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973Y1 -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973Y1
KR880003973Y1 KR2019880014730U KR880014730U KR880003973Y1 KR 880003973 Y1 KR880003973 Y1 KR 880003973Y1 KR 2019880014730 U KR2019880014730 U KR 2019880014730U KR 880014730 U KR880014730 U KR 880014730U KR 880003973 Y1 KR880003973 Y1 KR 880003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ircuit
numerical control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4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이찌로 노자와
쓰요시 나가미네
히데야끼 가와무라
미쓰또 미야따
Original Assignee
후지쓰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세이 우에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513333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57307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세이 우에몽 filed Critical 후지쓰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880014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262Macro instruction, canned cycles, subroutines, subprogra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006A key delivers a series of key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장치의 요부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고안은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에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테이프리더로부터의 지령테이프정보입력과는 별도로 수치제어장치조작용 패널에 형성한 키이보드로부터 상기 지령테이프정보의 편집, 수정데이터나 기타 가동에 관련한 테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통상은 어떤 포맷에 따라서 일련의 키이령을 순차로 입력해감으로써 수동데이터의 설정을 행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조작은 비교적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키이열이 길면 도중에서 오조작을 할 위험성도 있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면 수치제어장치의 조작성이 대단히 향상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교적 자주 사용하는 키이열등에 대하여는 그 입력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 이 간략화에 의하여 사용자측에 있어서 수치제어장치조작용 패널의 자유스로운 기능확장으로 가능하게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일련의 키이열을 어떤 특정의 키이에 대응하여 키이열기억회로에 등록하여 놓고 이후, 그 키이열을 입력하고자 할때에는 그 특정의 키이를 누르기만 하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장치의 요부 블록도로서, 참고번호 10은 키이보오드, 참고번호 11은 도우드 절환스위치, 참고번호 12은 게이트회로, 참고번호 13은 키이열기억제어회로, 참고번호 14은 키이열기억회로, 참고번호 15는 키이열검색회로, 참고번호 16은 키이열재생회로, 참고번호 17은 키이입력처리회로이다.
제1도에 있어서 키이보오드(10)는 수동데이터입력용으로서 예를 들어 수치제어장치로서 전면패널에 형성되었으며 0~9의 뉴메릭키이 및 몇개의 알파벳트키이등이 그 판면에 배열되어 있다.
모우드절환스위치(11)는 당해 입력장치를 고시모우드와 재생모우드에 절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시모우드측에 설정된 때에는 키이보오드(10)를 키이열기억제어회로(13)에 접속하고, 재생모우드측에 설정된 때에는 키이보오드(10)를 게이트회로(12) 및 키이열검색회로(15)에 접속한다.
키이열검색제어회로 (13)는 고시모우드에 있어서, 키이보오드(10)로부터 입력된 재생개시키이와 그와 대응하는 재생키이열을 양자를 관계지어서 키이열기억회로(14)에 기억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키이열기억회로(14)는 레지스터 또는 반도체메모리등으로써 구성된다.
키이열검색회(15)는 재생모우드에 있어서, 키이보오드(1)로부터 입력된 키이가 재생개시키이로서 키이열기억회로(14)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하는회로이며, 재생개시키이로서 등록되어 있을때에는 그 재생을 키이열재생제어회로에 지시함과 동시에 케이트회로(12)를 닫아서 키이보오드(10)의 데이터가 키이입력처러회로(17)에 입력되지 않도록 한다. 키이열재생제어회로(16)는 키이열검색회로(1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해당하는 재생키이를 일정시간마다 또는 키이입력처리회로의 요구에 따라서 순차 키이열기억회로(14)로부터 판독하여 키이입력처리회로(17)에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키이입력처리회로(17)는 키이입력을 처리하는 곳으로서 그 구성 및 동작은 거의 종래와 변함이 없다.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공구교환프로그램의 키이입력조작 G28Y0Z0M6. INPUT. START을 간략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모우드절환스위치(11)를 고시모우드측으로 절환하고 다음에 키이보오드(10)로부터 제생개시키이 예를 들어, 키이 A를입력하고 다음에 상기 키이열을 그 선두로부터 순차입력하면 키이열기억제어회로(13)의 작동에 의하여 키이 A를 재생시키이로 하여 그에 접속하는 키이열을 재생키이로 하여 이들 키이가 키이열기억회로에 기억된다. 그리하여 모우드절환스위치(11)를 재생모우드측에 절환하여 키이보도드(10)로부터 키이 A를 입력하면 키이열검색회로(15) 및 키이열재생제어회로(16)의 작동에 의하여 키이 A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상기 키이열이 키이열기억회로(14)로부터 판독되어 키이입력처리회로(17)에 입력된다.
즉, 한번 키이열을 어떤 특정의 키이(재생개시키이)에 대응시켜서 등록하여 두면 이후, 그 특정의 키이를 누르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일련의 키이조작을 한 것과 등가의 정보를 입력할 수가 있으므로 키이조작이 대단히 간략화되게 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등록은 사용자측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측에서 수치제어장치조작용 패널의 자유스러운 기능확장을 행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도에 있어서 키이보오드(10)로부터의 입력키이가 재생개시키이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는 게이트회로(12)는 열려있으므로 그 입력키이정보는 그대로키이입력처리회로(17)에 가해진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고시모우드와 재생모우드의 절환을 기억개시키이로 하여 할당한 특정의 키이에 의하여 행하도록 한 장치의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키이보오드로부터 입력키이가 기억개시키이인 경우는 고시모우드가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는 재생모우드로 되는 것으로서 고시모우드의 경우에는 기억개시키이에 접속하는 입력키이가 재생개시키이로 하여 등록되며 이에 접속하는 입력키이열이 재생개시키이로서 순차적으로 등록되어 가며 이와같은 등록이 기억종료키이로서 할당되어 있는 특정의 키이가 입력될때까지 계속된다.
또 재생모우드에 있어서는 입력키이가 재생개시키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검색되며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그 키이입력은 그대로 키이입력처리회로에 보내진다. 그러나, 등록되어 있을 때에는 기억하고 있는 재생키이열로부터 1키이씩 꺼내어서 이를 순차적으로 키이입력처리회로에 송출하는 동작을 기억종료키이가 판독될 때까지 속행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동작을 기억종료키이가 판독될 때까지 속행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동작을 행하는 회로는 와이어드로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최근에 있어서는 고성능인 1칩 마이크로컴퓨터가 염가로 입수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소프트로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일련의 카이열을 어떤 특정의 키이에 대응하여 키이열기억회로에 등록하여 두면 이후, 그 키이열을 입력하고자 할때에는 그 특정의 키이를 누르기만 하면 목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므로 키이조작이 대단히 간략화되어 오(誤)키이조작등으로 대폭 절감할 수가 있다. 또 재생키이열의 등록은 사용자측에 있어 자유로히 행할 수가 있으므로 수치제어장치조작패널의 기능을 사용자측에서 자유로이 확장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을 적용하면 수치제어장치의 조작성등을 대폭 향상할 수가 있으므로 대단히 유효하다.

Claims (1)

  1.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입력장치에 있어서, 수치제어장치조작용 키이보오드의 특정의 키이에 대응시켜서 일련의 키이열을 기억시킬 수 있는 키이열기억회로와, 그 키이열기억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키이열을 그 키이열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의 키이가 눌렸을때 판독하여 이를 키이입력처리회로에 송출하는 키이열재생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입력장치.
KR2019880014730U 1980-09-25 1988-09-20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 KR880003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4730U KR880003973Y1 (ko) 1980-09-25 1988-09-20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33331A JPS5757307A (en) 1980-09-25 1980-09-25 Input device of key information for numerical controller
JP55-133331 1980-09-25
KR1019810003552A KR830008223A (ko) 1980-09-25 1981-09-23 수치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
KR2019880014730U KR880003973Y1 (ko) 1980-09-25 1988-09-20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552A Division KR830008223A (ko) 1980-09-25 1981-09-23 수치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973Y1 true KR880003973Y1 (ko) 1988-11-09

Family

ID=2731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4730U KR880003973Y1 (ko) 1980-09-25 1988-09-20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9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7319A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learning function
KR960005404B1 (ko) 더블 덱크 vcr의 프로그램 카피 방법
KR880003973Y1 (ko) 수치제어장치에 있어서의 키이정보 입력장치
EP0060892A1 (en) Keyboard-information input device in a numerical control unit
US4263658A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storing operational sequence
KR100584459B1 (ko) 검색기능을 갖는 시디 플레이어 및 그 검색방법
JPS6312996B2 (ko)
JPS6222253A (ja) テ−プオ−トサ−チ装置
JPS6488981A (en) Reproducing and editing device
JPH0255875B2 (ko)
JPS584426A (ja) キ−ボ−ドのモ−ド遷移方法
KR950014859B1 (ko) 녹화 프로그램의 녹화 날짜 기록 및 검색 장치
KR960004662B1 (ko) 기록초기위치에서의 오토플레이 방법
KR950008506Y1 (ko) 채널 업/다운 키와 트래킹 업/다운 키의 공용화 회로
JPS60203050A (ja) 自動ダイヤル装置
JPS58129559U (ja) 電子式キャッシュレジスタの機能モ−ド指定装置
JPS6488982A (en) Reproducing and editing device
KR0129702B1 (ko) 톱(Top) 기능을 가진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JPH067460Y2 (ja) 磁気録音再生装置
JPS58170061U (ja) デ−タ検索モ−ド表示装置
KR960002180A (ko) 광자기디스크장치
KR960015558A (ko) 전자수첩기능을 겸비한 카세트 플레이어 및 그 카세트 플레이어를 이용한 전자수첩 기능 구현 방법
JPS60135907U (ja) 数値制御装置
KR950020523A (ko) 콤포넌트 자동 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5159448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030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