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965Y1 -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965Y1
KR880003965Y1 KR2019850015183U KR850015183U KR880003965Y1 KR 880003965 Y1 KR880003965 Y1 KR 880003965Y1 KR 2019850015183 U KR2019850015183 U KR 2019850015183U KR 850015183 U KR850015183 U KR 850015183U KR 880003965 Y1 KR880003965 Y1 KR 880003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water hammer
shock absorber
rubber membran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5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598U (ko
Inventor
김유일
Original Assignee
김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일 filed Critical 김유일
Priority to KR2019850015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965Y1/ko
Publication of KR870008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9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 : 재치턱
2 : 고무막 2' : 걸림턱
3 : 캡 3' : 감합턱
본 고안은 급수개시나 급수의 중단시에 송수관내에서 고압의 수격작용(Water hammering) 발생시에 그 수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수 있도록 한 송수관의 수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종류의 수격완충장치들이 있었다.
그 예로 본원출원인이 선출원을 하여 선공고(공고번호 : 81-1346호) 된 바 있는 송수관의 수격방지구는 수격방지구 체내에 소형의 원형 구체를 장입한 것으로서 이는 종래의 큰 단일구체보다 수축작용 범위가 작아져서 구체의 수명이 길고 여러개의 구체중에서 몇개가 파열되더라고 수격을 완출시킬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지속되는 효과는 있으나 소형 구체의 수축범위가 적어서 파손율이 높게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이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축비가 높은 수격방지장치를 제안(공고번호 : 85-330호) 한바 있는데 이는 수격방지구의 양측 후렌지에 반구형체로 형성된 외체의 후렌지를 볼트로 결착함에 있어 각 후렌지의 내주벽에 요홈을 요설하고 그 요홈에는 반구형체의 내면과 일치되는 반구형체의 고무막을 후렌지로 감합되게 한 것으로서 수축비가 높아 완충의 효과가 우수한 이점은 있었으나 송수관의 내부에 고압의 수격이 발생되면 고무막이 수격방지구내에서 받게되는 압력과 고무막의 외주면이 받게되는 압력(이는 대기압임)이 서로 차이가 있어서 고무막의 외주연이 파손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수격방지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간단한 구조와 장치로서 송수관의 내부에서 고압의 수격이 발생된다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완충시킴과 동시에 고무막을 장기간동안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할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수관과 연결고정되기 위한 소켓(1a)을 형성한 본체(1)내에 고무막(2)을 장입시켜 고무막(2)의 수축율을 이용하여 수격발생시 완충되도록 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본체(1)의 일단부에 재치턱(1')을 형성하여 고무막(2)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2')이 재치되도록하고 걸림턱(2')과 재치턱(1')의 외주연부를 감합할수 있는 감합턱(3')이 형성된 캡(3)을 씌워 재치턱(1')과 감합턱(3)을 압착성형시켜 고무막(2)이 협지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4는 에어주입변으로서 캡과 고무막 사이의 공간부(S)에 일정량이 공기압이 형성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고무막(2)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걸림턱(2')이 본체(1)의 재치턱(1')과 캡(3)의 감합력(3')사이에 협지고정된 상태에서 그 연결부위를 첨부도면 제2도에서 표현된 화살펴 방향으로 압착시키면 고무막(2)은 본체(1)와 캡(3)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이 되어 본 고안의 사용시에 고무막(2)이 본체(1)와 이완될 염려가 전혀 없게되는데 이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캡(3)의 상부에 형성된 에어주입변(4)을 통하여 캡(3)과 고무막(2) 사이의 공간부(S)에 일정압의 공기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송수관에서 수격이 상기의 공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발생되면 그 수격압력에 의하여 고무막(2)을 캡(3)이 있는 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는데 고무막(2)이 어느정도 밀려 올라가게되면 캡(3)과 고무막(2) 사이의 공간부(S)의 체적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줄어든 공간부(S)의 압력을 상술한 공기압보다 높아지게 되므로 수격압력과 공간부의 압력이 대등한 관계가 될때 고무막(2)은 더이상 캡이 위치된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지는 않게된다.
그리고 수격압력이 제고되면 고무막(2)은 공간부(S)내의 자체 공기압에 의하여 원위치 되므로서 수격발생시에 완충이 되는 것이며 고무막(2)은 수격이 발생되더라도 그 유동범위가 좁게 되어 장기간동안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고무막(2)을 본체(1)와 캡(3)사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있어 고무막(2)이 대기압과는 전혀 관계가 없고 또한 공간부(S)에 일정공기압이 장입되어 있으므로 수격 발생시에 고무막(2)의 유동범위가 매우 좁게 되므로서 그 완충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동안 사용할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송수관과 연결고정되기 위한 소켓(1a)을 형성한 본체(1)내에 고무막(2)을 장입시켜 고무막(2)의 수축율을 이용하여 수격발생시 완충되도록 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본체(1)의 일단부에 재치턱(1')을 형성하여 고무막(2)의 외주연에 일체로 성형된 걸림턱(2')이 재치되도록하고 걸림턱(2')과 재치턱(1')의 외주연부를 감합할수 있는 감합턱(3')이 형성된 캡(3)을 씌워 재치턱(1')과 감합턱(3)을 압착성형시켜 고무막(2)이 협지고정되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KR2019850015183U 1985-11-19 1985-11-19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KR880003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183U KR880003965Y1 (ko) 1985-11-19 1985-11-19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183U KR880003965Y1 (ko) 1985-11-19 1985-11-19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598U KR870008598U (ko) 1987-06-12
KR880003965Y1 true KR880003965Y1 (ko) 1988-11-09

Family

ID=1924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5183U KR880003965Y1 (ko) 1985-11-19 1985-11-19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9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598U (ko) 198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4125A1 (en) Valve System for Cannula Assembly
KR900018581A (ko) 급수 튜브 커넥터
RU94007347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ведения герметика в зазор
IE832439L (en) Bursting disc pressure relief device
US4008911A (en) Joint assembly for plastic tubes
KR870011410A (ko) 관로용 연결 박육관 및 그의 접속구조
US3788358A (en) Device for mounting a bladder in an accumulator
KR880003965Y1 (ko)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DE3862983D1 (de) Loesbare rohrverbindung.
KR880003966Y1 (ko) 송수관의 수격 완충장치
US2577586A (en) Tank plug
KR880001304Y1 (ko) 누수방지용 고무링
KR890002509Y1 (ko) 보올 밸브
KR200373381Y1 (ko) 파이프 조인트
KR950007035Y1 (ko) 굴곡관 연결구의 누수방지장치
KR890000142Y1 (ko) 관연결구
KR970001997Y1 (ko) 자동차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JPH0214184B2 (ko)
US1190866A (en) Tire-valve attachment.
KR890002512Y1 (ko) 냉장고의 건조기 니플
JPH0210397Y2 (ko)
JPS6312302Y2 (ko)
KR850000330Y1 (ko) 송수관의 수격 방지장치
KR980008810U (ko) 복합형 파이프 연결밸브
JPH03255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