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597Y1 - Computer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Computer termi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597Y1
KR880003597Y1 KR2019850009474U KR850009474U KR880003597Y1 KR 880003597 Y1 KR880003597 Y1 KR 880003597Y1 KR 2019850009474 U KR2019850009474 U KR 2019850009474U KR 850009474 U KR850009474 U KR 850009474U KR 880003597 Y1 KR880003597 Y1 KR 880003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gate
latch circuit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94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2724U (en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9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597Y1/en
Publication of KR870002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2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97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30Control of display attrib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컴퓨터 단말장치의 속성신호 제어회로Attribute signal control circuit of computer terminal equipment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구성을 도시해 놓은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에 입력되게 되는 데이터의 프레임구조도.2 is a frame structure diagram of data to be input to the circuit shown in FIG.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에 대한 타이밍챠트이다.3 is a timing chart for the circui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3 : 랫치회로 2 : 문자발생기1, 3: Latch circuit 2: Character generator

4 : 쉬프트레지스터 NR1, NR2: 노아게이트4: Shift register NR 1 , NR 2 : Noah gate

AD1~AD3: 앤드게이트 OR1~OR3: 오아게이트AD 1 to AD 3 : AND gate OR 1 to OR 3 : Oagate

EX1: 배타적 오아회로EX 1 : exclusive oA circuit

본 고안은 컴퓨터 단말장치의 속성신호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속성 RAM의 사용없이 속성신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된 컴퓨터 단말장치의 속성신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ribution signal control circuit of a computer termi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ttribution signal control circuit of a computer termina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ttribution signal processing without the use of an attribution RAM.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의 데이터출력용 단말장치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모니터 장치를 들수 있는바, 이 모니터 장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예컨대 도형이나 문자등으로 표시(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 monitor devic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erminal devices for data output of a microcomputer. The monitor device is configured to display (display) output data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for example, as a figure or a character.

또한, 상기와 같이 문자를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경우에 있어서는 문자 표시를 다양하게 수행하기위해 비데오 RAM과는 별도로 속성RAM(Attribute RAM)을 사용하거나 또는 PIO(parallel input and output type LATCH)를 사용함으로써 문자를 반전시키거나 혹은 문자에 밑즐을 긋는 등과 같은 속성(Attribute)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In addition, when displaying characters on the monitor scree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erform various character display, attribute RAM (Independent of RAM) or parallel input and output type LATCH (PIO) is used. By doing this, attribute control such as inverting a character or underlining a character can be performed.

그러나, 종래의 속성 RAM을 사용하여 속성처리를 수행하도록 된 경우에 있어서는 속성문자를 비데오 RAM 대신에 속성 RAM에다 기록하게 되므로 비데오 RAM의 사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비데오 RAM 이외에 별도로 속성 RAM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비데오 RAM과 같은 크기의 속성 RAM을 사용해야함은 물론 동각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랫치회로를 추가로 사용해야만 하게 됨으로써 회로가 복잡해 짐과 더불어 가격상승이 초래되고, 또 PIO를 사용하여 속성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효과면에 비해서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attribute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the conventional attribute RAM, the attribute character is written in the attribute RAM instead of the video RAM, so that the use range of the video RAM can be extended. As the separate RAM is used, the same amount of RAM as the video RAM must be used, and additional latch circuits for matching the timing are required, which leads to complicated circuits and an increase in price. 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attribute contro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increases compared to the effect.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속성 RAM 및 PIO를 사용하는 대신에 일반적으로 문자를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때 사용되는 ASCII코드에 있어서 이 ASCII 코드중 특정비트가 문자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로우레벨로 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 ASCII 코드중 특정비트가 로우레벨로 될 경우에 속성데이터 값을 비데오 RAM을 통해 랫치회로에 저장하여 놓고, 이때 이 랫치회로에 저장된 데이터값으로 이후의 속성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속성제어회로의 간단화 및 생산가격의 저감화를 도모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stead of using attribute RAM and PIO, a specific bit of the ASCII code is a character in the ASCII code that is generally used to display a character on a monitor screen. In case of not displaying the value, it is considered to be low level. When a certain bit of this ASCII code becomes low level, the attribute data value is stored in the latch circuit through the video RAM, and the data value stored in this latch circuit is The purpose of the subsequent attribute control is to simplify the attribute control circuit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데이터선(D0~D6)에 문자발생기(2)와 쉬프트레지스터(4)가 순차접속된 문자발생 회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D0~D3)에 랫치회로(1)의 입력단자(d0~d3)가 접속됨과 더불어, 데어터선(D5, D6)에는 노아게이트(NR1)와 다른 한 단자에 문자 클록신호(CK1)가 인가되는 앤드게이트(AD1)를 거쳐서 상기 랫치회로(1)의 클록입력단이 접속되는 한편, 상기 데이터선(D7)에는 클록입력단에 돗트클록신호(CK2)가 인가되는 랫치회로(3)의 한 입력단자(d1)가 접속되고, 상기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0)에는 다른 한 입력단자에 신호(A)가 입력되는 앤드게이트(AD2)를 거쳐 다른 한 입력단이 상기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1)에 접속된 오아게이트(OR1)가 접속되며, 상기 노아게이트(NR1)와 앤드게이트(AD1)의 접속점에는 한 입력단이 상기 오아게이트(OR1)의 출력단에 접속된 노아게이트(NR2)가 접속되고, 이 노아게이트(NR2)의 출력단에는 한 입력단에 쉬프트/로우드 신호(CK3)가 인가되는 오아게이트(OR2)를 거쳐 쉬프트레지스터(4)의 클리어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2)에는 한 입력단에 신호(B)가 인가되는 앤드게이트(AD3)를 거쳐서 랫치회로(3)의 입력단자(d2)가 접속되고, 상기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3)에는 랫치회로(3)의 입력단자(d3)가 접속되며, 이 랫치회로(3)의 출력단자(Q2)에는 한 입력단이 상기 쉬프트레지스터(4)의 출력단에 접속된 오아게이트(OR3)와 한 입력단이 상기 랫치회로(3)의 다른 출력단자(Q3)에 접속된 배타적 오아회로(EX1)를 차례로 거쳐 출력단자(OUTPUT)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subject innovation is in the data lines (D 0 ~ D 6), character generator 2 and shift register 4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haracter generator, the latch circuit (1) to the data lines (D 0 ~ D 3) the input terminal (d 0 ~ d 3) is deeoteo line (D 5, D 6), in addition as soon connected, NOR gate (NR 1) and the character clock to another terminal signal (CK 1) is applied to the aND gate (AD 1) via the other hand, that the clock input terminal of said latch circuit (1) connected to the data lines (D 7), the one input terminal of the latch circuit 3, to which the dot clock signal (CK 2) to the clock input terminal (d 1 )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0 of the latch circuit 1, and the other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latch circuit 1 via an AND gate AD 2 through which a signal A is input to the other input terminal. the output terminal (Q 1) of Iowa gate (OR 1) a is connected, wherein the gate Iowa said NOR gate (NR 1) and has one input connection point of the aND gate (AD 1) connected to a (OR 1) The shift gat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NR 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NR 2 via a shift register OR 2 through which the shift / loud signal CK 3 is applied to one of the shift registers. (4) clear terminal (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2 ) of the latch circuit (1), the input terminal (d 2 ) of the latch circuit (3) is connected via an AND gate (AD 3 ) to which a signal (B) is applied to one input terminal. The input terminal d 3 of the latch circuit 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3 of the latch circuit 1, and on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2 of the latch circuit 3. An output terminal via an ORA gate OR 3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hift register 4 and an exclusive OR circuit EX 1 connected to another output terminal Q 3 of the latch circuit 3 in order. (OUTPUT) is connected.

제1도는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구성을 도시해 놓은 회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도의 데이터선(D0~D7)에 입력되게 되는 ASCII 코드화된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해 놓은 도면으로, 제2도에서 데이터(D0~D7;편의상 각 데이터에 대한 참조부호는 그 데이터가 입력되게 되는 데이터선과 동일부호로 나타냈다)중 데이터(D5, D6)는 데이터(D0~D6)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성비트로서 이 데이터(D5, D6)중 어느 하나라도 "1"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D0~D6)는 문자정보인 것을 의미하고, 상기 데이터(D5, D6) 모두가 "0"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D0~D3)는 문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데이터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데이터(D7)는 본 고안과는 관계없는 것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FIG.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IG. 2 is ASCII coded data to be input to the data lines D 0 to D 7 of the circuit diagram shown in FIG. of the drawing place by showing the frame structure, the second even data (D 0 ~ D 7; reference symbol for each data for convenience are shown as data lines and the same code is to be the data is input), data (D 5 of, D 6) the data (D 0 ~ a characteristic bit indicating a feature of D 6) the data (D 5, D 6) which any of "1" is the data (D 0 ~ D 6, if one or more of) the character information means and intended to the data (D 5, D 6) If all is "0", the data (D 0 ~ D 3) means that the attribute data indicating the attribute of the character to the data (D 7) is It is ir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is omitted.

즉, 제1도에서 데이터(D5, D6)가 모두 "0"가 아닌 경우, 즉 속성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D0~D6)가 문자정보로서 문자발생기(2)에 입력되게 되는 바, 이때는 노아게이트(NR1)에서 로우레벨이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D1)에 입력됨에 따라 앤드게이트(AD1)의 출력도 로우레벨로 되게 되고, 이어 이 로우레벨 출력이 랫치회로(1)의 클록입력단에 인가되게 됨으로써 랫치회로(1)는 출력이 모두 로우레벨(초기에는 랫치되어 있던 데이터가 없으므로)로 되게 된다. 한편, 상기 문자 발생기(2)에서는 입력된 데이터(D0~D6)에 대응하는 패턴화된 문자정보를 발생시켜 병렬입력을 직렬로 출력시켜 주는 쉬프트레지스터(4)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노아게이트(NR1)로 부터의 로우레벨 입력과 오아게이트(OR1)로 부터의 로우레벨 입력에 의해 노아게이트(NR2)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고, 이어 이 하이레벨 출력이 오아게이트(OR2)를 통하여 쉬프트레지스터(4)의 클리어 단자()에 인가되므로 쉬프트레지스터(4)에서는 상기 문자 발생기(2)로 부터 입력되는 병렬 문자정보가 돗트클록 신호(CK4)[이 돗트클록 신호(CK4)는 랫치회로(3)에 입력되게 되는 돗트클록 신호(CK2)와 동기화되어 있다]와 쉬프트/로우드 신호(CK3)에 따라 직렬화되어 순차 출력되게 된다.That is, in FIG. 1, when the data D 5 and D 6 are not all "0", that is, not in the attribute mode, the data ((D 0 to D 6 ) is input to the character generator 2 as character information. bar, at this time, the low level is output from the NOR gate (NR 1) is presented to the aND gate (AD 1) enter the aND gate is also low level output of the (AD 1) as in, followed by a low level output is latched is presented circuit By being appli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of (1), the latch circuit 1 has all of its outputs at the low level (since no data was initially latched), while the character generator 2 inputs the data D 0. ~ D 6) to generate a patterned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re is transmitted to the shift register (4) which was output to the parallel input in series, and wherein said NOR gate (input low level of from NR 1) and Iowa gate Noah gate (NR 2 by low-level input from (OR 1 ) ) Output becomes high level, and this high level output is then passed through the oragate OR 2 to the clear terminal of the shift register 4. In the shift register 4, the parallel charact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character generator 2 is input to the dot clock signal CK 4 (the dot clock signal CK 4 is input to the latch circuit 3). Synchronized with the dot clock signal CK 2 ] and the shift / loud signal CK 3 to be serialized and sequentially output.

이어, 상기 쉬프트레지스터(4)로 부터 순차 출력되는 직렬화된 문자정보가 오아게이트(3)에 인가되게 되는데, 이때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0~Q3)로 부터 출력되는 출력레벨이 모두 로우레벨임에 의해 랫치회로(3)의 출력단자(Q2, Q3)로 부터 출력되는 출력레벨도 모두 로우레벨로 되므로 상기 쉬프트레지스터(4)로 부터 출력되는 문자정보는 그대로 출력단자(OUTPUT)로 출력되게 된다.Subsequently, serialized character information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4 is applied to the oragate 3 , wherein the output leve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Q 0 to Q 3 of the latch circuit 1 is output. Since all of these are low level, the output level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Q 2 and Q 3 of the latch circuit 3 also become low levels. Therefore, the characte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4 is output as is. Will be output to (OUTPUT).

한편, 입력데이터(D0~D6)중 데이터(D5, D6)가 모두 로우레벨로 되는 몇개의 클록시간동안, 즉 속성제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안(속성제어 데이터가 입력된 후에는 다시 문자 데이터가 입력됨)에는 데이터(D5, D6)가 모두 로우레벨인 데이터는 시스템에 대한 제어 데이터이므로 문자발생기(2)로 부터는 문자정보가 출력되지 않게 되고, 이때 데이터(D5, D6)가 모두 로우레벨임에 의해 노아게이트(NR1)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어 [제3도(3-2)] 다른 한 입력단에 문자클록신호(CK1)인 제3도(3-1) 신호가 입력되게 되는 앤드게이트(AD1)에 입력되게 됨으로써 그 앤드게이트(AD1)의 출력단으로 부터 제3도(3-3) 신호가 출력되어 랫치회로(1)의 클록신호 입력단에 인가되게 된다. 즉 랫치회로(1)에 입력데이터(D0~D3)가 랫치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some clock time in which all of the data D 5 and D 6 of the input data D 0 to D 6 become low level, that is, while the attribute control data is input (after the attribute control data is input), In the character data is input), since the data (D 5 , D 6 ) are all low-level is the control data for the system,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not output from the character generator (2), the data (D 5 , D 6) 6 ) are all at low level, so the output of the noble gate NR 1 is at high level. [Fig. 3 (3-2)] The third level (3-) which is the character clock signal CK 1 at the other input terminal. 1) Since the signal is inputted to the AND gate AD 1 to which the signal is input, the signal of FIG. 3-3 is outputted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AND gate AD 1 to the clock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latch circuit 1. To be authorized. In other words, the input data D 0 to D 3 are latched in the latch circuit 1.

한편, 데이터(D5, D6)가 모두 로우레벨일 경우에 비데오 RAM(도시되지 않음)으로 부터 데이터선(D0~D3)으로 입력되는 속성데이터(D0~D3)에 있어서, 데이터(D0)는 깜박거림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신호이고, 데이터(D1)는 공백, 데이터(D2)는 밑줄, 그리고 데이터(D3)는 반전속성을 나타내는 속성신호로서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ttribute data D 0 to D 3 inputted from the video RAM (not shown) to the data lines D 0 to D 3 when the data D 5 and D 6 are all at the low level, Data D 0 is an attribute signal indicating a blinking attribute, data D 1 is used as an empty signal, data D 2 is underlined, and data D 3 is used as an attribute signal indicating an inversion attribute.

우선, 비데오 RAM으로 부터 입력되는 입력데이터(D0~D6)가 "1000000"일 경우, 즉 깜박거림 속성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인 경우에는 입력데이터 "1000000"중 데이터 "1000"가 앤드게이트(AD1)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될 때 랫치회로(1)에 랫치되게 됨으로써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0~Q3)로 부터 Q0가 "1"이고 나머지가 "0"인 "1000"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랫치회로(3)의 입력단자(d2, d3)에 모두 루우레벨(즉 "0")이 입력되어 그 출력단으로 "0"데이터가 출력되는 한편, 앤드게이트(AD2)의 출력단으로 부터는 깜박거림 비율을 나타내는 클록신호(A)가 출력되게 되는 바, 이때 노아게이트(NR1)의 출력단으로 부터는 입력데이터(D0~D6)가 속성제어 데이터에서 통상의 문자데이터로 바뀌는 순간부터 로우레벨이 출력되게 됨으로써 상기 클록신호(A)가 다른 입력단에 쉬프트/로우드(Ahift/Load)신호(CK3)가 인가되고 있는 오아게이트(OR2)에 입력되게 된다.First, when the input data D 0 to D 6 input from the video RAM is "1000000", that is, the data for executing the flickering attribute, the data "1000" of the input data "1000000" is an AND gate ( When the output of AD 1 becomes high level, the latch is latched to the latch circuit 1 so that Q 0 is "1" from the output terminals Q 0 to Q 3 of the latch circuit 1, and the rest is "0". "1000" data is output. Therefore, a low level (i.e., "0") is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s d 2 and d 3 of the latch circuit 3 so that "0" data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thereof, an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AND gate AD 2 . The clock signal A indicating the flickering ratio is outputted from the output stage of the NOA gate NR 1 from the moment when the input data D 0 to D 6 are changed from the attribute control data to the normal character data. As the low level is outputted, the clock signal A is inputted to the oragate OR 2 to which the shift / load signal CK 3 is appli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한편, 쉬프트레지스터(4)는 병렬 입력데이터를 직렬 출력데이터로 출력시켜 주는 것으로서, 즉 예를 들어 이 쉬프트레지스터(4)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8비트의 병렬 데이터인 경우, 쉬프트/로우드단(S/L)에 입력되는 쉬프트/로우드 신호(CK3)[제3도(3-7)]가 로우레벨로 될 때 상기 8비트 병렬 입력데이터를 쉬프트레지스터(4)에 로우드하고, 이어 쉬프트/로우드 신호가 하이레벨로 될 때 돗트클록신호(CK4)(도시하지 않음)에 따라 1비트씩 출력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클록신호(A)의 주기는 쉬프트/로우드 신호(CK3)의 주기보다도 상당히 더 길게 설정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ift register 4 outputs parallel input data as serial output data,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data input to the shift register 4 is parallel data of 8 bits, the shift / loud stage S When the shift / loud signal CK 3 (FIG. 3-7) input to L / L becomes low level, the 8-bit parallel input data is routed to the shift register 4, and then shifted. When the low signal reaches a high level, the bit clock signal CK 4 (not shown) is output by 1 bit, and the period of the clock signal A is a shift / loud signal CK. It is set considerably longer than the period of 3 ).

따라서, 클록신호(A)와 쉬프트/로우드 신호(CK4)를 상기 오아게이트(OR2)에 입력시키고, 이 오아게이트(OR2)의 출력신호를 쉬프트레지스터(4)의 클리어단자()에 입력시키게 되면 이 쉬프트레지스터(4)의 클리어 여부가 상기 클록신호(A)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클록신호(A)의 1개 펄스당 쉬프트/로우드 신호(CK3) 펄스가 10개 발생된다고 하면, 클록신호(A)가 하이레벨인 동안에는 오아게이트(OR2)로 부터 항상 하이레벨이 출력되어 쉬프트레지스터(4)가 클리어되지 않게 됨으로써 이때는 쉬프트레지스터(4)로 부터 정상적으로 문자정보가 출력되게 되는데, 이때 랫치회로(3)의 출력단자(Q2, Q3)로 부터 로우레벨이 출력되므로 쉬프트레지스터(4)로 부터 출력되는 문자정보는 그대로 출력단자(OUTPUT)로 출력된다.Accordingly, the clear terminal of the clock signal (A) and a shift / low DE signal (CK 4) the type and the Iowa gate (OR 2), the Iowa gate (OR 2), the output signal shift register (4) of ( ), Whether or not the shift register 4 is cleared is controlled by the clock signal A. FIG. That is, for example, if 10 shift / loud signal CK 3 pulses are generated per pulse of the clock signal A, from the oragate OR 2 while the clock signal A is at a high level. Since the high level is always output and the shift register 4 is not cleared,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normally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4, at which time from the output terminals Q 2 and Q 3 of the latch circuit 3. Since the low level is output, the characte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4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UTPUT.

한편, 클록신호(A)가 로우레벨인 동안에는 쉬프트/로우드 신호(CK4)가 로우레벨로 될 때마다 쉬프트레지스터(4)가 클리어됨에 의해 쉬프트/로우드 신호(CK4)가 로우레벨로 될 때 입력데이터를 로우드하도록 되어 있는 쉬프트레지스터(4)에 데이터가 로우드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이때는 출력단으로 어떠한 데이터도 출력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랫치회로(1)에 깜박거림 속성데이터(Q0~Q3가 "1000")가 랫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후에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되는 문자를 클록신호(A)에 따라 깜박거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ever the shift / loud signal CK 4 becomes low level while the clock signal A is low level, the shift register 4 is cleared so that the shift / loud signal CK 4 becomes low level. When the data is not loaded into the shift register 4, which is configured to load the input data, it is impossible to output any data to the output stage. Accordingly, when the flicker attribute data (Q 0 to Q 3 is " 1000 ") is latched in the latch circuit 1,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later flicker according to the clock signal A. FIG.

다음,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하게 될 문자를 표시하지 않고 그 자리를 공백(blank)으로 하게 되는 공백 속성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blank attribute control in which a space is left blank without displaying a character to be displayed on a monitor screen.

공백 속성처리를 수행하게 될 경우[제3도(3-5)]에는 입력데이터(Q0~Q6)가 "100000"로 입력되게 되는 바, 이때 상기한 깜박거림 속성처리시와 마찬가지로 문자 발생기(2)가 비동작 상태로 되는 한편 랫치회로(1)에는 "100"이 랫치되어 다음에 다른 속성제어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이 "100"이 출력단자(Q0~Q3)로 출력되게 된다. 한편, 이때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 속성제어신호가 입력된 바로 다음에는 입력데이터(D0~D6)선으로 문자처리에 대한 데이터, 즉 D5와 D6중 최소한 어느 하나는 "1"인 데이터가 입력되어 문자발생기(2)는 정상적인 문자처리를 수행하게 된다.When the blank attribute processing is performed [Fig. 3 (3-5)], the input data Q 0 to Q 6 are inputted as "100000". In this case, the character generator is operated as in the case of the blink attribute processing. While (2) becomes inoperative, latch circuit 1 latches "100" so that "100" is output to output terminals Q 0 to Q 3 until another attribute control signal is input next. do. On the other hand, as in the above case, immediately after the attribute control signal is input, the data for the character processing, that is, at least one of D 5 and D 6 , is data of input data (D 0 to D 6 ). Is input and the character generator 2 performs normal character processing.

이어, 상기와 같이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0~Q3)로 부터 데이터 "100"가 출력되게 되면, 앤드게이트(AD2)와 노아게이트(NR1)로 부터 각각 로우레벨(상기한 바와같이 속성데이터가 입력된 후 문자데이터가 입력되므로)이 입력되고 있기 때문에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1)로 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 출력이 노아게이트(NR2)를 통해 로우레벨로 반전되어 오아게이트(OR2)에 인가되는 바, 이때는 상기 깜박거림 속성처리시중 클록신호(A)가 하이레벨인 상태와 마찬가지 상태로 되어 쉬프트레지스터(4)에 문자발생기(2)로 부터의 병렬 입력데이터가 로우드될 때마다 이를 클리어시키게 된다. 따라서 쉬프트레지스터(4)로 부터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음과 더불어 랫치회로(3)의 출력단자(Q2, Q3)로 부터도 로우레벨이 출력되므로 이때 모니터 화면상에는 해당 문자에 대한 위치가 공백(blank)으로 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data “100”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Q 0 to Q 3 of the latch circuit 1 as described above, the low level (from the AND gate AD 2 and the NO gate NR 1 , respectively). Since the character data is input after the attribute data is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high level output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Q 1 of the latch circuit 1 is low through the noar gate NR 2 . Inverted to the level and applied to the OR gate OR 2 , in this case, during the blinking attribute processing, the clock signal A is in the same state as the high level, and is shifted from the character generator 2 to the shift register 4. Whenever parallel input data is loaded, it is cleared. Therefore, since the data is not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4 and the low level is also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Q 2 and Q 3 of the latch circuit 3,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blank on the monitor screen. blank).

이어, 밑줄 속성처리시[제3도(3-6)]에는 입력데이터(Q0~Q6)로 "10000"이 입력되는 바, 이때는 상기한 동작에 의해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1~Q3)로 부터 "10"가 출력되게 된다.Subsequently, "10000" is input to the input data Q 0 to Q 6 at the time of the underscore attribute processing (FIG. 3-6). In this case, the output terminal of the latch circuit 1 is operated by the above operation. "10" is outputted from Q 1 ~ Q 3 ).

이어,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2)로 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 출력이 다른 입력단에 신호(B)가 인가되는 앤드게이트(AD3)에 입력되는 바, 여기서 신호(B)는 밑줄에는 해당되는 위치, 예컨대 문자 디스플레이를 13스캔라인으로 하는 경우 마지막 스캔라인을 디스플레이할 때 하이레벨로 되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신호(B)가 하이레벨로 될 경우에 랫치회로(3)의 출력단자(Q2)로 하이레벨이 출력되는 한편, 랫치회로(1)의 다른 출력단자(Q0, Q1, Q3)는 모두 로우레벨이기 때문에 다른 부분의 동작은 통상의 문자처리시와 마찬가지로 된다. 죽 문자발생기(2)에 이해 패턴화된 문자정보가 쉬프트레지스터(4)를 통해 오아게이트(3)로 순차 입력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high level output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Q 2 of the latch circuit 1 is input to the AND gate AD 3 to which the signal B is applied to another input terminal, where the signal B is underlined. When the corresponding position, for example, the character display is 13 scan lines, the high level is displayed when the last scan line is displayed. Therefore, in this case, when the signal B becomes high level, the high level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Q 2 of the latch circuit 3, while the other output terminals Q 0 , Q 1 , Q of the latch circuit 1 are output. 3 ) are all at the low level, so the operation of other parts is the same as in normal character processing. The patterned character information understood by the bamboo character generator 2 is sequentially input to the oragate 3 through the shift register 4.

이에 따라 신호(B)가 로우레벨인 경우, 즉 13스캔라인중 12스캔라인까지는 랫치회로(3)의 출력단자(Q2, Q3)로부터 로우레벨이 출력됨에 따라 통상의 문자처리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시프트레지스터(4)로 부터 출력되는 문자 정보가 출력단자(OUTPUT)로 그대로 출력되는 한편, 신호(B)가 하이레벨로 될 경우, 즉 13스캔라인째에는 랫치회로(3)의 출력단자(Q2, Q3)로 부터의 출력 데이터가 각각 "1", "0"로 되어 출력단자(OUTPUT)로 "1111111"이 출력되게 됨으로써 이 신호에 의해 모니터 화면상에 선이 그어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ignal B is at a low level, that is, up to 12 scan lines of the 13 scan lines, the low leve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Q 2 and Q 3 of the latch circuit 3, so that the signal B is at a low level. Similarly, the characte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4 is output as it is to the output terminal OUTPUT, while the signal B becomes high level, that is, the output terminal of the latch circuit 3 at the 13th scan line. The output data from Q 2 , Q 3 ) becomes "1" and "0", respectively, so that "1111111"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UTPUT, and a line is drawn on the monitor screen by this signal.

또한, 반전속성제어 데이터가 입력데이터선(D0~D6)으로 입력되게 되면[제3도(3-4)], 상기한 동작에 의해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0~Q3)로 부터 "1"이 출력되는 바, 이에 따라 랫치회로(3)의 출력단자(Q3)로 부터 하이레벨("1")이 출력되어 배타적 오아회로(EX1)에 입력되는 한편, 다른 부분은 통상의 문자처리시와 마찬가지로 동작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version attribute control data is input to the input data lines D 0 to D 6 (Fig. 3 (3-4)), the output terminals Q 0 to Q of the latch circuit 1 by the above operation. 3 ) is outputted from the output terminal Q 3 of the latch circuit 3, and thus a high level (1) is outputted to the exclusive OR circuit EX 1 . The other part operates as in the normal character processing.

따라서, 배타적 오아회로(EX1)에서 쉬프트레지스터(4)로 부터 출력되는 문자정보와 랫치회로(3)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터("1")와의 연산이 수행되는 바, 예를 들어 문자정보가 "100111"라고 하면 출력단자(OUTPUT)로 "1011000"이 출력되게 됨으로써 이후에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되는 문자는 명암(明暗)이 바뀌어 표시되게 된다.Therefore, in the exclusive OR circuit EX 1 , the operation of the characte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4 and the data “1” output from the latch circuit 3 is performed. When " 100111 " is output, " 1011000 " is output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PUT, so that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are displayed after changing the contrast.

또한, 상기한 속성제어 모드에서 통상의 문자처리 모드로의 복귀는 입력데이터(D0~D6)로 "0"이 입력됨으로써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turn from the attribute control mode to the normal character processing mode is performed by inputting "0" into the input data D 0 to D 6 .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속성 RAM을 사용하는 대신에 문자처리에 사용되는 비데오 RAM을 공용하여 속성제어를 실행하고, 또 동일한 속성제어를 수행할 경우에는 각 문자처리시마다 속성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시 동일한 속성데이터를 입력받을 필요가 없게 되므로 속성제어회로의 간단화 및 비데오 RAM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using a separate attribute RAM, the video RAM used for character processing is used to execute attribute control, and when the same attribute control is performed, attribute processing is performed for each character process. In order to avoid the need to receive the same attribute data again, the attribute control circuit can be simplified and the video RAM can be more efficient.

Claims (1)

데이터선(D0~D6)에 문자발생기(2)와 쉬프트레지스터(4)가 순차 접속된 문자발생 회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D0~D3)에 랫치회로(1)의 입력단자(d0~d3)가 접속됨과 더불어, 데이터선(D5, D6)에는 노아게이트(NR1)와 다른 한 단자에 문자클록신호(CK1)가 인가되는 앤드게이트(AD1)를 거쳐서 상기 랫치회로(1)의 클록입력단이 접속되는 한편, 상기 데이터선(D7)에는 클록입력단에 돗트클록신호(CK2)가 인가되는 랫치회로(3)의 한 입력단자(d1)가 접속되고, 상기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0)에는 다른 한 입력단에 신호(A)가 입력되는 앤드게이트(AD2)를 거쳐 다른 한 입력단이 상기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1)에 접속된 오아게이트(OR1)가 접속되며, 상기 노아게이트(NR1)와 앤드게이트(AD1)의 접속점에는 한 입력단이 상기 오아게이트(OR1)가 출력단에 접속된 노아게이트(NR2)가 접속되고, 이 노아게이트(NR2)의 출력단에는 한 입력단에 쉬프트/로우드 신호(CK3)가 인가되는 오아게이트(OR2)를 거쳐 쉬프트레지스터(4)의 클리어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2)에는 한 입력단에 신호(B)가 인가되는 앤드게이트(AD3)를 거쳐서 랫치회로(3)의 입력단자(d2)가 접속되고, 상기 랫치회로(1)의 출력단자(Q3)에는 랫치회로(3)의 입력단자(d3)가 접속되며, 이 랫치회로(3)의 출력단자(Q2)에는 한 입력단이 상기 쉬프트레지스터(4)의 출력단에 접속된 오아게이트(OR3)와 한 입력단이 상기 랫치회로(3)의 다른 출력단자(Q3)에 접속된 배타적 오아회로(EX1)를 차례로 거쳐 출력단자(OUTPUT)가 접속되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장치의 속성신호 제어회로.Data lines (D 0 ~ D 6), character generator 2 and in the shift register 4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haracter generator, the input terminals of the data lines (D 0 ~ D 3), the latch circuit (1) in the In addition to the (d 0 to d 3 ) connected to the data lines D 5 and D 6 , an AND gate AD 1 to which the character clock signal CK 1 is appli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NOA gate NR 1 is provided. While the clock input terminal of the latch circuit 1 is connected, one input terminal d 1 of the latch circuit 3 to which the dot clock signal CK 2 is appli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D 7 . The output terminal Q 0 of the latch circuit 1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Q 2 of the latch circuit 1 via an AND gate AD 2 through which an signal A is input to the other input terminal. The OR gate OR 1 connected to Q 1 ) is connected, and on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OA gate NR 1 and the AND gate AD 1 , and the OR gate OR 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The connected NOR gate (NR 2) is connected, a NOR gate (NR 2) output terminal via the Iowa gate (OR 2) to which the shift / low DE signal (CK 3)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hift register (4) Clear terminal (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2 ) of the latch circuit (1), the input terminal (d 2 ) of the latch circuit (3) is connected via an AND gate (AD 3 ) to which a signal (B) is applied to one input terminal. The input terminal d 3 of the latch circuit 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3 of the latch circuit 1, and on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Q 2 of the latch circuit 3. An output terminal via an ORA gate OR 3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hift register 4 and an exclusive OR circuit EX 1 connected to another output terminal Q 3 of the latch circuit 3 in order. An attribute signal control circuit for a computer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is connected.
KR2019850009474U 1985-07-25 1985-07-25 Computer terminal device KR88000359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474U KR880003597Y1 (en) 1985-07-25 1985-07-25 Computer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474U KR880003597Y1 (en) 1985-07-25 1985-07-25 Computer termin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24U KR870002724U (en) 1987-03-18
KR880003597Y1 true KR880003597Y1 (en) 1988-10-12

Family

ID=1924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9474U KR880003597Y1 (en) 1985-07-25 1985-07-25 Computer termin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597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24U (en) 1987-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6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JPS62269989A (en) Display controller
KR890005048B1 (en) Control device of flat displayer
JPS6367526A (en) Electronic charge scale
KR880003597Y1 (en) Computer terminal device
US4755814A (en) Attribu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0355987B1 (en) Display driving circuit
JPS60208795A (en) Display unit
KR890007638Y1 (en) Drive selection signal generate circuits of liquid crystal display controller
US4931958A (en) Display system with fewer display memory chips
KR900000021Y1 (en) Circuit for processing specific characters of monitor
US6873332B2 (en) Microcomputer having OSD circuit, and bus control device and method
JPS606875A (en) Graphic display device of time chart
JP2501462B2 (en) Device for liquid crystal gradation display
KR890003230Y1 (en) Crt display control device
KR910006681Y1 (en) High definition output apparatus
SU608184A1 (en) Information display
JPH0950268A (en) Display system
KR0151094B1 (en) Integrated circuit to control character blanking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810001643B1 (en) Character indicator for liquid crystal
JPH08129365A (en) Liquid crystal image display device
KR890004227A (en) Vacuum Fluorescent Display Device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in Base Program
JPS6078481A (en) Character display
JP2797181B2 (en) Liquid crystal driv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900001529Y1 (en) Double character generator of termin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