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5783A - 메세지 중계단말기가 있는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세지 중계단말기가 있는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5783A
KR880005783A KR1019860008742A KR860008742A KR880005783A KR 880005783 A KR880005783 A KR 880005783A KR 1019860008742 A KR1019860008742 A KR 1019860008742A KR 860008742 A KR860008742 A KR 860008742A KR 880005783 A KR880005783 A KR 880005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ssage
communication
uni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 스피로 잰
Original Assignee
윌라드 지인 스웨트
텔로터그라크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라드 지인 스웨트, 텔로터그라크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윌라드 지인 스웨트
Priority to KR101986000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5783A/ko
Publication of KR88000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783A/ko

Links

Landscapes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세지 중계단말기가 있는 통신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관련된 통신회로망과 함께 본 발명의 대표적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계통도.

Claims (37)

  1. 배전 회로망에서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으로, 전술한 시스템이 회로망에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유닛, 각각이 입출력장치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치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그리고 한입력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면 다른 단말기에 위해 수신될 메세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술한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세지에 응답할 수 있는 수단과 만약 출력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면 출력장치로 메세지를 전송시키기 위하여 또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세지에 응답하는 수단을 가지며, 적어도 전술한 단말기중 최초의 것이 회로망을 통하여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메세지가 제3 단말기로 예정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제3 단말기로 예정된 메세지를 회로망을 통하여 재전송 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유닛이 개별적으로 주소가 가능하며, 각 단말기가 그 단말기로부터 다른 유닛으로의 통신노선을 형성시키는 연속적인 유닛주소 리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전술한 발생을 위한 수단이 상응하는 통신노선을 형성시키는 연속적인 유닛주소 리스팅(listing)을 갖는 메세지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재전송을 위한 수단이 메세지를 재전송시키기 위한 다음의 의도된 유닛을 식별하는 형태로 수신된 메세지의 연속적 리스팅을 변경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재전송을 위한 전술한 수단이 한 재전송된 메세지내에 연속적인 유닛주소 리스팅과 함께 전술한 제1 단말기의 주소를 리스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이때 연속적인 유닛주소 리스팅은 앞서 전술한 제1 단말기가 재전송하는 메세지를 재전송하였던 바를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메세지 전송을 1회에 단 한번에 의한 전송으로 한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한수단이 전술한 단말기에게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메세지가 있는 지를 묻기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각 단말기가 전송할 메세지를 갖는 때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메세지가 있음을 알리는 그와 같은 물음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욱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한수단이 단말기로 하여금 다른 유닛으로 메세지를 전송시키도록 하는 전송할 메세지를 갖고 있다는 단말기의 응답에 답하여 단말기로 전송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의 메세지 전송을 끝마친 후에 메세지를 전송할 권한을 포기하는 메세지를 전송 시키기 위한 수단을 전술한 각 단말기내에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메세지를 한 유닛에서 다른 한 유닛으로 전송시키기 이전에 두 유닛사이의 통신능력을 구축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전술한 구측수단이 메세지가 송신될 상이한 단말기에게 그 상이한 단말기가 메세지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묻기 위한 수단과 메세지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알리는 응답을 물어보는 단말기로 전송시키기 위한 수단을 각 단말기내에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다수의 유닛을 연결하는 하나의 배선회로망을 갖는 시스템에서, 입력 또는 출력장치와 같은 하나의 외부통신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한쌍의 단말기를 포함하고, 만약 입력장치에 연결되어 있다면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를 다른 단말기로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만약 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있다면 수신된 메세지를 다른 단말기로부터 출력장치로 전송시키기 위한 수단,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중계 단말기를 가지며, 만약 전술한 중계 단말기가 입력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면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시키기 위한 회로망에 연결될 수 있는 수단, 다른 유닛에 의해 전송된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회로망에 연결가능한 수단, 메세지가 또 다른 단말기를 위해 예정되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메세지에 응답하는 수단, 다른 단말기를 위해 예정된 수신된 메세지를 회로망을 통해 재송신하기 위한 회로망에 연결가능한 수단, 그리고 만약 전술한 중계 단말기가 출력장치에 연결된다면 전술한 중계단말기를 위해 예정된 수신메세지를 출력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중계 단말기가 개별적을 접근 가능하며 시스템내의 유닛 또한 개별적으로 접근가능하고, 전술한 중계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로부터 다른 유닛으로 통신노선을 형성하는 연속적은 유닛주소리스트를 저장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통신시스템의 유닛이 회로망을 통하여 메세지를 수신하고 회로망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다수의 중계기를 포함하며,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메세지가 상응하는 통신노선을 형성시키는 각 유닛을 위한 연속적인 주소 리스팅을 포함하고, 재전송을 위한 전술한 수단이 통신노선을 통하여 다음 의도된 중계기를 식별하는 형태로 연속의 리스팅을 변경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재전송을 위한 전술한 수단이 중계기가 재전송하는 메세지를 전송해온 유닛주소 리스팅틴으로, 재전송된 메세지내에 전술한 중계 단말기의 주소를 연속하여 리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단말기.
  16. 배전 회로망을 통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전술한 시스템이 회로망에 연결된 다수의 유닛을 포함하며, 적어도 한쌍의 단말기를 포함하고, 각 단말기가 회로망에 연결되어지며, 입력 또는 출력장치와 같은 외부통신장치와 통신을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고, 회로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가 회로망을 통하여 메세지를 수신하는 수단과 메세지를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고, 전술한 유닛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한 유닛과 한 단말기 사이의 통신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최초 메세지의 방향을 직접 전술한 단말기로 향하게 하기 위한 수단과 통신이 전술한 단말기와 직접 구축되지 않는다면 메세지의 방향을 개별적으로 각 중계기를 통하여 전술한 단말기로 다시 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전술한 중계기가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통신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전술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중계기이며, 개별적으로 접근 가능하고, 그리고 중계기로 부터 다른 노선으로의 통신노선을 연속적인 유닛주소 리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각 유닛이 예정된 받아들이는 유닛으로의 통신노선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유닛을 위한 연속적인 주소 리스팅을 내포하는 받아들이는 단말기를 위해 예정된 메세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전술한 단말기 각각이 수신되니 메세지가 다른 유닛을 위해 예정되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전술한 콤비네이션 단말기 각각과 중계기가 수신된 메세지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수신된 메세지에 대해 각 단말기가 통신노선을 통하여 다음의 중계기를 식별하는 재전송을 위한 에정된 중계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3. 제16항에 있어서, 다수의 중계기를 포함하며, 통신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전술한 수단이 반복하여 메세지를 다른 단말기로 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만약 다른 단말기와의 통신이 앞서 직접 또는 개별 중계기를 통하여 구축되지 않았다면 중계기 노선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통신이 구축될 때까지 통신이 구축되지 않은 개별중계기가 연결되므로써 통신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4. 배전 회로망을 통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전술한 시스템이 회로망에 연결된 다수의 주소 가능 유닛을 포함하며, 적어도 한쌍의 단말기를 포함함고, 각 단말기가 입력 또는 출력장치와 같은 외부통신장치에 연결되어 이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회로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가 회로망을 통하여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메세지를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전술한 시스템이 두 유닛사이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각 유닛의 주소들을 통신경로로써 저장하기 위한 수단, 통신 유닛중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메세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앞서 저장된 통신결로를 따라 두 예정된 통신 유닛사이에 통신 가능성을 구축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통신 가능성 구축을 위한 전술한 수단에 의해 앞서 저장된 통신경로를 자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욱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5. 다수의 단말기와 배전 회로망에 의해 연결된 다수 중계기를 가지며 유닛이 개별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신시스템에서 한 단말기와 다른 한 단말기 사이의 통신노선을 결정하는 방법이, 한 단말기로부터 직접 다른 단말기로 메세지의 방향을 정하고, 만약 다른 단말기와 통신이 먼저 구축되지 않는다면 다른 단말기가 메세지를 수신할 때 까지 계속하여 증가하는 식별된 중계기의 숫자를 통하여 한 단말기로부터 다른 단말기로 메세지의 방향을 정하고, 한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노선을 형성하는 유닛의 주소들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중게기를 통하여 메세지의 방향을 결정함을 최초에는 개별적으로 각 중계기를 통하여 메세지의 방향을 결정하고, 각 중계기를 위한 중계기 경로를 구축하며 각 중계기와 함께 한 단말기로부터의 통신이 구축되고, 다음으로 앞서 다른 단말기와 통신이 구축되지 않았다면 통신이 구축되지 않은 한 중계기에 연결된 앞서 구축된 중계기 경로를 통하여 다른 단말기로 메세지를 반복하여 송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각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장치에 직접 연결되는 개별적으로 접근 가능한 다수 단말기 사이에서 배전 회로망을 통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최초 단말기에서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를 수신하고 예정된 받아들이는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회로망을 통해 메세지를 전송시키며, 전송된 메세지를 회로망을 통하여 제2 단말기에 의해 수신하고, 메세지가 제3 단말기를 위해 에정되어 있는 지를 결정하며, 제3 단말기를 위해 에정되어 있는 메세지를 회로망을 통해 재전송 시키고, 그리고 제2 단말기를 위해 예정된 수신된 메세지를 외부장치로 전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회로망을 통하여 전송시킴이 제1 단말기로부터 예정된 받아들이는 단말기로의 통신경로를 형성시키는 유닛주소의 연속적인 리스팅을 갖는 메세지를 전송 시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회로망을 통한 전술한 재전송이 메세지를 수신하고 재전송하도록 예정된 다음 유닛을 식별하는 식으로 수신된 메세지의 연속적인 리스팅을 변경 시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회로망을 통한 전술한 재전송이 재전송된 메세지내에 앞서 메세지를 재전송하였던 유닛주소의 연속적인 리스팅을 갖는 메세지와 함께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단말기 주소를 리스트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회로망을 통한 전술한 전송 이전에 메세지의 전송을 1회에 단 하나의 단말기에 의한 전송으로 제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한이 단말기에게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메세지가 있는지를 물어보고, 단말기가 송신할 메세지를 갖고 있다는 응답을 전송할 메세지를 갖는 각 단말기에 의해 전송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한이 전송할 메세지를 갖고 있다고 응답한 한 단말기로 다른 단말기에 메세지를 전송할 권한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다른 유닛으로 메세지를 전송해도 좋다는 권한의 메세지를 수신한 각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의 메세지 전송을 끝마친 뒤에는 메세지를 전송한 권한을 포기하는 메세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27항에 있어서, 회로망을 통한 전술한 전송 이전에 예정된 받아들이는 유닛과의 통신 가능성을 구축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전술한 구축이 예정된 받아들이는 단말기에게 메세지를 받아들일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묻고, 예정된 받아들이는 유닛에 의하여 물어보는 단말기로 적절한 응답을 전송시키어 메세지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는지를 알려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모든 유닛이 주소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닛을 통하여 전송유닛으로부터 예정된 수신유닛으로의 배전 회로망을 통한 메세지 송신방법에 있어서, 각각 중계기로 기능하며 개별적으로 주소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유닛의 주문된 순서로 형성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전송 유닛으로부터 수신 유닛으로의 노선을 결정하며, 앞서 결정된 통신노선을 따라 전송유닛과 수신유닛사이에 통신가능성은 구축하고, 이같은 통신가능성이 구축되면 통신경로를 통하여 전송유닛으로부터 수신유닛으로 메세지를 전송시키며, 앞서 결정된 통신경로를 따라 통신이 구축되지 않은 때 전송 및 수신유닛사이에 새로운 통신노선을 결정하고, 새로운 통신노선을 통하여 전송유닛으로부터 수신유닛으로 메세지를 전송시킴을 차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60008742A 1986-10-17 1986-10-17 메세지 중계단말기가 있는 통신시스템 KR880005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8742A KR880005783A (ko) 1986-10-17 1986-10-17 메세지 중계단말기가 있는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8742A KR880005783A (ko) 1986-10-17 1986-10-17 메세지 중계단말기가 있는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783A true KR880005783A (ko) 1988-06-30

Family

ID=6883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742A KR880005783A (ko) 1986-10-17 1986-10-17 메세지 중계단말기가 있는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57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0418B2 (en) 2008-09-10 2013-1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lay station for cell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djacent BSs over air links in cellular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0418B2 (en) 2008-09-10 2013-1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lay station for cell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djacent BSs over air links in cellular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8298A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essage repeating terminals
KR900700963A (ko) 페이징 단말장치 및 메시지 호출 발송방법.
JPH03502630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830008577A (ko) 모듀울 전송 통신 시스템
KR880005783A (ko) 메세지 중계단말기가 있는 통신시스템
KR890011453A (ko) 통신장치 및 시스템
JPS58184849A (ja) 通信装置
JP2651200B2 (ja) 構内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0575618A (ja) ネツトワークシステム
US1817989A (en) Connection for telegraph plants
US2018494A (en) Transmission control circuit
JP3096486B2 (ja) 通信システム
JPH0332251A (ja) メール装置
JPS6062767A (ja) ネツトワ−ク伝送路における通信方式
JP3067159B2 (ja) パケット交換装置の信号方向制御方法及び装置
JPH01185045A (ja) ファクシミリ同報装置
JPH0548984B2 (ko)
KR950015120A (ko) 집단주택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
JPH0371830B2 (ko)
DK19291D0 (da) Fremgangsmaade og apparatur til at faa tilgang til telefaxlager- og afsendelsesnet
KR930004880A (ko) 판매 데이터 관리장치
JPS6059847A (ja) 同報通信確認方式
JPS6240869A (ja) フアクシミリシステム
JPS60162333A (ja) 通信方式
JPH0242847A (ja) データ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