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906B1 -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을 위한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을 위한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906B1
KR890000906B1 KR1019860005236A KR860005236A KR890000906B1 KR 890000906 B1 KR890000906 B1 KR 890000906B1 KR 1019860005236 A KR1019860005236 A KR 1019860005236A KR 860005236 A KR860005236 A KR 860005236A KR 890000906 B1 KR890000906 B1 KR 89000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xynil
levamisol
dose
efficacy
epilep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085A (ko
Inventor
전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미생물연구소
한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미생물연구소, 한화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미생물연구소
Priority to KR101986000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906B1/ko
Publication of KR88000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9Thiazoles 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을 위한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추동물 사육에 있어서 가장 심한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는 내부 기생충인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의 박멸을 위한 니트록시닐(nitroxynil)과 레바미솔 (levamisole)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추동물이라하면 소, 면양, 산양, 및 사슴을 말하며, 1985년도의 농림수산 통계 연보자료에 따르면 한국에 있어서도 소 265만 2천두, 산양 38만 5천두, 면양5천두, 사슴 1만 9천두 등 합계 306만 1천두에 이르고 있어 1980년도 통계자료인 199만 7천두에 비하여 무려65%의 증가율을 나타내어 과거 5년간 연평균 13%의 증가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최근에 발표된 손봉환 일행(유우의 간질 및 쌍구흡충 기생율과 간질 구충제 niclofolan과 bithionol의 야회응용시험. 대한 수의학회지, 13(3) : 161,1977), 성재기(한우 간질감염의 역학적 조사(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일대) 수의대 논문집 2(2) : 62,1977), 장두환 일행(간질의 생태와 진단액에 관한 연구. 수의대 눈문집4(2) : 142,1979), 전계식 및 장두환(간질의 역학적 연구. 수의대 논문집, 5(1) : 11,1980) 및 민홍기(인수공통 기생충의 역학적 조사연구, 기생충학 잡지, 19(1) : 60,1981)의 주요 역학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들 가축이 여러 종류의 개생충에 고율로 감염되어 있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잇으며, 보다 많은 수의 가축이 감염위험에 노출되고 있어 축산업 진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장두환 일행(1979)과 곽수동 일행(간질감염 및 구충제 DS-6 부작용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 수의학 회지, 23(2) : 193,1983)의 문헌조사에 의한 집계와 역학적 조사보고에 따르면, 간질류(Fasciola spp.)의 감염율은 반추동물의 내부 기생충을 대표할 정도로 높아서 한우 11.8-63.0%, 젖소 17.7-38.2%, 면양 0.9-32.6% 및 산양 0-45.2% 범위의 감염율을 보이고 있으며 손봉환 일행(유우의 간질감염율 조사보고. 경기도 가축 보건소 북부지소, 단행본 pp.8,1976) 및 강영배(구총 및 살충제제. 대한 수의학회지, 24 : 93,1984)의 조사에 의하면 실제로 이로인한 경제적 손실이 축우 분야에서만 연간 690억원을 상회하고 있으며, 소화관내 기생충에 의한 피해도 이에 못지않게 클것으로 추정된다.
외국의 경우 오랜전부터 간질을 구충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헥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 헥사클로로파라크실렌, 헥사클로로펜, 비티오놀 설폭시드, 브롬살란스, 옥시클로자니드, 클리옥사니드, 니트로폴란, 니트록시닐, 라폭사니드, 벤즈이미다졸, 디암페네티드(Egerton 일행, 1963 ; Lucas, 1965 ; Flucke & Gun ther, 1970 ; Bankov 일행, 1971 ; Lammler & thyssen, 1971 ; Corba, 1978 ; Anderson 일행, 1980 ; 中林, 1964) 등과 소화관내 선충류의 구충을 위해서는 초기에 개별적인 소화관내 선충류에 대한 구충약인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톨루엔, n-부틸 클로라이드, 프탈로파인, 디소페놀, 간단한 복소환식 화합물인 페노티아진과 피페라진 그리고 피란텔 및 모란텔이 사용되었고 그후 유기인제 살충제인 디클로로스, 할락손 및 코우마포스 등이 출현하였다. 그후 광역살충제로서 이미다조티아졸과 벤즈이미다졸 계인 티아벤다졸, 부타미솔 히드로클로라이드, 페반텔, 레바미솔이 출현하여 각광을 받게 되었다(Rubin &Hibler, 1968 ; Ciordia & Baird, 1969 ; Soulsby, 1969 ; Baker & Fish, 1972 ; Anderson, 1977 ; Whitlock 일행, 1980 ; Powers 일행, 1982 ;Cawthorne,1984).
우리나라에서 최근 집계에 의하면 가축 구충제로서 190여종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현재 가축의 질병예방과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약품 1, 270여종의 약 15%에 해당하며, 1981-1984년 사이에 그 품목과 사용양의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이들 약품은 거의가 수입된 것들이며 모든 수입 구충제는 그 효능에 대한 국내시험 및 평가절차없이 시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양축가들에게 커다란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강영배 : 구충 및 살충제제. 대한 수의학회지, 24 ; 93,1984).
한편 최근 축산업 협동조합 중앙회가 간질감염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알벤다졸, DS-6 및 델라팍 등을 투여, 전국적인 구충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나 이들의 효능이 기대정도에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부작용도 적지않아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진국에서는 수요자측의 여망과 제약회사측의 요구 및 연구가들의 학술적 흥미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축산에 있어 가장 큰 피해의 원인이 되고 있는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에 동시에 작용하며 또한 경제적이고 이상적인 구충제의 개발을 시도한 바 흡충류 특히 간질의 구충제와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제로 각광을 받았던 각각의 약제를 혼합한 복합제 즉 옥시클로자니드와 테트라미솔의 합제, 옥시클로자니드와 레바미솔의 합제, 라폭사니드와 티아벤다졸의 합제, 옥시클로자니드와 옥시벤다졸의 합제, 브로티아니드와 티오파나테의 합제(Walley, 1970 ; Georgiev & Grouev, 1979 ; Ford & Abdelsalam, 1983)등의 복합제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경구적으로 투여되기 때문에 그 효능이 실험실에서 평가된 수준에 이르지 못한다는 사실이 Bogan 일행(1982)에 의해 지적된바 그 이유는 경구적으로 투여된 약품이 반추동물의 위장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생물의 신진대사에 의하여 약품의 효력 특히 생물학적 이용성(bioavailability)이 저하되기 때문이라 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목적으로 간질 구충제로서 그 효능이 높이 평가되었던 니트록시닐과 소화관내 선충류에 탁효가 있는 레바미솔이 각각 Lucas(1965)와 Walley (1966)에 의하여 주사제로 개발, 야외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추천되어 실용화 되었으나, 이들은 개별적인 단독 주사제로서 흡충류와 선충류에 동시에 작용할 수 있는 광역구충제로서의 조건을 구비하지 못하였다.
니트록시닐은 황색 결정체로서 대부분의 유기용매에 중등도의 용해성을 보이며 경구 및 주사로 투여가 가능하다. 주사용으로는 피하주사, 근육주사 및 복강내주사가 가능하며 경구투여시와 마찬가지로 간질의 성충 및 유충에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내며 (Lucas, 1965, 1971 ; Edwards, 1972), 췌질의 일종인 Eurytrema colomaticum(城本, 1984) 및 선충류인 Haemonchus contortus와 Parafilaria bovicol(Roberson 일행, 1977)에도 그 효능이 높이 평가된 약품으로서 충체의 산화적 인산화반응 (oxida tive phosphoryation)을 억제함과 동시에 말린산염 탈수소효소(malate dehydro gen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에너지 생성과정을 와해시켜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Corbett & Goose, 1971 ; Probert 일행, 1981).
한편, 레바미솔은 백색 무취의 무정형 분말로서 물,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등에 용해되며 경구 및 주사투여가 가능하다. 주사용으로는 역시 피하주사, 근육주사 및 복강내 주사가 가능하며 경구투여시와 마찬가지로 소화관내 선충류의 성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Walley, 1966, 1970 ; Turton, 1969 ; Reinecke, 1972 ; Lyons 일행, 1972 Baker & Fish, 1972 ; Bogan 일행, 1982 ; Ford & Abdelsalam, 1983), 우안충인 텔라지아 로데시(Thelazia rhodesii)(Booth & MoDonald, 1982)와 우페충인 딕타이오카울러스 비비파러스(Dictyocaulus viviparus)(Walley, 1966 ; Lucas, 1971 ; Lyons 일행, 1972, 1975; Armour & Bogan,1982)에도 유효한 약제로서, 신경절에 작용하여 충체을 마비시키며(Coles, 1977) 충체에너지 대사과정중 푸마린산염 환원효소(fumarate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시트로산화를 차단하여 에너지생성을 억제시킴을로써 살충효과를 나타낸다(Bhem & Bryant, 1979 ; Sharpe & Lee, 1981)
기생장소, 약제에 대한 반응의 정도 및 체제가 서로 다른 기생충류에 동시에 작용하여 광역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복합구충제의 개발은 여러 측면에서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하나 Armour & Bogan(1982)이 기술한 바와 같이 합제약품이 포함하는 각각의 적정 용량의 비율산정이 매우 어려우며 흔히 치료효과에 미치지 못하는 용량을 투여하게 되어 구충에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우기 주사제를 개발하는 경우 공통용매, 부형제 및 약제의 배합비율의 결정은 더욱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제 본 발명자는, 레바미솔 HCl의 염화수소(HCl)를 제거하여 사용함으로써 니트록시닐과 배합이 가능한 공통용매 모색의 어려움이 극복되며, 그 복합제에다 식물성기름을 혼합함으로써 니트록시닐과의 배합이 가능한 공통용매 모색의 어려움이 극복되며, 그 복합제에다 식물성기름을 혼합함으로써 주사부위의 부종이 나타나지 않음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니트록시닐과 유리염기형태의 레바미솔을 유기용매 및 식물성기름에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의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새로이 개발된 구충제의 효능평가 시험에서는 인공적으로 감염시킨 동물과 자연적으로 감염된 동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원칙인 바, 본 발명의 시험에서는 인공감염에 이용할 수 있는 최적동물을 결정하기 위하여, 백서, 토끼 및 산양을 사용하여 간질의 피낭유충을 투여하였더니 충체회수율이 산양에 있어 평균 38.5%를 보여 가장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수율은 면양에서 Bendawes & Hughes(1964)가 경험한 39.1%와 유사하였고, 본 발명의 시험의 산양에서 감염 8주후 비록 미성숙 충체였으나 담관내에서 검출됨으로써 감염 8주후의 면양의 담관내에서도 발견가능 하였다는 보고 (Bendawes & Hughes, 1964)와 함께 고려할때 대체로 감염 10주후이면 성충으로 발육할 수 있을 것이 추정되어 후속시험에 활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니트록시닐 및 레바미솔을 공통용매 및 부형제에 각각 용해시켜 체중 매 kg당 10.0mg 및 5.0mg을 사용하였을 때 인공감염시킨 산양에서는 담관으로부터 간질의 미성숙 충체에 대한 효능은 69.2%이었으나 자연 감염된 산양에서는 100%의 충란음전율을 보였고 레바미솔에 의한 소화관내 충란음전율은 95.5%로 나타나 각각의 용량은 간질과 소화관내 선충류의 성충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Edwards(1972)가 산양에게 간질의 피낭유충을 투여, 인공감염시키고 4주후 에 니트록시닐 15.0mg/kg로 피하주사하여 77%의, 그리고 20.0mg/kg 주사로 90%의 효율을 경험한 것을 종합하여 고려할 때 미성숙 충체에는 보다 많은 용량이 소요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Hart 일행(1969)은 역시 산양에서 소화관 선충류에 레바미솔 5.0mg/kg의 피하주사 및 7.5mg/kg의 경구투여로 우수한 결과를 경험함으로써 이 용량은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에 있어 광역효과를 얻기 위한 최소한의 용량으로 간주된다고 보고하였고, Lyons 일행(1975)은 소에서 8.0mg/kg의 피하주사로 95-100%의 우수한 효율을 경험하였으며 전혀 독성반응을 볼 수 없었다고 하였다. 이로써, 본 시험에서 피하주사로 간질의 성충에 탁효를 보인 니트록시닐 10.0mg/kg의 소화관내 선충류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 레바미솔 5.0mg/kg의 1회 투여용량을 일단 합제한 시제품 효능확인시험 및 용량적정시험의 기준용량으로 결정하였다.
시제품의 우수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용량의 범위를 조사하기 위해 1.0ml당 니트록시닐 120mg 및 레바미솔 80mg을 포함한 시제품을 만들어 간질의 피낭유충으로 인공감염시킨 체중 5.6-10.0kg 범위의 산양에게 0.9-1.3ml 범위의 용량을 피하로 1회 투여하였더니 최소용량인 0.9ml 투여에 있어서도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전신적 또는 국소적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때의 최소용량인 0.9ml는 5.6kg의 산양에게 투여한 용량이어서 체중 1kg당 니트록시닐은 약 18.0mg 그리고 레바미솔은 약 12.0mg에 해당되어 기준용량으로 설정하었던 것보다 약 2배 해당되었다.
Edwards(1972)는 가축에게 주사제를 사용할 때 잘못처리되어 과량의 용량이 주입되는 경우가 허다한 바 이런 경우의 상황을 관찰할 목적으로 니트록시닐 15.0 mg/kg 및 20.0mg/kg을 산양에게 투여 시험한 결과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하였고, (Lucas, 1971)도 면양에게 20.0mg/kg를 투여한 야외실험에서 그 안전성은 우수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Walley(1966)도 12.5mg/kg 투여로 안전함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본 시제품의 효능 확인시험 결과와 전보고자들의 경험을 근거로 할 때 별 문제는 없지만 감량하여도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적정용량의 모색시험에서는 감량하여 투여하였다.
합제의 용량적정시험에 있어 체중 매 kg당 니트록시닐 7.5mg 및 레바미솔 5.0 mg으로 투여된 합제품이 각각 100% 및 95.9%의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의 충란음전율을 보여 니트록시닐의 함량은 단독 피하주사의 권장용량 10.0mg/kg(Lucas, 1971)보다 적었으나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레마비솔은 Hart일행(1969)이 경험했던 바와 유사하게 권장용량 5.0mg/kg가 광역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적정용량으로 간주되었다.
이를 근거로 1.0ml당 니트록시닐 120mg 및 레바미솔 80mg이 함유되도록 시제품을 제조하여 야외시험에 이용하였다. Powers 일행(1982)에 따르면 야외임상시험의 목적은 향후 수요자들에 의해 투여될 수 있는 시판 합제품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그리고 서로 다른 임상조건에 적용하였을 때의 안전성에 대한 보다 많고 넓은 정보와 경험을 얻는데 있다 하였으며, 약제의 효능을 90%이상을 고율의 효과, 80-90%를 중등도의 효과, 60-80%를 저율의 효과, 그리고 60% 이하를 무효하고 평가하였다.
본 야외임상시험에서는 한우, 젖소 및 비육우의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에 대해 각각 97.0-98.5% 및 94.5-95.6% 범위의 고율의 효과를 보였다. 소화관내 선충류에 있어서의 오스터타지아(Ostertagia) sp.는 투여후에 충란의 배출이 감소는 되었으나 지속되었기 때문에 큰 효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오스터타지아 (Ostertagia) sp.이외의 선충류에 고율의 효과를 나타낸 것은 시제품 자체의 효과도 고려되지만 한국에 있어서의 이들 선충류가 아직 레바미솔에 대하여 내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 이해되었다. 오스터타지아 sp.에 대하여 효능을 나타내지 못한 사실은 소에있어 레바미솔 6.0mg/kg의 피하주사로 Ostertagia sp. 성충에는 54%의 효능을 보였으나 제 4 기 유충에는 전혀 효과가 없었다는 Walley(1970)의 보고와 유사하였다.
이와같이 구충효율이 낮았던 이유는 시험군에서 성장억제 되었던 유충이 충란검사 시기까지의 사이에 성충으로 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Whitlock 일행 (1980) 및 Kelly(1981)등이 경험한 것처럼 이미 유사약품의 사용에 연유된 내성의 발현에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간질에 대한 높은 효능 및 Ostertagia sp. 이외의 소환관내 선충류에 대한 우수한 효능과 주사부위의 부종이나 합제의 주사에 따른 부작용이 전혀 없었던 것으로 보아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을 3:2 비율의 합제로 사용하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졌다.
그러나 앞으로 수태한 가축 및 수유기의 가축등을 대사으로한 합제의 영향 및 독성 또는 안정성등에 대한 폭 넓은 시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복합 피하주사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공통용매를 모색하였고, 실험실내에서 인공적으로 간질의 피낭유충을 배양, 채집하여 실험동물에 인공감염시켜 자연 감염된 실험군과 함께 시제품의 효능 평가에 사용 하였으며 선충류에 자연 감염된 실험군에 대하여도 효능평가시험을 수행하였다. 효능평가 시험은 1981년 제9차 세계수의 기생충학 협회에서 인준된 “반추동물에 있어서의 구충제 효능평가지침”(Powers 일행 1982)에 준비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수반되는 재료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공시약제
간질구충제로서 May & Baker 회사제품인 니트록시닐(4-히드록시-3-요오드 -5-니트로벤조니트릴)과 선충류 구충제로서 ICI 회사제품인 레바미솔(1-2, 3, 5, 6-테트라히드로-6-페닐이미다조[2, 1-b]티아졸)을 선택, 사용하였다. 니트록시닐은 황색결정체로서 대부분의 유기용매에 중등도의 용해성을 보이며 레바미솔은 백색분말로서 물, 에틸알콜, 벤질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에 용해성이 있다. 그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2. 용매 및 부형제 모색실험
2종의 공시 구충제의 공통용매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약용 에틸알콜, 벤질알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등 3개 유기용매와 주사 부위의 부종을 예방하기 위한 부형제로서 시약용 대두유, 아마인유, 면실유 및 올리브유 등 4개 식물성 유류를 사용하였다. 이들 유기용매와 부형제의 배합비를 서로 달리하여 A 복합제(벤질알콜, 에틸알콜, 대두유), B 복합제(벤질알콜, 에틸알콜, 증류수, 면실유), C 복합제(벤질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올리브유) 및 D 복합제(벤질알콜, 에틸알콜, 아마인유)등 4개 혼합액을 만들어 각각의 혼합액내에 이전 보고자들의 권장용량인 체중 kg당 니트록시닐 10.0mg(Lucas, 1965) 및 레바미솔 5.0mg (Hart 일행, 1969)에 해당되는 용량을 함께 첨가하여 이들의 용해성, 투명도 및 안정성을 관찰하는 한편 18℃에 보존한 각각의 제품 1.0 ml를 체중 약 10kg되는 산양 5두씩에게 경부피하에 주사하여 부종 발현여부를 조사였다. 이렇게 하여 4개 제품중 가장 우수한 성적을 보인 제품을 선택하여 4℃로 조정된 냉장고와 18℃의 실온 및 40℃로 유지시킨 향온기내에 3,6,9 및 12개월간 보존한 후 각각의 투명도와 침전물 생성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A 복합제는 동물접종에 있어 부종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투명도에 있어 불량하였으며 B 복합제 및 C 복합제는 시험관내 관찰에 있어서는 양호하였으나 산양에게 피하주사하였을 때 부종이 나타났다. D 복합제는 시허뫈내 성적 및 동물접종에 있어서 가장 만족스러운 성적을 보였다(표 1). 따라서 이를 주사제화할 복합제의 조제조건으로 결정하였다.
표 1. 니트록시니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용해성; 투염도 및 안정성에 대한 시험관내 관찰결과와 복합제의 동물 접종 시험결과
Figure kpo00002
이 D 복합제에 대한 보존성을 관찰한 결과 4℃에 보존했을 경우 3개월까지는 투명도는 양호하였으며 침전물 생성이 없었으나 6개월째부터 침전물이 생겼다. 그러나 18℃ 및 40℃에 보존하였을 때에는 모든 예에 있어 투명도도 양호하였고 침전물 생성도 전혀 없었다. (표 2).
표 2. 온도와 기간에 따른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안정성에 대한 관찰결과
Figure kpo00003
3. 간질 피낭유충 감염시험
1) 피낭유충의 인공배양
수원근교 도축장에서 도살된 한우의 담관에서 간질(Fasciola hepatica)의 성충을 수거, 실험실에서 충란을 꺼내어 상수를 담은 샤래에 27℃로 유지, 12일간 배양한 후 인위적으로 태양광선으로 자극시켜 유자충(幼仔蟲)을 부화시켰다.
부화한 유자충을 인공 사육한 간질의 제 1 중간 숙주인 각장 3-4mm되는 애기물달팽이(Austropepleaollula)와 상치잎이 들어있는 사육수조에 옮겨 넣어 애기물달팽이가 유자충에 감염되도록 하였다. 제 1 중간 숙주로부터 유리된 유미유층(ceraria)이 수조의 벽이나 상치잎에 붙어서 피낭유충(metacercaria)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이들을 채집하여 상수를 담은 샤래에 넣어 4℃ 냉장고에 보존, 인공감염시험에 사용하였다.
2) 피낭유충의 인공감염시험
인공감염시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은 평균 체중 0.2kg인 백서(ICR마우스), 평균 체중 2.5kg인 가토(앙고라) 및 평균 체중 18kg인 한국 재래흑산양을 각각 4마리씩 사용하였다. 실험실에서 배양한 간질의 피낭유충을 백서에게는 25개씩, 가토에게는 30개씩, 그리고 산양에게는 70개씩을 경구적으로 투여하여 감염시켰다. 감염시킨후 백서는 제15일, 제75일 및 제135일에, 카토는 제 15일, 제30일 및 제67일에, 그리고 산양은 제56일에 각각 1-4마리씩 에테르 전신마취하에 희생, 부검하여 간장 실질내 및 담관내 충체를 적출, 성숙도를 조사하였으며 직장내 분변을 채취하여 포르말린-에테르 원심 침전법(Ritchie, 1948)을 이용, 충란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백서에 있어 감염 제75일 및 제134일의 충체 회수율이 각각 8.0% 및 12.0%를 보였으며, 가토에서는 감염 제15일, 30일 및 67일에 각각 23.3%, 26.7% 및 33.3%의 유충 또는 충제 회수율을 보였고 산양에서는 감염 제56일에 있어 평균 38.5%의 가장 높은 충체 회수율을 보였다 (표 3).
표 3. Fasciola 피낭유충을 인공감염시킨 후 여러가지 간격에서의 충제 및 충란 회수율, 성숙단계 및 존재하는 곳
Figure kpo00004
*평균수
4. 약제효능 확인시험
주사화한 2개 공시약제의 개별 효능 확인시험을 위하여 인공배양한 간질 피낭유충 50개씩으로 감염시킨 산양 5마리(제 I 군)와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에 자연 감염된 산양 가운데 H-K식 개량법(modified technique of Harashigeru and Kim's sedimentation counting method)과 세계층란 계수법(UECT : Whitlock 일행, 1980 )을 이용하여 분변 1gm당 충란수(EPG)의 계산을 3회 반복 실시, 평균 산출하여 간질의 EPG가 유사한 5마리(제II군) 및 소화관내 선충류의 EPG가 유사한 5마리(제III군) 등 3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을 다시 2마리의 대조군과 3마리의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제 I 군의 실험군에는 인공감염 제40일에 권장용량인 니트록시닐 주사제 10.0mg/kg B.W.를 경부에 피하주사 하였으며 14일 후에 대조군과 실험군을 희생, 부검하여 각각 충체를 계수, 다음 공식에 따라 효능을 평가하였다.
Figure kpo00005
제II군의 실험군에는 니트록시닐 주사제 10.0mg/kg B.W.를 그리고 제III군에는 레바미솔 주사제 5.0mg/kgB.W.를 각각 경부에 피하주사였고 투약 14일 후에 각각 대조군 및 실험군의 분변을 채취하여 EPG를 산출, 충란음전율을 이용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니트록시닐의 효능은 제I군의 경우 69.2%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제II군에 있어서는 100%의 효능을 보였고 제III군에 있어 레바미솔은 95.5%의 효능을 나타내어 체중 매 kg당 니트록시닐 10.0mg과 레바미솔 5.0mg의 각각의 효능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표 4).
표 4. 인공감염된 산양(제I군)과 자연감염된 산양(제II군과 III군)에 있어서, 미성숙 및 성숙 간질과 소화관내 선충류에 대한 각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주사제의 개별 효능 평가 결과
Figure kpo00006
* I군은 Fasciola 피낭유충 50개를 실험적으로 감염시켰다.
** 니트록시닐은 인공감염후 제56일에 피하주사하였다.
*** 사후주사한지 14일째에 부검하였다. 숫자는 미성숙 간질의 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5. 복합제의 효능 확인시험
니트록시닐 및 레바미솔을 용매 및 부형제에 혼합하여 제조한 시제품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체중이 5.6kg에서 10.0kg에 이르는 5마리의 산양에게 인공배양한 간질 피낭유충을 50개씩 경구적으로 투여하여 감염시켰다. 감염 8주후에 시제품을 체중이 가장 적었던 산양으로부터 시작하여 0.9ml로부터 1.3ml까지의 범위내에서 각각 경부에 피하주사였으며 주사한 2주후에 희생, 부검하여 충체와 EPG를 조사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최고량인 1.3ml을 투여받았으나 24.0%의 충체 회수율을 보인 제5번의 산양을 제외하고는 모두 우수한 성적을 나타냄으로써 0.9ml 즉 니트록시닐 108mg 및 레바미솔 72mg을 함유한 합제(이 경우 체중 매 kg당 니트록시닐 18.0mg 및 레바미솔 12.0mg으로서 권장용량의 거의 2배에 해당함)보다 더 적은 용량으로도 구충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표 5).
표 5. Fasciola 피낭유충 50개로 인공감염된 산양을 사용하는 티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1차적인 용량 확인 시험 결과
Figure kpo00007
* 감염 8주후에 니트로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를 주사하였다(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 1.0ml 속에는 니트록시닐 120mg과 레바미솔 80mg이 함유되어 있다).
** 주사한지 2주후에 부검하였다.
6. 복합제의 용량 적정시험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에 자연 감염된 평균 체중이, 10.0kg인 산양을 대상으로 용량 적정시험을 수행하였다. 적정시험 2일전에 H-K식 개량법 및 UECT로 각각의 EPG계산을 3회 반복실시, 평균하여 유사한 성적을 보인 5마리씩 선별, 3개군을 만들었다.
복합제 효능확인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 것으로 인정된 최소용량보다 더 적은 용량으로도 좋은 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하여 본 용량 적정시험에서는 니트록시닐 10.0mg/kg B.W. 및 레바미솔 5.0mg/kg B.W.에 해당하도록 시제한 합제 0.62ml를 최대 투여량으로 정하여 제 I 군에게 1회 경부 피하주사 하였으며, 그 2배 희석용량인 0.31ml/kg(니트록시닐 5.0mg/kg+레바미솔 2.5mg에 해당)을 최소 투여량으로 정하여 제III군에, 그리고 그 중간 용량으로 고려되는 니트록시닐 7.5mg/kg 및 레바미솔 5.0mg/kg에 해당하도록 시제한 합제 0.62ml를 제II군에게 각각 1회 주사하였다. 주사한 2주후 모든 실험대상 산양으로부터 분변을 채취하여 같은 방법으로 EPG를 각각 산출,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체중 매 kg당 니트록시닐 7.5mg과 레바미솔 5.0mg이 용량 및 효능에 있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표 6).
표 6. 각 군에 있어서의 자연 감염된 5마리의 산양을 대상으로 하여 니트록시닐 (N)과 레바미솔(L) 복합주사제를 사용한 용량적성시험 결과.
Figure kpo00008
* GIR : 소화관내 선층
** S.C. : 피하주사
*** EPG : 치료한지 14일후에 집계하였음
7. 복합제의 용량 확인시험
용량적정시험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인정된 체중 매 kg당 니트록시닐 및 레바미솔 투여량 7.5mg 및 5.0mg을 근거로 하여 이들의 함량비 3 : 2의 합제(주사제 1ml당 니트록시닐 120mg 및 레바미솔 80mg 함유)를 시제품으로 만들어 야외임상 실험을 통한 용량확인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대상 동물은 소였으며, 수원근교의 한우 사육단지, 젖소 목장 및 비육우 사육단지 등에서 분변검사로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에 감염되었음이 확인되고 H-K식 개량법 및 UECT를 이용, 각각의 EPG 계산을 3회 반복실시, 평균하여 유사한 성적을 보이는 한우 30마리, 젖소 30마리 그리고 비육우 30마리등 3개군을 다시 각각 15마리씩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3개군의 각 시험군에는 체중 매 kg당 니트록시닐 7.5mg 및 레바미솔 5.0mg에 해당하는 합제를 경부에 피하주사하였으며 주사 14일 후에 EPG를 산출,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에 대한 합제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3개군의 각 실험군은 투약전에 소화관내 선충류의 충란배출을 확인, 그들을 동정하였으며 투약후 다시 충란 배출여부를 조사하여 선충류 각각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였다.
주사부위의 이상소견 및 부작용의 발현여부는 점검표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에 대한 효율은 표 7에서와 같이 각각 한우에 있어 98.5% 및 95.6%, 젖소에 있어 97.0% 및 94.4% 그리고 비육유에 있어 97.8% 및 94.6%로 나타나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표 7.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로 자연 감염된 축우를 시험대상으로한 니트록시닐 7.5mg/kg과 레바미솔 5.0mg/kg 복합주사제의 용량 확인시험 및 야외임상시험의 결과
Figure kpo00009
소화관내 선충류에 대한 효과에 있어서는 표 8에서와 같이 치료전의 한우, 젖소 및 비육우에서는 헤몬쿠스(Haemonchus) spp., 쿠페리아(Cooperia) spp., 트리코스트롱길러스(Trichostrongylus) spp., 오에소파고스토뮴(Oesophagostomum) spp., 부노스토뮴(Bunostomum) spp., 트리쿠리스(Trichuris) sp., 오스터타지아(Ostertag ia) sp. 등의 충란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시제품 투여 14일후에 한우에서는 이들을 전혀 검출할 수 없었으나 젖소와 비육우에 있어서는 오스터타지아 (Ostertagia) sp.의 충란이 발견되었다.
또한 야외임상시험의 결과 주사부위의 부종이나 부작용은 전혀 없었다.
표 8. 축우내에 있는 각 소화관내 선충류에 대한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제의 효능 평가를 위한 야외임상시험에서의 분변검사 결과
Figure kpo00010
* : 시험대상 동물의 수

Claims (1)

  1. 니트록시닐 과 유리염기형태의 레바미솔을 유기용매 및 식물성 기름에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을 위한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
KR1019860005236A 1986-06-28 1986-06-28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을 위한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 KR89000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5236A KR890000906B1 (ko) 1986-06-28 1986-06-28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을 위한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5236A KR890000906B1 (ko) 1986-06-28 1986-06-28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을 위한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085A KR880000085A (ko) 1988-03-23
KR890000906B1 true KR890000906B1 (ko) 1989-04-13

Family

ID=1925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236A KR890000906B1 (ko) 1986-06-28 1986-06-28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을 위한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7467A4 (en) * 2009-11-05 2013-03-20 Ouro Fino Participacoes E Empreendimentos S A PHARMACEUTICAL COMBINATION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MEDICAMENT THEREFOR AND METHOD FOR TREATING ANIM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148B1 (ko) * 2001-07-06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장치의 단층영상 복원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7467A4 (en) * 2009-11-05 2013-03-20 Ouro Fino Participacoes E Empreendimentos S A PHARMACEUTICAL COMBINATION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MEDICAMENT THEREFOR AND METHOD FOR TREATING ANIM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085A (ko) 1988-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yons et al. Historical perspective of cyathostomes: prevalence, treatment and control programs
Githiori et al. Anthelmintic activity of preparations derived from Myrsine africana and Rapanea melanophloeos against the nematode parasite, Haemonchus contortus, of sheep
EP3082867B1 (en) Isoxazoline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arasite infestations in animals
Sheele et al. Ivermectin causes Cimex lectularius (bedbug) morbidity and mortality
Bath et al. Control measures for some important and unusual goat diseases in southern Africa
AU2641501A (en) Sustained-release composi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BG107038A (bg) Гелен паразитициден състав
Sulik et al. Antiparasitic activity of ivermectin: Four decades of research into a “wonder drug”
EP2310017B1 (de) Nifurtimox zur behandlung von durch trichomonadida hervorgerufenen krankheiten
KR890000906B1 (ko) 간질 및 소화관내 선충류 구충을 위한 니트록시닐과 레바미솔 복합주사제의 제조방법
KR101789736B1 (ko) 이버멕틴을 함유하는 조피볼락의 클라비네마 마리에 감염 구제용 조성물
Fernandez-de-Mera et al. Efficacy of an in-feed preparation of ivermectin against helminths in the European wild boar
EP3326629A1 (en) Veterinary compositions and the uses thereof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parasitic infections in non-human mammals
Herman et al. Foot abnormalities of wild birds
Le Roux Helminthiasis of domestic stock in the Union of South Africa
JPH02290820A (ja) 抗寄生虫剤
Van Schalkwyk, PC, Geyser, TL, Retia, Margarida & Erasmus The anthelmintic efficacy of albendazole against gastrointestinal roundworms, tapeworms, lungworms, and liverflukes in sheep
Anderson The prevalence of helminths in impala Aepyceros melampus (Lichtenstein 1812) under game ranching conditions
CH628207A5 (en) Parasiticide for controlling ectoparasites and its use
CN1711077A (zh) 用于防治虫害的组合产品
AU2016210773B2 (en) An anti-parasitic formulation and a method for treating parasitic infestations in an animal
Jabborov et al. TESTING OF NEW MODERN DRUGS AGAINST ECTOPARASITES OF KARAKUL SHEEP
DK180300B1 (en) Use of milbemycinoxime against sea lice in fish
Farnell et al. Field studies on etiology and control of fescue toxicosis
Blair et al. Nematode infections of domestic animals: extraintestinal inf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