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676Y1 -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3676Y1 KR880003676Y1 KR2019870024378U KR870024378U KR880003676Y1 KR 880003676 Y1 KR880003676 Y1 KR 880003676Y1 KR 2019870024378 U KR2019870024378 U KR 2019870024378U KR 870024378 U KR870024378 U KR 870024378U KR 880003676 Y1 KR880003676 Y1 KR 8800036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 voltage
- winding
- flyback transformer
- voltage
- dio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 내지 제3도 및 제26도 및 제27도는 종래 회로예의 회로도.
제4도, 제11도, 제14도, 제17도, 제22도 내지 제25도 및 제28도 등은 각각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회로도 또는 블럭도.
제5도 및 제6도는 설명용의 등가회로도.
제7도 내지 제10도, 제12도 및 제13도, 제15도 및 제16도, 제18도 내지 제21도, 제29도 등은 설명용 곡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지 8,10 : 다배압 정류회로 9 : 소자
HT : 직류 고압 출력단자 E : 접지단자
T2: 플라이백 트랜스 NP : 뉴트럴 포인트
N2: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권선 15,16 : 저항 회로망
본 고안은 플라이백 펄스를 다배압 정류회로에 부여하여 직류 고전압을 발생시키도록 한 구성 형식으로 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은 그 동작시에 높은 양극 전위가 필요하므로 음극선관이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장치에는 직류의 고전압 발생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음극선관이 사용되고 있는 기기중에서 최근의 칼라 텔렐비젼 수상기(이하, 텔레비젼을 TV로 약칭한다)는 AV대응기종의 보급, 문자 다중 방송의 대응, 캐릭터 디스플레이 및 보급형 모니터의 수상기의 양산화등을 위해 고품위 화로의 요구가 강력해지고 있어, 이에따라, 칼라 TV수상기의 화질품위에 대하여도 고압 부하변동 및 링잉과 불요 복사등에 한하지 않고 작은 것이 요구되고, 또, 형상적으로도 소형 경량인 것이 요망되며 또, 범용의 TV수상기에도 채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염가인 것도 중요한 조건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칼라 TV 수상기에서의 음극선관(수상관)의 양극 전압으로서는 20내지30KV 정도의 직류 고전압이 필요하지만, 통상 이 고전압은 플라이백 트랜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플라이백 펄스를 정류하는데 의해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20 내지 30KV 정도의 직류 고전압을 플라이백 펄스의 정류에 의해 발생시키도록 하는 가장 일반적인 회로 형태로서는 대단히 많은 권선이 감겨져 있는 상태의 고압 권선을 구비하고 있는 플라이백 트랜스를 사용하여 구성시킨 것이 고려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구성 형태를 가지는 플라이백 트랜스는 큰 구조로 되는 결점이 있는 외에, 저압 권선과 고압 권선의 사이에 리키지 인덕턴스와 고압 권선의 분포용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리키지 인덕턴스와 분포용량에 의해 정해지는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의 링 성분의 주파수(자기공진 주파수)가 저하되는 것으로 되어,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 발생하는 상기 링잉 성분의 주파수를,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 주파주의 5배,9배,13배,7배등으로 되고 있는 특정한 기수배의 주파수로 설정되고, 고압부하 변동율이 작고, 또, 상기 링잉성분의 진폭이 작은 직류 고전압 장치를 구성시키도록 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리하여 플라이백 트랜스는 소형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는 수평 편향 주파수가 높게 선정되어 있는 기종에서 사용되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로서는 예를들면, 고압 권선의 권수가 적은 플라이백 트랜스를 사용하여, 소용의 차수의 기수차 고조파가 프라이백 트랜스의 고주파수를 가지는 링잉 성분을 발생시켜, 플라이백 트랜스로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를, 코크크로프트(cookroft)형 직류 고전압 발생회로에 부여하여 다배압 정류를 행하고, 코크크로프트형 직류 고전압 발생 회로로부터 소요의 전압치를 가지는 직류 고전압을 얻도록 하는 것이 종래로부터 행하여져 있다.
제1도는 상기한 구성 형태를 가지는 종래의 직류 전압 발생장치의 일예의 회로도이며, 이 제1도에 있어서, T1은 여진 트랜스, T2는 플라이백 트랜스, X는 수평 편향 출력 트랜지스터, D는 댐퍼 다이오드, C는 공진용 콘덴서, Lh는 수평 편향 코일, CS는 S자 보정용 콘덴서, N1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1차권선, N2는 그 제2차 권선(고압권선), R은 고압부하 변동율을 작게 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브리더 저항, C0는 수상관의 관벽용량, Vcc는 전원이며, 이 제1도에 도시된 회로 배치에 있어서는, 플라이백 트랜 T2의 고압 권선 N2에 접속되는 다배압 정류 회로로서, 다이오드 D1내지 D3및 콘덴서 C1,C2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2배압 정류회로(1)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의 다배압 정류회로의 다른 구성예이며, 제2도는 다이오드D4내지 D7및 콘센서 C3내지 C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위 우수 배압 정류회로(2)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고, 제3도는 다이오드 D8내지 D12및 콘덴서 C6내지 C9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3배압 정류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제2도 및 제도에 도시되어 있는 다배압 정류회로(2,3)는 제1도중의 다배압 정류회로(1)대신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 권선 N2에 접속되어, 직류 고전압의 발생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플라이백 트랜스T2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를 2배압 정류회로(1)에 공급하고, 2배압 정류회로(1)로부터 직류 고압출력을 얻도록 하는 경우에 회로중에서 사용되는 플라이백 트랜스 T2로 하여, 통상의 플라이백 트랜스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큰 코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잇는 것을 사용하고, 비교적 고압 부하 변동율이 작고, 또 링잉의 진폭도 작게 되도록한 직류 고전압 발생회로를 구성시켜, 회로중에서 사용되는 프라이백 트랜스 T2로서는, 그 고압 권선측의 공진 주파수가, 예를들면,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 주파수의 9배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면, 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직류 고압 출력은 약 20KV 정도로 되지만, 이 전압치는 직류 고압을 필요로 하는 기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직류 고압의 전압치 23KV내지 25KV에는 달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기에 필요한 전압치가 얻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들면, 플라이백 트랜스T2로서 , 그 고압 권선 N2측의 공진 주파수가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 주파수의 5배로 설정된 것을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T2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를 2배압 정류회로에 부여하여, 2배압 정류회로로 부터 소정의 질류 고전압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한 바와같이 고압 권선측의 공진 주파수가 플라이백 트랜스T2로 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 주파수의 9배로 설정되어 있는 플라이백 트랜스를 사용한 것으로 플라이백 트랜스T2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를,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다배압 정류회로에 부여하고, 그 다배압 정류회로로 부터 소정의 전압치를 가지는 직류 고전압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상기한 전자의 해결수단과 같이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 권선측의 공진 주파수를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 주파수의 9배로부터 5배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의 권회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이에 의해 고압권선용의 보빈도 큰 것이 필요하게 되고, 또, 플라이백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의 파고치도 약 13KV P-P정도로 되도록 높은 것으로 되므로, 플라이백 트랜스에서의 절연을 위한 거리와 절연물의 두께도 크게 할필요가 있어, 결국 플라이백 트랜스가 그 형태가 큰 것으로 되지만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측의 공진 주파수를 저하시키는데 의해 고압 부하 변동율도 부하 전류가 0mA내지 1mA의 변화에 대하여 약10%정도로 되어 나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해결책을 채용한 것으로는 기대한 결과를 얻을 수가 없다.
또, 상기 후자의 해결책으로 하는 경우에, 플라이백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를 제2도에 도시한 구성을 가지는 다배압 정류회로(2)에 부여하도록 하여도 제1도에 도시된 회로 배치의 직류 출력 전압에 비해 약 3내지4%정도만의 출력 전압이 상승되지 않는다(이점에 대하여, 후술의 제1표를 참조하면 좋다). 또, 이 제2도의 다배압 정류회로(2)에서는 제1도중에 도시되어 있는 다배압 정류회로(1)에해 많은 구성 부품을 필요로 하는 것이므로 다배압 정류회로로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 그에 플라이백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를 부여하도록 한 직류 고전압 발생회로를 만드는 것만으로서는 별단의 이점을 얻을 수 없다.
다음에, 상기 후자의 해결책중에서, 플라이백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가 부여될때 다배압 정류회로로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다배압 정류회로(3)가 사용된 경우에는 다배압 정류회로(3)가 3배압 정류회로이기 때문에 플라이백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의 파고치는 낮아도 좋으므로 플라이백 틀랜스 T2로서도 그 고압 권선은 권수가 작은 것으로 할 수가 있고 그러므로, 플라이백 트랜스는 그 고압 권선의 공진 주파수의 9배로 설정하는 것도 용이하며, 고압 부하 변동율은 5%전후, 링잉비는 6%정도로 되어, 성능적으로는 일반의 TV수상기용으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지만, 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3배압 정류회로(3)는 2배압 정류회로에 비해 여분의 다이오드와 콘덴서가 필요하고, 또 부품의 증가에 따라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며 장치가 대형으로 되어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결점을 가지게 된다.
또 최근에는 TV수상기의 원가 저감을 위해 플라이백 트랜스를 절연 트랜스 대신 사용하고, 전원회로를 1차측과 2차측으로 분리하는 형식의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상기한 형식의 것중에서는 저압 권선과 고압권선의 어스와, 소신호 회로등 펄스와 직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사용되어야 할 펄스 출력 권선의 어스가 분리되어 있는 것이 되고 이것으로서는 고압권선의 링잉 성분이 펄스 출력 권선에 유도되고, 소신소 회로에 공급되는 동작용 전력과 펄스에 중첩되어, 그결과 화면에 백흑의 가는선 모양 소위 고압 링잉의 선모양을 발생시키고 화면의 품위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것이 문제로 되고 그 때문에 링잉 성분의 진폭을 더욱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더우기, 화면의 품위의 형상을 위해 수평 편향 주파수가 예를들면, 24KHZ, 31.5KHZ,33KHZ,46KNZ등으로 되도록 현재의 표준방식의 TV방식에서의 수평 주사표준의 15.75KHZ보다도 높게 선택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렇게 수평 편향 주파수가 높게된 경우에는 수평 편향 주파수가 예를들면, 15.75KHZ할때에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권선의 공진 주파수가 약400KHZ로 되는 것과 같이 상기한 주파수의 9차 고조파에 같이 설정되게 한 것으로서도 그 플라이백 트랜스가 예를들면, 33KHZ의 수평 편향 주파수계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3차 고조파까지 공진시킬수가 없게 된다.
그런데, 플라이백 트랜스로부터의 출력 펄스를 정류하여 직류의 고저압을 발생시키도록 한 직류 고전압 발생회로에서의 고압 부하 변동율은 기술한 바와같이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권선의 공진 주파수가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 주파수의 5배,9배,13배,17배로 되는 특정한 기수차 고조파로 되는 것에 의해 양호한 것으로 되지만, 그 양호하게 되는 정도는 상기한 고조파의 차수가 높은 정도로 크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수평 편향 주파수가 높게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양호한 고압 부하 변동율을 나타내는 직류 고전압 발생회로를 구성시키기 위해서는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측을, 플라이백 트랜스로 부터의 출력펄스의 기본 주파수에 관해서, 높은 치수의 기수차 고조파에서 공진시키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 이문제의 해결책으로 시도된 것으로서, 플라이백 트랜스의 자심으로 하여 큰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고압 권선의 권회수를 감소시키고, 플라이백 트랜스에서의 저압 권선과 고압 권선간의 리키지인덕턴스나 고압권선의 분포 용량을 감소시키며, 또, 고압 권선을 복수 부분으로 분할하여, 상기 각 부분간에 각각 다이오드를 접속하도록 하거나 또는 플라이백 트랜스로부터의 출력 펄스를 다단 접속한 다배압 정류회로에 공급하도록 하게 한 것이지만 상기한 어떤 해결책에 있어서도 장치의 대형화와 원가의 상승을 피할 수가 없어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4개 이상의 다이오드와 2개 이상의 콘덴서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다배압 정류회로에 플라이백 펄스를 부여하여 직류 고전압을 발생시키도록 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이며, 상기4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1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다이오드 블럭과 1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다이오드 블럭에서의 소정의 것에 소속시키도록 하여 제1, 제2다이오드 블럭을 구성시키는 수단과,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서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일방측에는 상기 제1, 제2 다이오드 블럭에서의 일방의 것을, 또,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서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타방측에는 상기 제1, 제2다이오드 블럭에서의 타방의 것을,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중에 흐르는 직류 전류에 대하여 동일 극성이 되도록 접속한 수단과, 더우기,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서의 일단측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의 타단을 기준 전위점에 접속하고, 더우기,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에서의 고압 권선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 별도의 콘덴서의 이단을 접속하고, 상기 별도의 콘덴서는 상기 제1, 제2다이오드 블럭과 함께 다배압 정류회로를 구성하도록 그들 타단을 상기 제1,제2 다이오드 블럭에서의 소정의 다이오드와 다이오드와의 접속점에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 제11도, 제14도, 제17도, 제22도 내지 제25도 및 제28도 등은 각각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즉, 4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1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다이오드 블럭과, 1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다이오드 블럭에서의 소정의 것에 소속시키도록 하여, 제1, 제2다이오드 블럭을 구성시키는 수단과,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서의 일단측와 타단측의 일방측에는 상기 제1, 제2다이오드 블럭에서의 일방의 것을, 또,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서의 일단측와 타단측의 타방측에는 상기 제1, 제2다이오드 블럭에서의 타방의 것을,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증에 흐르는 직류 전류에 대하여 동일 극성이 되도록 접속하는 수단과, 더우기,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서의 일단측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의 타단을 기준 전위점에 접속하고, 더우기,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에서의 고압 권선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 별도의 콘덴서의 일단을 접속하고, 상기 별도의 콘덴서는 상기 제1,제2다이오드 블럭과 동시에 다밸압 정류회로를 구성하도록 이들의 타단을 상기 제1, 제2도 다이오드 블럭에서의 소정의 다이오드와 다이오드와의 접속점에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각 다른 실시형태의 회로도 또는 블럭도이며 이들 각 도면에 있어서, 기술한 제1도에서의 각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제1도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 첨부도면에 있어서, 제5도 및 제6도는 설명용의 등가 회로도이며, 제7도 내지 제10도, 제12도 및 제13도, 제15도 및 제16도, 제18도 내지 제21도 등의 각 도면은 설명용의 곡선도이다.
또, 제26도 및 제27도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와 비교대상을 위해 도시한 종래 장치의 회로도이다.
여기에서, 우선,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제4도의 회로배치와, 그 등가회로도 및 동작 설명용의 곡선도 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구성 원리나 동작 원리등에 대하여 설명함과 동시에, 제4도의 회로 배치로서 도시되어 있는 작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대표예로 하여,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와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비교등을 행하기로 한다.
제4도에 있어서, T1은 여진 트랜스, T2는 플라이백 트랜스, X는 수평 편향 출력 트랜지스터, D는 댐퍼 다이오드, C는 공진용 콘덴서, Lh는 수평 편향 코일, CS는 S자 보정용 콘덴서, N1은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1차 권선, N2는 그 2차 권선, R은 고압 부하 변동율을 작게 하기 위해 사용되어 있는 저항, C0는 수상관의 관벽 용량, Vcc는 전원이며, 제4도에 도시된 회로배치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 권선 N2에 접속되고, 플라이백 틀내스 T2로 부터의 출력 펄스가 부여되는 다배압 정류, 회로(4)로서는 출력 펄스가 부여되는 다배압 정류, 회로(4)로서는 다이오드 D1',D2',D3',D13'과, 콘덴서 C1',C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사용되어 있다.
제4도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 권선 N2의 권시단 "가"에는 다이오드 D13의 캐소드측이 접속됨과 동시에, 콘덴서 C1'가 접속되어 있고, 또,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 권선 N2의 권종단 "나"에는 동일의 접속 극성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는 3개의 다이오드 D1' 내지 D3'에서의 다이오드 D1'의 애노드와 콘덴서 C2'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 D3' 의 캐소드가 접속되어 있는 단자 HT는, 직류 고압의 출력단자(고압 출력단자)이다.
또, 상기 다이오드 D13의 애노드는 단자E(기준 전위점과의 접속 단자 E...도시의 예에서는 접지 단자E)를 거쳐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의 기준 전위점(제4도 회로의 경우에는 접지)에 접속되어 있고, 또, 상기 콘덴서C1'의 타단은 다이오드 D1'의 캐소드측 "다"에 접속되어 있고, 더우기, 상기 콘덴서 C2'의 타단은 다이오드 D2'의 캐소드와 다이오드 D3'의 애노드의 접속점 "라"에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제4도의 회로 배치로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 권선 N2의 권시단 "가"측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D13은 제1(또는 제2)의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이고, 또,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 권선N2에서의 권종단 "나"측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D1' 내지 D3'는 제2(또는 제1)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이며, 이들 제1, 제2의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각 다이오드는 상기 한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 권선 N2중에 흐르는 직류 전류에 대하여 동일 극성으로 되도록 이들 접속 극성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권선 N2의 권시단 "가"측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 D13의 애노드는 단자 E를 거쳐 기준 전위점에 접속되고, 또,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 권선 N2의 권시단 "가"측과, 권종단 "나"측에는 각각 별도의 C1',C2'의 각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별도의 콘덴서 C1',C2'와 상기 제1,제2의 다이오드 블럭등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 N2를 포함하여, 다배압 정류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콘덴서 C1',C2'의 타단이 제1,제2의 다이오드 블럭에서의 상술한 바와같은 소정의 다이오드와 다이오드와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단순히 플라이백 트랜스T2로 부터의 출력 펄스를 다배압 정류회로에 공급하고 다배압 정류회로로부터 직류 고압이 얻어지도록 한 것은 아니고,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를 다배압 정류회로에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상태의 것으로 하여,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같은 제반 문제점이 없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용히하게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의 상술과 같은 제반 문제점이 양호하게 해소할수 있게 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의 회로 배치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 N2에는 그 권신단 "가"측과, 그 권종단 "나"측의 쌍방에 고압 권선N2중에 흐르는 직류 전류에 대하여 동일한 접속 극성을 나타내게 한 다이오드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 N2의 권신단 "가"측이 플라이백 펄수에 대하여 고임피던스로 되고,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전선N2의 도중에는 직류 전압분이 나타나지 않는 점(이하, 뉴트럴 포인트라 칭함)이 형성되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 N2의 분포 용량이 감소하여, 또,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권신단 "가"측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권종단 "나"측에 발생되고 있는 서로 역극성이 펄스 전압이 직접 또는 콘덴서를 거쳐 다이오드로 역방향 전압으로서 부가되기 위해 다이오드에 생긴 미소 용량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 N2의 분포 용량에 직렬로 접속되는 것으로 되고, 그에 의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측의 회로의 실질적인 정전 용량을 극히 작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제5도와 제6도는 상술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와 제1도의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비교를 위해 사용되는 등가 회로도이고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등가 회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4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우선, 제1도의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등가회로를 표시하는 제5도를 참조하여, 제1도의 종래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 Vcc는 동작용 전원의 전압, SW는 스위치 동작을 행하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L'는 편향 요크의 인덕턴스Lh와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저압 권선 N1의 인덕턱스 L1의 병력 인덕턴스, L은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 권선 N1와 저압 권선 N1간의 리키지 인덕턴스, C'는 공진용 콘덴서, cd는 플라이백 트랜스 T2의 고압권선 N2의 분포용량이며, 이 회로는 주지와 같이, 수평 편향 출력 트랜지스터SW가 온, 오프 동작을 행하는데 의해, 상기한 인덕턴스 L'와 공진용 콘덴서C'에 의해 정해지는 반복 주파수를 가지는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차를 발생시키고, 또,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측의 회로에 대하여는 상기한 리키지 인덕턴스L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분포 용량cd에 의해 정해지는 공진 주파수(플라이백 펄스의 소정차수의 고조파)에서 공진되고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지만,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가 소망의 높은 전압치의 출력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하여,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 N2의 권회수를 증가시킨 경우에는 고압 권선에 있어서의 분포 용량cd나 리키지 인덕턴스L의 증가에 의해 당연한 것으로부터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 N2측의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저하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하여, 상기의 경우에도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측의 회로를, 작은 고압 부하 변동율이 얻어지는 기수차의 고조파로 공진시킬때에서의 플라이백 트랜스T2의 플라이백 펄스는 그 펄스폭이 이전의 플라이백 펄스의 펄스폭,즉,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권회수를 증가시키기 이전에 플라이백 트랜스T2로부터 발생되어 있든 플라이백 펄스의 펄스폭 보다도 넓은 것으로 되어야 한다.
전기한 바와같이 플라이백 펄스의 펄스폭이 넓은 것으로 된 경우에는 펄스의 파고치가 저하하므로 당연하지만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로부터의 직류 고압 출력 전압치도 저하한 것으로 된다. 이와같이 제5도의 등가회로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제1도의 종래 회로에서는, 직류 고압 출력 저압치를 증가시키도록 하여,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은 회수를 증가시켜도 고압 부하 변동율이 작은 상태에서 직류 고압 출력 전압치를 얻을 수는 없다.
그런데, 제4도의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제6도의 등가회로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지만 제6도의 등가회로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리키지 인덕턴스(L)에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분포용량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대지용량(cg)과 다이오드(D13)의 용량(C13) (다이오드(D13)에 역전압이 인가되어서 생기는 미소한 정전용량)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분포 용량은 전기한 다이오드(D13)가 가르키는 미소한 정전용량(C13)에 크게 영향받아 극히 작게 되기 때문에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측의 공진 주파수를 극히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다.
제1표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와,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특성의 실험 결과를 도표로 나타낸 것으로, 제1표에서는 모두 동일의 플라이백 트랜스(T2)를 사용하여 구성도 있는 하기와 같은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해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해서는, 그것을 A장치로 표현하고 또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중의 다배압 정류회로(1)대신에 제2도의 다배압정류회로(2)를 사용하여 구성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해서는, 그것을 B장치로 표현하고, 게다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해서는 그것을 C장치로 표현하고, 전기한 각 구성 태양을 가지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해서의 실험결과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제1표)
EHTO 및 EHTI은 각각 고압 부하 전류가 0mA 때의 직류 고압 출력 전압 (EHTO)과, 고압 부하 전류가 1mA때의 직류 고압 출력 전압(EHTI)을 도시하고 있고 또 고압 부하 변동율(EHTI)을 사용하여 다음의 식으로 나탄난다.
또, 전기한 제1표에 있어서, Tr은 플라이백 트랜스(T2)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의 펄스폭이고, 또 TR은 주사 기간에 발생하는 링잉 성분의 주기(플라이백 트랜스(T2)의 권압 권선(N2)측의 회로의 공진 주기이고, 이것은 이미 기술한 바와같이 대략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분포 용량(cd)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저압 권선(N1)과 고압 권선(N2)간의 리키지 인덕턴스(Lℓ)에 의해 정해진다)을 나타내고 있다.
전기한 제1표에 도시되어 있는 실험 결과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제1표중에서 C 장치로서 표시되어 있는 것)와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제1표중에서 A 장치 및 B 장치로서 표시되어 있는 것)에서는 장치중에서 동일의 플라이백 트랜스(T2)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비해서 직류 출력 전압치가 높고, 또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분포 용량이 실질적으로 감소되어 플라이백 트랜스(T2)에 발생하는 링잉 성분의 주기(TR)가 짧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이미 기술한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의 문제점을 양호하게 해소시켜 얻고 있지만 본 발명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의 전술한 바와같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행하였다.
즉, 전기한 제1표중에, A장치에 관해서의 실험결과로서 표시되어 있는 제1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플라이백 펄스와 대략 동일헌 펄스폭(Tr)의 플라이백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 플라이백 트랜스(T2)에 생기는 링잉 성분의 주기(TR)에 관해서도 그것이 전기한 제1표중에서 A장치에 관해서의 실험결과로서 표시되어 있는 주기(TR)과 대략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것같이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제4도와 같은 구성 태양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중에서 이용되어야할 플라이백트랜스(T2)구성 태양을 변경만 하여 행하도록 플라이백 트랜스(T2)로서 그것의 고압 권선(N2)의 감은 회수가 변경된 상태의 플라이백 트랜스(T2C)를 사용한 제4도의 구성 태양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제2표중에서C(T2C)장치와 같이 표시되어 있다)와, 전기한 제1표중에서 A장치로서 실험 결과가 표시되어 있는 제1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출력 전압이, 제1표중에서 C장치로서 나타나 있는 제4도의 구성 태양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대략 같게 되도록된 제1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그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중에서 이용되어야 할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구성 태양을 변경만 하여 향하도록 플라이백 트랜스(T2)로서 그것의 저압 권선(N1)의 감은 회수가 변경된 상태의 플라이백 트랜스(T2a)를 사용한 제1도의 구성 태양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제2표중에서 A(T2a) 장치와 같이 표시되어있다}를 만들어 이들 성능을 조사한 바, 제2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또, 제2표중의 A장치는 제1표중의 A장치와 동일하다.
(제 2 표)
그런데, 일반적인 TV수상기에 있어서, 수평 귀선주기(Tr)(플라이백 펄스의 펄스폭(Tr)과 동일)는 통상11㎲내지 12㎲정도로 선저오디어 있지만, 현재 플라이백 트랜스(T2)로부터 얻어지는 플라이백 펄스의 펄스폭(T2)을 제1표 및 제2표에서 A 장치로서 나타나 있는 제1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해서의 실험 결과로 보여지는 플라이백 펄스의 펄스폭(Tr)과 동일한 11.4㎲의 펄스폭으로 한 경우를 고려하면 이 경우에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을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파의 대략 제9차의 고주파로 동조시킨때의 링잉 성분의 주기(TR)은 대략 2.8㎲로 된다.
그런데, 제4도의 구성을 가지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제1표에 나타나 있는 C장치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 플라이백 펄스폭(Tr)이 9.5㎲에서 링잉 주기(TR)는 2.2㎲로 되어 있다.
전기한 링잉 주기(TR)(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측의 공진 주기, 환언하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측이 공진 주파수의 역수)는 이미 기술한 바와같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분포 용량(cd)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리키지 인덕텐스(Lℓ)에 비해
앞식에서 결정되므로, 전기의 링잉 주기(TR)를 길게 하는 것에는 전기한 식으로부터 리키지 인덕턴스(Ld)와, 플라이백 트랜스(T2)으 고압 권선(N2)의 분포용량(cd)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을 증가시키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플라이백 트랜스(T2)에 있어서, 권선의 감은 회수가 다소 변화했어도 권선의 분포용량(cd)은 그다지 변화하지 않지만 권선의 인덕턴스는 감은 회수의 2승에 대략 비례하여 증가하고 또 리키지 인덕턴스는 감은 선의 구조가 동일하다면 인덕턴스에 대략 비례하여 증가하는 등의 것은 주지한 대로 이므로, 제1표에서 C 장치로서 표시되어 있는 제4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의 플라이백 트랜스(T2)로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펄스의 펄스폭(Tr)을, 제1표의 C 장치의 난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2.22㎲로부터 제1표의 A 장치의 난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2.8㎲로 변화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기한 2개의 플라이백 펄스의 펄스폭(Tr)의 비가 2.8/2.22=1.26배인바 새로이 이용되어야할 플라이백 트랜스(T2C)로서는 그것의 리키지 인덕턴스(Lℓ)가 원래의 플라이백트랜스(T2)의 리키지 인덕턴스(Lℓ)의 (1.26)배인 것으로 하면 좋고, 그것은 원래의 플라이백 인덕턴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은 회수를 1.26배한 것으로 만들수가 있고, 그와같은 구성의 플라이백 트랜스(T2C)를 구비하고 있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즉 제2표중에 C(T2C)장치로서 나타나 있는 제4도의 구성을 가지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제1표중의 A내지C장치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은 회수를 약 1.26배한 플라이백 트랜스(T2C)를 이용할뿐이고 플라이백 트랜스(T2C)의 고압 권선(N2)의 공진 주파수를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파의 제9차 고주파의 주파수로 하면서(Tr/TR≒4)로 유지하면서 고압 전압을 변화시키지 않고 귀선 기간을 맞출 수가 있고, 이경우에도 제1표에서 C장치로서 나타나 있는 제4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와 똑같이, 고압 부하 변동율의 작은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O(T2C)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가 있다.
한편,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측을,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파의 특정한 차수의 고주파, 예를들면 제9차 고주파에 동조시키면서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파의 펄스폭(Tr)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측의 회로의 공진 주기(TR)(링잉성분의 주기(TR)과의 비Tr/TR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고압 전원 권선 출력을 증가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제2표에 있어서A(T2a)장치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저압 권선(N2)의 감은 회수를 작게 하는 방법밖에 없지만, 제1표 및 제2표에 나타나 있는 A 장치를, 제2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A(T2a)장치로 변경할 때에는, A(T2a)장치에 이용하는 플라이백 트랜스로서 그것의 저압 권선의 감은 회수가, A장치에 이용되고9 있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저압 권선에 비해서 약 20%나 적은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코일의 인덕턴스는 감은 수의 2승에 비례하여 변화함으로 전기한 바오같이 플라이백 트랜스(T2a)로서, 그것의 저압 권선(N1)의 감은 회수가 원래의 플라이백 트랜스(T2)의 저압 권선의 감은 회수보다 약 20%나 감은 회수의 적은 것으로 되면 플라이백 트랜스(T2a)의 저압 권선(N1)의 인덕턴스는 원래의 플라이백 트랜스(T2)의 저압 권선의 인덕턴스의 약 60%로 감소하여 버린다. 또, 플라이백 트랜스(T2a)의 자심의 자속 밀도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자심의 자속밀도의 약 1.2배로 되고, 그것에 의해 플라이백 트랜스(T2a)에는 그것의 저압 권선(N1)에 흐르는 전류의 증가와, 자심의 손실의 증가에 의해 온동 상승의 증대가 생기고, 또 고압 부하 변동율에도 대폭적인 악화를 생기게 하므로 제2표에 나타낸A(T2a)장치와 같은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성능의 면과 신뢰성의 양면에서 봐서 실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로서는 적당하지 않는 것이 실험의 결과로부터 밝혀졌다.
그리고 제2표의 실험결과는 종래 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해 통상의 해결책으로서 기술한것 같은 해결책 즉 제1도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중의 다배압 정류회로로서 제3도와 같은 회로 배치로 나타내는 것 같은 것을 사용하거나 혹은 플라이백 트랜스로서 대형 자심을 갖추고 있는 것을 사용하거나 하는 것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의 종래의 해결책은 그 어느 것이고 원가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에 채용할 수 없는 것은 기술한 바와같다.
상기 제1도의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고압 회로측의 각부의 전압 상태는 제7도에 기재되어 있는 설명용 파형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고 또 제4도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직류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고압 회로측의 각부 전압 상태는 제8도에 기재되어 있는 설명용 파형도에 도시된 것과 같다.
제7도에 있어서의 a,b,c,d등의 부호는 제1도의 고전압 발생장치중의 고압회로의 각부에 붙인 a내지b등의 부호와 대응시킨 것이고 또 제8도에 있어서의 가,나,다,라,마 등의 부호는 제4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중의 고압회로 각부에 붙인 가 내지 마등의 부호와 대응시킨 것으로서 이같은 회로도중의 부호와 설명용 파형도중의 부호와의 대응 관계는 다른 실시예 회로도나 설명용 파형도등에 관하여도 같다.
또 각 도중에 있어서 0은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접지 전위를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제4도에 도시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고압회로에 발생하는 뉴트럴 포인트가 플라이백 트랜지스터의 고압 권선의 권회수에 대해 거의 중앙부분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제7도와 제8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전압(V1), (V2), (V1'), (V2')등간의 관계는
V1+V2=2(V1'+V2')
로 된다. 그리고 2배압 정류회로의 동작 원리는 콕크크로프트 회로의 동작 원리와 완전 동일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직류 고압 출력 전압(EHT)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게 된다.
EHT=2V1+V2=2(2V1'+V2')
제1도의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고압회로중에 사용되고 있는 각 다이오드에 가해지는 전압은 상기한 제1도의 회로 배치와 제7도의 설명용 파형도와의 대응 관계로부터 제9a도 및 제9b도와 같게 나타나게 되고, 또 제4도의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있어서의 고압 회로중에 사용되고 있는 각 다이오드에 가해지는 전압은 상기 제4도의 회로 배치와 제8도의 설명용 파형도와의 대응관계에서 제10a도 내지 10c도로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3표는 제1도 및 제4도에 의해 각각 도시된 각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중의 고전압 회로로 사용되고 있는 각 다이오드나 각 콘덴서등의 양단에 가해지는 전압값을 표시한 일람표이다. 제3표의 기재사항에서 알 수 있듯이 제4도의 회로 재치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다이오드(D3')(D13)등에는 제1도의 회로 배치중에 사용되고 있는 다이오드(D1내지D3)에 가해지는 전압의 절반밖에 가해지지 않는다.
(제 3 표)
(같은 고압 출력 전압을 얻는 경우)
제4도의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제1도의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1개의 회로부품, 즉 다이오드(D13)를 추가하므로서 구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상기 한 제1표 내지 제3표의 기재 사항을 참조하여도 알 수 있듯이 양자의 성능은 완전 상위하다.
즉, 제4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제1도의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콘덴서(C1)의 접지측의 단자와 플라이백 트랜스에 있어서의 고압 권선의 접지측 단자와의 양자을 함께 접지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서로 접지하고, 상기 양자의 접지점과 접지와의 사이에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중에 흐르는 직류 전류에 대하여 정방향의 접속 극성을 나타내는 것 같은 접속 상태로 다이오드(D13)를 접속하여 구성한 것이고 이같은 구성으로 하므로써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의 중앙부분(고압권선의 권회수에 대한 중앙부분)에 뉴트럴 포인트(직류 전압만이 존재하고, 교류성분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자리)가 형성되어서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의 각 일단에는 상기 뉴트럴 포인트를 교류적인 0점으로 하고 있는 것 같은 파고값을 나타내는 펄스 전압(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 발생하는 펄스 전압의 거의 1/2의 전압값을 표시하는 전압)이 나타난다.
따라서 제4도의 구성을 하고 있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그것의 고압 회로중에서 사용되는 각 다이오드나 각 콘덴서등에 가해지는 전압값은 상기한 제3표에 표시되어 있는 것같은 전압으로 된다.
그런데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그것의 직류고압의 출력단자(HT)와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중에 발생하는 뉴트럴 포인트와의 2개소 이외의 부분에서는 직류분에 교류분이 중첩된 상태의 전압밖에 얻을 수 없다고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이나, 제1표와 제2표등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있듯이 실질적으로 분포용량의 적은 고압 권선을 갖춘 플라이백 트랜스를 쉽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고압 부하 변동율이 작은 상태에서 높은 직류 고압 출력을 출력할 수 있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쉽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 및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비해 링잉 성분의 진폭을 극히 작게할 수 있다고 하는 점등의 각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 단순히 다배압 정류 회로를 접속시킨 것만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에 불과한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와는 전혀 다른 구성 원리에 따라 구성되는 한편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와는 전혀 다른 동작 특성이 있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점에 대한 보충 설명이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대하여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련하여 후술되어 있다.
다음제 제11도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1도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안 권선의 각 일단에 접속되는 회로를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의 중앙부에 대해 대칭적인 형이 되도록 하여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플라이백 트랜스에 있어서의 고압 권선의 거의 정확한 중앙부 위치에 뉴트럴 포인트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본 발명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한 실시예의 회로도이고, 제11도에 도시한 회로 배치에 있어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 (N2)에 접속되어서 플라이백 트랜스T2에서의 출력 펄스가 주어지는 다배압 정류회로(5)로서는 다이오드(D1'),(D2'),(D3'),(D13)와 콘덴서(C1"),(C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것이 사용되고 있다.
제11도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기 개시단(사)에는 한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는 다이오드(D1')(D13)에 있어서의 다이오드(D1')의 캐소드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한 다이오드(D13)의 애노드의 접지 단자(E)를 두어 기준 전위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기 끝단(아)에는 다른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다이오드(D2')(D3')에 있어서의 다이오드(D2')이 애노드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한 다이오드(D3')의 캐소드에는 고압 출력 단자(HT)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한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다이오드(D1')(D3')와 다른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다이오드(D2'), (D3')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권선중에 흐르는 직류 전류에 대해 동일 접속 극성이 되도록 그들의 접속 극성이 정해져 있다.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T2)에 있어서의 고압 권선(N2)의 감기 끝단(아)측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 (D2')의 캐소드와 다이오드(D3')의 애노드와의 접속점(자)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감기 개시단(사)과의 사이에는 콘덴서(C1")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에 있어서의 감시 개시단(사)측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D1')의 애노와 다이오드(D13)의 캐소드와의 접속점으로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기 끝단(아)과의 사이에는 콘덴서(C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1도의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한 실시예 회로에서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각 일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회로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중에 발생하는 뉴트럴 포인트의 위치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권회수의 거의 1/2의 부분에 발생한다.
즉,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중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의 위치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대지용량이 같게 분할되는 점이므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는 회로가 제11도의 회로와 같이 거의 동일 구성의 것이고 그 양 회로가 각각 접지에 대해 나타내는 용량도 거의 같은 경우에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중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의 위치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권회수의 거의 정확하게 1/2의 부분에 발생하는 것이다.
제12도는 상기 제11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고압 회로측의(바), (사), (아), (자), (차)등의 각점의 전압 상태를 나타낸 설명용의 과형도이고, 또한 제13a도 및 제13b도는 상기 제11도에 표시한 회로 배치중에 사용되고 있는 각 다이오드(D3'), (D13), (D1'), (D2')에 가해지는 전압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에, 제14도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출력 펄스가 주어지는 다배압 정류회로로서 3배압 정류회로(6)를 사용하여 구성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실시예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이 제14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기 개시단(타)에 대해서, 한쪽의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D15), (D14)에 있어서의 다이오드(D15)의 캐소드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다이오드(D14)의 애노드는 접지 단자(E)를 두어 기준 전위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기 끝단(파)에는, 다른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다이오드(D16), (D17), (D18)에 있어서의 다이오드(D16')의 애노드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다이오드(D16')의 캐소드에는 고압 출력 단자(HT)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다이오드(D15), (D14)와 다른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다이오드(D16), (D17), (D18)등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권선중에 흐르는 직류 전류에 대해 동일한 접속 극성이 되도록 그것들의 접속 극성이 정해져 있다.
사기 플라이백 트랜스(T2)이 있어서의 고압 권선(N2)의 감기 끝단(파)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D16')의 캐소드와 다이오드(D17')의 애노드와의 접속점(하)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감기 개시단(타)과의 사이에는 콘덴서(C11)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감기끝단(파)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D17)의 캐소드와 다이오드(D18)의 애노드와의 접속점(거)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기끝단(파)와의 사이에는 콘덴서(C12)가 접속되어 있고, 다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에 있어서의 감기 개시단(타)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D15)의 애노드와 다이오드(D14)의 캐소드와의 접속점(카)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감기 끝단(파)과의 사이에는 콘덴서(C10)가 접속되어 있다.
제15도는 상기한 제14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고압 회로측의(카), (타), (파), (거), (저)등의 각 점의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용의 파형도이고 또한 제16a도 내지 16d도는 상기 제14도에 도시한 회로 배치중에 사용되고 있는 각 다이오드(D14), (D15), (D16), (D17), (D18)등에 가해지는 전압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14도의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기술한 제1도의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2배합 정류회로(1)의 대신에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에서 플라이백 펄스가 주어져야 하는 다배압 정류회로도로서 제3도와 같은 구성 상태를 하고 있는 3배합 정류회로를 사용한 구성의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비해 회로중에 필요케 되는 콘덴서의 개수를 1개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회로중에 사용되는 5개의 다이오드중 2개는 내압이 절반인 것되 좋다는 등의 특징이 있으므로 신뢰성이나 원가등의 면에서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비해 뛰어나다.
또한 제14도에 도시하는 것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거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에서 고압 출력 단자(HT)로 얻어지는 전압값의 약 40%의 전압값을 나타내는 직류 전압을 취출할 수 있으므로 제14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그것의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에서 직류 전압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해둠으로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수상관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수상관이면 어떤 수상관일지라도 상기와 같이 하여 취출한 직류 전압을 포커스 전압용의 전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도 갖추고 있다.
제17도는 다배압 정류회로로서 3배합 정류회로를 사용하여 본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구성케한 경우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나 이 제17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예컨대 높은 직류 고압 출력 전압이 필요하게 되는 때나 혹은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사용하는 플라이백 트랜스(T2)로서 그것의 고압권선(N2)의 권회수를 기술한 제4도의 실시예에 관련시켜 설명한 것의 약60%로 감소시킨 것으로 하고 그것에 의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측의 회로가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파의 제13차 고주파에 동조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고압 부하 변동율의 한층 향상된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가 구성되도록 하는 경우등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17도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래스(T2)의 고압권선(N2)의 감기 개시단(러)에는 한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는 다이오드(D21), (D20), (D19)에 있어서의 다이오드(D21)의 캐소드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다이오드(D19)의 애노드는 접지 단바(E)를 두어 기준 전위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감기 끝단(머)에는 다른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다이오드(D22), (D23), (D24)에 있어서의 다이오드(D22)의 애노드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다이오드(D24)의 캐소드에는 고압 출력 단자(HT)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다이오드(D21), (D20), (D19)와 다른쪽의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다이오드(D22), (D23), (D24')등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권선중에 흐르는 직류 전류에 대하여 동일 접속 극성이 되도록 그것들의 접속극성이 정해져 있다. 상기플라이백 트랜스(T2)에 있어서의 고압권선(N2)의 감기끝단(머)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D22)의 캐소드와 다이오드(D23)의 애노드와의 접속점(버)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감기 개시단(러)과의 사이에는 콘덴서(C15)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감기 끝단(머)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D22)의 캐소드와 다이오드(D24)의 애노드와 접속점(서)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감기 끝단(머)과의 사이에는 콘덴서(C16)가 접속되어 있고, 다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에 있어서의 감기 개시단(러)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에 속하는 다이오드(D21)의 애노드와 다이오드(D20)의 캐소드와의 접속점(더)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기 끝단(머)과의 사이에는 콘덴서(C14)가 접속되어 있다.
다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기 개시단(러)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에 있어서의 다이오드(D19)의 캐소드와 다이오드(D20)의 애노드와의 접속점(너)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감시 개시단(러)과의 사이에는 콘덴서(C13)가 접속되어 있다.
제18도는 상기 제17에도 도시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고압 회로측의 (너),(더),(러),(머),(버),(서),(어)등의 각점의 전압상태를 나타내는 설명용의 파형도이고 또한 제13a도 내지 19c도는 상기 제17도에 도시한 회로 배치중에 사용되고 있는 각 다이오드(D19),(D24),(D20')(D23')(D21')(D22')에 가해지는 전압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4표는 지금까지 제4도, 제11도, 제14도, 제17도등의 회로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온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에 발생하는 뉴트럴 포인트가 얻어지는 전압값(Vn)과 상기한 전압값(Vn)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직류 고압 출력 전압 (고압 출력 단자 HT에 출력되는 직류 전압)Vht에 대한 백분율(Vn / Vht %)를 나타낸 표이다.
(제 4표)
또한 제4표중에 k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에 발생하는 뉴트럴 포인트의 위치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권회수의 1/2의 위치에서 벗어나 있을 경우에 상기의 벗어난 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계수를 나타내고 있다(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 N2에 발생하는 뉴트럴 포인트의 위치는 고압 권선의 감는 방법이나 플라이백 트랜스의 구조등에 따라서 상위한 뉴트럴 포인트의 양측의 권선에 있어서의 분포용량의 언밸런스에 의해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의 권회수의 1/2의 위치에서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이고 상기한 보정계수(k)는 통상 1내지 0.8정도의 값을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제4표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중에 발생하는 뉴트럴 포인트의 위치에 나타나는 직류전압(Vn)내에서 제11도 및 17도에 대한 것에 관하여는 보전계수(k)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것은 제11도, 제17도시의 회로 배치처럼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각단에 대하여 거의 같은 구성의 정류회로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의 권회수의 1/2의 위치에 설치한 뉴트럴 포인트의 단자에 대하여 보정계수(k)의 값과는 관계없이 직류고압 출력 전압(Vht)의 거의 1/2의 전압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 제4표를 보면, 제4도, 제11도, 제14도, 제17도의 각도에 표시되어 있는 각 회로배치를 갖추고 있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권선(N2)중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에 나타나는 직류전압(Vn)은 제4도시의 회로배치의 것을 제외하고 직류 고압 출력 전압(Vht)의 1/3이상의 전압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수상관의 포커스 전압은 애노드 전압의 30% 이하인 것이 많으므로 상기한 제4표에 표시한 각 회로 배치의 내에서 제4도의 것을 제외한 각 회로배치는 그것들에 있어서의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에 나타나는 직류 전압(Vn)을 수상관의 포커스 전압용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현재 수상관에 있어서 포커스 전압이 애노드 전압의 40%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은 시판되고는 있지 않으므로 제4표에 표시되고 있는 수치로 보아 상기한 제11도, 제17도 등에 도시되고 있는 회로배치를 갖추고 있는 각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그것들에 있어서의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중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에 나타나는 직류 전압을 현재의 모든 수상관의 포오커스 전압용의 전원으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링잉 성분은 TV수상기의 재생화면이나 TV수상기의 가까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VTR의 영상에 대해 현저하게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로서는 그것으로부터 발생되는 링잉성분이 될 수 있는 한 작게 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제5표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와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에 관하여 각각 여러가지 크기의 고압 부하 전류에 있어서의 링잉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한 링잉 비율과는 (링잉 성분의 진폭)가 (펄스의 파고값)의 몇%인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에 접속되어 있는 고압회로는 높은 임피턴스를 지니고 있고 그 회로에 측정기의 프로브가 스치는 것만으로 측정값에 변화가 생기는 정도이므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링잉성분의 진폭 측정은 플라이백 트랜스의 자심에 유기된 전압을 측정하므로서 행하였다.
( 제 5 표 )
상기한 제5표중에서 「제11도의 회로(100μA의 브리이터)」란 제11도시의 회로 배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100μA 크기의 브리이더 전류를 직류 고압 출력단자(HT)와 접지간에 흐르게 하고 있는 상태의 회로를 의미하고, 또한 제5표중에 「제2도의 회로」란 다배압 정류회로로서 제2도시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 다배압 정류회로(2)를 제1도시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다배압 정류회로(1)의 대신에 사용하고 있는 구조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의미하고 있다.
제5표에 도시되고 있는 실험결과에 의하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은 구성을 갖추고 있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어떤 좁은 범위내의 고압 부하 전류의 값과 대응하여 링이성분은 최저의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그 이외의 고압 부하전류의 값에 대해서는 링잉 성분이 증가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고압 부하 전류가 0경우에 대해 보면 상기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 발생하고 있던 링잉성분과 같은 정도의 크기의 링잉성분이 발생하고 있으나 고압 부하 전류가 조금이라도 흐르기 시작하면 링잉 성분의 크기는 급격하게 감소하여 고압 부하전류가 증가하여도 링잉 성분의 크기가 증가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고, 이점은 제5표에 기재되어 있는 실험결과에도 명백하게 표시되어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제5표에 도시되어 있는 실험결과와 같은 고압 부하 전류가 흐른 상태시에 링잉성분이 격감하는 것이나 어떤 이유에 따라 그와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인가는 현재로서는 정확하게는 해명되어 있지 않다(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그것의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측에 구성되는 고압회로는 높은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회로이기 때문에 측정기에 의해 회로중의 링잉 성분을 직접 측정할려고 해도 예컨대 회로중에 측정기의 프로브를 접촉한 것만으로 회로의 동작상태가 변화하여 버리므로 측정기에 의해 정확한 측정을 행할 수는 없다.)
그러나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고압회로와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고압 회로와의 구성상태의 다름 및 동작의 상위등에 착안하여 고찰을 한 결과로서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와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와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관하여 상기한 제5표에 도시되어 있는 같은 특성의 상위함이 발생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일 것이라고 추측되었다.
즉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고압회로에 있어서는 주사시간과 귀선기간에 관해서 각각 별도로 충전전류가 흐르고 있었던 것에 대하여,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고압회로에 있어서는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의 양단에 상기 고압 권선중에 형성된 뉴트럴 포인트에 대하여 상호 역극성의 펄스 전압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주사기간과 귀선 기간과의 쌍방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중에는 상호 역방향의 전류가 거의 동시에 흐르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인하여 링잉성분이 제거되거나 또는 링잉성분이 다이오드에 의해 크램프되는 것으로 인하여 감쇠되는 것에 의해 결국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링잉 성분이 극히 적게 될 것이라고 추측된 것이다.
상기 제5표에 도시되어 있는 실험결과는 표중의 첫번째 우측란에 표시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고압회로에 브리이더 저항을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것을 사용하여 실험을 한 경우에 얻어진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통상 그것의 고압회로에는 브리이더 저항이 접속되거나 혹은 수상관의 포어커스 전압을 취출하기 위한 분압저항이 접속되기도 하는 것으로서 고압 회로중에는 예컨대 100내지 150μA정도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것이다. 제5표에 있어서의 제1우측란에 표시되어 있는 실험결과는 제11도와 같은 구성상태를 하고 있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직류 고압출력단자(HT)와 접지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브리이더 저항(R)에 100μA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있을 경우의 것이고 이와같이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실제의 사용상태와 같이 고압 부하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에는 제5표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링잉 성분이 극히 작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제20도와 제21도와는 제1도시의 종래의 직류 고전압 장치와 제11도의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고압 부하 전류가 150μA때에 플라이백 트랜스의 자심에 유기된 전압 파형(WF)과 플라이백 트랜스의 저압 권선중에 흐르는 전류파형(CFI)을 표시한 것이나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링잉성분을 표시하고 있는 제21도와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링잉성분을 표시하고 있는 제20도를 비교하면 곧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비해 장치중에서 발생하는 링잉성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수 있는 것이다.
제22도와 제23도와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고 제22도는 기술한 제11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NP)에 단자(9)를 접속하므로서 뉴트럴 포인트(NP)에 나타나는 직류 전압을 상기 단자(9)에서 취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표시한 것이도 또한 제23도는 상기 제22도의 구조를 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NP)와 직류고압 출력단자(9)와의 사이에 브리이더 저항(11)을 접속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2도와 제23도에 있어서 (8),(10)등은 각각 다배압 정류회로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한 제23도에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직류 고압 출력단자(9)와 플라이백 트랜스(T2)의 고압 권선(N2)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NP)와의 사이에 접속되는 브리아더 저항(11)에는, 직류 고압 출력단자(9)에 나타나는 전압(Vht)의 1/2의 전압밖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저항(11)으로서는 작은 전력용량의 저항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제24도와 제25도와는 상기 제22도나 제23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직류 출력 단자(9)와 접지와의 사이에 저항 회로망(15)이나 저항 회로망(17)을 접속하여 수상관의 포오커스 전극 전압이나 스크린 전극 전압등이 가변조정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표시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도 그리고 수상관용의 포오커스 전극 전압이나 스크린 전극 전압등도 발생될 수 있도록 출력 전압을 저항 회로망으로 분압하여 상기 각종의 전압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었다.
제26도 및 제27도 등은 종래의 각종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포어커스 전압의 취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우선 제26도에서는 직류 고압 출력단자(HT)와 접지와의 사이에 저항 회로망(15)을 접속하여 포어커스 전압이 직류 고압 출력전압(Vht)을 분압한 상태의 것으로 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고압 부하 전류가 변화한 경우에 있어서의 직류 고압 출력 전압에 대한 포어커스 전압의 비율은 제29도의 곡선(2)과 같이 거의 일정한 것으로 되나 이것은 제29도의 곡선(1)로서 표시되어 있는 이상적인 포어커스 트래킹 곡선과는 달리하고 있어도 실용상에서는 지장이 없는 범위의 것이기 때문에 제26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은 포오커스 전압의 취출방법은 종래부터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제26도시와 같은 포어커스 전압의 취출방법이 채용된 경우에는 원래의 놓은 전압을 저항으로 분압하여 낮은 전압으로서 취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극히 높은 저항값이 있는 고가인 저항기가 필요하게 되는 다른 포오커스 전압의 취출단자(18)에서 본 전원의 내부 임피던스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포어커그 전류의 변화에 의해 로오커스 전압의 변화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한 포어커스 전류의 변화는 수상관의 동작 개시시에 있어서의 드리프트, 경년 변화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고 따라서 상기한 원인에 의한 포어커스 전류의 변화에 의해 포오커스 전압이 변화한다고 하는 바람직스럽지 못한 현상이 발생한다.
또, 제27도에 도시한 것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2배합 정류회로중에서 비교적 낮은 전압값의 직류 전압이 얻어지는 곳과 접지와의 사이에 저항 회로망(15)을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제27도시의 직류 고저압 발생장치에서는 비교적 저항 값이 낮은 염가의 저항기가 될 수 있으나 이 회로에 있어서의 포어커스 전압의 변화 특성은 제29도중의 곡선(3)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것 즉 제9도중에서 곡선(1)에 의해 표시된 것 같은 이상적인 특성과는 동떨어진 특성이 된다. 그 때문에 제27도에서 표시되는 것 같은 회로는 통상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와같이 제26도나 제27도에 표시되어 있는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성능적으로도, 혹은 원가면에서도 만족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제24도나 제25도에서 표시하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상기한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와 같은 문제점이 없고 포오커스 전압 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 같은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로 되어 있다.
우선 제24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저항(12)과 가변 저항기(13)와 저항(14)이 직렬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저항 회로망(15)을 단자(9)와 접지와의 사이에 접속하여 가변 저항기(13)의 조정에 의해 단자(18)에서 수상관의포어커스 전극 전압이 조정 자유자재로 얻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 제25도시의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저항(12)과 가변 저항기(13)와 저항(14)과 가변저항(16)가 직렬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저항 회로망(17)을 단자(9)와 접지와의 사이에 접속하여 가변저항기(13)의 조정에 의해 단자(18)에 수상관의 포오커스 전극 전압이 조정 자유롭게 얻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가변 저항기(16)에서 수상관의 스크린 전극 저압이 조정 자유롭게 얻어질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 제24도 및 제25도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수상관의 포오커스 전극 전압이나 스크린 전극 전압등을 낮은 내부 임피턴스의 전원에서 쉽사리 얻을 수 있고 또 상기한 저항 회로망(15),(17)등은 브리이더 저항기로서도 동작하므로 고압 부하 변동율이나 주사기간의 링잉 성분의 감소도 달성되는 외에 양호한 전압 변화 특성도 얻게 된다.
즉, 제24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즉, 제24도나 제25도등에 표시하는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고압 부하 전류의 변화에 대한 직류 고압 출력 전압과 포오커스 전압과의 비율의 변화특성(포오커스 트래킹특성)으로서 제29도중의 곡선(4)으로 표시되는 것처럼 특서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9도중의 곡선(4)으로 표시하는 특성은 고압 부하 전류가 0내지 20μA정도라고 말하듯이 고압 부하 전류가 극히 작은 범위내에 있어서는 고압 부하 전류값의 변화에 대하여 크게 변화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고압 부하 전류값이 큰 부분에 있어서는 기술한 제26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특성 곡선 즉 제29도중의 곡선(2)으로 표시되어 있는 특성 보다도 이상적인 특성에 가까운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것 같이 제24도나 제25도등에 표시되고 있는 구성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고압 부하 전류값이 극히 작은 범위와 대응하여 고압 출력 전압과 포오커스 전압과의 비율이 고압 부하 전류값의 변화에 대하여 크게 변화하고 있으나, 고압 부하 전류값이 극히 작은 범위에 있어서는 수상관의 형광면이 어두운 상태이므로 이점은 실용상에서 하등의 지장도 발생케 하지 않으며 수상관의 형광면이 발게 되는 고압 부하 전류의 범위에 있어서는 기술한 바와같은 양호한 특성으로 동작을 할 수 가 있다.
또 포오커스 전극 전압원이나 스크린 전극 전압원등에 있어서의 내부 임피던스에 관하여 보아도 분압 회로로서 사용되는 저항 회로망(15), (17)등은 기술한 바와같이 전압이 낮은 곳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낮은 낮은 임피던스 상태로 되어있다.
또 제24도, 제25도시의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가 제23도에 표시되어 있는 것 같은 구성상태를 갖추고 있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단자(9)에 대해 저항 회로망(15) (혹은 17)을 접속하여 구성한 것일 경우에는 고압 출력단자(HT)와 플라이백 트랜스 고압 권선중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NP)와의 사이에 접속한 저항(11)이 저항 회로망(15), (17)등이 접속되어 있는 부분의 전위를 규제하므로 더욱더 한층 양호한 포오커스 트래킹을 표시하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가 구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저항 회로망(15), (17)이나 저항 회로망(15), (17)과 저항(11)과의 짝짓기 회로 등이 고압 부하로서도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그것으로 인해 고압 부하 전류의 저전류 영역에서의 고압변동이 억제됨과 함께 링잉성분의 진폭이 큰 부분도 제거되므로 고압 변동이 작고 더구나 링잉성분의 진폭이 작은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제28도는 상기 제24도, 제25도중에 표시되어 있는 것 같은 구성을 갖추고 있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직류 고압 출력단자(HT)와 접지와의 사이에도 브리이더 저항(R)을 접속한 구성으로 하고 제29도중의 곡선(5)과 같은 특성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이나 이 실시에 장치에서는 상기 제24도, 제25도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비해 보다 한층 고압변동율이나 링잉성분의 진폭이 작은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는 실시예에 표시한 것에 한정됨이 없이 다른 다배압 정류를 하는 것에 적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서 명백하듯이 본 고안은 4개 이상의 다이오드와 2개 이상의 콘덴서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있는 다배압 정류회로에 플라이백 펄스를 부여하여 직류 고전압을 발생하도록 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이고 상기 4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1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다이오드 블럭과 1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다이오드 블럭에 있어서의 소정의 것에 소속시키도록 하여 제1, 제2다이오드 블럭을 구성시키는 수단과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 있어서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일방측에는 상기 제1, 제2다이오드 블럭에 있어서의 한쪽의 것을 또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권선에 있어서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타방측에는 상기한 제1, 제2의 다이오드 블럭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것을 상기한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중에 흐르는 직류 전류에 대하여 동일 극성이 되도록 접속하는 수단과 다시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권선에 있어서의 일단측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의 타단을 기준 전위점에 접촉하고 다시 또 상기한 플라이백 트랜스에 있어서의 고압권선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 별개의 콘덴서의 일단을 접속하고 상기한 각 별개의 콘덴서는 상기한 제1, 제2의 다이오드 블럭과 함께 다배압 정류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그것들의 타단을 상기한 제1, 제2의 다이오드 블럭에 있어서의 소정의 다이오드와 다이오드의 접속점에 접속하는 수단을 갖추어 이루어지는 직류 고전압 잘생장치이고 이 본 발명의 직류고전압 발생장치에 의하면 기술한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재문제점을 모두 양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중에 직류 전위점이 되는 뉴트럴 포인트가 형성되는 것으로 인하여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의 양단에 발생하는 펄스는 상기한 뉴트럴 포인트에 대해 상호 역극성의 것으로 되어 있어 상기의 펄스는 그 파고값이 종래의 경우의 거의 절반이고 따라서 펄스에 대한 회로의 절연을 종래보다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소형 경량화가 용이해진다.
또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 직류 전위점이 되는 뉴트럴 포인트가 형성되는 것으로 인하여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의 분포용량이 감소하고 그로 인하여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권선측의 회로를 플라이백 펄스의 기본파의 주파수에 대하여 소정의 높은 차수의 기수차 고조파에 동조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다시 상기와 같이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권선의 분포용량이 감소할 수 있기때문에 상기의 분포용량의 감소분과 대응하는 몫만큼 고압 권선의 권회수를 증가시켜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측의 공진 주파수를 그대로의 상태로 하여 높은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11도와 같은 구성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로 하면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비해 내압이 낮은 콘덴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장치보다도 신뢰성이 뛰어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우기 제14도처럼 적은 개수의 콘덴서를 사용하여 종래의 3배압 정류회로를 사용한 고전압 발생장치보다도 높은 출력 전압이 얻어지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의 소형화와 저렴한 원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권선의 양단에 대칭적인 구성을 하고 있는 정류회로가 접속된 상태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로 함으로서 뉴트럴 포인트의 형성위치와는 관계없이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의 직류 전위를 직류 고압 출력 전압의 거의 절반의 값으로 할 수 가 있고 또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에 나타나는 직류 전압을 취출하여 그것을 수상관의 포오커스 전극 전압이나 스크린 전극 전압으로서 이용이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상기의 전압원은 내부 임피던스의 낮은 전원으로서 양호하게 사용되고 포오커스 전압의 드리프트나 경년 변화에 대해 안정성을 증가시키는데 유효하다.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 형성되는 뉴트럴 포인트와 직류 고압 출력 단자와의 사이에 저항을 접속하고 또 상기한 뉴트럴 포인트 접지와의 사이엔 가변 저항기를 포함 구성하고 있는 저항회로망을 접속하여 상기의저항 회로망에서 포오커스 전압이나 스크린 전압등이 취출되도록 하면, 더욱 한층 포오커스 트래킹을 양호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내전압이 낮은 소형의 저항 소자의 짝짓기에 의해 고가인 대형 브리이더 저항을 사용한 경우와 같은 회로 동작을 할 수가 있고 또 고압 부하 전류의 저전류 영역에 있어서의 고압 변동이나 링잉 성분의 저감화를 실현할 수 있는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이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는 주사기간에 있어서의 링잉 성분이 작으므로 링잉성분에 의한 화면품질의 열화를 일으키지 않고 또 주변기기에 대해서 방해를 주는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에 의하면 기술한 종래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의 제결점이 해소된 뛰어난 성능의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 4개 이상의 다이오드와2개 이상의 콘덴서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다배압 정류회로에 플라이백 펄스를 부여하여 직류 고전압을 발생시키도록 한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서, 각각이 1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다이오드 블럭(D1', D'2, D'3, 제4도),9 (D2', D'3, 제11도), (D16, D'7, D18, 제14도), (D22, D23, D24, 제17도), (D2, D'3, 제22도), (D2, D3, 제23도)과, 제2다이오드 블럭(D13, 제4도), (D'1, D13, 제11도), (D15, D14, 제14도), (D21, D'0, D'9, 제17도), (D'1, D13, 제22도), (D'1, D13제23도)에서의 소정의 것에 상기 4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소속시키도록 하여 제1, 제2 다이오드를 소속시키도록 하여 제1, 제2 다이오드 블럭을 구성시키는 수단과, 플라이백 트랜스의 단일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압 권선에서의 일단측과 타단측 내의 일방측에 상기 제1, 제2다이오드 블럭에서의 일방의 것을, 또, 플라이백 트랜스의 단일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압 권선에서의 일단측과 타단측내의 타방측에 상기 제1, 제2다이오드 블럭에서의 타방의 것을 접속하여, 다시, 각 다이오드의 극성은 제1의 다이오드 블럭을 통한 직류 전류가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의 단일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압 권선을 통하여 제2의 다이오드 블럭으로 계속하여 흐르는 극성이 되도록 접속되며, 플라이백 트랜스의 단일 구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압 권선중에서의 일단측에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 블럭의 타단을 기준 전위점(E)에 접속하고,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에서의 단일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압 권선의 일단측 (나, 제4도), (아, 제11도), (파, 제14도), (머, 제17도), (아, 제22도), (아, 제23도)과 타단측(가, 제4도), (사, 제11도), (타, 제14도), (러, 제17도), (사, 제22도), (사, 제23도)에 각각 별도의 콘덴서의 일단을 접속하고, 상기 별도의 콘덴서(C'2, C'1, 제4도), (C"2, C"1, 제11도), (C10, C12, C11, 제14도), (C14, C16, C15, C13, 제17도), (C"2, C"1, 제22도), (C"2, C"1, 제23도), 가 상기 제1, 제2 다이오드 블럭과 함께 다배압 정류 회로를 구성하도록 이들 타단을 상기 제1, 제2다이오드 블럭에서의 소정의 다이오드와 다이오드와의 접속점(라, 다, 제4도), 바, 자, 제11도), (카, 거, 하, 제14도), (더, 서, 버, 더, 제17도), (바, 자, 제22도), (바, 자, 제23도)에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의 단일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압 권선에서의 대략 뉴트럴 포인트의 위치(NP)와 접지사이에 저항 회로망(15, 17)을 접속하고, 상기 저항 회로망을 자유롭게 조정하여(13, 16)필요한 직류 전압을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직류 고전압의 출력단(HT, 제23도)과,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권선에서의 대략 뉴트럴 포인트(NP)의 위치사이에 저항(11)을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제23, 24, 25, 2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70024378U KR880003676Y1 (ko) | 1983-03-22 | 1987-12-31 |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8047575A JPS59172945A (ja) | 1983-03-22 | 1983-03-22 | 直流高電圧発生装置 |
JP58-47575 | 1983-03-22 | ||
KR1019840001472A KR840008244A (ko) | 1983-03-22 | 1984-03-22 | 직류고전압 발생장치 |
KR2019870024378U KR880003676Y1 (ko) | 1983-03-22 | 1987-12-31 |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3676Y1 true KR880003676Y1 (ko) | 1988-10-12 |
Family
ID=2729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70024378U KR880003676Y1 (ko) | 1983-03-22 | 1987-12-31 |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80003676Y1 (ko) |
-
1987
- 1987-12-31 KR KR2019870024378U patent/KR8800036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06305A (en) |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sawtooth deflection current through a line deflection coil | |
US3866086A (en) | Flyback transformer apparatus | |
KR900002306B1 (ko) | 플라이백 변성기 | |
US2678413A (en) | Transformer | |
JPS59172945A (ja) | 直流高電圧発生装置 | |
US3843903A (en) | High voltage generator | |
US3814981A (en) | Horizontal centering circuit | |
KR880003676Y1 (ko) | 직류 고전압 발생장치 | |
US3146373A (en) | Circuit arrangement for dynamic postfocusing in electrostatic focusing cathode-ray tubes | |
US3769542A (en) | Flyback eht and sawtooth current generator having a flyback period of at least sixth order | |
US3912971A (en) |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a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sawtooth deflection current | |
KR900002779B1 (ko) | 직류고전압 발생장치 | |
KR930005134B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 |
CN1123208C (zh) | 阴极射线管的聚焦供电 | |
US4841201A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flyback transformer constructed to control leakage currents | |
US5043638A (en) | Dynamic focus adjusting voltage generating circuit | |
JP2607434B2 (ja) | ダイオード分割方式の高圧変圧器 | |
US3673458A (en) | Circuit arrangement comprising switching means for periodically interrupting a current supplied to an inducting coil | |
JP3370856B2 (ja) |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補正回路 | |
KR910001466Y1 (ko) | 텔레비젼 고압 안정화 회로 | |
JPS6311067A (ja) | 直流高電圧発生装置 | |
KR810001734B1 (ko) | 고압 발생장치 | |
US4454572A (en) | Flyback transformer with improved regulation | |
KR850001075B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 |
JPH0658853B2 (ja) |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4072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