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140Y1 - 차량도난 방지 회로 - Google Patents

차량도난 방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140Y1
KR890000140Y1 KR2019860003133U KR860003133U KR890000140Y1 KR 890000140 Y1 KR890000140 Y1 KR 890000140Y1 KR 2019860003133 U KR2019860003133 U KR 2019860003133U KR 860003133 U KR860003133 U KR 860003133U KR 890000140 Y1 KR890000140 Y1 KR 890000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d gate
circuit
output
tim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3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4988U (ko
Inventor
기광능
Original Assignee
기광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광능 filed Critical 기광능
Priority to KR2019860003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140Y1/ko
Publication of KR870014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4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by limiting or cutting the electrical supply to the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도난 방지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내의 타이머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전압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호 해정부 2 : 지연부
3 : 타이머부 4 : 입력부
RY1,RY2: 래칭릴레이 R1-R11: 저항
C1-C3: 콘덴서 N1-N10: 낸드게이트
OR1-OR4: 오아게이트 FF1-FF3: RS플립플롭
TM1-TM3: 타이머 SW1: 잠금스위치
본 고안은 전자식 버튼을 사용하는 차량도난 방지장치에 있어서, 정해진 암호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버튼을 순서대로 눌러주지 않으며 자동차의 시동회로 및 점화회로가 개방되어 운전이 불가능하게 됨가 함께 경적이 울리도록된 차량도난 방지회로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차량도난 방지장치가 고안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이중의 하나로서는 메모리된 암호번호와 숫자버튼을 통해 쉬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된 번호를 비교기에서 비교하여 그 값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표시등이나 경적에 의한 경보가 발생하도록 된 것등이 있으나, 대개 그 구성회로가 복작하고 또한 도난방지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단전시킨 후 다시 통전시키면 단전되기전의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다시 원상으로 복귀됨으로써 도난목적의 각종 해정수단이 용이하게 되는 폐단이 있어 강력한 도난방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한편, 고안자의 선출원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4-7733호 "차랑도난 방지 장치"는 도난 목적을 위한 해정 조작시에 도난방지회로로의 공급전원을 단전후 다시 통전시키더라도 래칭 릴레이의 자기보지기능에 의해 단전전의 상태를 계속기억하게 됨으로써 강력한 도난방지 기능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강도행위에 대한 적절한 대배책도 고려한 고안이나 다수의 릴레이를 사용함에 따라 제품가가 고가로 되고 부피가 커지게 되어 이를 차량에 설치하는데 여라가지 제약을 받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 전자적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 정해진 암호번호에 해당되는 숫자버튼을 순서대로 눌러주지 않거나 또는 자동차도어를 연 후 일정시간이내에 상기의 전자적자물쇠를 해정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시동 및 운전이 불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경적이 울리게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원공급선을 단전시켰다가 다시 통선시켜도 본 고안의 회로는 단전전의 상태를 그대로 기억하게 됨으로써 철저한 도난방지기능을 발휘할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와같은 본 고안회로의 구성소자가 주로 플립플롭이나 각종 게이트등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제품부피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차량설치가 간편, 용이하도록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잠금스위치(SW1)의 일단을 플립플롭(FF1)의 세트(S)단, 그리고 저항(R1)을 통해 Vcc 전원에 각각 연결함과 동시에 각기 다른 시정수를 갖는 타이머(TM1-TM3), 통상의 도어스위치(SWd)에 의해 동작되는 미분콘덴서(C2)(C3), 저항(R9-R11) 및 낸드게이트(N9)(N10)로 된 타이머부(3)내의 타이머(TM1)의 입력단(IN)에 연결하는 한편, 낸드게이트(N1)를 통해 2개의 접점이 각각 통상의 시동회로(ST)및 점화코일(IG)에 연결된 래칭릴레이(RY1)의 세트코일(Ls) 구동용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상기의 플립플롭(FF1)의 출력단(Q)을 상기의 낸드게이트(N10)의 일측입력단에, 그리고 그 반전출력(Q)단을 오어게이트(OR4)의 일측입력단에 연결함과 동시에 오어게이트(OR1-OR3)및 플립플롭(FF2)(FF3)으로 된 암호해정부(1)내의 오어게이트(OR1)의 일측입력단에 연결하며, 상기의 오어게이트(OR1-OR3)의 타측입력단을 각각 저항(R5-R7)을 통해 Vcc 전원에 연결하는 한편 입력부(4)내의 암호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버튼(P0)(P7)(P9)에 순서대로 연결하고, 상기의 오어게이트(OR3)의 출력단을 각 낸드게이트(N3-N7)및 지연콘덴서(C1)로 된 지연부(2)내의 낸드게이트(N3)의 일측입력단에 연결함과 동시에 낸드게이트(N2)를 통해 상기의 래칭릴레이(RY1)의 리세트코일(LR)구동용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와 그 접점이 통상의 경보회로(HN)에 연결된 래칭릴레이(RY2)의 세트코일(Ls) 구동용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공접시키며, 상기의 낸드게이트(N3)의 타측입력단을 상기의 오어게이트(OR4)의 타측입력단 그리고 저항(R8)을 통해 Vcc 전원에 각각 연결함과 동시에 입력부(4)내의 암호번호 이외의 숫자버튼(P1-P6)(P8)에 공접시키고, 상기의 낸드게이트(N5)의 출력단을 상기의 플립플롭(FF2)(FF3)의 각각의 리세트(R)단에 공접시키며, 상기의 오아게이트(OR4)의 출력단과 낸드게이트(N10)의 출력단을 각각 낸드게이트(N8)의 양측 입력단에 연결하고, 이 낸드게이트(N8)의 출력단을 상기의 래칭릴레이(RY2)의 리세트코일(LR) 구동용 트랜지스터(TR4)와 베이스에 연결한 구성으로서, 미설명 부호중 R2-R4는 저항, SW3,SW4는 자동차의 트렁크스위치 및 후드(hood)스우치, x는 일점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잠금스위치(SW1)를 누르면 x점의 전와 "L(LOW)"전위로 되고, 이에 의해 낸드게이트(N1)의 출력이 "H(HIGH)"전위로 되므로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어 래칭릴레이(RY1)의 세트코일(Ls)이 구동된다. 따라서 릴레이접점(a1)(a2)이 각각 접점(C1)(C2)에 접속되어 시도회로(ST)와 점화코일(IG)회로가 개방되므로 엔진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이와동시에 플립플롭(FF1)의 세트(S)단으로는 "L"전위가 인가되므로 이 플립플롭(FF1)의 출력(Q)이 "H"로 되어 타이머부(3)내의 앤드게이트(N10)의 일단에 인가되는 반면, 그 반전출력(Q)은 "L"로 되어 암호해정부(1)내의 오어게이트(OR1)의 일측 입력단에 인가됨으로써 암호해정부(1)가 스탠드바이(stand by)상태로 되어 전자적자물쇠가 채워지게 되는 것으로 이후 입력부(4)내의 숫자버튼(P0-P9)의 입력조건에 따라 상기의 오어게이트(OR1)를 포함한 암호해정부(1)내의 각 구성소자의 출력레벨이 변동되어 전자석 자물쇠가 해정되거나 또는 해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경적이 울리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먼저 기 설정된 암호번호에 해당되는 숫자버튼을 순서대로 눌러줄 경우에 대한 본 고안의 회로동작상태를 설명한다.
"79"가 본 고안의 회로에서 임의로 설정한 암호번호이나 이 암호번호는 물론 암호해정부(1)로 연결되는 각 숫자버튼의 연결상태를 변경시킴으로써 임의의 다른 암호번호로 변경이 가능하다.
첫째, 입력부(4)내에 "0" 숫자에 해당하는 버튼(Po)을 누르면 이에의해 암호해정부(1)내의 오어게이트(OR1)의 양측입력단이 모두 "L"로 되므로 그 출력이 "L"로 반전되어 플립플롭(FF2)의 세트(S)단에 입력되고, 따라서 플립플롭(FF2)의 반전출력(Q)이 "L"로 되어 오어게이트(OR2)의 일측 입력단에 인가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2번째 암호번호로 해당되는 버튼(P7)을 누르면 암호해정부(1)내의 오어게이트(OR2)의 양측입력단 역시 모두 "L"로 되어 그 출력이 "L"로 반전되고, 이에의해 플립플롭(FF3)의 출력(Q)이 "L"로 되어 오어게이트(OR3)의 일측입력단에 인가된다.
끝으로, 3번째 암호번호에 해당하는 버튼(P9)을 누르면 오어게이트(OR3)의 양측 입력단이 모두 "L"로 되어 그 출력이 "L"로 반전되는데, 이 오어게이트(OR3)의 "L" 출력은 낸드게이트(N2)를 통해 "H"로 다시 반전된 상태에서 각 트랜지스터(TR2)(TR3)의 베이스로 공급되므로 이 트랜지스터(TR2)(TR3)가 도통된다. 따라서 래칭릴레이(RY1)의 리세트코일(LR)이 구동되어 릴레이접점(a1)(a2)이 다시 접점(b1)(b2)에 각각 절환접속되므로 시동회로(ST)와 점화코일(IG)회로가 정상동작상태로 복귀되어 자동차의 시동및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트랜지스터(TR3)의 도통에 의해 래칭릴레이(RY2)의 세트코일(Ls)도 구동되나 그 접점(a3)은 계속 접점(C3)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어 경보회로(HN)는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이와동시에 상기의 오어게이트(OR3)의 "L" 출력은 지연부(2)내의 낸드게이트(N3)의 일측입력단으로 공급됨으로써 이 낸드게이트(N3)의 출력이 "H"로 반전되고 이에의해 낸드게이트(N4)(N7)의 출력은 모두 "L"로 되는데, 이때 낸드게이트(N7)의 "L"출력은 충전상태에 있던 콘덴서(C1)의 방전시간동안 지연된 상태에서 낸드게이트(N6)를 통해 낸드게이트(N5)의 일측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가의 방전지연시간이 경과된 후에야 낸드게이트(N5)의 양측입력단이 모두 'L"로 되어 그 출력이 "H"로 반전된다.
이 낸드게이트(N5)의 "H"출력은 다시 플립플롭(FF1-FF3)의 각 리세트(R)단에 공급되어 이들을 모두 리세트시켜줌으로써 각 플립플롭(FF1-FF3)의 출력(Q)이 모두 원상("H"전위)으로 복귀되는데, 이렇게 지연부(2)에 의한 지연시간을 두는 이유는 암호해정부(1)내의 오어게이트(OR3)의 "L"출력에 의한 트랜지스터(TR2)의 구동과 각 플립플롭(FF1-FF3)의 리세트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의한 회로상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회로동작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립플롭(FF1)의 출력(Q)이 "L"로 반전된 상태이어야만 플립플롭(FF2)의 출력(Q)이 "L"로 반전될수 있고, 또한 플립플롭(FF2)의 출력(Q) 역시 "L"로 반전될 수 있으므로 암호번호(079)에 해당하는 숫자버튼(p0)(P7)(P9)을 순서대로 눌러주어야만 전자적 자물쇠가 해정되는 순서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따라서 같은 암호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버튼이라도 그 순서를 다르게 눌러주게 되면 암호해정조작이 무위로 끝다게 되어 자동차의 시동 및 운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전자적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 입력부(4)내의 암호번호이외의 숫자버튼을 누를 경우 본 고안의 회로동작상태를 설명한다.
즉, 입력부(4)내의 숫자버튼(P1-P6)(P8)중 어느 하나를 누르게 되면 오어게이트(OR4)의 일측입력단이 "L"로 되는데, 이때 오어게이트(OR4)의 타측입력단은 세트스위치(SW1)를 눌러 전자석 자물쇠를 채운상태에서는 플립플롭(FF1)의 "L"출력(Q)에 의해 "L"로 유지된 상태이므로, 이 오어게이트(OR4)의 출력이 "L"로 되어 낸드게이트(N8)의 출력이 "H"로 반전됨으로써 트랜지스터(TR4)가 도토오디어 래칭릴레이(RY)의 리세트코일(LR)이 구동되므로 릴레이접점(a3)이 접점(b3)에 절환접속된다. 따라서 경보회로(HN)가 작동되어 경적을 발하게 되는 것이며, 한편 이와동시에 상기의 오어게이트(OR4)이 일측입력단에 공접된 지연부(2)내의 낸드게이트(N3)의 타측입력단도 상기의 암호번호이외의 숫자버튼(P1-P6)(P8)의 입력에 의해 그 출력이 "H"로 반전되며, 이후 전술한 바와동한 회로동작에의해 콘덴서(C1)의 방전에 기인한 일정지연시간이 경과된 후에 낸드게이트(N5)의 출력이 "H"로 반전되어 각 플립플롭(FF1-FF3)이 모두 리세트되어 각각의 출력(Q)이 원상("H"전위)으로 복귀된다.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전자적 자물쇠의 해정이 무위로 됨으로써 재시도를 할 경우에는 다시 암호번호에 해당되는 숫자버튼을 처움부터 순서대로 눌러주어야하기 때문에 더 한층 해정이 어렵게 된다.
이와같이 경적이 울리게 된 상태에서 본 고안 회로로의 Vcc 공급전원을 단전시켰다가 다시 통전시켜도 정확한 암호번호를 입력시키지 않는 한은 각 래칭릴레이(RY1)(RY2)의 릴레이 접점은 단전전의 접속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강력한 도난방지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자석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 자동차의 트렁크나 후드를 열 경우에도 각 스위치(SW3)(SW4)가 접속되어 입력부(4)내의 암호번호이외의 숫자버튼을 누를 경우와 동일한 회로동작에 의해 경적이 울리게 된다.
본 고안의 타이머부(3)는 잠금스위치(SW1)를 눌러 전자적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 도어개폐에 의한 도어스위치(SWd)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는 회로로서, 전자석 자물쇠의 해정시간을 일정설정시간이내로 제한하여 이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경적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암호번호를 모르는 상태에서의 해정조작이 더욱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잠금스위치(SW1)를 누르면 전술한 바와같이 래칭릴레이(RY1)가 세트되어 차량의 시동 및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플립플롭(FF1)의 출력(Q)이 "H"로 되어 타이머부(3)내의 낸드게이트(N10)의 일측입력단에 인가되는데, 이와동시에 이 타이머부(3)내의 타이머(TM1)의 입력(IN)단에 "L"가 인가되어 제2(b)도에서와 같이 이 타이머(TM1)의 출력(0)이 설정시간(T1)동안 "H"로 된다. (타이머부(3)내의 각 타이머(TM1-TM3)는 모두 다운에지 동작형임). 따라서 각 타이머(TM2)(TM3)의 리세트(R)단은 상기 타이머(TM1)의 "H"출력이 낸드게이트(N9)에 의해 반전된 "L"레벨로 유지되어 각 타이머(TM2)(TM3)는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로 됨으로써, 도어개폐에 의해 도어스위치(SWd)가 접속되더라도 각 타이머(TM2)(TM3)의 출력은 모두 "L"레벨로 된다. 그러므로 낸드게이트(N10)의 양측입력단이 각각 "H" 및 "L"로 되어 그 출력이 "H"로 된다.
한편 상기의 타이머(TM1)의 출력은 설정시간(T1)이 경과된 후에는 다시 "L"로 반전되므로 타이머(TM2)(TM3)의 각 리세트(R)단은 다시 "H"로 레벨로 유지되어 타이머(TM2)(TM3)는 동작가능한 상태에 있게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열게되면 도어스위치(SWd)가 접속되고, 이에의해 제2(d)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콘덴서(C3) 및 저항(R10)의 미분회로를 통해 발생된 미분펄스가 타이머(TM3)의 입력(IN)단에 인갸된다.
따라서 타이머(TM3)의 출력(0)은 제2(e)도에서와 같이 일정설정시간(T3)동안 "H"로 되고, 이에 의해 콘덴서(C2)및 저항(R9)의 미분회로를 통해 발생되는 미분파형은 제2(f)도의 상태로 되어 타이머(TM2)의 입력단(IN)에 인가된다.
이와같은 미분파형의 다운에지부분에서 타이머(TM2)의 출력이 제2(g)도에서와 같이 짧은 설정시간(T2)동안 "H"로 되는데, 이에의해 낸드게이트(N10)의 양측입력단이 모두 "H"로 됨으로써 그 출력이 제2(h)도에서와 같이 "L"로 반전되어 낸드게이트(N8)의 출력이 "H"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TR4)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이에의해 래칭릴레이(RY2)가 리세트되어 그 접점(a3)이 접점(b3)에 접속되므로 경보회로(HN)가 작동되어 경적이 울리게 된다.
결국, 잠금스위치(SW1)를 누른 후 타이머(TM1)의 설정시간(T1)이내에 도어를 개폐하면 경보회로(HN)는 동작하지 않으나 이 설정시간(T1)이후에 도어를 열게되면 타이머(TM3)의 설정시간(T3)이 경과된 이후에 자동적으로 경적이 울리게 되는 것으로서, 도어를 연후에 전자적 자물쇠의 해정시간이 이 설정시간(T3) 이내로 제한받게 됨으로써 암호번호를 모르는 상태에서는 더더욱 해정이 어렵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타이머(TM1)(TM3)의 각각의 설정시간(T1)(T3)을 잠금스위치(SW1)를 누른 후 하차하기까지의 소요시간과 암호번호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적 자물쇠를 해정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각기 고려하여 적정하게 설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회로는 3자리 숫자의 암호번호를 기준으로 설계되었으나 암호해정부(1)를 구성하는 플립플롭과 오어게이트의 수효를 증가시키면 4자리 숫자이상의 암호번호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정해진 암호번호의 숫자버튼을 순서대로 눌러주어야만 전자적 자물쇠가 해정되며 또한 자동차도어개폐후 암호해정을 위한 소요시간에도 제약을 부여함으로써 효율적인 도난방지기능을 발휘할수 있음은 물론 공급전원을 일시적으로 단전후 통전시켜도 본 고안의 회로가 단전전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완벽하게 차량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잠금스위치(SW1)가 온 될시에 래칭 릴레이(RY1)를 세트시켜 통상의 시동회로(ST) 및 점화코일(IG)을 개방시키고 암호해정부(1)를 스탠드바이시키는 잠금수단, 통상의 입력부(4)내의 암호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버튼의 순서적 입력에 의해서만 그 출력이 로우레벨로 되는 암호해정부(1), 이 암호해정부(1)의 로우레벨출력에 의해 래칭릴레이(RY1)를 리세트 시키고 래칭릴레이(RY2)를 세트시키는 해정수단, 암호번호이외의 숫자버튼입력에 의해 래칭릴레이(RY2)를 리세트시켜 통상의 경보회로(HN)를 동작시키는 경보수단, 암호해정부(1)의 로우레벨 출력 또는 암호번호이외의 숫자버튼 입력에 의해 일정지연시간후에 잠금수단 및 암호해정부(1)를 초기상태로 리세트시키는 지연부(2), 잠금스위치(SW1)가 온 된 상태에서 일정설정시간(T2)이 경과후에 통상의 도어스위치(SWd)가 온 될 경우 다시 일정설정시간(T3)이후에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회로(HN)를 동작시키는 타이머부(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난 방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잠금수단은 낸드게이트(N1)와 트랜지스(TR1)및 플립플롭(FF1)으로 구성하고 암호해정부(1)를 오어게이트(OR1-OR3)및 플립플롭(FF2)(FF3)으로 구성하며, 해정수단을 낸드게이트(N2)및 트랜지스터(TR2)(TR3)로 구성하고, 경보수단을 오어게이트(OR4), 낸드게이트(N8)및 트랜지스터(TR4)로 구성하며, 지연부(2)를 낸드게이트(N3-N7)와 지연콘덴서(C1)로 구성하고, 타이머부(3)를 타이머(TM1-TM3), 미분콘덴서(C2)(C3), 저항(R9-R11)및 낸드게이트(N9),(N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난 방지회로.
KR2019860003133U 1986-03-15 1986-03-15 차량도난 방지 회로 KR890000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133U KR890000140Y1 (ko) 1986-03-15 1986-03-15 차량도난 방지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133U KR890000140Y1 (ko) 1986-03-15 1986-03-15 차량도난 방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988U KR870014988U (ko) 1987-10-22
KR890000140Y1 true KR890000140Y1 (ko) 1989-03-06

Family

ID=1924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3133U KR890000140Y1 (ko) 1986-03-15 1986-03-15 차량도난 방지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1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988U (ko) 198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0516A (en) Vehicle securing and lockout prevention system
US3710316A (en) Vehicle electrical combination lock
JPH08209997A (ja) イグニション・ロック内キー放置警告システム
KR890000140Y1 (ko) 차량도난 방지 회로
US4479110A (en) Automobile burglar alarm and arming circuit for same
US3824403A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automatic vehicles and the like
GB2226593A (en) Digital electronic lock
US5811887A (en) Electrical antitheft system for motor vehicle
KR900007482Y1 (ko) 도어의 전자 개폐장치
JP2735850B2 (ja) パチンコ機の解錠装置
KR920009597B1 (ko) 차량용 전자식 도어키시스템
JP2604019Y2 (ja) 盗難防止装置
RU2084360C1 (ru) Противоуг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JPH06156193A (ja)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ロック装置
KR960008358Y1 (ko) 적외선 리모트콘트롤러를 이용한 도어로크 및 엔진시동장치
JPH0217104Y2 (ko)
KR890007250Y1 (ko) 카드식 전자 해정 장치
RU2059484C1 (ru) Противоуг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426639Y2 (ko)
JPS63159159A (ja) キ−抜き忘れ警報装置
JPS60159259A (ja) 車両用施錠制御装置
US3869620A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automotive vehicles and the like
KR950011385B1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JPS6290487A (ja) 自動車の電子制御式ドアロツク装置
KR910000886Y1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