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963B1 - 건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963B1
KR890000963B1 KR1019810004135A KR810004135A KR890000963B1 KR 890000963 B1 KR890000963 B1 KR 890000963B1 KR 1019810004135 A KR1019810004135 A KR 1019810004135A KR 810004135 A KR810004135 A KR 810004135A KR 890000963 B1 KR890000963 B1 KR 89000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building structure
flange
member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984A (ko
Inventor
안델슨 잉게
요한슨 로니
Original Assignee
안델슨 잉게
요한슨 로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델슨 잉게, 요한슨 로니 filed Critical 안델슨 잉게
Priority to KR101981000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963B1/ko
Publication of KR83000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6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 구조물
제1도는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의 일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의 부품인 일체형 지주의 단면도.
제3도는 다수의 판금으로 구성된 지주의 단면도.
제4,5,6도는 각각 제3도의 지주의 부품인 판금의 사시도.
제7,8도는 제1도의 건축 구조물의 부품인 하단부품과 상단부품의 사시도와 상부 평면도.
제9도는 두개의 지주와 이들 지주를 연결시키는 코너 부재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제10,11도는 각각 제9도의 코너 부재의 사시도.
제12도는 제1도의 건축 구조물의 부품인 판넬 부재의 평면도.
제13도는 하단부재 및 이 하단부재에 조립 설치된 지주를 도시한 개략도.
제14도는 판넬부재가 장착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5,16도는 각각 제13도의 선A-A 및 선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7도는 3조의 상이한 조립식 벽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지주 2 : 판넬부재
3 : 하단부재 4 : 상단부재
5,6 : 코너부재 7 : 경사면
12 : U자형 생크(shank) 13 : 경사면
14 : 플랜지 15 : 중앙홈
15a : 하프(half)홈 16 : 러그(lug)
본 발명은 수직지주와 이 수직지주를 연결하는 상단부재와 하단부재로 구성된 골조(frame work) 및 상기 수직지주와 상하단부재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는 별도의 벽부재로 구성된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건축 구조물들은 다소 형상의 취급면에서 복잡하지만, 이미 다양한 종류의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종래의 건축 구조물은 특정의 건축 목적에만 적용할 수 있다. 즉, 건축물의 크기와 설계의 선택폭이 극히 제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형태의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은 통상의 스크류 드라이버만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며, 구조물은 주로 H형 지주, 하단부재 및 그와 동일형태의 상단부재, 측벽부재등으로 구성되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각 지주는 주형상이 H형으로서 H형상의 각 끝부분의 외측면을 경사지게 잘라내어 경사면을 형성시킨 형태이다. 하단부재와 상단부재는 지주의 유사한 형태로서 골조 중앙에 대해 상호 대칭이며 양측 외측상부가 비스듬한 경사면을 구성하여 중앙이 홈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측벽부재로는 평평하고 매끈한 벽요소와 더불어 또는 별개로 플랜지가 전장에 걸쳐 지주의 경사면과 같은 방향으로 굽혀져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그 플랜지 끝이 내부로 접혀진 상태의 박판의 판넬부재가 이용된다.
평평하고 매끈한 벽요소는 끝부분이 하단부재와 상단부재의 홈과 H형 지주의 끝부분 사이의 공간부분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판넬부재는 골조의 각 경사면 사이의 홈속에 플랜지의 접혀진 부분이 결합되므로써 설치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 구조물로 조립된 벽의 일부분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 건축 구조물은 다수의 H형 단면의 수직지주(1)과, 이 수직지주(1)과 상, 하부부재(3)(4)에 장착된 다수의 판넬부재(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건축 구조물은 두개의 수직지주와 함께 벽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코너부재(5)(6)을 포함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에 의해 벽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부부재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제거하였다.
제2도는 예로써 압출등의 방법으로 일체형으로 제조된 H형 단면의 지주(1a)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지주(1a)의 생크부(shank)의 양단부에는 45°경사의 경사면 (7a)가 구비되어 있으며, 두 생크와 크로스바아 사이에는 판넬부재가 삽입될 두개의 평행한 종방향홈(8a)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는 다른 실시예의 지주(1)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지주(1)은 제4,5,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수의 판금(sheet metal)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2개의
Figure kpo00001
형 단면의 판금(9)(제4도)를 서로 마주보게 한다음, 이중 플랜지를 가진 2개의
Figure kpo00002
자형 판금(10)(제5도)을 상기판금(9)와 결합시키고, 그 결합부위 위에 판금(11)(제6도)을 끼워넣음으로써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지주(1)을 완성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한 지주(1)은 제2도의 지주(1a)와 마찬가지로 경사면(7)과 홈(8)을 구비한다.
제7도는 하단부재(3)과 상단부재(4)의 사시도이고, 제8도는 그 평면도이다. 이 상단부재 또는 하단부재는 U형 단면의 판금으로 구성되며, U형 생크(12)의 자유단부에는 45°각도의 경사면(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경사면(13)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U형 생크(12)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플랜지(14)가 구비되어 있다. 제8도에서 경사면 (13) 중앙부에는 지주(1,1a)의 단면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의 리세스(15)가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13)의 양단부에는 하프지주(half post)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하프 리세스(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세스(15)(15a)내에는 지주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탭핑나사(self-tapping screws)에 고정된다. 상단부재(4)의 형상도 하단부재(3)과 동일하며, 이것 역시 하단부재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주와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하단부재와 수직지주는 하나의 연속적인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의 모서리부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지주의 경사면(7)이 맞닿도록, 즉 각 지주의 홈(8)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한 다음, 제11도의 코너부재(6)을 두 인접지주에 탭핑나사로 고정시킨 다음, 제10도의 코너부재(5)는 단면의 형상이 2등변 삼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2등변 삼각형의 빗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각 등변에 평행한 2개의 러그(lug)(16)이 형성되어 있다. 판금으로 제조된 이 코너부재(5)는 상기 인접지주 사이에 가압하여 설치하게 되며, 가압시 상기 두 러그(16)는 각 지주의 경사면(7)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가서 지주의 홈(8)내에 스냅 결합하게 된다. 이때, 얇은 칼날 형상의 공구를 지주의 경사면(7)과 코너부재(5) 사이의 틈새에 삽입하여 상기 홈(8)의 모서리부에 러그(16)를 가압 결합시킬 수 있다.
제12도는 판넬부재(2)를 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반대 측면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부 매끄러운 면으로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핵심은 아니지만 이 판넬부재에 보강용 굽힘 따위의 가공을 할 수도 있다. 판넬부재(2)는 그 내측 단부가 45°각도로 굽힘가공되어 제1플랜지(17)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제1플랜지의 외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45°굽임가공된 제 2플랜지 (18)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플랜지는 코너부재(5)의 러그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판넬부재를 하단부재와 지주 및 상단부재에 조립하여 고정시키는데 사용한다. 제13도는 지주(1)이 나사 조립되어 있는 하단부재(3)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지주(1)의 경사면(7)이 하단부재의 중앙홈(15)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3도에는 판넬부재(2)의 가장자리의 한 플랜지가 하단부재의 경사면(13)과 플랜지(14)에 스냅 결합되며, 인접한 제1 및 제2플랜지(17)(18)는 지주의 경사면 (7)과 홈(8)에 스냅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4도는 판넬부재(2)가 지주(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하단부재는 도시 생략하였다. 판넬부재의 제1 및 제2플랜지 (17)(18)은 인력에 의해 지주의 경사면(7)과 하단부재 및 상단부재의 경사면(13)을 미끄러져 들어가 제2플랜지(18)이 지주의 홈(8)과 하단부재 및 상단부재의 플랜지 (14) 속으로 결합하게 된다.
제15,16도는 제13도의 선 A-A와 선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판넬부재 (2)와 하단부재(3)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의 응용 가능성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로서, 다양한 형태의 벽부재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우측지주의 우측에는 제13도에서와 제13도의 예와 동일하게 2개의 판넬부재(2)가 스냅 결합되어 있으며, 좌측지주와 중앙지주 사이에는 단순히 평평한 벽부재(19)가 H형 지주의 홈(8)내에 결합되어 있다. 중앙지주가 우측지주 사이에는 판넬부재(2)와 벽부재(19)가 동시에 결합되어 있다.
벽부재(19)는 여러가지 형태가 가능한데, 예로써 판지 보오드나 석고보드, 또는 창틀등을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때, 지주와 하단부재 및 상단부재의 경사면을 적당한 색체로 채색하여 창틀로 사용할 수 있다. 벽의 양측을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수도 있다. 즉, 한쪽은 평평한 벽요소로서 판지 따위로 하고 반대측면은 판넬부재로서 골조에 결합할수 있는 상태로 할수 있다. 홈에 벽부재(19)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골조를 완성하기전에 벽부재(19)를 설치하고, 두 지주중의 하나를 벽부재의 측면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도 설치 및 해체가 역시 간단하다.
이러한 실시방법에 의하면, 상단부재와 하단부재를 결합하고 있는 나사를 풀어낸 다음, 나머지 부재, 즉 벽부재, 판넬부재 및 지주 따위를 쉽게 해체시킬 수 있다. 또한,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 각 구성부품을 고도로 표준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실제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각 구성부재의 폭을 변경하거나, 하단부재나 상단부재의 높이를 변화시키거나, 전동 고정장치와 흡배기 여과기 및 보강제(armatures)따위의 고정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각 부재를 설계하거나 할 수 있는 등의 응용성이 높은 구조물이다. 또한 문을 내거나 보온재 또는 절연재를 지주나 판넬부재 사이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 금속박판이 아닌 다른 재질로 판넬부재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플랜지 부분만을 가소성 재질로 기타부분은 목재로 하거나 또는 재질 측면에서 동등품인 어떤 플라스틱 계통 따위의 다른 재질로 전구조물, 또는 일부 부품만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상의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첨부한 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8)

  1. 수직지주(1,1a) 및 이 수직지주를 상호연결하고, 이 수직지주 사이에 결합된 벽부재(2,19)를 결합시키는 하단부재(3) 및 상단부재(4)로 구성된 골조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 각 지주(1,1a)가 H형 단면을 가지며, 이 H형상의 생크(shank)부분은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단되어 있으며, 하단부재와 상단부재는 지주와 유사한 형태로서 골조중앙을 향한 방향으로 굽힘가공된 경사면(13)을 구비하며, 상기 벽부재는 평평한 벽부재 및/또는 지주 하단부재 및 상단부재의 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굽힘가공된 제1플랜지(17)을 구비한 박판의 판넬부재(2)로 구성되며, 제1플랜지(17)의 외단부에는 제2플랜지(18)이 굽힘가공되어 있으며, 상기 평평한 벽부재(19)는 그 가장자리가 하단부재(3), 상단부재(4) 및 H형 단면의 지주의 홈내에 결합되며, 상기 판넬부재 (2)는 그 제1플랜지(17)이 상기 골조의 경사면에 스냅 결합되며,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골조의 상기 경사면(7,13)의 후부늬 홈내에 스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하단부재(3)와 상단부재(4)의 개방측에는 경사면(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측에는 지주(1,1a)의 상,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의 홈 (15,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넬부재(2)의 제1 및 제2플랜지(17,18)이 이동하여 상기 상,하단부재의 경사면(13)에 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지주(1,1a)와 하단부재(3) 및 상단부재(4) 및 판넬부재(2)의 제 1 플랜지(17)의 경사면(13,7)이 주방향에 대해 45°의 각도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각 지주(1,1a)가 별개의 체결수단(20)에 의해 하단부재(3)와 상단부재(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가 플랜지를 구비한 3종류의 금속박판부재로 구성되며, 그중 한 부재(11)는 다른 두 부재를 조립한 후 이것들을 상호 결합하도록 세로방향으로 밀어 넣어 지주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호 직각방향으로 인접설치된 2개의 지주(1)을 상호 연결하는 코너부재(5,6)이 제공되어 있으며, 코너부재중 하나(6)는 계단형성으로 굽힘가공되어 있으며, 이 코너부재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지주(1,1a)의 두 경사면(7) 사이의 평행홈(8,8a)에 고정되며, 다른 코너부재(5)는 직각 앵글과 이 직각 앵글의 양단부의 45°앵글과 이 45°앵글의 단부상의 상기 직각 앵글과 평행한 러그를 구비하며, 이 러그는 지주(1,1a)의 경사면의 후방에 스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20)이 자동 탭핑나사(self tapping screw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8. 제5에 있어서, 상기 3종류의 금속박판부재가
    Figure kpo00003
    자형 부재(9),
    Figure kpo00004
    자형 부재(11) 및 이들 두 부재를 결합하는 부재(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KR1019810004135A 1981-10-29 1981-10-29 건축 구조물 KR89000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135A KR890000963B1 (ko) 1981-10-29 1981-10-29 건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135A KR890000963B1 (ko) 1981-10-29 1981-10-29 건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84A KR830007984A (ko) 1983-11-09
KR890000963B1 true KR890000963B1 (ko) 1989-04-15

Family

ID=1922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135A KR890000963B1 (ko) 1981-10-29 1981-10-29 건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9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84A (ko) 198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865B2 (en) Prefabricated housing structure
HU224116B1 (hu) Tetőfedő elem, ilyen tetőfedő elemekből épített tetőfedő rendszer, valamint ilyen tetőfedő elemek alkalmazása tetőfedés készítéséhez
US4981002A (en) Wall system
FI73286C (fi) Byggnadskonstruktion.
KR890000963B1 (ko) 건축 구조물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KR0157240B1 (ko) 조립식 패널의 코너 연결부위용 조립 브라켓
JPH0447296Y2 (ko)
JPS5841294Y2 (ja) 壁の構造
JPS625459Y2 (ko)
JPH0642075A (ja) 押出セメント板の横積み構造
JP3020492U (ja) 組立家屋の外壁構造
JPH024206Y2 (ko)
GB2135357A (en) Wall panelling
JPH0235925Y2 (ko)
JPH0428978Y2 (ko)
JPS6339727Y2 (ko)
KR0128819Y1 (ko) 건물용 칸막이 패널
JP3515897B2 (ja) 壁パネル
JPH022803Y2 (ko)
GB2133457A (en) Hinge connections
JP2559083Y2 (ja) ユニットハウスにおける壁パネルのジョイント構造
JPH0620647U (ja) 組立屋根
JPH1072913A (ja) 組立建物の屋根
KR920001268Y1 (ko) 창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