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966Y1 -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966Y1
KR880003966Y1 KR2019850015184U KR850015184U KR880003966Y1 KR 880003966 Y1 KR880003966 Y1 KR 880003966Y1 KR 2019850015184 U KR2019850015184 U KR 2019850015184U KR 850015184 U KR850015184 U KR 850015184U KR 880003966 Y1 KR880003966 Y1 KR 880003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embrane
water hammer
main body
shock absor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5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599U (ko
Inventor
김유일
Original Assignee
김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일 filed Critical 김유일
Priority to KR2019850015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966Y1/ko
Publication of KR870008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5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절개하여 분해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 : 재치턱
2 : 고무막 2' : 걸림턱
3 : 캡 5 : 용착부
본 고안은 급수개시나 급수의 중단시에 송수관내에서 고압의 수격작용(Water hammering) 발생시에 그 수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수 있도록 한 송수관의 수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종류의 수격완충장치들이 있었다.
그 예로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선공고(공고번호 : 제81-1346호)된 바 있는 송수관의 수격방지구는 수격방지구체내에 소형의 원형 구체를 장입한 것으로서 이는 종래의 큰 단일구체보다 수축작용 범위가 작아져서 구체의 수명이 길고 여러개의 구체중에서 몇개가 파열되더라고 수격을 완충시킬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지속되는 효과는 있으나 소형구체의 수축범위가 적어서 파손율이 높게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이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축비가 높은 수격방지장치를 제안(공고번호 : 제85-330호)한 바 있는데 이는 수격방지구의 양측 후렌지에 반구형체로 형성된 외체의 후렌지를 볼트로 결착함에 있어 각 후렌지의 내주벽에 요홈을 요설하고 그 요홈에는 반구형체의 내면과 일치되는 반구형체의 고무막을 후렌지로 감합되게 한것으로서 수축비가 높아 완충의 효과가 우수한 이점은 있었으나 송수관의 내부에 고압의 수격이 발생되면 고무막이 수격방지구내에서 받게되는 압력과 고무막의 외주면이 받게되는 압력(이는 대기압임)이 서로 차이가 있어서 고무막의 외주연이 파손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수격방지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간단한 구조와 장치로서 송수관의 내부에서 고압의 수격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완충시킴과 동시에 고무막을 장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할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수관과 연결고정되기 위한 후렌지(1a)을 중앙부 하단에 형성한 본체(1)내에 고무막(2)을 장입시켜 고무막(2)의 수축율을 이용하여 수격발생시 완충되도록 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본체(1)의 양단부(1b)의 내측에서 본체(1)의 중앙방향으로 약간의 거리(D)가 있는 위치에 재치턱(1')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고무막(2)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2')이 재치되도록하고 재치턱(1')의 외주연부를 압착성형시키며 본체(1)의 양단부(1b)와 반구형의 캡(3)의 개구부(3')를 접속 용착하여 용착부(5)를 형성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4는 에어주입변으로서 캡과 고무막 사이의 공간부(S)에 일정량이 공기압이 형성될수 있게 한 것으로 공지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본체(1) 양단부(1b)의 내측으로 고무막(2)을 강제로 삽입시켜 고무막(2)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2')이 재치턱(1')이 내부에서 걸려서 고정되면 이를 별도의 압착성형 장치로서 재치턱(1')의 외주연부를 압착성형하면 고무막(2)은 본체(1)내에서 견고하게 협지고정이 되는데 본체(1)의 양측에 협지고정되는 고무막(2)은 서로 대설된 상태로 있게 한다.
상기 과정이 끝나게 되면 본체(1)의 양단부(1b)와 반구형 캡(3)의 개구부(3')을 접속시켜 그 접속부분을 용착시키면 용착부(5)가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 본체(1)의 양단부(1b)와 재치턱(1')사이에 약간의 거리(D)가 유지되도록 한 것은 용착부(5)의 용접작업시에 본체(1)의 양단부위(1b)가 가열되어 고무막(2)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과정이 끝나게 되면 본 고안은 송수관에 통상의 방법으로 연결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캡(3)의 상부에 형성된 에어주입변(4)을 통하여 캡(3)과 고무막(2) 사이의 공간부(S)에 일정압의 공기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송수관에서 수격이 상기의 공기압이상의 압력으로 발생되면 그 수격압력에 의하여 고무막(2)을 캡(3)이 있는 방향으로 밀리게 되는데 고무막(2)이 어느정도 밀리게 되면 캡(3)과 고무막(2) 사이의 공간부(S)의 체적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줄어든 공간부(S)의 압력을 상술한 공기압보다 높아지게 되므로 수격압력과 공간부의 압력이 대등한 관계가 될때 고무막(2)은 더이상 캡이 위치된 방향으로 밀려가게 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수격압력이 제거되면 고무막(2)은 공간부(S)내의 자체 공기압에 의하여 원위치 되므로서 수격발생시에 완충이 되는 것이며 고무막(2)은 수격이 발생되더라도 그 유동범위가 좁게 되어 장기간 동안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고무막(2)을 본체(1)내의 재치턱(1')내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있어 고무막(2)이 대기압과는 전혀 관계가 없고 또한 공간부(S)에 일정공기압이 장입되어 있으므로 수격 발생시에 고무막(2)의 유동범위가 매우적어 그 완충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동안 사용할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송수관과 연결고정되기 위한 후렌지(1a)을 중앙부 하단에 형성한 본체(1)내에 고무막(2)을 장입시켜 고무막(2)의 수축율을 이용하여 수격발생시 완충되도록 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본체(1)의 양단부(1b)의 내측에서 본체(1)의 중앙방향으로 약간의 거리(D)가 있는 위치에 재치턱(1')을 형성하여 그 내부로 고무막(2)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2')이 재치되도록 하고 재치턱(1')의 외주연부를 압착성형시키며본체(1)의 양단부(1b)와 반구형의 캡(3)의 개구부(3')를 접속 용착하여 용착부(5)를 형성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KR2019850015184U 1985-11-19 1985-11-19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KR880003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184U KR880003966Y1 (ko) 1985-11-19 1985-11-19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184U KR880003966Y1 (ko) 1985-11-19 1985-11-19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599U KR870008599U (ko) 1987-06-12
KR880003966Y1 true KR880003966Y1 (ko) 1988-11-09

Family

ID=1924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5184U KR880003966Y1 (ko) 1985-11-19 1985-11-19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9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599U (ko) 198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4125A1 (en) Valve System for Cannula Assembly
KR890016406A (ko) 안경테용 스프링작용힌지
ES291545U (es) Un biberon de nino lactante.
KR930004675A (ko) 가는 관 접속용 커넥터
KR880003966Y1 (ko)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US4135788A (en) Cycle handlebar rear view mirror assembly
US5148934A (en) Cap having a valve therein
ATE67832T1 (de) Ventil.
US5692801A (en) Bicycle saddle with an enhanced shock-absorbing capability
US5003446A (en) Composite headlamp vent device
KR880003965Y1 (ko)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CA1091489A (en) Air horn
EP0884135A3 (en) Pneumatically assisted unidirectional arcuate diaphragm conformal tool
IT1153281B (it) Parte interna migliorata per valvola atta ad essere applicata su articoli pneumatici
JPS57140937A (en) Bolster spring
GB1423194A (en) Self-shaping earplugs
JP2002122285A (ja) エアチャンバ
JP3700022B2 (ja) 合成樹脂製壜体
US4077726A (en) Grip-lock pen
CN211205262U (zh) 一种户外使用的水准仪
JPS6112122Y2 (ko)
CN219866492U (zh) 一种长寿命高密封车用电磁阀
JPH0733156A (ja) キャップの中栓
US3838850A (en) Impact noise suppressor
RU2046041C1 (ru) Заправочный узел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