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244Y1 - 자동이송 컨베이어의 패리트의 정지 안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이송 컨베이어의 패리트의 정지 안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244Y1
KR890000244Y1 KR2019860006034U KR860006034U KR890000244Y1 KR 890000244 Y1 KR890000244 Y1 KR 890000244Y1 KR 2019860006034 U KR2019860006034 U KR 2019860006034U KR 860006034 U KR860006034 U KR 860006034U KR 890000244 Y1 KR890000244 Y1 KR 890000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it
contact
frame
chai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6508U (ko
Inventor
정광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06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244Y1/ko
Publication of KR870016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65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6Cushioned or damping stop devices, e.g. using springs or other mechanical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이송 컨베이어의 패리트의 정지 안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이송 컨베이어의 평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패리트의 제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제동이 해제된 상태의 정면도.
본 고안은 자동이송 컨베이어에 이용되는 운반용 패리트의 정지상태를 안정화하고 나아가 패리트끼리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 완화하고 또한 충격시 일시적으로 후진하는 현상을 억제내기 방지할 수 있게한 패리트의 정지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분야에 관련된 패리트에 에어뎀퍼를 장치하여 임의 작업위치에 이미 당도해 있던 패리트에 뒤이어 따라온 다른 패리트가 와닿을때 서서히 멈추게 한다거나 혹은 컨베이어의 흐름속도를 늦춰서 충격을 작게 받도록 하는 수단으로 자동흐름 컨이어의 패리트 구조를 채용해 왔었다.
그러나 비록 패리트가 에어뎀퍼의 작용에 힘입어 서서히 이동하고 있을지라도 이 패리트를 움직이게 하는 체인은 계속 설정된 당초의 속도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패리트와 체인간에는 마찰이 큰것이 문제로 남고, 그래서 이런 마찰을 고려하려면 마찰계수가 작은 로울러가 적용되어야 하는데 이런 구조를 갖춘다 할지라도 여러대의 패리트가 한꺼번에 적체되는 경우에는 정지장치에 상당한 압력이 가증되어 무리가 생기며 이런 현상이 심화될 경우에는 정지상태의 안정을 기할 수 없으므로 보다 강력한 제동력이 발휘되는 제동장치가 필요하게 되지만 이렇게 하다보면 컨베이어의 패리트 구조가 복잡하게될 뿐만 아니라 자체 중량증가로 인한 체인 구동 모우터의 정력 과대상승 및 원가 부담등의 제반 애로가 뒤따른다.
본 고안은 바로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가 흐르고 있을 때의 패리트의 적체현상에서 야기되는 패리트간의 충돌로 입기 쉬운 충격피해방지와 출동시의 반작용으로 인한 일시적 후퇴방지 그리고 무부하기능이 가미된 새로운 패리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이하 제2도내지 제3도에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관련된 구성과 그 작용효과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체인(11)의 순환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상에 설치된 개개의 패리트(1)에 있어서 주행방향에 대하여 팽행한 측부에 세개의 지주(4)(5)(6)가 있는 프레임(3)이 고정설치되고, 이 지주의 상단에 일직선상에 놓이게 뚫린 끼움공(4a)(5a)(6a)에는 접촉봉(2)이 헐겁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지주(4)(5)중간에 위치하는 접촉봉(2)의 아랫쪽에는 뒷면이 경사진 캠(20)이 부착되어있고 또한 중앙 지주(5)의 뒷쪽으로 튀어나온 접촉봉(2) 후단에는 칼라(8)가 부착되어 이것과 후방지주(6)와의 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9)을 장탄시키며 후방지주(6)의 뒷쪽에는 보조 접촉봉(26)이 나사박음 되어있고 전방과 중앙의 지주(4)(5) 사이의 프레임(3)상에는 수직 승강되는 종동자(19)가 설치되며 프레임(3)의 하부에는자상의 레버(15)(16)가 그들의 내측단이 마주보게 피봇(17)(18)지지되어서 내측단은 종동자(19)의 밑면에 그리고 외측단은 패리트의 앞뒤 체인 스프로켓(12)(13)의 림(12a)(13a)위에 닿아 제동이 걸리게 하며 또한 상기 레버(15)(16)의 내측단쪽에는 종동자(19)를 중앙에 두고서 인장코일스프링(21)(22) 아랫끝을 걸어 고정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접촉봉(2)의 앞쪽 밑에 오목홈(7a)을 가진 부싱(7)을 고정부착하고 이 부싱(7)의 아랫쪽 프레임(3) 상에다가 상기 오목흠(7a)에 걸리는 핀(10)을 여기에 끼운 스프링(27)에 의해 상향 탄력을 받도록 끼운 푸시레버(8)를 피봇(25) 지지시키며, 이 푸시레버(8)의 후단제지용 돌기(23)를 부착하고 당해 프레임상에 설치하고 또한 이 푸시레버(8)의 후단과 그쪽 프레임(3)상에 핀을 설치하여 인장코일스프링(24)을 걸치며, 보조접촉봉(26)에자형이고 후단에 하향 경사면(14a)이 있는 접촉 안내간(14)을 부착고정한 구조로 이뤄져 있다.
상기의 구조로 이뤄진 본 고안에 있어서, 컨베이어는 제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며 체인(11)과 패리트(1)들의 이송방향도 또한 이와 동일하다.
패리트(1)는 체인(11)에 이끌려가면서 도시하지 않는 수평레일을 타고 이동하지만 그러나 패리트(1)의 자중과 그 위에 실린 공작물의 중량 그리고 스프로켓(12)(13)의 회전마찰 저항때문에 체인 속도보다는 다소 느리게 움직인다. 이렇게 체인보다는 느린 속도로 움직이면 패리트(1)가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맡은 작업만을 수행하는 작업자 또는 로보트가 있는 곳에 당도하면서 센서등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실린더등에 의한 스토퍼(28)에 접촉봉(2)상의 칼라(2a)가 걸리면서부터는 서행하게 된다.
계속되는 체인(11)의 이송압력과 패리트의 관성때문에 즉각 정지되지는 않고 느리지만 그러나 당초의 진행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접촉봉(2)은 뒷쪽으로 밀리면서 스프링(9)을 압축하므로 스토퍼(28)에 의해 제지당할때의 충격은 거의 대부분 이같은 접촉봉의 후퇴와 더불어 일어나는 스프링의 탄력적 수축 현상에 의해 흡수되어 버린다.
동시에 한편에서는 캠(20)도 뒷쪽으로 이동하여 종동자(19)를 누른다. 캠에 짓눌린 종동자(19)는 레버(15)(16)의 내측단을 아래로 눌러주므로 레버(15)(16)는 피봇(17)(18)을 지점으로 시이소오운동을 하게 되어 그들의 외측단은 내측단과 반대로 돌려지고 그리하여 외측단의 상시 접촉으로 제동상태에 머물던 스프로켓(12)(13)은 제동압력의 해제로 자유회전이 가능하며 이로써 제자리에서의 공회전이 이뤄진다. 따라서 스프로켓(12)(13)은 체인(11)의 계속적인 이송압력에도 불구하고 제자리에서 겉돌므로 패리트(1)는 앞서 스토퍼(28)에 제지당한채 그대로 정지해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패리트(1)가 작업위체에 정지해 있다든지 혹은 그 위에 따라와 밀려있는 다른 패리트에서도 이와 같은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아무리 정체 숫자가 많다 할지라도 체인(11)의 움직임에 따른 부하는 개개의 패리트에 딸려있는 스크로켓에는 전혀 걸리지 않고 또한 패리트 자체와 이를 제지하고 있는 스토퍼(28) 자체에도 아무런 부담을 주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은 선출원 고안(실용신안 등록출원 제 85-13550호)을 그대로 인용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에 의한 작용과 효과는 이제부터다.
한편, 상기에서 접촉봉(2)의 후퇴로 인해 수축된 스피링(9)은 팽창하려는 힘을 갖고 있으며, 체인(11)에 이끌려가는 힘은 거의 받지 않는 것과 같게 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9)의 팽창력의 영향으로 이번에는 패리트(1) 전체가 스토퍼(28)를 기준으로 흐름의 반대방향 즉 후진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패리트(1)가 어느 정도 정확히 발하자면 스프링(9)이 원래 모습대로 거의 되돌아갔을 무렵이면 접촉봉(2)도 그 캠(20)도 거의 제자리로 복귀하고 이에 종동자(19)도 레버(15)(16)와 프레임(3)간에 설치된 스프링(21)(22)의 인장력에 의해 레버(15)(16)의 내측단이 상승하는 것에 힘입어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레버(15)(16)의 외측단도 스프로켓(12)(13)의 림(12a)(13a)에 닿아 제동이 걸리면서 비로소 체인(11)에 의한 이송압력을 받아서 당초의 이송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의 초기에는 지속적인 것이기 보다는 간헐적인 움직임이다. 이같은 간헐적인 움직임은 앞쪽 패리트(1)의 접촉 안내간(14)이 그 보조 접촉봉(26)과 뒷쪽의 다른 패리트의 접촉봉 선단이 맞닿은 직후에 곧바로 일어나는 앞쪽 패리트(1)상의 접촉안내간(14)과 뒷쪽 패리트의 푸시레버(8)와의 상호 접촉에 의해 방지된다.
즉, 상기한 패리트(1)의 간헐적 움직임이 일어나므로서 앞선 패리트(1)의 접촉안내간(14) 후미에 뒷쪽 패리트의 푸시레버(8) 가 맞닿으면서부터는 접촉안내간(14)의 후미에 있는 경사면(14a)에 의하여 뒷쪽 패리트의 푸시레버(8) 선단이 미끄러져 눌리고 이때 푸시레버(8)는 피봇(25)을 짓점으로 하는 시이소오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평소 오목흠(7a)의 후방에 있던 핀(10)에 의한 오목흠(7a)에의 걸림은 곧 제자리로 돌어가는 도중에 있던 접촉봉(2)을 중간에서 제동거는 역할과 같은 패리트(1)의 정지상태를 더욱 공고히 하게 되며, 그리하여 안정된 직업을 도와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작업이 완료된 패리트는 자동적으로 이를 감지한 스토퍼(28)가 통제를 푸는 것과 때를 같이하여 패리트(1)는 정상적으로 움직인다.
즉, 작업이 완료되어 스토퍼(28)의 제동이 풀리면 아직 팽창력이 남아있던 스프링(9)의 탄력이 마저 작용함에 따라 접촉봉(2)은 완전히 제동해제 이전의 원상태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접촉봉상의 오목흠(7a)도 핀(10)을 벗어난다. 그 스프로켓(12)(13)에 제동이 걸려 체인(11)의 이송압력을 받은 당해 패리트(1)는 이송되고, 앞서떠난 패리트의 접촉안내간(14)에 눌렸던 뒷쪽 패트의 푸시레버(8)는 그 후미의 스프링(24)에 의해 역시시이소오 방향으로 작동해 이역시 동적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의 본 고안에 따르면, 체인의 이송방향으로 움직이는 패리트가 일시 정지할때의 충격과 정지후 재출발할때의 시동충격등이 대폭 완화하고 또한 패리트가 정지해 있을때 그 스프로켓이 공회전되므로서 체인의 이송압력에 상응하는 부하를 받지 않아 스토퍼와 패리트 상호간 그리고 패리트롸 체인 상호간에 상기의 부하로부터 받는 부당한 압력이 극미하여 다같이 보호되는 기존의 효과와 더불어 정지후 곧이어 생길 재출발 우려가 말끔히 해소되어 더욱 확고한 정지상태를 지속 가능한 만큼 작업위치선정에 정확을 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정밀도 증진과 더불어 정지 또는 정체시 다른 패리트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완화에 더욱 이로울 뿐만 아니라 정지상태에서의 반작용으로 인한 일시적 후진도 방지되므로 작업 정위치 유지에 더욱 안정감을 주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정지시 접촉봉(2)의 후진으로 거기에 딸린 캠(20)이 함께 후진하여 종동자(19)를 하강시켜자상레버(15)(16)를 시이소오 운동시키고 이런 운동에 의해 스프로켓(12)(13)의 제동을 해제시켜 제자리에 머물게 하므로서 패리트(1)의 정지상태가 지속되게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접촉봉(2)의 앞쪽 밑에 오목흠(7a)을 가진 부싱(7)을 고정 부착하고 이 부싱(7)의 아랫쪽 프레임(3)상에다가 상기 오목흠(7a)에 걸리는 핀(10)을 여기에 끼운 스프링(27)에 의해 상향 탄력을 받도록 끼운 푸시레버(8)를 피봇(25)지지시키며, 이 푸시레버98)의 후단제지용 돌기(23)를 부착하고 당해 프레임상에 설치하고 또한 이 푸시레버(8)의 후단과 그쪽 프레임(3)상에 핀을 설치하여 인장코일 스프링(24)을 걸치며, 보조접촉봉(26)에자형이고 후단에 하향 경사면(14a)이 있는 접촉안내간(14)을 부착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컨베이어의 패리트의 정지안정장치.
KR2019860006034U 1986-04-30 1986-04-30 자동이송 컨베이어의 패리트의 정지 안정장치 KR890000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034U KR890000244Y1 (ko) 1986-04-30 1986-04-30 자동이송 컨베이어의 패리트의 정지 안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034U KR890000244Y1 (ko) 1986-04-30 1986-04-30 자동이송 컨베이어의 패리트의 정지 안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508U KR870016508U (ko) 1987-11-30
KR890000244Y1 true KR890000244Y1 (ko) 1989-03-08

Family

ID=1925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034U KR890000244Y1 (ko) 1986-04-30 1986-04-30 자동이송 컨베이어의 패리트의 정지 안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2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8967B2 (en) 2003-08-20 2008-09-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8967B2 (en) 2003-08-20 2008-09-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508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3189A (en) Load separating mechanism for a roller conveyor
US3730330A (en) Sensor locking accumulator
KR890000244Y1 (ko) 자동이송 컨베이어의 패리트의 정지 안정장치
US3088569A (en) Article releasing device for inclined chutes or rollerways
US4276995A (en) Garment-hanging station on a conveyor
US3610372A (en) Pallet braking mechanism
US3891073A (en) Conveyor stop
GB1391303A (en) Apparatus for winding yarn
KR950014682B1 (ko) 리드 프레임 반송장치
KR100241121B1 (ko) 리테이너도그가 부착된 푸셔도그를 가지는 푸셔 콘베이어
US5067414A (en) Self-adjusting shock absorbing carrier
KR880001100Y1 (ko) 자동흐름 컨베이어의 패리트용 완충장치
SE445335B (sv) Kontinuerlig hyllageranleggning
JP2647167B2 (ja) ストッパ装置
US3250361A (en) Braking structure for conveyors
US3314376A (en) Trolley conveyor system
US3394931A (en) Stock gripper
US2969560A (en) Door return and check mechanism
JPS5914413Y2 (ja) アキュムレ−ト式シャトルコンベヤにおける被搬送物押出装置
KR900004572Y1 (ko) 체인 콘베이어용 스톱퍼
JPS6145059Y2 (ko)
US2864467A (en) Speed check device for conveyor system
US2869477A (en) Conveyor systems
JPS5811781Y2 (ja) 搬送装置
CN221795847U (zh) 一种带有卷芯限位机构的自动卷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