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631B1 - 전자혈압계 - Google Patents

전자혈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631B1
KR890000631B1 KR1019860005484A KR860005484A KR890000631B1 KR 890000631 B1 KR890000631 B1 KR 890000631B1 KR 1019860005484 A KR1019860005484 A KR 1019860005484A KR 860005484 A KR860005484 A KR 860005484A KR 890000631 B1 KR890000631 B1 KR 89000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time
measuring
developing
pressur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904A (ko
Inventor
게이지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데루모 가부시끼가이샤
도자와 미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모 가부시끼가이샤, 도자와 미쓰오 filed Critical 데루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혈압계
제1(a)도 및 1(b)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구성도.
제2(a)~2(i)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동작 플로우챠트.
제3(a)도 및 3(b)도는 본 실시예의 측정결과의 메모리에의 기억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직전의 측정결과의 프린트예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실시예의 메모리에 기억의 측정결과의 프린트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장치 2 : 마이크로폰
3 : 필터증폭기 4 : A/D변환기
5 : 압력검출기 6 : 증폭기
7 : 중앙처리장치 8 : 완대
9 : 감압밸브 10 : 가압밸브
11 : 배기밸브 12 : 가압설정스위치
13 : 기준전원장치 14 : 더미스터
15 : 구동유닛 16 : 클록
17 : 기억장치 18 : 타이머
19 : 가압스위치 20 : 기억스위치
21 : 기억소거 스위치 22 : 인자스위치
23 : 인자모우드 절환스위치 24 : 모우드 절환스위치
25 : 배기스위치 26 : 프린터
27 : 표시기 31 : 세그멘트
32 : 데이터 기억영역 33 : 포인터부
본 발명은 혈압에 관한 측정결과의 경복사본(hard copy)을 작성하는 기록수단을 갖는 전자혈압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혈압계에 있어서는 혈압측정 종료후, 측정결과를 액정표시부, 또는 프린터등의 기록수단에 의하여 측정마다의 표시 및 기록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단지 최고 혈압치나 최저 혈압치의 수치를 측정때마다 표시 또는 기록하는 것만으로써는 이 혈압치의 변동을 충분히 파악할 수가 없었다.
원래 혈압이란, 항상 변동하고 있는 것으로서 1회에 한한 측정치로써는 그값이 그 사람의 평소의 혈압치인지 아닌지를 알수가 없다. 또 혈압은 측정시의 심신의 상태 및 외부환경에 의하여도 변화하는 것으로서 1회만의 측정결과로써는 한마디로 이상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혈압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는 여러시간을 두고 또는 격일제로 몇번이고 측정한 결과를 모아서 혈압치의 변동을 확인함이 중요하다.
이와같이 혈압치의 변동을 확인함은 혈압을 관리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서 이제까지의 전자혈압계에는 거의 전부가 취급 설명서와 함께 측정치를 기록하기 위한 측정치 기록 노우트가 달려있다.
그러나 혈압측정때마다 측정결과를 일일이 노우트에 기입함은 대단히 번거로운 일로서 결국 계속적인 혈압치의 기록이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정확한 진단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었다.
또 혈압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외부환경에는 온도, 습도, 불쾌지수등이 있는데, 이들 혈압에 관한 정보중에서 가장 쉽게 영향을 미치고 또 혈압치에도 관계가 있는것은 온도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을때일수록 혈압이 높아진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온도(외부환경)등의 혈압에 관한 다른 정보를 측정, 기록할 수 있는 전자혈압계는 없었다.
또 측정한 최고혈압치나 최저혈압치가 적정혈압과 비교하여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없고, 양자의 관계를 연산처리한 후라야 비로서 파악할 수가 있는 상태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여러차례의 측정결과를 기억하고, 혈압의 변동경향을 하나의 그래프상에 시계방향으로 기록표시할 수 있는 전자혈압계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혈압치의 측정결과를 적정 혈압범위를 중첩한 그래프상에 표시함으로써 적정혈압과 측정혈압과의 관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는 전자혈압계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의 목적은 다음의 구성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적어도 최고혈압치 및 최저혈압치를 포함한 혈압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이 측정수단에 의한 측정시각을 계시하는 계시수단과, 측정수단의 복수조의 측정치를 측정시의 계시수단의 계시시각과 함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일방의 축을 시간축으로하고 타방의 축을 혈압치축으로하는 그래프 패턴을 기억하는 패턴기억수단과, 기억수단으로부터 계시 시각순으로 이 시각 정보와 함께 측정치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이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한 측정치의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를 계시시각에 의하여 그래프 패턴상위치에 전개하는 혈압전개수단과 이 혈압전개수단에 의하여 전개한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 사이를 선분에 의하여 접속하여 전개하는 선분전개수단과, 전개된 인쇄패턴을 인쇄출력하는 인쇄수단과, 각 전개수단의 전개데이터를 이 인쇄수단에 송출하여 인쇄출력시키는 제어수단을 갖는 전자혈압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양상에 의하면, 측정수단은 맥박수 측정수단을 갖고, 또한 이 맥박수를 그래프상의 혈압치의 표시와 동일 시간축상에 전개하는 맥박전개수단을 갖고, 제어수단은 맥박수도 그래프상에 인쇄출력시키는 전자혈압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양상에 의하면, 측정수단은 혈압측정시의 주위온도를 측정하는 기온 측정수단을 갖고, 또한 이 측정온도를 그래프상의 혈압치의 표시와 동일시간축상에 전개하는 기온 전개수단을 갖고, 제어수단은 주위온도 그래프상에 인쇄출력시키는 전자혈압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 시간축의 소정시간마다, 시각정보를 표시하고 판독의 지침으로하는 전자혈압계에 의하여 달성되며, 소정시간마다 측정결과 표시 그래프면에 구획패턴을 표시하는 전자혈압계에 의하여도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상술의 목적은 다음의 구성에 의하여도 달성된다.
즉 적어도 최고혈압치 및 최저혈압치를 포함한 혈압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이 측정수단의 측정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일방의 축을 최고혈압축, 타방의 축을 최저혈압축으로하여 여기에 혈압진단 기준 혈압영역을 나타낸 그래프 패턴을 유지하는 패턴 유지수단과, 측정수단에 의하여 측정한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로부터 패턴 유지수단 유지의 그래프 패턴상에 이 혈압치를 일점으로 나타낸 표시점을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이 산출수단에 의한 산출점을 상기 그래프 패턴상에 전개하는 전개수단과, 이 전개수단에 의하여 전개된 전개데이터를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인쇄수단과, 전개수단에의 전개데이터를 이 인쇄수단에 송출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고, 2개의 혈압측정치를 그래프상의 교점으로서 기록표시함과 동시에, 혈압진단 기준 혈압영역을 중첩기록 표시하는 전자혈압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양상에 의하면, 측정수단에 혈압측정시의 기온측정수단을 갖고, 제어수단은 기록수단에 의해 기록된 기온정보를 전개수단의 전개데이터와 함께 인쇄수단에 송출하며, 인쇄수단은 측정시의 기온을 기록표시 가능한 전자혈압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 측정수단에 혈압측정시의 맥박수를 측정하는 수단을 갖추고, 제어수단은 기록수단에 의해 기록딘 이 맥박수를 전개수단의 전개데이터와 함께 인쇄수단에 송출하고, 인쇄수단은 맥박수를 기록 표시 가능하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혈압진단 기준 혈압영역은 각각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선에 의하여 구분되어 있는 전자혈압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혈압진단 기준 혈압영역은 고혈압영역, 경계역고혈압영역, 정상혈압영역을 포함하며, 특히 고혈압영역을 최고혈압치 160mmHg이상 그리고 최저혈압치 95 mmHg이상, 경계혈압영역을 최고혈압치 140mmHg~160mmHg이며 그리고 최저혈압치 90 mmHg~94mmHg, 정상혈압영역을 최고혈압치 139mmHg이하 그리고 최저혈압치 89mmHg이하로 하는 전자혈압계 의하여 달성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a) 및 1(b)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참고부호 1은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참고부호 2는 완대(pressure cuff)(8)에 장착되어서 혈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음 및/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마이크로폰, 참고부호 3은 마이크로폰(2)에 의하여 검출된 신호를 파형정형 및 증폭하는 필터증폭기, 참고부호 4는 필터증폭기 (3) 및 증폭기(6)로부터의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A/D CONVERTER) (이하 A/D 변환기라 함), 참고부호 5는 완대(8)의 내압을 검출하는 압력검출기, 참고부호 6은 압력검출기(5)에서 검출되어 상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된 압력정보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참고부호 7은 내장된 롬(ROM)에 기억된 후술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 함)이다.
또 참고부호 8은 완대, 참고부호 9는 완대(8)에 압입된 공기를 감압하는 감압밸브, 참고부호 10은 CPU(7)에 제어에 의하여 완대(8)내에 공기를 압압하는 가압펌프, 참고부호 11은 CPU제어에 의하여 관대(8)에 압입되었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밸브, 참고부호 12는 가압펌프(10)에 의하여 가압할 압력치를 설정하는 가압설정스위치, 참고부호 13은 A/D변환기(4)에서 사용하는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원장치, 참고부호 14는 측정시의 주위의 기온을 측정하는 더미스터이며, 참고부호 15는 가압펌프 (10) 및 배기밸브(11)의 제어를 행하는 구동유닛이다.
CPU(7)에는 CPU(7)의 동작타이밍 클록등을 발생하는 클록(clock)(16), 측정한 혈압치등의 측정결과를 유지하고 기록하는 기억장치(17), 계시기능을 갖는 타이머 (18) 및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 스위치(19~25)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에는 완대(8)에의 가압시작 및 측정시작을 지시하는 가압스위치(19), 측정치의 기억장치(17)에의 기억 및 표시기(27)에의 표시를 지시하는 기억스위치(20), 기억장치(17)에 기억된 내용의 클리어를 지시하는 기억 클리어 스위치(21), 기억장치 (17)에 기억된 측정결과를 프린터(26)에서의 인쇄를 지시하는 인자스위치(22), 프린터(26)에의 인자모우드의 절환을 행하는 인자 모우드 절환스위치(23), 본 실시예의 장치를 전자혈압계로서 동작시키는 혈압계 모우드로 할것인지, 클록(16)에 의한 계시결과를 표시기(27)에 표시하는 클록으로서 동작시키는 클록 모우드로 할것인지를 절환하는 모우드 절환스위치(24), 완대(8)내의 공기의 강제배기를 지시하는 배기스위치(25)가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CPU(7)는 각 스위치 입력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각 처리를 실행한다.
또 참고부호 26은 측정결과를 인쇄출력하는 프린터로서, CPU(7) 및 스위치(2 0~23)와 함께 인쇄수단을 구성한다. 참고부호 27은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표시기로서, 표시기(27)에는 부저가 포함된다.
이상의 구성으로써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CPU(7)은 모우드 절환스위치(24)가 클럭 모우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클록(16)으로부터의 클로신호를 계시하여 표시기(27)에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시각을 표시한다.
즉 본 실시예는 전기 클록으로서 동작한다. 이 시계 모우드로서의 계시처리는 후술하는 전자혈압계 모우드의 처리실행중에도 계속하여 실행되고 있으며, 모우드 절환스위치(24)를 클록 모우드에 설정했을때에는 곧 표시기(27)에 계시결과를 표시하여 클록 모우드로서의 동작을 개시한다.
다음에 모우드 절환스위치(24)가 전자혈압계 모우드에 설정된 경우의 제어를, 제2(a)~2(d)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모우드 절환스위치(24)가 전자혈압계 모우드에 설정되면 스텝(100)으로 전진하여 다음의 전자혈압계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스텝(110)에 의하여 압력검출기(5)의 영조정 및 전원(1)의 전압치 체크 (check)등의 초기설정을 행한다. 전원전압불량의 경우에는 (전원(1)으로 전지를 사용한 경우등으로서, 방전이 진행되어 전원전압이 규정치보다 저하해 있을 경우에는)표시기(27)의 부도시의 부저(buzzer)를 울려서 통지함과 동시에, 그 지시를 표시기 (27)에 표시한다.
초기 설정이 종료하면, 스텝(111)으로 전진하여, CPU(7)은 온도정보를 취입한다. 이는 혈압계 본체의 표면에 장착한 더미스터(14)에 의하여 검출된 아나로그 신호(필요하다면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로서의 온도(기온)정보를, A/D변환기(4)에 의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며, 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온도정보를 CPU(7)에 취입함으로써 행해진다. CPU(7)에서 스텝(112)에서 취입한 온도정보를 “℃”또는 “P”로 변환하여 표시기(2)에 표시한다. 그리하여 스텝(120)에 전진한다.
이 온도표시는 스텝(130)에서 가압스위치가 조작될때까지 행해진다.
스텝(120 및 130)에서는 기억스위치(20), 또는 가압스위치(19)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가압스위치(19)가 온(ON)이 된 경우에는 스텝(130)으로부터 스텝(140)으로 전진하며, CPU(7)는 가압설정스위치(12)에 설정된 가압설정치를 판독한다. 그리하여 스텝(150)에 의하여 CPU(7)내의 부도시의 전회의 측정결과(혈압치, 맥박, 기온, 측정일시)가 기억되어 있는 측정치 기억기를 클리어한다. 이어서 스텝(151)에서 CPU (7)내의 기록 플랙을 “0”으로 리세트하고, 계속되는 스텝(152)에서 스텝(111)과 같이하여 더미스터 (14)에 의하여 주위온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온도를 CPU(7)내의 측정치 기억장치에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160)에서는 구동유닛(15)을 구동하여 배기밸브(11)를 닫고, 가압펌프(10)를 작동시키며, 스텝(170 및 175)에서는 압력검출기(5)로 완대(8)의 내압을 측정하여 가압설정치로 됨을 기다린다. 가압도중에서 배기스위치(25)가 온되면 스텝(157)로부터 스텝(176)으로 전진하며, CPU(7)은 구동유닛(15)을 구동하여, 배기밸브(11)을 개방하며, 완대(8)내의 공기의 강제배기를 행하여 스텝(120)으로 되돌아간다.
압력검출기(5)로부터의 압력신호는 가압도중 및 감압중에는 항상 CPU(7)에 취입되어 있다. 가압 도중에 완대내압이 가압설정치에 달하면, 스텝(170)으로부터 스텝 (180)으로 전진하여, 가압펌프(10)를 정지시킨다. 가압펌프(10)의 정지후에는 감압밸브(9)로부터 일정 미량의 공기가 누출됨으로써 감압이 시작되어 스텝(190)의 측정처리에 들어간다.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의 측정 및 맥박의 측정은 마이크로폰(2)으로부터의 혈관음, 코로트코프음(Korotkoff's sound)에 의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행해진다.
최고혈압치, 최저혈압치 및 맥박의 측정이 종료하면, 스텝(200)에서 이들 특정치를 CPU(7)내의 측정치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그리하여 스텝(210)에서 구동유닛 (15)을 구동하여, 배기밸브(11)를 열고, 완대(8)내의 공기의 강제배기를 개시하여 계속되는 스텝(220)에서 각 측정결과치를 표시기(27)에 표시한다.
그후 스텝(230~250)에서 기억스위치(20), 인자스위치(22), 기억클리어스위치 (21), 가압스위치(19)중의 어느 하나가 온되기를 기다린다. 따라서 표시기(27)에는 그동안 측정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가압스위치(19)가 입력된 경우에는 재차 스텝(140)으로 되돌아가서 측정을 개시한다.
기억스위치(20)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230)으로부터 스텝(260)으로 전진한다. 또 스텝(120)에서 기억스위치(20)가 입력된 경우에도 스텝(260)으로 전진하여 측정결과를 기억장치(17)내에 기억처리한다.
먼저 스텝(260)에 있어, CPU(7)내의 측정치 기억장치에 측정치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측정치가 없고 클리어되어 있으면 그대로 아무일도 하지않고 스텝 (230)에 되돌아간다. 측정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270)에서 기록 플랙이 “0”으로서 측정후의 제 1 회째의 기억스위치의 조작임을 확인한다. 만일 기록 플랙이 “1”이고, 제 2회째 이후의 조작이면 그대로 스텝(230)으로 되돌아가서 기억스위치(20)의 조작을 무효로 한다. 이는 기억장치(17)내에 1회의 측정결과가 중복하여 기억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스텝(270)에서 기록 플랙이 “0”즉 제 1 회째의 조작인 경우에는 스텝(280)에서 측정치 기억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측정치를 기억장치(17)에 기억한다. 기억장치 (17)는 30개의 세그멘트(segment)를 갖고, 1개의 세그멘트에 1회 측정분의 혈압에 관한 정보데이터(온도, 최고 및 최저혈압치, 맥박, 측정일시)를 기억한다. 기억회수가 30회 이하의 경우에는, 세그멘트(1)로부터 순차로 기억한다. 이때 선두의 세그멘트를 지시하는 포인터를 형성한다.
이 기억장치(17)내의 기억상태를 제 3(a)도에 나타낸다. 여기서 참고부호 31은 세그멘트 번호를 나타내며, 참고부호 32는 측정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영역, 참고부호 33은 포인터부이다. 도시와같이 기억회수가 30회 이하인 경우에는 포인터부 (33)가 세트되어 있는 최선의 측정데이터 기억영역은 세그멘트(1)임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들면 데이터 기억영역(32)에 사선으로 나타낸 세그멘트(2)까지 측정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측정데이터의 기억은 세그멘트(3)에 행해지며, 포인터부(33)에 변화는 없다. 기억회수가 31회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새로운 측정데이터는 최선의 측정데이터를 클리어하고 그후 당해 영역에 최신의 측정 데이터가 기입된다.
즉 세그멘트(3)의 포인터부(33)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 이 세그멘트의 데이터 기억영역(32)에 새로운 측정데이터의 기억을 행하기 위하여는 먼저 제 3(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포인터부(33)의 세트되어 있는 세그멘트(3)의 데이터 기억영역(32)을 클리어하고, 그후 이 영역에 측정데이터를 기입한다. 그리하여 기입의 종료후에 세그멘트(3)의 포인터부(33)를 리세트하고, 이에 대신하여 세그멘트(4)의 포인터부(33)를 세트한다. 따라서 다음의 측정데이터의 기억은 세그멘트(4)를 갱신하여 행해지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측정데이터의 기억장치(17)에의 기억이 종료하면, 스텝(290)에 전진하여 기록 플랙이 “1”에 세트되며, 표시기(27)에 측정치의 기억장치(17)에의 기억장치(17)에의 기억종료를 통지하는 표시(또는 부자에 의한 통지)를 행하여, 스텝 (230)으로 되돌아온다.
한편, 기억 클리어 스위치(21)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245)으로부터 스텝 (300)으로 전진하여, 기억장치(17)에 기억된 측정데이터 중 최후에 기억한 특정데이터를 클리어한다.
이때 전 세그멘트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억이 행해지고 있는때에는 포인터부 (33)에 세트되어 있는 데이터 기억영역(32)의 내용을 클리어한다.
또 인자스위치(22)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240)으로부터 스텝(310)으로 전진하여 다음의 측정결과의 프린터(26)으로부터 인쇄처리를 실행한다. 인쇄에 사용되는 프린터(26)는 도트·매트릭스(dot·matrix)프린터로써 임의의 패턴으로 인쇄할 수가 있다.
먼저 스텝(310)에서 인자 모우드 절환스위치(23)가 그래프 인자 모우드에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또는 수치 인자모우드에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독하여 조사한다. 수치 인자 모우드에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310)으로부터 스텝(320)으로 전진하여 CPU(7)내에 측정치 기억장치에 기억된 측정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측정데이터가 없으면 인자스위치(22)의 입력을 무효로하여 스텝(230)으로 되돌아가며, 측정데이터가 있으면 스텝(330)의 수치 인쇄 서브루틴(subroutine)을 실행하여 스텝(23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330)의 수치 인쇄 서브루틴의 상세한 설명을 제2(e)및 2(f)에 의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치 인쇄 서브루틴은 다음의 항목을 인쇄 출력한다.
수치 인자 모우드의 경우에는 계시수단에 의하여 계시하고 있는 “측정일시 데이터”및 측정치 기억장치에 기억된 “온도”, “최고혈압치”, “최저혈압치”, “맥박치”를 수치 인쇄한다. 또 종축을 최저혈압치, 횡축을 최고혈압치로하는 그래프를 작성하여 그래프상에 측정혈압치를 표시한다.
먼저 스텝(331)에 있어, CPU(7)내의 롬(ROM)중에 격납되어 있는 수치 인쇄패턴을 판독하여 기억장치(17)의 인쇄 버퍼영역에 격납(전개)한다. 이 수치 인쇄패턴은 제4도에 나타낸 측정혈압치점(40), 측정일시(44), 측정혈압치(45), 맥박수, 주위온도등의 각 값을 제외한 패턴으로서 종축을 최저혈압치, 횡축을 최고혈압치로하는 그래프 패턴에 가하여, 측정한 혈압치가 적정혈압에 대하여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를 나타내는 고혈압 전단기준 혈압영역도 포함된다.
고혈압 진단기준 혈압영역은 다음의 각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즉, 최고혈압치 160mmHg 이상 그리고 최저혈압치 95mmHg 이상의 고혈압 경계선(46)으로부터 외측에 나타낸 소위 고혈압영역(41)과, 최고혈압치 140mmHg~160mmHg 그리고 최저혈압치 90mmHg~94mmHg의 양조건이 있는 고혈압경계선(46)으로부터 내측에서 적정 혈압경계선(47)보다 외측의 경계역 고혈압영역(42) 및 최고혈압치 139mmHg 이하 그리고 최저혈압치 89mmHg 이하의 적정 혈압경계선(47)으로부터 내측의 정상혈압영역 (43)으로서 각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선에 의하여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참고부호 48은 상시 관찰을 필요로 하는 영역을 나타낸 경계선이다.
이들 각 패턴을 롬(ROM)으로부터 판독하고 이 인쇄패턴을 기억장치(17)내에 기억해두고, 인쇄시에 판독할수도 있다. 이 패턴의 생성처리는 후술하는 그래프 모우드 처리에 있어서도 같다.
이와같이하여 인쇄 그래프 패턴의 전개가 종료하면, 계속되는 스텝(332)에서 최고혈압치를 인쇄버퍼영역의 수치 인쇄영역(45)(제4도)에 전개하고, 스텝(333)에서와 같이 최저혈압치를 전개하며, 스텝(334)에서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로부터 그래프상의 교점(40)을 구한다. 그리하여 스텝(335)에서 구한 교점을 인쇄버퍼 영역의 그래프영역에 전개한다. 다음에 스텝(336)에서 맥박수를 수치 인쇄영역에 전개하고, 스텝(337)에서와 같이 기온을 전개하고 스텝(338)에서 측정일시를 일시영역(44)(제 4 도)에 전개한다.
이로써 인쇄출력할 데이터가 패턴으로서 기억장치(17)의 인쇄버퍼영역에 전개하는 것이 모두 끝난다. 그러므로 계속되는 스텝(339), (340)에서 프린터(26)에 1라인마다의 인쇄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며, 프린터는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보내온 데이터를 인쇄출력(print out)해간다. 그리하여 인쇄버퍼영역에 있는 인쇄데이터의 모두가 인쇄출력이면, 스텝(340)에서 예(yes)로되며, 서브루틴 처리를 종료하여 리턴(retur n)한다. 그리고 디지탈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측정데이터를 대응하는 프린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함은 공지의 캐렉터 제너레이터(character generator)등에 의하여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환할 문자종류는 극히 적으므로 편리하다.
한편, 스텝(310)에서 그래프 인자 모우드의 경우에는 제 2 (g) 및 2(i)도에 나타낸 스텝(350)의 그래프 인자처리를 실행하여 기억장치(17)에 기억되어 있는 측정데이터의 인쇄를 포인터가 세트되어 있는 세그멘트로부터 순차로 행한다.
그래프 인자 처리에서는, 기억장치(17)에 기억되어 있는 측정데이터의 인쇄는 종축이 혈압치, 횡축이 측정시각을 나타낸 시간축으로서 그래프상에 순차로 시계방향으로 표시한다.
먼저 스텝(351)에서 CPU(7)의 롬(ROM)으로부터 그래프 인쇄 패턴을 판독하고, 기억장치(17)의 인쇄버퍼영역에 전개한다. 이 그래프 인쇄 패턴은 제5도에 나타낸 인쇄예의 측정결과를 제외한 패턴으로서 종축에는 혈압치 이외에, 맥박수를 비트/분으로, 주위온도를 ℃ 로 나타내며, 종축의 참고부호 61은 혈압치를, 참고부호 62는 맥박수를, 참고부호 63은 주위온도의 각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 횡축은 일자표시를 제외한 시간축이다.
인쇄버퍼영역에 그래프 인쇄 패턴을 전개하면 스텝(352)에 전지하여 기억장치 (17)내의 부도시의 일짜 그래프를 2에 세트한다. 다음 스텝(353)에서 기억장치(17)의 포인터(33)의 세트된 데이터 기억영역(32)의 측정데이터를 판독한다. 여기서 포인터(33)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세그멘트(1)의 데이터 기억영역(32)의 측정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하여 스텝(354)에서 판독한 측정데이터중의 최고혈압치의 그래프상의 대응하는 표시위치를 구하여 해당위치에 제5도의 참고부호 51과 같이 ○표시를 전개한다. 아울러 스텝(355)에서 최저혈압치를 참고부호 52와 같이 ○표시를 전개하여, 스텝(356)에서 참고부호 51과 참고부호 52사이를 선분으로 접속하여 제5도의 참고부호 50과 같이 봉그래프로서 나타낸다. 그러므로 측정시점에서의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를 한눈에 인식가능하도록 나타낸다. 또 스텝(357)에서 맥박수를 참고부호 53과 같이 ○표시로, 스텝(358)에서 측정시의 주위온도를 참고부호 54와 같이 ×표시로 각각 바라는 위치에 전개한다. 그리하여 계속되는 스텝(359)에서 기억장치(17)의 데이터 기억영역에 다음의 인쇄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아직 인쇄할 측정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판독하여 스텝(360)으로전진하여 일자 플랙이 “0”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여기서 일자 플랙이 “0”이 아니면 스텝(362)으로 전진하고, 일자 플랙이 “0”이면 스텝(361)에서 판독한 측정데이터의 일자를 나타내는 인쇄패턴을 그래프의 횡축의 소정위치에 전개한다. 이 인쇄패턴에는 참고부호 55가 예시하는 일자를 나타내는 수치 패턴만이 아니라, 그래프 판독시의 지침이 되는 경계패턴 (56)의 전개를 포함한다. 패턴의 전개가 종료되면 일자플랙을 “7”에 세트하여 스텝 (362)으로 전진하여 일자 플랙을 하나 디크리멘트하여 스텝(354)으로 되돌아가며, 판독한 측정데이터의 인쇄버퍼 영역에의 전개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스텝(359)에서 기억장치(17)에 기억된 모든 측정데이터의 인쇄버퍼 영역에의 전개가 종료한 경우에는 스텝(365)으로 전진하여 프린터(26)에 인쇄버퍼영역의 인쇄 이미지 데이터에 1라인분의 데이터를 송출한다.
프린터(26)에서는 보내온 인쇄데이터를 공지의 방법 및 수단에 의하여 기록지상에 프린트 아우트한다. 게속되는 스텝(366)에서 인쇄버퍼내의 모든 프린트 데이터를 모두 인쇄출력 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모두 인쇄출력되어 있으면 처리를 종료하여 리턴하고,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367)에서 인자스위치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이는 인쇄중에 재차 인자스위치(22)가 입력되면, 그 시점에서 인쇄처리를 중단하여, 스텝(230)에 되돌아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인자스위치(22)가 온(ON)되어 있으면 곧 리턴하고,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 1라인분의 데이터를 인쇄출력하기 위하여 스텝(365)에 되돌아간다.
본래 혈압이란, 항상 변동하고 있는 것으로서 단한번의 측정으로써는 그 값이 그 사람의 보통때의 혈압치인지의 여부를 알 수없다.
따라서 혈압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는 수시간 간격을 두고 또는 격일제로 몇회를 측정한 결과를 거듭하여 혈압치의 변동을 확인함이 중요하다. 특히 혈압치는 심리상태에 의하여 민감하게 변화하며, 긴장하면 일시적으로 높아진다. 그러므로 의사가 측정하거나 집단검진에 의하여 혈압을 측정하면 그만큼 높아지며, 측정자의 통상시의 혈압치를 정확히 알 수가 없으며, 긴장하기 쉬운 환자에게 강압제를 사용하거나하면 오히려 몸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또 측정시의 주위온도에 의하여도 혈압치가 변동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장시간 동안에 걸친 혈압치를 측정하고,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혈압치의 변동을 정확히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으며, 정확한 판단을 내릴수가 있다.
이상 설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 기록기능 및 기억기능을 갖춤으로써 혈압의 시간적인 변동경향을 자동적으로 그래프의 형식으로 출력시킬수가 있다.
2) 기억클리어 스위치를 형성함으로써 잘못 기억해버린 데이터를 클리어 할 수가 있다.
3) 기억스위치를 형성함으로써 측정결과가 정확히 측정된 결과인지의 여부(노이즈 (noise)에 의하여 측정을 잘못한 경우 등), 또는 기타의 이유로 불필요한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수요자가 판단할 수 있으므로, 트랜드용의 데이트를 정확히 기억시킬 수가 있다.
4) 인자 모우드 절환기능을 형성하였으므로, 측정마다의 혈압치도 기억용지에 남길 수가 있다.
5) 모우드(시계/혈압계) 절환기능을 형성함으로써 통상은 시계로서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내부시계(타이머)의 동작을 한눈에 확인할 수가 있다.
6) 측정시의 주위온도를 측정하여 표시하므로, 환경조건에 의하여 혈압치의 변동도 파악할 수 있다.
기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시간에 걸쳐서 측정한 혈압치의 최고혈압치 및 최저혈압치의 변동상태를 그래프상에 한번에 표시할 수가 있으므로, 측정한 혈압치의 변동상태를 한눈에 인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래프상에 동시에 맥박수도 표시되므로, 피측정자의 평균혈압이나 그때의 심리상태도 동시에 파악할 수가 있으며, 또 측정시의 주위온도를 측정 표시하므로 주위환경에 의한 혈압변동도 파악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한 혈압치의 최고혈압치 및 최저혈압치를 그래프상의 교점으로서 표시할 수가 있으므로, 측정한 혈압치의 상태를 한눈에 인식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그래프상에 적정 혈압영역을 중첩 표시함으로써, 측정한 혈압치의 혈압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의하면, 측정시의 주위온도나 맥박수는 측정 표시하므로 주위환경에 의한 혈압변동도 파악할 수가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최고혈압치 및 최저혈압치를 포함한 혈압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이 측정수단에서의 측정시각을 계시하는 계시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복수조의 측정치를 측정시의 상기 계시수단의 계시시각과 함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일방의 축을 시간축으로하고, 타방의 축을 혈압치축으로하는 그래프 패턴을 기억하는 패턴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계시시각순으로 이 시각정보와 함께 측정치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이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한 측정치의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를 계시시각에 의하여 상기 그래프 패턴상 위치에 전개하는 혈압전개수단과, 이 혈압전개수단에 의하여 전개한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 사이를 선분으로 접속하여 전개하는 선분전개수단과, 전개된 인쇄패턴을 인쇄 출력하는 인쇄수단과, 상기 각 전개수단의 전개 데이터를 이 인쇄수단에 송출하도록 인쇄출력시키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2. 제1항에 있어서, 측정수단은 맥박수 측정수단을 갖고, 또한 이 맥박수를 그래프상의 혈압치의 표시와 동일 시간축상에 전개하는 맥박 전개수단을 갖고, 제어수단은 맥박수도 그래프상에 인쇄출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3. 제1항에 있어서, 측정수단은 혈압측정시의 주위온도를 측정하는 기온측정수단을 갖고, 또한 이 측정온도를 그래프상의 혈압치의 표시와 동일 시간축상에 전개하는 기온 전개수단을 갖고, 제어수단은 주위온도 그래프상에 인쇄출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4. 제1항에 있어서, 시간축의 소정시간마다 시각정보를 표시하여 판독의 지침으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시간마다 측정결과를 표시 그래프면에 구획패턴을 표시함을 특징으로하는 전자혈압계.
  6. 적어도 최고혈압치 및 최저혈압치를 포함한 혈압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이 측정수단의 측정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일방의 축을 최고혈압축, 타방의 축을 최저혈압축으로 하고, 여기에 혈압 진단기준 혈압영역을 나타낸 그래프 패턴을 유지하는 패턴 유지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에 의하여 측정한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로부터 상기 패턴 유지수단 유지의 그래프 패턴상에 이 혈압치를 나타내는 표시점을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이 산출수단에서의 산출점을 상기 그래프 패턴상에 전개하는 전개수단과, 이 전개수단에 의하여 전개된 전개데이터를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인쇄수단과, 상기 전개수단에의 전개데이터를 이 인쇄수단에 송출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고, 상기 2개의 혈압측정치를 그래프상의 교점으로서 기록표시함과 동시에 혈압진단 기준혈압영역을 중첩 기록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7. 제6항에 있어서, 측정수단에 혈압측정시의 기온측정수단을 갖고, 제어수단을 기록수단에 기록된 이 기온정보를 전개수단의 전개데이터와 함께 인쇄수단에 송출하고, 인쇄수단은 측정시의 기온을 기록표시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8. 제6항에 있어서, 측정수단에 혈압측정시의 맥박수를 측정하는 수단을 갖고, 제어수단을 기록수단에 기록된 이 맥박수를 전개수단의 전개데이터와 함께 인쇄수단에 송출하고, 인쇄수단은 맥박수를 기록표시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9. 제6항에 있어서, 혈압진단 기준 혈압영역은 각각의 경계를 나타낸 경계선에 의하여 구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10. 제9항에 있어서, 혈압진단 기준 혈압영역은 고혈압영역, 경계역 고혈압영역, 정상혈압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11. 제10항에 있어서, 고혈압영역을 최고혈압치 160mmHg 이상 그리고 최저혈압치 95mmHg 이상, 경계혈압영역을 최고혈압치 140mmHg~160mmHg 그리고 최저혈압치 90 mmHg~94mmHg, 정상혈압영역을 최고혈압치 139mmHg 이하 그리고 최저혈압치 89mmHg 이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12. 적어도 최고혈압치 및 최저혈압치를 포함한 혈압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이 측정수단에서의 측정시각을 계시하는 계시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복수조의 측정치를 측정시의 상기 계시수단의 계시시각과 함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제 1 의 실행 모우드와 제 2 의 실행 모우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선택수단을 갖는 전자혈압계로서, 제 1 의 실행모우드에 있어서는 전자혈압계에 갖는 일방의 축을 최고혈압축, 타방의 축을 최저혈압축으로하고, 여기에 혈압진단기준 혈압영역을 나타낸 제 1 의 그래프패턴을 유지하는 제 1 의 패턴 유지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에 의하여 측정한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로부터 상기 제 1 의 패턴유지수단유지의 그래프 패턴상에 이 혈압치를 나타낸 표시점을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이 산출수단에서의 산출점을 상기 제 1 의 그래프 패턴상에 전개하는 제 1 의 전개수단과 이 제 1의 전개수단에 의하여 전개된 전개데이터를 인쇄출력하는 인쇄수단과, 상기 제 1 의 전개수단에의 전개데이터를 이 인쇄수단에 송출제어하는 제 1 의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2개의 혈압측정치를 그래프상의 교점으로서 기록표시함과 동시에 혈압진단 기준 혈압영역을 중첩 인쇄출력하고, 상기 제 2 의 실행모우드에 있어서는, 전자혈압계에 갖는 일방의 축을 시간축으로 하고 타방의 축을 혈압축으로하는 제 2 의 그래프 패턴을 유지할 제 2 의 패턴 유지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계시시각순으로 이 시각정보와 함께 측정치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이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한 측정치의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를 계시시각에 의하여 상기 제 2 의 그래프 패턴상 위치에 전개하는 제 2 의 전개수단과, 이 제 2 의 전개수단에 의하여 전개한 최고혈압치와 최저혈압치 사이를 선분으로 접속하여 전개하는 선분 전개수단과, 전개된 인쇄패턴을 인쇄출력하는 인쇄수단과, 상기 제 2 의 전개수단및 상기 선분 전개수단의 전개데이터를 이 인쇄수단에 송출하기 위하여 인쇄출력시키는 제 2 의 제어수단에 의하여, 측정시각순으로 현재까지의 측정정보를 인쇄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혈압계.
KR1019860005484A 1985-07-09 1986-07-08 전자혈압계 KR890000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49133A JPS6211430A (ja) 1985-07-09 1985-07-09 電子血圧計
JP60-149133 1985-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904A KR870000904A (ko) 1987-03-10
KR890000631B1 true KR890000631B1 (ko) 1989-03-22

Family

ID=1546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484A KR890000631B1 (ko) 1985-07-09 1986-07-08 전자혈압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11430A (ko)
KR (1) KR890000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6604U (ko) * 1987-03-31 1988-10-14
JP2003093355A (ja) * 2001-09-21 2003-04-02 Omron Corp 生体情報測定装置、生体情報管理装置、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生体情報測定方法、生体情報管理方法、生体情報測定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生体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1430A (ja) 1987-01-20
KR870000904A (ko) 198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265B1 (ko) 전자 혈압계 및 혈압 측정 시스템
US4747412A (en) Electronic sphygmomanometer with graphical output
JP2664982B2 (ja) 血圧モニタ装置
GB2186977A (en) Fertility indicating thermometer
JPH07265273A (ja) 血圧計
US4624263A (en) Portable electrocardiograph with digitally-printing waveform display
RU2518674C2 (ru) Электронный сфигмоманометр
US20210315542A1 (en) Phys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physiological information system
KR890000631B1 (ko) 전자혈압계
Hutton et al. The oscillotonometer in theory and practice
GB2238389A (en) Respirometer
US5161538A (en)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YLETT Ambulatory or self blood pressure measurement? Improving the diagnosis of hypertension
JPS6211429A (ja) 電子血圧計
JPH0354724Y2 (ko)
O'Brien et al. Accuracy of the CH-Druck/Pressure Scan ERKA ambulatory blood pressure measuring system determined by the British Hypertension Society protocol
JPH0440643Y2 (ko)
US4276886A (en) Blood pressure recorder
CN111990982B (zh) 血压采集装置及处理系统
CN217659839U (zh) 一种健康管理数据监测仪
JPH0616753B2 (ja) 電子血圧計
JPS6192655A (ja) 電子血圧計
JPH0564054B2 (ko)
JP3941830B2 (ja) 血圧測定装置
JP3213785B2 (ja) 分娩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