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655B1 - 엘리베이터출입구의씰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출입구의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655B1
KR880002655B1 KR1019850009285A KR850009285A KR880002655B1 KR 880002655 B1 KR880002655 B1 KR 880002655B1 KR 1019850009285 A KR1019850009285 A KR 1019850009285A KR 850009285 A KR850009285 A KR 850009285A KR 880002655 B1 KR880002655 B1 KR 88000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pe
elevator
pai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898A (ko
Inventor
박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5000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655B1/ko
Publication of KR870005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씰장치
제 1 도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단면 예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씰장치의 폐문상태 사시도.
제 3 도는 폐문상태의 씰장치 정면도.
제 4 도는 개문(開門)상태의 씰장치 작동 상태도.
제 5 도는 씰장치의 측면도.
제 6 도는 씰장치의 평면도.
본 발명은 통상의 엘리베이터 설비에 있어서 건물의 승강구측 바닥면 끝부분과 승강차의 출입구측 바닥면 끝부분사이에 남는 공간부를 가려주는 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엘이베이터의 설비에 있어서는 제 1 도에서보는 바와같이 각층에 마련되어 있는 승강구(1)의 바닥면(2)끝부분과 승강차(3)의 출입구측 바닥면(4)끝부분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5)을 두게되어 있다. 이 간격(5)은 대략 30mm의 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간격은 단순한 탑승객의 출입만을 위한 측면에서 볼때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승강로내에서 오르내리는 승강차가 목적하는 층의 승강구에 도착 정차한 후 승강차의 출입문(8)이 기계장치(6)의 가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때 그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기계장치(6)와 출입문(8)간을 이어주는 링크(7)의 활동공간과 승강차와 승강구축 상호간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만약, 이 간격이 없을 경우에는 승강차가 오르내릴때 승강구 출입구측 바닥면의 끝부분과 승강차 출입구측 바닥면의 끝부분간에 간섭이 일어나 충격이 발생하고 이 때문에 탑승객으로 하여금 불안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간섭으로 인한 파손을 막을 길이 없다.
따라서 승강구측 바닥면의 끝부분과 승강차 바닥면 끝부분간의 간격유지는 필수조건이다. 그러나 보편적을 30mm가량 벌어져있는 상기한 간격은 승강차의 운행상 꼭 필요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승하차시 다소의 위험부담도 있다.
예를 들면, 여자 탑승객의 경우에는 구두뒷굽이 이 간격사이로 빠져서 구두가 벗겨지거나 넘어져 부상을 당하는 수도 있고, 먼지나 휴지조각같은 이 물질이 쓸려들어가 승강로를 어염시키는 경우도 흔히 있으며, 승차 대기중에 또는 승하차 도중에 동전, 열쇠, 라이터등의 작은 소지품을 실수로 떨어트린 것이 간격사이로 빠져들러가는 예가 발생한 경우에는 회수를 단념하든지 아니면 승강차의 운행을 중지한 다음에 승강로 바닥으로 내려가 회수하는데 실제로 이 같은 소지품의 회수를 위하여 승강차의 일시적 운행중지는 다수인 통행 편의를 위한다는 측면에서 볼때 그다지 바람직스러운 일이 될 수 없고 또한 승강차의 안전 운행을 위한 정기점검을 실시할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실행에 옮길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또한 화물을 적재한 소형 손수레등을 승강차내에 실을 경우에는 손수레의 작은 바퀴가 이 간격을 지날때 승강차에 충격을 줄 뿐만 아니라 이 충격으로 말미암아 이들 간격에 연해있는 승강구측 바닥면과 승강차의 바닥면 끝부분이 파손되는 사례도 흔히 있다.
더우기 지체부자유자등이 타고 다니는 휠체어나 환자를 실은 이동식 베드를 싣거나 내릴때라든가 어린이나 노약자가 승하차할때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이 나타나는 것은 물론 특히 불안감을 주는 수가 허다하다.
이외에도 바퀴벌레같은 해충의 통로 구실도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하는데 역점을 둔 것으로서, 승강차가 목적층의 승강구에 당도하여 출입문을 여닫을 때에는 상기한 간격이 메꿔지고 승강차가 승강로상에서 운행중인 때에는 기존의 간격이 형성되어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작성한 제 2 도 이하의 그림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승강차(3)의 양측 출입문(8)의 안내를 맡은 하부레일(9)의 양단면에 브래킷(10)을 고정설치하여 안내로울러(11)를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하부레일(9)의 앞면에 안내흠(12)을 옆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ㄱ자형 단면을 가진 한쌍의 가동씰판(13)을 끼워 안내되게 하며, 상기 하부레일(9)의 중앙저면에는 수직으로 오르내리게한 균형추(16)와 한쌍의 안내로울러(14)를 고정 유착한 수직레일(15)을 하향설치고정하고, 상각 출입문(8)의 외측면(8a)하단에는 로우프(18)의 한쪽끝을 그리고 이 로우프(18)의 다른쪽 끝은 상기 안내로울러(11)를 경우하고 가동씰판(13)을 가로로 관통한 다음 수직레일(15)의 안내로울러(14)을 거치게한후 상기 균형추(16)의 상단면에 각각 고정시키며 상기 가동씰판(13)의 내의 칼라(13a)(13b)사이에 위치한 로우프(18)부분에 링스토피(20)을 고정하고, 이 링스토피(20)의 양측로우프(18)부분에다가 압축코일스프링(19)을 꿴것이 본발명의 구조적 특징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있어서, 승강차(3)가 목적하는 층의 승강구에 당도하기전에 다시 말하자면, 승강로상에서 운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균형추(16)가 수직레일(15)의 상부로 올라가 정지한 상태로 머무른다.
그러다가 승강차(3)가 목적하는 층의 승강구에 당도한 후 출입문(8)이 열리면 이와동시에 균형추(16)는 자중에 의하여 수직레일(15)을 따라 아래로 내려간다.
이때 로우프(18)는 안내로울러(11)(14)의 안내를 받으면서 출입문(8)이 열리는 만큼 균형추(16)쪽으로 움직이며, 이와같은 로우프(18)의 움직임에 따라 가동씰판(13)은 출입문(8)이 열리는것과 반대로 승강차의 출입구쪽으로 수평이동한다.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은 출입문(8)이 완전히 열릴때까지 계속되다가 출입문(8)의 개방이 정지할때 모든 움직임은 이것과 동시에 중지된다.
이와같이 움직임이 중지되었을때의 가동씰판(13)은 승강차(3)의 출입구 바닥면과 승강구(1)측 바닥면간의 간격(5)을 거의 완벽하게 메꾸게 된다.
가동씰판(13)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간격(5)이 메꿔짐으로서 승하차시 탑승객을 비롯하여 작은 바퀴를 가진 화물적재용 손수레라든가 휠체어, 환자를 실은 이동식 베드등의 승하차의 안전을 도모할 수 가 있는 것이다.
승하차의 목적을 이룬 후 출입문(8)이 닫기면, 로우프(18)는 이 출입문(8)에 이끌려간다.
이때 승강구(1)의 바닥면 끝과 승강차(3)의 바닥면 끝사이의 간격(5)을 메꿨던 가동씰판(13)은 출입문용 하부레일(9)의 안내흠(12)을 다른 양쪽으로 벌어지고 동시에 균형추(16)는 로우프(18)에 이끌려 수직레일(15)의 상부로 올라간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도 출립문(8)이 완전히 닫히는 것과 때를 같이하여 중지된다.
이로써 상기 승강구(1)측 바닥면 끝부분과 승강차(3)의 출입문측 바닥면 끝부분간에는 제 6 도에서와 같이 기존의 간격(5)과 동일한 간격(G)이 그대로 드러나 장애요인이 제거되고 따라서 승강차(3)와 승강구(1)바닥면과는 간섭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가동씰판(13)의 이면에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안내핀(17)을 갖고 있으며 이 안내핀(21)에 의하여 가동씰판(13)은 출입문용 하부레일(9)의 안내흠(12)상에 지지되고 또한 이동시에 안내를 받게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목적하는 층의 승강구에 승강차가 당도한 후 그 출입문이 열렸을때 승각구측 바닥면의 끝부분과 승강차측 출입구의 바닥면 끝부분간에 존재하던 간격이 출입문의 개방과 동시에 이동해온 가동씰판에 의해 가려짐으로서 승강차를 이용하는 모든 사람과 손수레, 휠체어, 이동식 베드등의 승하차시에 안전이 도모되는 것은 물론 승하차시에 부주위로 부피가 작은 소지품등을 떨어 드렸더라도 승강로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가 하면, 승하차시에 오물이 상기 간격으로 침투하는것도 모두 방지된다.

Claims (1)

  1. 승강차(3)의 양측 출입문(8)의 안내를 맡은 하부레일(9)의 양단면에 브래킷(10)을 고정설치하여 안내로울러(11)를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하부레일(9)의 앞면에 안내흠(12)을 옆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ㄱ자형 단면을 가진 한쌍의 가동씰판(13)을 끼워안내되게하며, 상기 하부레일(9)의 중앙 저면에는 수직으로 오르내리게한 균형추(16)와 한쌍의 안내로울러(14)를 고정 유착한 수직레일(15)을 하향설치 고정하고, 상기 각 출립문(8)의 외측면(8,a)하단에는 로우프(18)의 한쪽끝을, 그리고 이 로우프(18)의 다른 쪽은 상기 안내로울러(11)를 경우하고 가동씰판(13)을 가로로 관통한 다음 수직레일(15)의 안내로울러(14)을 거치게한 후 상기 균형추(16)의 상단면에 각각 고정시키며, 상기 가동씰판(13)의 내외칼라(13a)(13b)사이에 위치한 로우프(18)부분에 링스토피(20)를 고정하고, 이 링스토피(20)의 양쪽로우프(18)부분에다가 압축코일스프링(19)을 장탄하여서된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씰(sill)장치.
KR1019850009285A 1985-12-10 1985-12-10 엘리베이터출입구의씰장치 KR880002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9285A KR880002655B1 (ko) 1985-12-10 1985-12-10 엘리베이터출입구의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9285A KR880002655B1 (ko) 1985-12-10 1985-12-10 엘리베이터출입구의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898A KR870005898A (ko) 1987-07-07
KR880002655B1 true KR880002655B1 (ko) 1988-12-17

Family

ID=1924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285A KR880002655B1 (ko) 1985-12-10 1985-12-10 엘리베이터출입구의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6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898A (ko) 198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103213U (zh) 一种电梯逃生结构
JP4792953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救出方法
CN108883904A (zh) 电梯轿厢、电梯系统和维护电梯系统的方法
GB1502921A (en) Hoisting gear for raising and lowering disabled persons
KR880002655B1 (ko) 엘리베이터출입구의씰장치
JPH034473B2 (ko)
KR20150145702A (ko) 엘리베이터의 구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DE19712646A1 (de) Seilaufzug
JP3076858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ネット装置
JP60587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730438B2 (ja) 二階式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027808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629387B1 (ko) 탑승카 출입문 방향과 기계실의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경사형 엘리베이터
JP4212736B2 (ja) エレベータ
JP7276728B1 (ja) エレベータ
JP2796458B2 (ja) エレベーター乗かごの出入口装置
JP7249529B1 (ja) 移動システム
JP5945020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974994B2 (ja) 車両用乗降システム
JP7186638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リオープン制御システム
JP2500852Y2 (ja) エレベ―タかごの前だれ装置
JPH08127484A (ja)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構造
US713225A (en) Safety-doorway for elevator-hatchways.
JPS6232220Y2 (ko)
KR20240016465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