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613Y1 - 브링커 유니트(blinker unit) - Google Patents

브링커 유니트(blinke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613Y1
KR890000613Y1 KR2019880007270U KR880007270U KR890000613Y1 KR 890000613 Y1 KR890000613 Y1 KR 890000613Y1 KR 2019880007270 U KR2019880007270 U KR 2019880007270U KR 880007270 U KR880007270 U KR 880007270U KR 890000613 Y1 KR890000613 Y1 KR 890000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
thyristor
capacitor
resistor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진
Original Assignee
김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850004886U external-priority patent/KR880001627Y1/ko
Application filed by 김관진 filed Critical 김관진
Priority to KR2019880007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613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링커 유니트(BLINKER UNIT)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키 위한 공지 브링커 유니트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브링커 유니트의 회로도.
제3도는 발진회로 출력부의 파형도.
제4(a)도, 제4(b)는 사이리스터에 입력되는 파형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CR1, SCR2: 사이리스터 R1∼R10: 저항
TR1, TR2: 트랜지스터 C1∼C5: 콘덴서
ZD : 제너다이오드 D1: 다이오드
UJT : 유니정크션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브링커 유니트(BLINKER UNIT)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에 있어서의 신호 점멸기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정크션트랜지스터(UJT)의 발진주파수를 다이오드(D1)로 사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 또 콘덴서(C)와 제너다이오드(ZD)를 통해 사이리스터(SCR2)에 게이트를 트리거하도록 하여 사이리스터(SCR1, SCR2)를 교호로 턴오프시켜 얻어지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값비싼 유니정크트션 랜지스터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값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발진회로를 구성하여 발생되는 순간펄스로 두개의 사이기스터를 교호로 턴은 시키고 각 사이리스터의 캐소드와 그 라운드 사이에 각기 콘덴서를 연결하여 자동차 내의 배선에 유기되는 이그니션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펄스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해 본 고안 실시예인 제2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B)는 전압 콘트롤용 저항(R1) 리플제어용 콘덴서(C1) 및 정전압용 제너다이오드(ZD)로 정전압회로가 구성되었으며, 이와같은 정전압은 저항(R2)과 저항(R3)이 직렬연결하여 그라운드(E)에 접지되어 중간분지 전압에 PNP형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그리고 저항(R5)을 통해서는 상기한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 연결되었으며, 이와 같은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콘덴서(C2)가 그리고 콜렉터는 에미터 접지된 NPN형 트랜지스터(TR2) 베이스에 또 콜렉터는 상기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시켜서 발진회로(OSC)가 구성되었으며, 그 출력은 콘덴서(C3)를 통해 사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 또한 저항(R9)을 통해서는 사이리스터(SCR2)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교호로 상기한 사이리스터(SCR1, SCR2)를 턴온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사이리스터(SCR1, SCR2)의 캐소드(K)사이에는 콘덴서(C4)가 연결되고, 사이리스터(SCR1)의 캐소드와 접지사이에 코덴서(C5)가 그리고 사이리스터(SCR2)이 캐소드와 접지사이에 콘덴서(C6)와 병일로 저항(R6)과 다이오드(D1)를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R4, R7, 및 R8, R10은 저항, L 및 E는 출력단자, Lamp는 표시등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단자(B)와 그라운드 접지(E) 사이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점(A)와 접지(E)사이에 정전압이 인가되어 저항(R2)와 저항(R3) 사이에는 인가 전압의 3분의 2가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걸리게 되고, 저항(R5)을 통해서는 콘덴서(C2)를 충전하게 되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 인가 전압의 3분의 2가 넘어설때 트랜지스터(TR1)는 ON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면서 트랜지스터(TR2)도 ON상태가 되면서 저항(R)을 통한 전류와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미터와 저항(R4)을 통해 접지(E)에 흐르게 된다.
이때 저항(R4)의 양단 사이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간 펄스전압이 유기된다.
이와같은 순간 펄스폭(a)은 콘덴서(C2)의 용량에 따라 접점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하여 콘덴서(C2)가 완전 방전되면서 저항(R4)에는 "0"볼트가 나타나면서 다시 콘덴서(C2)가 충전되어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순간 펄스가 발생된다(제3도 참조).
또 이와같은 반복시간(t)은 저항(R4)와 콘덴서(C2)의 값에 따라 결정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 펄스가 유기 되기전에는 사이리스터(SCR1, SCR2)의 아노드에 직류전압이 인가됐을 상태에도 콘덴서(C4)는 충전이 안된 상태에 있다.
이때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의 펄스가 사이리스터(SCR1, SCR2)의 게이트에 콘덴서(C3)와 저항(R9)을 통해 각기 인가되면 사이리스터(SCR1, SCR2)의 아노드 캐소드 사이는 도통상태가 되나 사이리스터(SCR2)의 캐소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된 저항((R6)에 의한 전류개지(I.H.Holdidng current)에 의해 사이리스터(SCR2)는 OFF가 되며, 사이리스터(SCR1)만이 ON상태가 되면서 출력단자(L)와 접지(E) 사이에 연결된 Lamp가 점등된다.
이와 같은 사이리스터(SCR1)의 도통상태가 되어 있을 때 사이리스터(SCR1)의 캐소드에 연결된 콘덴서(C4)에는 (+)충전되며, 이때 제2의 펄스 신호가 게이트에 인가되면 사이리스터(SCR2)가 ON되면서 콘덴서(C4)의 마이너스(-)전하가 사이리스터(SCR2)를 통해 사이리스터(SCR1)의 아노드에(-) 전압이 인가되면서 사이리스터(SCR2) 를 통해 사이리스터 (SCR1)의 아노드에(-) 전압이 인가되면서 사이리스터(SCR1)은 OFF가 된다.
이때 다이오드(D1)은 일방향성이기 때문에 콘덴서(C4)의 방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각 사이리스터(SCR1, SCR2)의 캐소드와 접지(E) 사이에 연결된 콘덴서(C5, C6)는 출력단자(L)와 램프(Lamp)와 자동차 내의 내선거리에 의한 인덕턴스 성분에 의한 역기 전력 발생에 의한 사이리스터(SCR1, SCR2)의 오작동을 방지할 뿐 아니라 내연기관에서의 이그니션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펄스가 안테나 작용을 하는 내선에 유기되어 고주파잡음에 의한 사이리스터(SCR1, SCR2)의 오작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사이리스터(SCR1, SCR2)가 병열 연결되는 브링커 유니트에 있어서, 저항(R2)과 저항(R3)이 직열 연결된 분지 전압이 PNP형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저항(R5)과 콘덴서(C2) 및 NPN형 트랜지스터(TR2)와 저항(R4)으로 되는 발진회로의 출력펄스가 상기한 사이리스터(SCR1, SCR2)의 게이트에 인가되며 사이리스터(SCR1, SCR2) 캐소드는 각각 콘덴서(C5, C6)로 접지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링커 유니트.
  2.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1항의 기재의 사이리스터(SCR2)는 캐소드와 접지사이에 저항(R6)과 다이오드(D1)가 직렬연결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링커 유니트.
  3.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1항의 기재의 사이리스터(SCR1, SCR2)의 게이트에는 각기 콘덴서(C3)와 저항(R9)을 통해 펄스신호가 인가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링커 유니트.
KR2019880007270U 1985-04-29 1988-05-16 브링커 유니트(blinker unit) KR890000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270U KR890000613Y1 (ko) 1985-04-29 1988-05-16 브링커 유니트(blinke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886U KR880001627Y1 (ko) 1985-04-29 1985-04-29 출입문의 괘정장치
KR2019880007270U KR890000613Y1 (ko) 1985-04-29 1988-05-16 브링커 유니트(blinker uni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866A Division KR870001066A (ko) 1985-07-08 1985-07-08 브링커 유니트(blinker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613Y1 true KR890000613Y1 (ko) 1989-03-11

Family

ID=2662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270U KR890000613Y1 (ko) 1985-04-29 1988-05-16 브링커 유니트(blinker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6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03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directional lamps
KR890000613Y1 (ko) 브링커 유니트(blinker unit)
US4438751A (en) High voltage generating circuit for an automotive ignition system
US4104534A (en) Starter motor control circu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1563173A (en) Ignition system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124009A (en) Spark igni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961207A (en) Output retaining electronic circuit
GB1589807A (en) Igni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953747B2 (ja) 線路インタラプシヨン装置
US3684896A (en) Flasher circuit with short protection
SU493826A1 (ru) Реле времени
RU20650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ы зажигани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US3686583A (en) Signal generator for a flasher type direction indicator
JPS5826850B2 (ja) アステ−ブルマルチバイブレ−タ
RU2088999C1 (ru) Реле времени
JPH0537550Y2 (ko)
SU484642A1 (ru)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U1372092A1 (ru) Электронна система зажигани дл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SU1539939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импульсов запуска транзистор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 напр жени
SU1763265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работой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SU603066A1 (ru) Импульс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JP2540747Y2 (ja) 自動車用ランプ点灯装置
SU1390787A1 (ru) Одновибратор
KR910003754Y1 (ko) 승압형 정전압 회로의 스위칭 회로
GB1332867A (en) Three-terminal flash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