1 (ko) 연속보 구조를 구비한 패널식 옹벽
KR102364207B1 (ko) 프리캐스트 암거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CN112031018A (zh) 一种装配式轻型支挡结构及施工方法
KR100798219B1 (ko) 하수관 이음부 보수 보강 공법
KR200420494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