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391Y1 - 종이상자 제작용 접힘 길들이기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상자 제작용 접힘 길들이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391Y1
KR880003391Y1 KR2019830010974U KR830010974U KR880003391Y1 KR 880003391 Y1 KR880003391 Y1 KR 880003391Y1 KR 2019830010974 U KR2019830010974 U KR 2019830010974U KR 830010974 U KR830010974 U KR 830010974U KR 880003391 Y1 KR880003391 Y1 KR 880003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aper
belt
ruled lin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317U (ko
Inventor
아끼라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수가노 세이사그죠
치요지 수가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가노 세이사그죠, 치요지 수가노 filed Critical 수가노 세이사그죠
Publication of KR8500003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3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2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around mandrels, e.g. for forming bot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종이상자 제작용 접힘 길들이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종이상자 제작용 종이 점힘 길들이기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 선에의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 선에의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Ⅳ-Ⅳ 선에의한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요부의 확대도.
제6도는 제5도의 우측면도.
제7도, 제8도는 제1도의 Ⅲ-Ⅲ 선부를 통과하는 전후에 있어서 백지의 단면도.
제9도, 제10도는 제1도의 Ⅳ-Ⅳ 선부를 통과하는 전후에 있어서 백지의 단면도.
제11도는 제1도의 장치의 좌단을 통과한후 백지의 종단면도.
제12도 내지 제16도는 제5도의 요부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a : 위쪽 이송벨트 6a : 아랫쪽 이송벨트
7a,7b : 이송장치 15 : 백지(白紙)
18,17 : 접어굽힘 안내판 23a : 위쪽 이송벨트
26a : 아래쪽 이송벨트 27a,27b,27c : 이송장치
35 : 바닥붙임 조각 39,40 : 접어넣음 갈고리
45,46 : 접어넣음 갈고기
본 고안은 일용품, 약품, 사무용품등 기타 일반물품의 용기로서 사용하는 종이상자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그 종이상를 만드는 펴지있는 종이 즉 백지(白紙)가 괘선(罫線 : 미리 쳐놓은 금)에 따라서 잘 접히도록 길을 들이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종래 이 종류의 장치로서 백지의 세로 괘선상호의 간격이 이송벨트의 폭보다도 좁은 경우 즉 하나의 세로괘선에 이송벨트의 가장자리를 맞추면 여기에 인접하는 다른 세로괘선이 그 이송벨트 밑에 숨어버리고 이 세로괘선에 접히도록 길들이는 것이 불가능 하게되는 것을 개량하기 위하여 이 이송벨트를 전후 2단계로 나누어 설치한 종이접힘 길들이기 장치가 있으나 (동일 출원인에 의한 실용공개소 58-2585)이 장치에서는 백지의 바닥 붙임 조각의 가로괘선에 따라서 접힘 길들이기 위한 되접어 꺽는 장치가 전술의 전단계 이송벨트와 후단계 이송벨트의 중간에 존재하기때문에 바닥붙임 조각이 되접어 꺽이는 사이 백지의 다른부분이 전후 어느 이송벨트에도 충분히 보지되지 않고 그때문에 바닥 붙임조각의 되접어 꺽는 조작이 불완전 하게 되는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전단계 이송벨트와 후단계 이송벨트 구비한 형식의 종이 접힘 길들이기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롤러(1,2)에 감긴 위쪽 이송벨트 (3a,3b)와 롤러(4,5)에 감긴 아래쪽 이송벨트 (6a,6b)을 한짝으로하여 서로 압착하여 이루어지는 이송장치 (7a,7b)동일평면상에 두벌 평행하게 나란히 설치하고 그 두벌의 이송장치 (7a,7b)와 그들 가까이에 설치된 지지대 (8a,8b)의 지지간 (9a,9b)을 어미나사 (10)에 죔나트 (11a,11b)로 자유자재로 죄었다 풀었다할 수 있게 나사 맞춤을 하고 어미나사 (10)의 핸들(12)을 회전함으로써 이송장치 (7a,7b) 및 지지대 (8,8b)를 화살표 (A7)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 제3도에 있어서 일방의 이송장치(7a)만을 화살표(A7)방향으로 이동할때는 이동하려고 하는 이송장치(7a)쪽의 죔나트(11a)를 어미나사(10)에 조여 맞추고 이동하지 않은 이송장치(7b)의 쪽의 죔나트(11b)를 어미나사(10)와의 조여 맞춤에서 풀은 상태로 핸들(12)를 회전한다. 이렇게하여 2개의 이동장치(7a,7b)간을 서로 근접하게 한다든지 혹은 이간시킨다든지 한다.
또 15는 위쪽 이송벨트(3a,3b)와 아랫쪽 이송벨트(6a,6b)와의 사이에 압착되고 동시에 지지대(8a,8b)에 실린 백지이고 이송장치(7a,7b)의 구동에 의하여 화살표(A15)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빅지(15)의 제1세로괘선(15a)은 위쪽 이송벨트(3a)의 가까이에 설치된 누름판(16)의 가장자리의 아랫쪽에 그리고 그 가까이에 설치된 누품판(16)의 가장자리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또 제2세로괘선(15b)은 위쪽 이송벨트(3a)의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제3세로괘선(15c)은 다른 위쪽 이송벨트(3b)의 가장자리에 위치시키고 동시에 그 가까이에 설치된 다른 접어굽힘 안내판(18)의 위쪽에 위치 시켜둔다. 따라서 상기 이송장치(7a,7b)에 의하여 백지(15)가 화살표(A15)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그 백지(15)는 제1세로괘선(15a) 및 제3세로괘선(15c)에서 잘 접히도록 길들여진다.
이 접어 구부려지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 제7도의 백지(15) 및 제8도의 백지(15)이다.
이렇게하여 전단계 되접어 꺽음부의 이송장치(7a,7b)로부터 송출된 백지(15)는 다음 후단계 되접어 꺽음부의 이송장치(27a,27b,27c)에 압착되어 화살표(A15)방향으로 이송된다.
후단계 되접어 꺽음부는 2개의 롤러(21,22)사이에 위쪽 이송밸트(23a,23b,23c)를 감아걸고 또2개의 롤러(24,25)사이에 아랫쪽 이송벨트를 상하 서로 압착하여 이루어진 상술의 이송장치(27a,27b,27c)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들 이송장치(27a,27b,27c)는 수평면내에 3벌 평행하게 나란히 놓여있고 이들 각조의 이송장치는 상호의 간격 11ㄴ,12를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간격 조절장치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이송장치(27a,27b,27c) 및 그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지대(28a,28b,28c)의 지지간(29a,29b,29c)이 각각 죔나트(31a,31b,31c)를 워서핸들(32)가 부착된 어미나사(30)에 자유자재로 조였다 풀었다 할수 있게 설치되어있다. 핸들(32)로 어미나사(30)을 돌리고 동시에 각 죔나트(31a,31b,31c)를 조였다 풀었다 함으로써 전기 각 이송장치(27a,27b,27c)를 화살표(A27)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호의 간격(11,12)을 자유로 조절하는 것이다.
전단계 되접어 꺽음부로 부터 송출된 백지(15)는 그 이송장치(7a,7b,7c)로부터 해방되고, 후단계 되접어 꺽음부의 이송장치(27a,27b,27c)로 접혀 들어가게 되지만 이때 백지 (1)의 제2세로괘선 (1b)을 위쪽 이송벨트(23b)의 한 가장자리 아래쪽에 두고 또 제4세로괘선(15d)를 위쪽 이송벨트 (23c)의 한 가장자리의 아래쪽에 두고 백지(15)의바닥 붙임조각 (35)을위한 제1가로괘선 (15e)을 쪽 이송벨트 (23a)와 쪽 이송벨트 (23b)의 이에 노출시키고 또 제3가로괘선 (15g)를 위쪽 송벨트 (23b)와 위쪽 송벨트(23c)의 사이에 노출시키고 이 상태에서 바닥 붙임조각 (35)을 제1가로괘선(15e)에서 또 바닥 임조각 (37)을 제2가로괘선(15g)에서 각각 접어굽히고, 동시에 바닥 붙임조각 (35a)을 제1경사괘선 (1i)에서 또 바닥 붙임조 (37a)을 제2경사괘선 (15i)에서 접어 굽히는 것이다.
이들을 접어 굽히기위한 접어 놓음 갈고리(39,40)는 위쪽 이송벨트(23b)의 양쪽의 공간부 즉 백지(15)의 바닥 붙임조각(35,37)의 통로에 마련되어 있고 그 구조는 자유단에 갈고리(41,42)를 또 중심부에 요동측(43,44)를 형성하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코일스프링, 공기스프링 또는 중력으로항상 갈고리(41,42)가 아래쪽으로 향하여 눌러 붙도록 하여든다.
또 45 및 46은 상기 접어넣음 갈고리(39,40)에 따라서 평행하게 마련된 접어 넣음판이고 바닥 붙임조각(35a,37a)를 제1경사괘선(15i)제2경사괘선 (15i)에서 접어넣는 것이다.
바닥붙임 조각(35)가 제1가로괘선(15e)에서 접어 굽혀지는 상태를 제12도-제16도에서 설명하면 화살표(A15)방향으로 보내어져온 백지(15)의 바닥붙임 조각(35)은 제12도와 같이 갈고리(41)로 향하여 진행하고 제13도와 같이 갈고리(41)에 맞부딪치고 다시 백지(15)가 진행하면 바닥붙임 조각(35)으로 갈고리(41)를 밀어 나아가게 하지만 갈고기(41)는 요동축(43)에 축지되어 있기 때문에 화살표(A39)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바닥붙임 조각(35)는 그 앞쪽끝을 들어올리고 제1가로괘선(15e)를 중심으로하여 화살표(A35)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하고, 더욱 회동하여 제15도의 상태로까지 접혀굽고, 갈고기(41)과 바닥붙임 조각(35)의 앞쪽끝과의 걸림이 벗겨지고 그후 바닥붙임 조각(35)은 접어놓음판(45)의 하면에 의하여 접혀 들어가고 또 접어넣음 갈고리(39)는 탄력등에 의하여 본디위치로 복귀하고 다음 백지가 보내어져오는 것을 잡게된다.
또한 접어넣음판(45)에 의하여 바닥붙임 조각(35)이 제1가로괘선(15e)으로부터 접혀 들어갈때 바닥붙임 조각(35a)은 제1경사괘선(15i)으로부터 접어 굽혀진다. 이때의 백지(15)의 전후방향에서 그것을 본 단면의 형상을 그린 것이 제9도 및 제10도이다.
이상태에서 백지(15)는 이송장치로부터 배출되지만 그뒤끝을 벗어난 곳에서 바닥붙임조각(36 및 38)이 제2가로괘선(15f) 및 제4가로괘선(15h)에 접어 굽혀지고 그곳에 접힘버릇을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한 장치는 위쪽 이동벨트(27b)와 다른 위쪽 이동벨트(27c)의 뒤끝을 벗어난 곳에서 접어넣음 갈고리(47)의 갈고리(47a,48a)가 설치 되어있고, 그 구조는 상술의 접어넣음 갈고리(39,40)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1도에는 앞끝 갈고리(47a,48a)의 위치만을 나타내고 다른것은 생략하고 있다.
이 고안은 상술한대로의 전단계 되접어 꺾음부와의 후단계 되접어 꺾음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단계 되접어 꺾음부에서는 그 위쪽 이송벨트(3)의 아래에 놓여있던 백지 15의 바닥붙임 조각(35)이 후단계 되접어 꺾음부로 보내어졌을때 위쪽 이송벨트 (23)와 다른 위쪽 이송벨트(23b)의 사이에 노출시킬수있고 여기에 그곳을 통과하는 바닥붙임 조각(35)를 제1가로괘선(15e)에 접어 놓을수 있다. 마찬가지로하여 바닥붙임 조각(37)을 제3가로괘선(15g)에서 접어놓을 수 있다.
또 접어놓음 갈고리(39)및 접어넣음판(45)를 위쪽 이송벨트(23a)와 다른 위쪽 이송벨트(23b)의 중간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바닥붙임 조각(35)이 제1가로괘선(15e) 또 바닥붙임 조각(13a)이 제1경사괘선(15i)으로부터 접어 굽혀질때 바닥붙임 조각(35)의 양가장자리의 백지(15)가 이송장치(17a)(17b)와 다른 이송장치(17b)에 확실히 보지 되어있어 흔들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1가로괘선(15e)이 제1경사괘선(15i)에서 정확히 접어굽힘이 가능하다.

Claims (1)

  1. 상하1벌의 이송벨트 (3a,3b)를 서로 압착하여 이루어지는 이송장치(7a,7b)를 두벌 평행하게 또한 그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고, 그 이송벨트의 가장자리쪽을 따라서 접어굽힘 안내판(17,18)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전단계 되접어 꺽음부와 상하 한벌의 이송벨트(23a,26a)를 서로 압착하여 이루어진 이송장치(27a)를 3벌 평행하게 동시에 그들의 간격(11,12)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고 그 이송장치(27a)의 상호간에 백지(15)의 바닥붙임 조각(35,37)의 접어놓음판 (39,40)를 자유자재로 기복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접어넣음판(45,46)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후단계 되접어 꺽음부를 직렬로 설치한 종이상자 제작용 종이 접힘 길들이는 장치.
KR2019830010974U 1983-06-15 1983-12-22 종이상자 제작용 접힘 길들이기 장치 KR8800033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091819U JPS60133U (ja) 1983-06-15 1983-06-15 紙函用ブランクシ−トの折りぐせ付与装置
JP91819 1983-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317U KR850000317U (ko) 1985-02-27
KR880003391Y1 true KR880003391Y1 (ko) 1988-09-29

Family

ID=3022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974U KR880003391Y1 (ko) 1983-06-15 1983-12-22 종이상자 제작용 접힘 길들이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33U (ko)
KR (1) KR8800033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66B1 (ko) * 1996-11-22 2004-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향 요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66B1 (ko) * 1996-11-22 2004-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향 요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317U (ko) 1985-02-27
JPS60133U (ja) 198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004442D1 (de) Gerät zum Zuführen von Papptafeln oder Blättern aus einem Stapel.
US2745538A (en) Sheet spreading conveyor
DE3361987D1 (en) Device for transporting continuously supplied flat paper products
AU626715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further processing of stacked, preferably folded printing products
KR880003391Y1 (ko) 종이상자 제작용 접힘 길들이기 장치
US2158727A (en) Process for separating handysets and piles and apparatus therefor
US2922643A (en) Sheet feeding equipment
DE58901220D1 (de) Vorrichtung zum ueberfuehren von flachen, ungleich dicken gegenstaenden zu einer packeinrichtung.
US1801906A (en) Belt conveyer
ES454079A1 (es) Perfeccionamientos en dispositivos para depositar en pilas pliegos que llegan solapados.
KR880003392Y1 (ko) 종이상자제작용 종이의 바닥붙임조각 접힘 길들이기장치
DE3470873D1 (en) Device for unwinding printed products wound in a shingled formation
JPH10226411A (ja) 垂直ベルトコンベヤにおけるベルト押え装置
GB2172259A (en) Apparatus for supplying wrapping elements to packaging machines
JPH0340724Y2 (ko)
US4815919A (en) Apparatus for removing adhered food product from tray lattice
JP3901785B2 (ja) 垂直ベルトコンベヤの押えローラ装置
JPH0643063Y2 (ja) 紙葉類の把束物搬送装置
JPH0638012Y2 (ja) 果菜等の搬送装置
US3225511A (en) Circular prescoring and transfer apparatus
JPH042930Y2 (ko)
JPS6481722A (en) Paper sheet feeding-out device
JPH0420849Y2 (ko)
JPH038659Y2 (ko)
JPS5819907U (ja) 集品、箱詰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EXPY Expiration of term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50119

Effective date: 1996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