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442B1 - 고체 냉각재료를 용해한 금속용융액의 정련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고체 냉각재료를 용해한 금속용융액의 정련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442B1
KR890001442B1 KR8204300A KR820004300A KR890001442B1 KR 890001442 B1 KR890001442 B1 KR 890001442B1 KR 8204300 A KR8204300 A KR 8204300A KR 820004300 A KR820004300 A KR 820004300A KR 890001442 B1 KR890001442 B1 KR 890001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ining
oxygen
carbon
je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635A (ko
Inventor
메쯔 폴
슈라이머 프랑스와
디낭 괴데르 페르
앙리옹 로멩
끄렝 앙리
리에쉬 쟝-프랑스와
Original Assignee
레네 네엥·에드몽 슈 마쉐
알베드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네 네엥·에드몽 슈 마쉐, 알베드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레네 네엥·에드몽 슈 마쉐
Publication of KR84000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6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using top gas in the blast furnac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06Lances or inj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blowing
    • C21C5/35Blowing from above and through the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blowing
    • C21C5/305Afterbur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체 냉각재료를 용해한 금속용융액의 정련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란스헤드(lancd head)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란스의 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렴부 11 : 원통부
12 : 발산부 20,21 : 덕트
30 : 중앙노즐 31 : 정련(精鍊)용 산소노즐
32 : 후연소용 산소노즐 33,34 : 환상노즐
본 발명은 냉각제료, 특히 금속 스크랩(scrap)를 주로 용해한 금속용융액의 정련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련공정 동안에 금속 스크랩의 장입(裝入)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이 몇개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금속스크립의 예열공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가스 또는 중유버너, 또는 좀더 정밀하고 비싼 장치를 사용할때는 플라즈마(plasma)버너와 같은 열원의 이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방법은 정련도중에 에너지, 특히 탄소의 동시 방출과 함께 정련산소와 반응하기 쉬운 재료를 금속에 혼합시킨다. 잠겨진 란스와 중성의 캐리어 가스를 이용하여 탄소를 유입하는 것은 정련과 동시에 행해져야 하기 때문에 이와같은 타입의 작동을 현실화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전로 밑바닥에 설치된 노즐을 통하여 탄소를 혼합하는 것이므로 덕트가 폐쇄되지 않도록 대량의 캐리어 가스의 연속공급을 해야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용융금속의 냉각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실제로 캐리어 가스에 의한 금속의 냉각은 금속내로의 탄소용해를 용이하게 하는 성질이 없고, 이 반응은 명확하게 흡열반응이다.
유사한 방법으로, 상부로부터 산소를 공급하여 금속용융액에 탄소를 첨가하는 것이 시도되어 있다.
프랑스특허 제 79,16626 호에는 금속용융액의 표면에 카바이드를 블로잉(blowing)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것은 입경 0.01-1mm의 카아비드를 위한 매체로서 정련용 산소를 이용한다.
산소에 의해 운반된 탄화물은 산화하지 않은 것이 명백하게 판명되었는데, 이것은 놀라운 사실이며 본 발명자는 카바이드가 혼합된 상소의 분사가 란스 유출구에서 강력한 냉각을 수반하며 기체평창을 하게 된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카바이드는 대량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반응으로 얻을 수 있는 화학적인 화합물이기 때문에 에너지 계획을 유리하게 하기 위해서 행하는 금속용융액에의 탄소 첨가는 카바이드 같은 재료의 사용을 배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무연탄, 코우크스가루 또는 다른 적당한 탄소를 함유하는 물질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경우 블로잉란스, 냉각시스템 및 노의 라이닝(lining)에 대하여, 탄소의 산화 및 격렬한 파괴적인 연소 형태의 산화가 없이 프랑스특허 제 79,16626 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으로 스프레이(spray)를 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산소와 함께 블로잉된 탄소의 영향에 의해서 슬래그(slag)의 급격한 기포형성이 일어날 수 밖에 없으며 그 결과로서 오우버플로우(overflow) 및 분출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양의 금속 스크랩을 포함하는 금속을 정련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 정련방법에서는 고체금속을 용해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는 탄소의 첨가에 의해 얻어지는데 이것은 한편으론 값비싼 탄소의 사용을 피하고 다른 한편으로 탄소 첨가 동안에 슬래그의 형성과 같은 좋지않은 2차적인 영향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부로부터 금속용융액의 표면 위로 산소를 블로잉함으로써 정련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성가스의 분출류내에 혼합된 분말상의 탄소를 금속용융액내에 금속용융액의 중앙표면에 마하 1.5-2.5의 속도로 수직으로 유입시키는 동시에, 금속용융액내에 노저부에 존재하는 침투성 부재를 통하여 카아본 주입에 의한 슬래그의 기포발생을 막기에 충분한 양의 중성가스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금속용융액 표면 위로 산소를 불어 넣을때, 일부는 탄소/중성가스 분출류에 대하여 5-20°의 각도로 매우 균등한 속도 마하 1.5-2.5의 강한 속도로 불어넣고, 나머지 일부는 강한 산소 분출류의 축선에 대하여 25-60°로 기울어진 축선에서 마하 0.8-1.5의 약한 속도로 불어넣도록 되어있다.
강한 분출류가 정련에 미치는 효과로는, 이 분출류가 충분히 작은 각도로 용융액 위로 유입되기 때문에 금속용융액내부로의 산소 침투가 확실하게 되는 것이라할 수 있다.
한편 약한 분출류는 중심부를 제외한 모든 금속용융액의 표면 위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정련중에 금속용융액의 탄소의 산화로 인해 표면에 형성된 CO의 후연소를 효과적으로 하게 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있어서는 중앙의 탄소와 혼합된 분출류의 주위에 4개의 강한 분출류를 환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블로잉 장치의 유출부에서 나올때에 중성가스중에 포함된 카아본은 중성가스와 함께 강한 팽창을 하게되는데, 이것을 발산부 및 수렴부를 갖는 노즐을 장비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때 분출류의 속도는 마하 2정도이며, 탄소 입자는 블로잉 노즐의 유출구와 금속용융액 표면 사이를 약0.02초 동안에 이동되며 그 결과 탄소 입자의 온도가 낮아진다.
탄소의 조기산화 위험은 첫째 중성가스의 운반체에 의해서, 두번째는 이동시간의 단축과 그에 따른 낮은 온도에 의해서 제거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정련중에 금속 1톤당 1분에 0-0.3N㎥의 중성가스를 금속용융액내로 주입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기포형성은 슬래그와 금속에 대해 탄소를 충격시킬때, 가스의 강한 방출의 결과로서 배제되어진다.
실제로, 기포가 형성된 슬래그는 한편으론 금속용융액내로의 탄소유입을 방해하며 다른 한편으론 기포가 형성된 슬래그의 두꺼운 층이 금속용융액 위에서 일산화탄소의 후연소에 의해 일어나는 열에너지의 금속으로의 전달을 방해한다.
또한 노의 바닥을 통한 중성가스의 분사가 없다면 금속에 의한 탄소의 흡수는 상당하게 방해를 받는다.
이는 가용성 탄소를 적게 생성하고 금속용융액 자체내에 열에너지를 전달하려는 경향이 있게되는 결과를 초래할뿐만 아니라, 블로잉 설비와 용광로의 냉각 시스템을 파괴할 수도 있을 만큼 금속용융액 위에서 탄소가 완전 연소하게 된다.
분사용 탄소의 입자 크기는 직경 1㎜이내의 것이 적어도 9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련방법에서 사용되는 블로잉 장치의 기능은 다양하다.
즉, 산소의 일부는 금속용융액내에서 탈탄화가 일어나도록 금속용융액 속으로 침투하여야 하고, 나머지 일부는 형성된 CO의 후(後)연소가 일어날 수 있도록 금속용융액상에 분포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방출된 에너지가 첨가된 냉각재료를 녹이지 않지 않도록, 그러나 란스자체뿐만 아니라 노의 냉각을 불가능하게 하지 않도록 상부구역이 아닌 금속용융액의 표면에 가까운 부분에서 CO의 후연소가 일어나는 방법으로 후연소용 산소가 금속용융액에 공급되는 것을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다.
물론, 란스가 란스 몸체내에서 또는 가능하다면 란스헤드와 용융액 표면 사이의 유동에 있어서 탄소와 산소 사이의 접촉이 짧은 시간이라도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도 필요하다.
후연소를 위한 산소를 공급하는데 있어서는, 예를들면 용융액 표면의 가능한한 넓은 범위에 걸쳐서, 환상으로 배치되도록 분출류를 더욱 세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란스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여러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련용 산소는 란스축선에 대해서 5-20°정도 경사진 노즐에 의하여 공급되며, 후연소용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들은 정련용 산소를 공급하는 노즐에 대하여 25-60°정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중성 가즈중에 포함된 탄소는 블로잉 장치의 축선상에 위치된 중앙노즐을 통하여 분사된다.
따라서, 탄소는 온도가 낮은 상태로 그리고 초음속으로 용융액 표면의 중심부로 안내된다.
금속용융액내로 산소와 탄소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오직 한개의 블로잉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원한다면, 물론 사고방지 대책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란스의 축선방향의 중앙노즐을 통하여 블로잉된 탄소는 특수강에 대해서 단단한 연마재의 구실도 할 수 있는 위험한 것이다.
따라서 중앙노즐의 벽이 손상을 입고 누설의 위험이 있으며, 그런경우 폭발의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앙노즐에 냉각액이 채워지고 압력조절 시스템을 갖는 금속덮개가 제공되어 있다.
노즐벽의 마모 및 파손이 있는 경우에는 장치는 압력손실을 기록하고 적절한 지시를 안전시스템, 즉 블로잉 란스의 조절회로에 집적된 것으로 결함부품 교환지시를 하며 작동을 중지시키는 스위치로 보낸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블로잉 장치의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의해서 장명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중앙의 노즐(30)은 수렴부(10), 원통부(11)와 발산부(12)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란소의 유출부에서 정교한 분출류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노즐의 수렴부(10), 원통부(11)와 발산부(12)는 각각 특별한 크기를 가져야만 한다.
수렴부(10)의 길이(L : 2-3), 원통부(11)의 길이(C : 1-2), 발산부(12)의 길이(H : 0-1)는 대단히 중요하며 마찬가지로 수렴부(10)의 유입구(D)와 유출구(d)의 직경도 매우 중요하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어있는 바와같이, 정련용 산소노즐(31)들은 중앙노즐(30)주위에 있는 환상통로(33)으로부터 산소를 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연소용 산소노즐(32)들은 환상통로(33)주위에 있는 환상통로(34)로부터 산소를 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탄소 분출류의 분출상태는 최적화 될 수 있다.
즉, 중앙노즐의 형상에 의해서 탄소를 슬래그를 가로질러 금속용융액내로 침투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원통부(11)의 길이(C)가 수렴부의 유출구 직경(d)의 적어도 2배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분사노즐에 비해서 본 발명의 중앙노즐의 원통부(11)의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원통부의 길이와직경(수렴부의 유출구 직경과 같음 : d)이 다음식에 따라 결정되면 보다 나은 효과를 발휘한다. D/d=1+K·L/C 여기서 K는 2 보다 크다.
또한 발산부(12)와 원통부(11)의 총길이(C+H)와 발산부(12)의 직경이(D)이 D/d=1+K·L/ (C+H)의 관계식에서 따라야 하며 이때 K는 3.5보다 크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노즐의 분출류의 형태는 발산부(12)의 유출부의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며 따라서 란스헤드의 표면상에 약간의 변형을 가한다 하더라도 반드시 분출류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제2도는 각각 란스헤드에 배치된 노즐로 연결되는 냉각액 전달 덕트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중앙노즐로 연결되는 덕트(1)는 압력을 받는 액체가 들어있는 덮개(0)을 갖고 있다.
이 액체는 란스의 조정회로에 집적된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도시되어 있는 않은 적절한 조절시스템에 의하여 조절되어 진다.
한편 통상적으로 물인 이 냉각액체는 덕트(20), (21)을 통해 흐르게 된다.

Claims (10)

  1. 금속용융액의 상부 표면에 위로부터 산소를 블로잉함으로써 정련작용을 하며, 상당량의 고체 냉각재료를 용해한 금속용융액을 정련하는 방법에 있어서, 탄소에 대하여 중성인 가스의 분출류에 포함된 분말상태의 탄소가 금속용융액내로 유입되고, 상기 분출류가 금속용융액 표면에 마하 1.5-2.5의 속도로 수직으로 전달되며, 동시에 중성가스가 블로잉된 탄소의 영향으로 인한 슬래그의 기포 형성을 방지한데 충분한 양만큼 금속용융액의 바닥부분에 있는 침투성 부재를 통하여 금속용융액내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용융액 정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용융액 표면에 블로잉되는 산소는 일부는 탄소/중성가스 분출류에 대해서 5-20°의 각도로 그리고 마하 1.5-2.5의 속도로 전달되는 적어도 한개의 강한 분출류이고, 일부는 강한 산소 분출류의 축선에 대하여 25-60°로 기울어진 축선상에서 마하 0.8-1.5의 속도로 전달되는 적어도 한개의 약한 분출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련용 산소의 4개의 강한 분출류가 중앙의 수직의 탄소 분출류의 주위에 환상으로 제공되고, 그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후연소용 산소의 약한 분출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란스헤드가 탄소분사시 금속용융액 표면에 도달할때까지의 경과시간이 0.02초가 되도록 금속용융액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소 입자는 직경 1㎜이내의 것이 90%이하인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방법.
  6. 탄소에 대하여 중성이며 탄소분말이 혼합되는 가스를 마하 1.5-2.5의 속도로 전달하며 금속용융액의 상부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수직의 중앙노즐 : 금속용융액의 상부표면에 산소 분출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중앙노즐에 대하여 5-20°경사져 있는 적어도 한개의 정련용 산소노즐 : 상기 정련용 산소노즐에 대하여 25-60°경사져 있고 정련용 산소노즐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갯수가 설치되며 금속용융액이 상부 표면에 산소를 공급하는 적어도 한개의 후연소용 산소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용융액의 정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중앙노즐은 수렴부(10), 원통부(11) 및 발산부(12)을 포함하며, 원통부(11)의 길이(C)가 수렴부의 유출구 직경(d)의 적어도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수렴부(10)의 유입구 직경(D), 수렴부(10)의 길이(L), 원통부(11)의 직경(d)와 원통부(11)의 길이(C)는 관계식 : D/d=1+K·L/ C (K는 2 보다 크다)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수렴부(10)의 유입구 직경(D), 수렴부(10)의 길이(L), 원통부(11)의 직경(d), 원통부의 길이(C)과 발산부(12)의 길이(H)는 관계식 : D/d=1+K.L/ (C+H), (K는 3.5보다 크다)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노즐이 액체가 채워져 있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장치의 조절회로에 집적된 스위치에 연결된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장치.
KR8204300A 1981-12-04 1982-09-21 고체 냉각재료를 용해한 금속용융액의 정련방법 및 그 장치 KR890001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83814 1981-12-04
LU83,814 1981-12-04
LU83814A LU83814A1 (fr) 1981-12-04 1981-12-04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ffinage d'un bain de metal contenant des matieres refroidissantes sol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635A KR840001635A (ko) 1984-05-16
KR890001442B1 true KR890001442B1 (ko) 1989-05-03

Family

ID=1972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300A KR890001442B1 (ko) 1981-12-04 1982-09-21 고체 냉각재료를 용해한 금속용융액의 정련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081448B1 (ko)
JP (1) JPS58144409A (ko)
KR (1) KR890001442B1 (ko)
AT (1) ATE22118T1 (ko)
AU (1) AU554800B2 (ko)
BR (1) BR8206381A (ko)
CA (1) CA1199504A (ko)
DE (1) DE3273188D1 (ko)
ES (1) ES517913A0 (ko)
FI (1) FI71769C (ko)
LU (1) LU83814A1 (ko)
MX (1) MX157546A (ko)
NO (1) NO156377C (ko)
PT (1) PT75439B (ko)
ZA (1) ZA8281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4686A1 (fr) * 1983-03-11 1984-11-14 Arbed Dispositif d'acceleration de particules solides
LU85363A1 (fr) * 1984-05-15 1986-01-29 Arbed Dispositif d'adaptation pour tuyere d'acceleration de particules solides
DE3509795C1 (de) * 1985-03-19 1986-06-05 Klöckner CRA Technologie GmbH, 4100 Duisburg Wassergekuehlte Blaslanze zum Aufblasen von Sauerstoff auf eine Metallschmelze
JP2549622B2 (ja) * 1985-12-17 1996-10-30 川崎製鉄株式会社 屑鉄溶解用バ−ナ−ランス
LU86321A1 (fr) * 1986-02-25 1987-09-10 Arbed Lance de soufflage d'oxygene
LU86329A1 (fr) * 1986-02-28 1987-09-10 Arbed Tuyere pour lance d'affinage
LU87156A1 (fr) * 1988-03-11 1989-10-26 Arbed Tuyere pour lance d'affinage
DE4221266C1 (de) * 1992-06-26 1993-10-21 Mannesman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lasen von Sauerstoff auf Metallschmelzen
GB0209364D0 (en) 2002-04-24 2002-06-05 Boc Group Plc Injection of particulate material into liquid
GB0209365D0 (en) 2002-04-24 2002-06-05 Boc Group Plc Injection of solids into liquids
GB0213376D0 (en) 2002-06-11 2002-07-24 Boc Group Plc Refining ferroalloys
JP4853326B2 (ja) * 2007-02-26 2012-01-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精錬用上吹きランス及び精錬用上吹きランスの破孔検知方法
US8756013B2 (en) 2012-04-10 2014-06-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ized route generation
CN106705680B (zh) * 2016-12-16 2023-05-12 昆明理工大学 一种炉膛底部供热的旋转射流氧枪及其应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02754A (fr) * 1958-04-25 1960-01-13 Arbed Dispositif pour l'injection de produits pulvérulents ou granulés dans un bain métallique
FR1250496A (fr) * 1959-11-16 1961-01-13 Arbed Dispositif d'injection de produits pulvérulents ou en granules en suspension dans un gaz ou un mélange gazeux
FR1315021A (fr) * 1960-12-07 1963-01-18 Bot Brassert Oxygen Technik Ag Procédé de mise en oeuvre de processus métallurgiques, et dispositif permettant l'application de ce procédé
AT238237B (de) * 1961-05-18 1965-01-25 Voest Ag Blas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metallurgischer Prozesse
DE1583240A1 (de) * 1967-09-30 1970-08-06 D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Stahl im Konverter
FR2322202A1 (fr) * 1975-08-29 1977-03-25 Siderurgie Fse Inst Rech Procede d'elaboration d'acier par soufflage d'oxygene
GB1586762A (en) * 1976-05-28 1981-03-25 British Steel Corp Metal refining method and apparatus
US4195985A (en) * 1977-12-10 1980-04-01 Eisenwerk-Gesellschaft Maximilianshutte Mbh. Method of improvement of the heat-balance in the refining of steel
LU78906A1 (fr) * 1978-01-19 1979-09-06 Arbed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ffinage d'un bain de metal
AU8474782A (en) * 1981-06-19 1982-12-23 British Steel Corp. Refining of steel from pig ir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156377C (no) 1987-09-09
MX157546A (es) 1988-11-30
DE3273188D1 (en) 1986-10-16
EP0081448B1 (fr) 1986-09-10
LU83814A1 (fr) 1983-09-01
ES8402021A1 (es) 1984-01-01
NO156377B (no) 1987-06-01
KR840001635A (ko) 1984-05-16
BR8206381A (pt) 1983-09-27
ZA828160B (en) 1983-08-31
EP0081448A1 (fr) 1983-06-15
FI71769B (fi) 1986-10-31
ES517913A0 (es) 1984-01-01
PT75439B (fr) 1985-01-03
NO824070L (no) 1983-06-06
FI822922A0 (fi) 1982-08-23
AU554800B2 (en) 1986-09-04
JPS58144409A (ja) 1983-08-27
FI822922L (fi) 1983-06-05
AU9110182A (en) 1983-06-09
FI71769C (fi) 1987-02-09
PT75439A (fr) 1982-09-01
ATE22118T1 (de) 1986-09-15
CA1199504A (fr) 198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442B1 (ko) 고체 냉각재료를 용해한 금속용융액의 정련방법 및 그 장치
KR100396071B1 (ko) 금속및금속합금제조방법및그장치
EP0866138B1 (en) Method for introducing gas into a liquid
US4459137A (en) Gasific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US3771998A (en) Method and converter for refining pig iron
KR100207154B1 (ko) 금속과 금속합금의 제조방법및 그의 제조를 위한 용융환원용기
US3488044A (en) Apparatus for refining metal
KR19990045403A (ko) 응집성 제트 분사기 랜스
JPH05500555A (ja) シュラウド付きランスによる先端サブマージド注入
KR100248901B1 (ko) 야금반응로의 기체공간내의 내화성 라이닝을 보호하는 방법
US443400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fining a melt containing solid cooling material
KR101700078B1 (ko) 향상된 침지식 연소를 위한 상부 침지식 주입 랜스
JPH03134486A (ja) セラミツク溶接法及びかかる方法に使用するためのランス
CZ278679B6 (en) Process for producing steel from a charge of liquid pig iron and steel scrap in a converter
US5366537A (en) Fuel and oxygen addition for metal smelting or refining process
GB2121936A (en) Lance structure and oxygen-blowing process for top-blown converters
ES2405998T3 (es) Método para producir acero de bajo contenido en carbono
BR0110108B1 (pt) processo de redução direta para produzir metais.
US3604698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gaseous deoxidation of anode copper
US4011290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ersing a melt with a fluid jet
JPH06213577A (ja) 多媒質羽口の操作方法および多媒質羽口機構
JP2007537355A (ja) 溶融金属の精錬
US4730813A (en) Oxygen nozzle for metal refining
US51547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liminary treatment of molten hot metal
JPH032934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