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390Y1 - 자동차의 주행관성을 이용한 무동력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주행관성을 이용한 무동력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390Y1
KR890001390Y1 KR2019860002178U KR860002178U KR890001390Y1 KR 890001390 Y1 KR890001390 Y1 KR 890001390Y1 KR 2019860002178 U KR2019860002178 U KR 2019860002178U KR 860002178 U KR860002178 U KR 860002178U KR 890001390 Y1 KR890001390 Y1 KR 890001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haft
engine
main shaft
ru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2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3375U (ko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태 filed Critical 김기태
Priority to KR2019860002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390Y1/ko
Publication of KR870013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3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주행관성을 이용한 주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로서 결합상태도.
제3도는 제2도의 상태에서 이동 클러치가 후진이탈된 상태도.
제4도의 (a)는 본 고안의 설치사용 상태도, (b)는 액슬샤프트에 설치됨을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주동축 B : 종동축
1 : 구동축 2, 2' : 클러치
3 : 안내홈 4 : 트러스트 베어링
5 : 진퇴 작동판 6 : 베어링
7 : 연결편 8 : 유압실린더
9 : 작동로드 10 : 엑셀레이터 폐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에 있어서, 일단 일정속도의 주행 속력을 얻었을 때부터는 엔진출력을 최저로 낮추어도 엔진부레이크 현상없이 얻어진 주행관성으로 어느 정도까지 계속 주행할 수 있게한 주행관성을 이용한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며, 연료 절감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다가 엔진 출력을 낮추면 지면과 타이어와의 마찰저항과 공기저항 및 엔진 부레이크 현상에 의해서 점차 감속현상이 있게되고, 특히 엔진 부레이크 현상에 의해 감속되는 비율이 크게됨을 알 수 있으며, 감속된 만큼만 에너지를 외부로부터 (엔진)다시 공급받는다면, 일정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엔진 부레이크 현상은 자동차 구조상 엔진과 차륜을 구동축으로 연결하여 엔진의 동력이 차륜으로 전달되게 한 것이기 때문이며, 엔진 부레이크 현상을 없애려면, 클러치 폐달을 밟고 있거나 기어를 중립으로 빼주어야만 차륜이 공회전될 수 있다.
때문에 엔진출력을 낮추는 시각부터는 감속되기 시작하게 되며, 주행속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엔진출력을 지속적으로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유지시켜야 하며, 이로 인해 연료는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것이다.
운전에 있어서, 연료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자동차를 일정속도로 가속시킨 후 클러치를 밟아서 동력전달을 끊어주거나 기어를 빼주면 어느 정도까지는 주행관성으로 달릴 수 있게 된다.
즉, 자동차의 속력을 가속시킨 후 그때부터는 엔진출력과는 관계없이 이미 얻어진 주행관성에 의해 차량이 주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다시 출력을 보충 시킬 필요가 있는 단계까지는 엔진은 최저상태로 가동되고 있으므로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필요한 조치는 엔진과 차륜과의 연결수단을 단절시켜 엔진 부레이크 현상을 해소시키므로서 차륜만이 추진력에 의해 가볍게 공회전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하는 것이며, 그러자면, 기존의 자동차로는 클러치를 밟고 있거나, 기어를 빼주여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운전중에 변속 조작과는 별도로 기어를 넣었다 빼었다하는 것은 운전조작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고속 주행시에는 위험도 많고 피로감도 많게 되므로 실제로는 이행하기가 어려운 운전방법인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에서의 구동축에 별도의 보조 클러치 장치를 설치하여 변속클러치와는 관계없이 가속에 의한 주행시에만 구동축이 분리되게 하여 엔진은 최저상태로 가동되게 하는 반면에 차륜은 공회전상태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동력을 차륜에 전달하여주는 구동축(1)의 중간부를 단절하여 주동축 (A)과 종동축(B)으로 구분 형성하고, 이들의 단부에 각각 클러치(2) (2')를 결착시켜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하되, 주동축(A)의 클러치(2)는 안내홈(3)에 끼워져 전후 진퇴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주동축(A)과 종동축(B) 단부에는 트러스트 베어링(4)을 설치하여 공회전될 수 있게하고 이동클러치(2) 후단에는 진퇴 작동판(5)를 베어링(6)으로 유착시키며, 그후단 연결편(7)은 유압실린더(8)의 작동로드(9)에 결속시켜 준다.
유압실린더(8)의 유압관은 액셀레이터 폐달(10)에 연결시켜 액셀레이터 폐달 (10)을 밟거나 놓아줌에 의해 이동클러치(2)가 상대쪽 고정클러치(2')에 접탈되게 하고 운전실에 설치된 별도의 작동스위치에 의해 필요시에만 작동될수 있게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주동축(A)과 종동축(B)은 트러스트 베어링(4)에 의해 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이들 각각 회전작동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주동축(A)은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이고, 종동축 (B)은 차륜부의 액슬기어와 연결되어 있으며 주동축(A)의 이동클러치(2)가 종동축 (B)에 고정클러치(2')에 치합된 상태에서는 동력이 주동축(A)에서 클러치(2) (2')를 통해서 종동축(B)으로 전달되므로 함께 회전하게 되는 반면에 이동클러치(2)가 후진하여 고정클러치(2')에서 이탈되면, 종동축(B)으로의 동력전달이 단절되고, 주동축(A)만 회전하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 클러치장치는 메인 구동축(1)의 변속클러치 장치와는 별도의 용도와 기능으로 작동되는 것이며, 오직 필요시에만 구동축(1)을 단절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돤다.
또한 액셀레이터 폐달(10)을 작동시켜도 운전실에 설치된 별도의 작동개시 스위치(미도시됨)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보조 클러치는 작동될 수 없고 항상 치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상태에서는 통상의 구동축(1)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 개시스위치를 ON시켜주고 자동차를 일정속도까지 가속시켜준 후 액셀레이터 폐달(10)을 놓아주면, 유압실린더(8)의 작동로드(9)가 후진하면서 회전중인 이동클러치(2)를 후진시켜 고정클러치(2')에서 이탈시키며, 이와 동시 엔진은 최저출력으로 가동되고, 차륜과 종동축(B)은 공회전상태로 주행관성에 의해 일정거리를 주행하게 되며, 어느 정도 속력이 떨어지면, 다시 액셀레이터 폐달(10)을 밟아주면 유압 작동로드(9)가 전진하면서 이동클러치(2)를 밀어서 고정클러치(2')에 치합시켜줌과 동시 엔진출력이 높아지므로, 동력은 다시 차륜을 가속시켜 주게되며, 일정속도까지 가속되면 다시 액셀레이터 폐달(10)을 놓아주므로서 공회전 주행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반복하면서 일정거리를 주행했을 때의 소모되는 연료량과 엔진출력을 지속적으로 유지발생시키면서 주행했을 때의 소모되는 연료량과의 대비는 현저한 차이가 있게됨을 알 수 있으며, 주행거리의 소요시간은 거의 비슷해 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80㎞/h의 속도를 지속시키려 할때 90㎞/h까지 지속하고 기어를 뺀상태로 70㎞/h의 속도까지 무동력 주행을 한 후 다시 동일방법으로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면서, 운전하면 연료의 소비가 현저하게 감소됨을 쉽게 알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축적된 운동에너지를 관성에 의하여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되며, 가속, 감속을 조절하는 액셀레이터 폐달(10)에 연결하여 평상운전 방법만으로, 불편없이 운전할 수 있고, 엔진 부레이크 현상이 자동으로 해소되므로 부하없이 주행관성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고, 연료소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 고안은 자동차는 물론 선박, 터빈 발전기등의 기기에 적용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4도의 (b)에서와 같이 구동축(1)과는 관계없이 액슬샤프트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기계식 클러치는 물론 전자식 클러치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엔진의 동력을 차륜에 전달하여주는 구동축(1)의 중간부를 단절하여 주동축 (A)과 종동축(B)으로 구분 형성하고, 이들의 단부에 각각 클러치(2) (2')를 결착시켜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주동축(A)의 클러치(2)는 안내홈(3)에 끼워져 전후 진퇴될 수 있게 하며, 주동축(A)과 종동축(B) 단부에는 트러스트 베어링(4)을 설치하여 공회전될 수 있게 하며 이동클러치(2) 후단에는 진퇴 작동판(5)를 베어링(6)으로 유착시키고, 그후단 연결편(7)은 유압실린더(8)의 작동로드(9)에 결속시켜 액셀레이터 폐달(10)을 밟거나 놓아줌에 의해 이동클러치(2)가 상대쪽 고정클러치(2')에 접탈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주행관성을 이용한 주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클러치(2)가 상대쪽 고정클러치(2')로 구성되는 보조클러치 장치를 액슬 샤프트에 설치하여서된 구조.
KR2019860002178U 1986-02-25 1986-02-25 자동차의 주행관성을 이용한 무동력 주행장치 KR890001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178U KR890001390Y1 (ko) 1986-02-25 1986-02-25 자동차의 주행관성을 이용한 무동력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178U KR890001390Y1 (ko) 1986-02-25 1986-02-25 자동차의 주행관성을 이용한 무동력 주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375U KR870013375U (ko) 1987-09-09
KR890001390Y1 true KR890001390Y1 (ko) 1989-04-05

Family

ID=1924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2178U KR890001390Y1 (ko) 1986-02-25 1986-02-25 자동차의 주행관성을 이용한 무동력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3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27B1 (ko) * 2010-06-18 2010-08-30 송경진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KR101009435B1 (ko) * 2010-10-18 2011-01-19 송경진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27B1 (ko) * 2010-06-18 2010-08-30 송경진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KR101009435B1 (ko) * 2010-10-18 2011-01-19 송경진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WO2012053737A2 (ko) * 2010-10-18 2012-04-26 Song Gyeong-Jin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WO2012053737A3 (ko) * 2010-10-18 2012-06-14 Song Gyeong-Jin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375U (ko) 1987-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2063B2 (en) Automot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ystem
EP2865914B1 (en) Vehicle control device
US6537169B1 (en)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US42522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US7647994B1 (en) Hybrid vehicle having an electric generator engine and an auxiliary accelerator engine
US4407398A (en) Drive unit
US4495836A (en) Automotive vehicle power drive system
EP2502797B1 (en) Hybrid vehicle system and controller
US20070123384A1 (en) Electrodynamic power plant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JPH02236056A (ja) 車両の制動装置
JP2007331533A (ja) 車両用制御装置
CN100476256C (zh) 汽车用的动力传动系
US6589130B1 (en) Driving system for industrial trucks
JP2004196273A (ja) 制動に関する車の駆動方法
KR890001390Y1 (ko) 자동차의 주행관성을 이용한 무동력 주행장치
KR890001391Y1 (ko) 자동차의 주행관성를 이용한 주행장치
KR950007380B1 (ko) 자동차의 무단 변속 장치
KR20040097769A (ko)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동력 전달 시스템
US20230219558A1 (en) Driving force control system for vehicle
CN107176031A (zh) 机动车动力输入轴——飞轮间变速器装置和离合器装置
KR100254979B1 (ko) 자동차의 보조 구동 장치
KR19990068701A (ko) 관성의원리를이용한자동동력전달,차단장치에의한연료절감장치
CN2284709Y (zh) 一种车用节能传动装置
CN2172228Y (zh) 汽车节油变速器
KR0126079B1 (ko) 넌 클러치(non-clutch) 매뉴얼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