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529B1 - 선박용 추진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529B1
KR880002529B1 KR1019830001075A KR830001075A KR880002529B1 KR 880002529 B1 KR880002529 B1 KR 880002529B1 KR 1019830001075 A KR1019830001075 A KR 1019830001075A KR 830001075 A KR830001075 A KR 830001075A KR 880002529 B1 KR880002529 B1 KR 88000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propeller
propeller shaft
b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015A (ko
Inventor
마틴 아르네슨 하워드
Original Assignee
마틴 아르네슨 하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틴 아르네슨 하워드 filed Critical 마틴 아르네슨 하워드
Publication of KR84000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5/1252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the ability to move being conferred by gearing in transmission between prime mover and propeller and the propulsion unit being other than in a "Z"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18Propellers with means for diminishing cavitation, e.g. supercavitation
    • B63H2001/185Surfacing propellers, i.e. propellers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on at the water surface, with blades incompletely submerged, or piercing the water surface from above in the course of each revo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ctuator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Air Ba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박용 추진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박용 추진장치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3-3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4-4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 5 도는 선박용 추진장치의 조타실린더를 도시한 평면도.
제 6 도는 제 2 도의 6-6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 7 도는 제 2 도의 7-7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 8 도는 제 1 도의 8-8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 9 도는 선박용 추진장치에서 조타축과 균형축을 도시한 개략도.
제10도는 선박용 추진장치에서 조타와 균형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제11도는 한쌍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사용한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의 한 실시예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제 8 도와 유사한 도면.
제14도는 제13도에서 하부 균형휜을 도시한 측면 확대도.
제15도는 제14도의 15-15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16도는 균형휜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4도와 유사한 도면.
제17도는 균형휜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균형휜의 측면도.
제19도와 제20도는 균형휜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와 측면도.
제21도는 제19도의 21-21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구동샤프트와 프로펠러샤프트를 연결시키는 유니버설조인트의 확대 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의 피봇볼을 밀봉하기위한 밀봉링의 한쪽 단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밀봉링의 단면도.
제25도는 제23도 밀봉링의 반대쪽 단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26도는 보우트 내부에 제공되는 엔진에 구동샤프트를 사용한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로서 제 2 도와 유사한 도면.
제27도는 제28도의 동력 변속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에 내부모터의 구동샤프트를 연결하기위하여 경사진 변속장치를 도시한 보우트의 선미판(transom)의 후면을 도시한 정면도.
제29도는 한쌍의 내부 모우터가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의 프로펠러 샤프트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선미판 24 : 볼소켓
30 : 프로펠러샤프트 지지체 32 : 볼
38 : 구동샤프트 40 : 프로펠러 샤프트
44 : 표면 피어싱 프로펠러 50 : 피봇점
90, 92 : 안정휜 94 : 캐비테이션 판
108, 110 : 조타실린더 140 : 균형 실린더
본 발명은 선박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장치가 설치된 보우트내의 선박용 엔진의 선내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위 선내외 선박용 구동장치는 지난 수년동안 사용되어왔다.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1,798,586 : 2,415,813 : 2,755,766 : 2,977,923 : 3,088,296 : 3,382,838 : 3,888,203 : 3,893, 407 : 3,933,116 : 및 3,951,096호이다. 이들 선내외 구동장치는 일반적으로 대형 내부엔진을 추진하는데 사용되었다. 상기 예들 가운데 특허 제2,415,183과 3,933,116호를 제외한 나머지 제 1 형식의 것으로서, 선미판을 통해 연장된 구동샤프트가 제공되어 있고, 이 구동샤프트는 프로펠러 샤프트에 연결된 수직샤프트에 기어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형식의 것은 특허 제2,415,183과 3,933,116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이에 있어 구동샤프트는 선미판으로 연장되고, 이 구동샤프트는 다른 특허에서와 같이 수직샤프트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펠러 샤프트에 직접 연결된다. 한 예로, 제 1 형식의 잇점은 프로펠러 지지부재를 수평축에 관하여 회전시킴으로서 배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배가 기울어질때 평형을 맞추기 위해 구동장치를 수직축에 대해 회전시키는 방법도 있다.
제 1 형식에서 통상의 방법은 유니버설 조인트를 제공하여 구동장치의 지지부재를 기울이거나 방향을 잡을 수 있게 되어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3,088,296호이다. 상술한 제 1 형식의 선내외 구동장치는 몇가지 잇점도 있고, 상업적으로도 어느정도 성공적으로 퍼져있기는 하지만 몇가지 결점이 있다. 예를들자면, 상기한 장치는 비교적 하중이 크고 제작 및 유지비가 고가이고, 엔진에서 프로펠러까지의 동력전달이 비효율적이라는 것이다. 즉 직접 동력 전달장치에 비해 동력 손실이 17%나 되고 더우기 구동장치 지지부재가 수면 깊숙히 연장되어 저항력이 심각하다는 것이다. 상기한 제 2 형식은 이와같은 제 1 형식의 선내외 구동장치의 결점을 극복하기위해 보다 개량된 것이었다. 제 2 형식에서는 제 1 형식에서의 수직샤프트를 제거하고 구동샤프트를 프로펠러 샤프트에 직접 연결하였다. 하지만, 제 2 형식에서의 직접 구동장치는 너무 복잡하여 경제성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933,116호의 구동장치에는 프로펠러 샤프트에 키이장착된 표면 피어싱 프로펠러(piercing propeller)가 사용되었는데, 상기한 프로펠러 샤프트는 배의 균형을 잡기위한 수직축과 조타를 위한 수평축에 대해 짐발(gimbal)조립체의 관절운동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짐발조립체는 다만 프로펠러 샤프트만을 콘트롤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짐발조립체의 링들이 상호 수직인 고정축들에 대해 움직이도록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구동장치에 구동샤프트가 배의 선미판 저부로부터 상측으로 다소의 거리를 두고 위치되어야만 한다. 그리하여 프로펠러 샤프트는 수직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가정할 수 있고, 따라서, 비교적 고속으로 선두를 하방으로 밀게 된다.
상기한 특허 제2,415,813호의 구동장치에서는 선미판에 볼회전 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본 구동장치에서 프로펠러 샤프트의 콘트롤은 불회전 장치의 위치와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수단에 결합되는 조타장치의 생략에 의해 심하게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전술한 선내외 구동장치의 결점들은 극복하고 그 잇점들만을 취한 선박용 추진장치를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에서는 수면 아래로 다소의 거리만큼 연장된 프로펠러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본 장치는 특히 표면 피어싱 프로펠러를 제공하기위해 채택된 직접 구동장치이다. 물론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프로펠러는 선미판으로부터 수평으로부터 약간 기울어져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동샤프트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외부형상에 의해 물의 저항을 최소로 받는다.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는 저항을 최소로 받는 것뿐 아니라, 경량이고 상술한 기존의 선내의 구동장치와 비교하여 유지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황동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같은 내식제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어서 수명을 오래 연장시킬수도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는 선내 엔진으로부터 프로펠러까지의 동력전달을 아주 효율적으로 이루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는 한쌍의 내부엔진이 사용될수 있으며, 상기한 한쌍의 내부 엔진은 나란히 선체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에서 선박용 추진장치에는 선미판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판형 지지케이싱이 제공되어있다. 상기한 케이싱에는 선미판 후방에 배치된 볼소켓과, 그 볼소켓에 유니버셜 형식으로 수용된 볼이 전단부에 형성되어있는 관형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케이싱에는 구동샤프트가 저어널되어있고, 이 구동샤프트는 선내엔진에 연결되어있다.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에는 프로펠러 샤프트가 저어널되어 있고, 그 프로펠러 샤프트의 후방단부에는 프로펠러가 키이결합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들은 유니버셜 조인트 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그 유니버셜 조인트 수단의 중심은 볼이 볼소켓에 대해 피봇되는 피복점과 일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는 볼의 피봇점을 통해 연장되는 조타축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케이싱에 대해 측방향으로 요동운동을 하게 되며, 또한 상기 피봇점을 통해 연장되는 균형축(측방향으로 연장됨)을 중심으로하여 지지케이싱에 대해 균형을 잡게된다. 지지케이싱과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는 선미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적으로 연장되거나, 수평에 대해 작은 각도를 두고 연장되게 된다.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에는 항해중 배의 균형과 정밀한 조타를 위하여 한쌍의 조타실린더와 유입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조타실린더와 균형실린더들은 프로펠러 토오크의 비틀림 작용을 감소시키는 형식으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에 연결되어 있다. 균형실린더의 상단부를 볼의 피봇점보다 높은 위치에서 그와 수직으로 정렬되게 선미판상에 피봇장착하므로써 프로펠러 샤프트가 균형실린더에 의해 축방향 이동하는 것에따라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가 수평면상에서 이동하게된다. 그리하여, 프로펠러는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가 측방으로 동작함에 따라 수면의 수위와 같은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균형실린더의 상단부를 볼의 피봇점보다 높은 위치에서 그리고 그 전방에서 선미판에 피봇장착시킴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의 측방운동이 호형경로를 따라 이루어져,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가 측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프로펠러가 물속으로 더 깊이 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볼내에 일정속도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수직안정 휜들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의 상하면에 제공되고, 이 휜들의 저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균형휜들이 제공된다. 그외의 다른 특징들은 이제부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 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보우트(B)의 선미판(20)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A)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A)는 후단부에 볼소켓(24)가 제공되며 선미판(20)에 고정된 튜브형 지지케이싱(22)를 구비하고 있다.
튜브형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의 전단부에는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볼소켓(24)에 피봇 결합된 볼(32)가 제공되어 있다. 지지케이싱(22)내에는 구동샤프트(38)가 베어링(54), (56)에 의해 저어널되어있고, 구동샤프트(38)의 단부는 보우트(B)내에 배치된 단일선내 엔진에 연결되어있다.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에는 프로펠러 샤프트(40)(제 8 도)가 베어링(76)(82)(84)에 의해 저어널되어있고, 그 프로펠러 샤프트(40)의 후단부에는 기존의 표면 피어싱 프로펠러(44)가 끼어져있다. 프로펠러(40)의 전단부와 구동샤프트(38)의 후단부는 기존의 이중 유니버셜 조인트 또는 일정속도 조인트와같은 유니버셜 조인트 수단(46)에 의해 연결되어있다. 유니버셜 조인트(46)의 중심은 볼(32)가 볼소켓(24)에 피봇되는 피봇점(50)과 일치하게 된다. 지지케이싱(22)는 후단부가 개방되어있는 원통형의 주몸체(51)를 가지고 있고, 이 주몸체(51)의 전단부는 선미판(20)을 통해 연장된 튜브형 보스(52)와 일체를 이루고 있다. 오일밀봉수단(58), (60)이 보스(52)의 전단과 후단에 밀착되어있어서 오일을 그 사이에 보유시킨다.
지지케이싱(22)는 선미판(20)의 후면에 다수의 보울트(62)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있다. 구동샤프트(38)의 전단부는 선내엔진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그에의해 회전되는 구동트레인(train)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니버셜조인트(63)(제 2 도)와 같은 커플링에 연결될수 있을것이다. 볼소켓(24)는 나일론과같은 합성 프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내면이 볼(32)의 외면부에 꼭맞게 접촉하는 전후방링(24a), (24b)를 가지고 있다. 전방링(24a)는 지지케이싱의 환상 쇼울터(64)와 접하고, 후방링(24b)는 스냅링(66)에 의해 지지케이싱의 후단부에 고정되어있다. 볼소켓(24)의 전방링(24a)와 후방링(24b)사이에는 0-링(68)(제 8 도)가 볼(32)의 외면과 링과 함께 밀봉단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있다.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는 개방단부를 가진 하우징(70)을 가지고 있는데, 이 하우징(70)의 전단부에는 볼(32)가 제공되어 있고 후단부(70)에는 나사가 형성된 네크(72)가 제공되어있다. 나사네크(72)는 원추대형튜브(74)의 전단부에 나사결합되어있다. 베어링(76), (82), (84)이 튜브(34)에 결합되어 있고, 오일 밀봉수단(78), (80)이 튜브(74)내에서 각 베어링들의 바로 외측에 제공되어있다. 오일 밀봉수단(78), (80)의 사이 그리고 프로펠러 샤프트(40)의 주변의 공간에는 오일이 채워져 있다. 0-링(86)은 튜브(74)의 전단부와 하우징(70)의 후단벽 사이에 내재되어있다. 튜브(74)에는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안정휜(90)(제 1 도, 제 2 도)이 설치되어있다. 하부 안정휜(90)은 보우트가 선회할때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가 들려지는 것을 억제시켜준다. 하부 안정휜(90)의 상측 가장자리는 가급적 상기한 튜브상에 주조되게된다. 상부 안정휜(92)는 하부 안정휜(90)과 유사한 형상을 하고있으며, 하부 안정휜(90)과 수직으로 일렬로 위치되게 튜브(7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 안정휜(92)의 하부 가장자리는 가급적 상기한 튜브상에 주조되게 되며, 상부 안정휜(92)의 상단은 캐비테이션판(94)을 지지하도록 되어있다. 즉, 캐비테이션판(94)는 보울트(98)로 상부 안정휜(92)의 전단부에 결합되어있다. 캐비테이션판(94)의 후단부는 상부 안정휜(92)에서 후방으로 약간 떨어져 있으며, 프로펠러(44)의 상부에 위치되어 프로펠러(44)가 도크등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실을 한다. 이러한 캐비테이션판은 보우트의 꼬리부를 갖게된다. 튜브(74)의 중간측부에는 측방으로 연장된 이어(ear)(100), (102)(제 5 도)가 제공되어있다. 상기한 이어는 브래킷(103)(제 5 도)에 피봇 연결되어있고, 브래킷(103)은 유압작동식 조타 실린더(108)과 (110)의 피스톤 로드(104)와 (106)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있다.
상기한 조타 실린더(108), (110)의 전단부에는 볼피봇(112)와 (114)가 설치되어있는데, 이들은 한쌍의 장착구(120), (122)(제 5 도)에 형성된 요부(116)와 (118)에 회전 지지되어있다. 상기한 장착구들은 케이싱(22)의 양측부의 중간부분에 가급적 주조되게 된다. 또한, 선미판(20)에 장착구를 결합해도 좋다. 소켓(116), (118)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볼피봇(112), (114)의 피봇점(124), (126)(제 5 도)은 소켓(24)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볼(32)의 피봇점(50)을 통해 연장되는 수평선(128)상에 위치된다. 선(128)은 구동샤프트(38)의 축선과 수직을 이룬다. 조타 실린더(108)과 (11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압으로 동작하는 기존의 조타 시스템과 연통하는 유체도관(130)(131)(132)(133)(제 1 도)이 제공된다. 이 유압시스템의 동작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같다.
제 1 도와, 제 2 도,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우트의 선미판(20)과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사이에는 피스토로드(142)를 가지는 유압식 균형실린더(140)이 연장되어 있다. 로드(142)는 제 1 도에서의 홈(143)과 스플라인에 의해 균형실린더(140)에 대해 상대 회전되지 않게 되어있다. 실린더(140)의 전단부에는 죔쇠(151)로 선미판(20)에 고정된 장착구의 소켓(145)에 피봇가능하게 수용된 볼피봇(44)이 제공되어있다. 피스톤 로드(142)의 후단부에는 상부 안정휜(92)의 하부전단에 인접하여 튜브(74)의 상측 중간부에 고정된 상향연장패드(154)(제 1 도)에 얹혀진 2갈래 브랫킷(152)가 제공되어있다. 피봇된(156)은 브래킷(152)와 패드(154)를 서로 연결시켜준다. 유체도관(158)과 (160)(제 1 도)은 제10도에 도시한 유압시스템에 조타실린더(140)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시켜준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소켓(145), 균형실린더(140), 피스톤 로드(142)들이 장착구(146)에 대하여 상대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어있는데, 이것을 위하여 직립핀(170)이 볼(144)의 저면상에 형성된 원호상 슬롯(172)내에 수직으로 수용되어있다. 핀(170)은 볼(144)의 피봇운동을 예각으로 제한한다. 제10도의 유압시스템은 유압펌프(181)에 연결된 기존의 전기모터와같은 공지의 동력공급원을 구비하고있다. 펌프(181)에는 저장소(182), 기존의 제어밸브(184), (186)들이 연결되어있다. 조타 실린더(108)과 (110) 그리고 균형실린더(140)은 도관(130)(131)(132)(133)(158) 및 (160)을 거쳐 각각 밸브(184)와 (186)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184)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보우트의 조타핸들(19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반면 밸브(186)은 상하균형 레버(19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조타핸들(190)이 회전하면 밸브(184)가 작동되기때문에, 유압펌프(181)로부터 조타실린더(108)과 (110)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의 유량이 조절되게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타실린더들의 피스톤 로드(104)와 (106)은 동시에 전진, 후퇴운동을 하게되어 조타축(S-S)에 관하여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을 측방으로 요동운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조타축(S-S)는 볼소켓(24)에 대해 볼(32)가 피봇되는 피봇점(50)을 지나 연장되는 선이다.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볼피봇(144)의 피봇점(164)는 조타축(S-S)선상에 놓이게 된다.
만일 조타축(S-S)이 수직이라면, 즉 볼피봇(144)의 피봇점(164)가 제 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볼(32)의 피봇점(50)과 수직으로 일렬로 정렬되게 된다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의 측방움직임은 일반적으로 수평면에서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이 측방향으로 이동할때 프로펠러는 위아래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만일 조타축이 전방으로 기울어진다면, 즉 볼피봇(144)의 피봇점(164)가 볼(32)의 피봇점(50)전방에 있게된다면, 제13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같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의 측방 움직임은 평면상에서가 아니라 곡선 경로를 따라 이루어지게 될것이다.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이 측방향으로 움직일때, 그의 후단부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프로펠러는 물속으로 더욱 깊이 들어가게되는 것이다.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이 그의 중심위치로 되돌아가면 (제 5 도) 프로펠러는 (물속에서)정상위치로가 상승하게된다. 그러므로 보우트가 회전하게될때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는 프로펠러가 물속으로 더욱 깊이 들어가므로 조타축이 전방으로 기울어질때 더욱 큰 추진력을 제공하게 될것이다.
균형레버(192)를 상하로 움직이게되면(제10도), 밸브(186)는 균형실린더(140)의 양단부를 통한 압력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게된다. 이에따라, 균형실린더(140)에 대해 피스톤 로드(142)가 진퇴운동을 하게 되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이 균형축(T-T)(제 9 도)에 대하여 상대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균형축(T-T)은 상기한 선(128)과 일치하고 피봇점(50)을 지난다. 균형실린더(144)와 하우징(146)의 사이 그리고 균형실린더(140)과 그의 피스톤로드(142)의 사이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제 3 도)되어있기 때문에, 프로펠러(44)의 회전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에 작용하는 비틀림을 억제할수 있게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평면상에 조타실린더와 그의 피스톤로드를 배치시킴에 따라 그러한 비틀림력이 억제되게 된다.
볼(32)와 볼소켓(14)의 컴팩트한 구조에 의해 지지케이싱(22)를 선미판(20)의 하단부에 고정시킬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로펠러 샤프트(40)은 보우트(B)가 전방으로 정상주행을 하는동안 구동축(38)과 거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될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펠러 추진선은 보우트의 무게중심아래에서 보우트보다 낮게 유지되고, 이에따라 변속장치의 효율을 최고로 얻을수 있다. 또한, 구동축(38)은 통상의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될수 있고, 엔진은 보우트내의 어느 위치에나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우트(B)(제11도, 제12도)내에 장착된 한쌍의 선내 엔진에도 적용될수 있다. 이경우, 상술한 추진장치(A)와 동일한 한쌍의 추진장치(A-1), (A-2)는 각각 상기 선내 엔진들에 연결된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부품들중 제 1 도 내지 제10도의 각 부품들과 동일한 것들에 대해서는 번호에 프라임(prime)(')을 붙였다. 제11도, 제12도의 추진장치에서는 제 1 도에서 제10도까지의 실시예에서와는 구조가 다른 조타실린더를 사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피스톤로드(204), (206)을 가지는 좌, 우측 유압식 조타 실린더(200), (202)를 구비하고 있다.
조타 실린더의 각 전단부들은 각각 볼피봇(208), (210)에 고착되어있는데, 상기한 볼피봇들은 결착수단(218)에 의해 선미판(20')에 결착된 장착구(216)의 후단부에 형성된 볼소켓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있다. 볼피봇(208)과 (210)이 그들의 볼소켓내에서 회전되는 지점 즉 피봇점(220)과 (222)는 추진장치(A-1)(A-2)의 구동 샤프트의 길이축에 수직한 수평선(22)상에 위치되고, 그 수평선(224)는 볼(32')가 소켓(24')에 대해 피봇하게 되는 피봇점(50')을 통과하게된다. 샤프트 지지체(30')는 균형축(T'-T')와 일치하게된다.
피스톤 로드(204)와 (206)의 후단부는 핀(236)과 (238)에 의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상의 브래킷(232), (234)에 피봇가능하게 결착된 이어(ear)(228)과 (23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브랫킷들은 가급적 지지체(30')의 중간부분의 내면에 주조되어 있다. 브래킷(232), (234)에는 또한 타이로드(tie rod)(220)(제11도)의 양단부가 핀(236)과 (238)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조타 실린더(200), (202)의 전단부에 기존의 제어시스템(도시안됨)과 연결된 유체도관이 설치되어있다. 상기한 제어시스템은 플런저(204)와 (206)의 동시적인 진퇴운동을 이루게하여, 한쌍의 조타축(S'-S')에 대하여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를 요동시켜준다. 상기한 조타축(S'-S')는 균형축(T'-T')와 피봇점(50')를 통과한다.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에는 균형축(T'-T')에 대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를 요동시키는 상술한 균형실린더와 동일한 균형실린더가 제공되어있다. 제12도에도 도시한 바와같이, 균형실린더의 볼피봇(144')가 볼소켓(145')에 대해 회전하는 피봇점들은 조타축(S'-S')상에 위치된다. 제11도와 제12도에 도시한 2개의 엔진이 제공된 선박용 추진장치의 작동은 제 1 도 내지 제10도에서의 것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두 실시예들은 최소의 저항력과 중량 그리고 최소의 유지비로써 최고의 효율을 제공할수 있다. 유지비를 고려해본다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0)은 유니버설 조인트(46)과 결합을 풀고 교환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보우트 균형은 파도의 조건과 하중상태에 따라 미리 결정될 것이다. 더우기, 수면에 대해 프로펠러를 올리고, 프로펠러를 미끄러지게해 엔진의 RPM을 동력곡선 상태로 올린후 엔진속도의 증가에 따라 프로펠러를 물속으로 하강시키면 최고의 가속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은 특히 하중이 무거울때 행 하면 매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3도에는 본 발명의 선박용 추진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 장치는 부호“25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것 역시 제 1 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유사한 구조를 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선미판(252)의 후면(254)에 고정된 튜브형 지지케이싱(252)를 구비하고 있다. 튜브형 케이싱(252)는 선미판 후방으로 연장되고 케이싱후방의 개방단부에는 0-링 시일(264)로 분리된 한쌍의 나일론 시일링(260), (262)로 구성된 소켓(258)이 제공되어있다. 소켓(258)에는 피봇볼(266)이 수용되어 있고, 이 피봇볼(266)은 지지케이싱(252)의 후방으로 연장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268)의 전단부에 제공된다.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268)은 베어링(274)와 (276)에 의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268)에 저어널된 프로펠러 구동샤프트(272)를 둘러싼 원추 대형튜브부재(271)이 나사결합된 원동형부재(269)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펠러(도시안됨)는 샤프트(72)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278)은 프로펠러 샤프트(272)의 전단부와 선내 모터의 구동샤프트(280)의 후단부를 연결시켜주며, 상기 샤프트(280)은 지지케이싱(252)의 튜브형 전방부(282)를 통해 그리고, 선미판(256)의 구멍(284)를 통해, 그리고 상기 전방부(282)내의 구동샤프트(280)를 저어널 시키고있는 베어링(288)을 통해 연장된다. 유니버설 조인트(278)에는 볼(266)이 피봇되는 피봇점(290)이 제공된다. 이 피봇점(290)은 제 1 도 내지 제10도의 장치에서 볼(32)에 관련해 기술한 피봇점(50)과 일반적으로 일치한다.
균형실린더(292)에는 피스톤 로드(293)이 제공되어있다. 이 피스톤 로드(293)의 외측저단부는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268)의 후단부에 고정된 상측안정휜(296)의 전방저단부에 인접하여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268)에 핀(29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캐비테이션 판(297)은 휜(296)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휜(295)는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268)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실린더(292)의 상단부에는 볼피봇(298)이 제공되어 있다. 볼피봇(298)은 선미판(256)의 후면(254)에 적당한 방법으로 결착되어 있는 장착구(300)의 볼소켓에 수용되어있다. 피봇(298)의 피봇점(302)는 유니버설 조인트(278)의 피봇점(290)을 지나는 조타축(304)상에 놓이게 된다. 이 조타축(204)는 수직에 대해 몇도정도로 약간 기울어져 있는데, 이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272)의 후단부에 결합된 프로펠러는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268)이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한쌍의 조타 실린더(108), (110)에 의하여 지지케이싱(252)에 대하여 측방으로 요동함에 따라 원호상 경로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될 것이다. 따라서 프로펠러는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268)이 측방으로 요동함에 따라 물속으로 더 깊이 들어가게되고,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268)이 구동 샤프트(280)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될때 가장 높게 위치된다. 그리하여 보우트가 선회할때 프로펠러가 수면아래에 있게 되기 때문에, 추진장치(250)에서 더욱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균형휜 수단은 제14도에 도시한 방법으로 하부 안정휜(295)의 하단에 있다. 이것을 위하여, 한쌍의 안정휜(306)이 휜(295)의 양측부상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휜(306)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에어포일설계에 의해 부받음각을 갖는다. 휜(306) 수면아래로 약 12인치정도 잠기게 되고, 조타로 인하여 상기한 휜들이 움직임으로 인하여 휜(306)에 하항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휜(295)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하향력은 파상력(波狀力)을 보상하고 프로펠러가 올라감에 따라 보우트가 선미가 들리는 경향을 보상한다. 휜(306)은 휜(295)에 적당한 방법으로 조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휜(306)에는 조정장치가 제공되어, 휜(306)의 받음각을 조정하여, 미리 예정된 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조정장치는 일례로 휜(295)의 일측면상에 지지된 제 1 균형 휜(306)에 의해 지지되는 핀(310)을 구비하고 있다. 핀(310)은 휜(295)에 형성된 구멍에 수용된 디스크(311)에 편심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311)은 핀(310)을 휜(295)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킬수 있도록 휜(295)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수 있다. 핀(313)은 제 1 균형휜(306)에 의해 지지되며, 휜(295)의 제 2 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디스크(314)의 중심에 수용되어 있다. 핀(313)은 다른 균형휜(306)의 호울더(315)내로 연장되어 있다. 디스크(311)을 휜(295) 및 핀(313)에 대해 상대회전시키면, 두 휜(306)의 받음각이 변화될 수 있다. 제16도에는 휜(295)의 저부에 설치되는 균형휜(318)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휜(318)은 보우트의 과속을 막기 위해 휜(295)에 하향력을 제공하는 만곡된 저면(320)을 가지고 있다. 휜(318)에는 결착수단(324)에 의해 휜(295)에 결합된 측면플랜지(322)가 제공되어 있다.
휜(295)의 양측면에는 다른 휜(318)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 휜(318)도 결착수단(324)에 의해 휜(295)에 결합된 측면플랜지(3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7도에는 휜(295)의 저부에 결합하기위한 균형휜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균형휜 조립체(326)는 윗면에 한쌍의 플랜지(330)이 제공된 삼각형 모양의 단일강성휜(3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플랜지에는 휜(295)의 저부가 플랜지(330)사이의 틈새(334)에 있을때 휜(295)에 균형된 조립체(326)을 결합하기위한 결합수단을 수용하는 구멍(332)가 제공되어 있다. 각 플랜지의 구멍(332)는 적당한 형식으로 정렬된 다른 구멍(332)에 수용된 핀을 편심적으로 수용하는 디스크를 수용하여 휜(328)이 휜(295)상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될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보우트가 고속으로 이동할 때 휜에 의해 발생되는 하향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조립체(326)의 받음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19도 내지 제21도에는 휜(295)의 한측면에 설치된 균형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휜(336)에는 측면 플랜지(338)이 설치되어, 핀(336)을 휜(295)의 저부에 결합시킬수 있다. 플랜지(338)에는 휜(295)에 대해 휜(336)의 받음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편심되게 장착되는 결착수단을 수용하는 구멍(340)이 제공되어 있다. 제20도에는 휜의 곡률이 도시되어 있고, 제21도에는 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19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삼각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상당하는 휜이 휜(295)의 양측면에도 제공될 것이다. 제 8 도와 제13도에서 기술한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하는 대신에 일정속도 유니버설 조인트(350)이 사용될수도 있다. 이것의 세부도는 제22도와 제22a도에 도시되어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350)은 “레제파(Rzeppa)”타입으로서, 일정속도를 유지하는 다른 유니버설 조인트보다 크기 및 중량이 크게되어 있다. 이러한 유니버설 조인트로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시 다나코오포레이숀의 스파이서 유니버설 조일트부서에서 제작한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350)에는 스플라인이 제공된 내부 레이스(352)와 선내모터의 구동 샤프트를 수용하기위한 중심홀(354)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내부 레이스 외주면에 제공된 다수의 볼(360)로 연결된 외부 레이스(358)를 구비하고 있다. 볼(360)들은 케이지(362)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되며, 내부레이스(352)와 외부레이스(358)에 각각 제공된 홈(363)과 (365)에 의해 외부레이스(350)이 주어진 각도로 모든 방향으로 피봇운동 하게된다. 이러한 피봇운동각은 모든 방향으로 총 35°정도 될수있고 제 1 도 내지 제10도와 제13도에 도시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피봇운동각보다 크다. 유니버설 조인트(350)의 피봇축(361)은 그 유니버설 조인트(350)가 위치되는 볼(380)의 피봇점이 된다.
유니버설 조인트(350)는 수개의 보울트(350)를 가지고있고, 이에의해 원추형부재(366)의 전방환상면(367)에 외부레이스(358)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원추형 부재(366)은 프로펠러까지 후방으로 연장된 프로펠러 샤프트(370)의 전단부(368)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스냅링(372)는 샤프트(370)상에 원추형 부재(366)을 지지시켜준다. 구동샤프트(370)은 전단부에 피봇볼(380)이 제공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378)의 원추 대형튜브부재(376)내에 설치된 베어링(37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볼(380)은 케이싱(352)의 개방후단부에서 볼소켓(382)에 피봇장착되어 있다. 튜브부재(376)의 전단부에는 볼(38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부재(386)에 나사결합되며 그 두배재 사이에는 0-링(388)이 설치된다.
샤프트(356)이 회전하면 내부레이스와 외부레이스(352), (358)이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하여 샤프트(370)과 원추형 부재(366)은 프로펠러 샤프트(356)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프로펠러 샤프트(370)을 샤프트(350)에 대해 피봇운동시켜야 한다면, 즉 볼(380)이 볼소켓(382)에 대해 피봇된다면, 제 2 도 및 제 5 도에서 기술한 형식의 균형실린더와 조타실린더에 의해 이것을 성취시킬수 있다. 프로펠러 샤프트(370)이 피봇운동함에따라 외부레이스(358)은 프로펠러 샤프트(370)이 샤프트(356)와 일렬로 정렬되지않게 피봇됨에도 불구하고 내부 레이스(352)와 함께 연속회전한다. 또한 프로펠러 샤프트(370)의 회전속도는 구동 샤프트(356)의 회전속도와 동일하게 유지되고, 그리하여 유니버설 조인트(350)은 두 샤프트(370), (356)사이에 일정속도 유지관계를 제공한다.
볼소켓(382)는 제 1 도 내지 제10도와 제13도의 볼소켓(24)와 (258)을 개량한 것이다. 볼소켓(382)은 나일론으로된 제 1 링(390)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링(390)은 볼(350)의 외면과 밀봉관계 및 구름관계를 구형내면(392)를 가지고 있다. 제 1 링(390)은 선미판에 결합된 지지케이싱(391)의 환상쇼울더(394)에 접촉된다. 제 1 링(390)의 후방에는 0-링(396)이 있는데, 볼(380)의 외면과 밀봉관계를 유지한다.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싱(391)후미의 개방단부에서 케이싱(391)의 내면에는 제 2 밀봉링(398)의 나사결합되어 있다. 제 2 링(398)은 제23도 내지 제25도에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 2 링(398)에는 나사부(400)이 제공되어있고, 외단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랩(402)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한 랩(402)들은 스패너나렌치 또는 다른 공구를 사용하여 링(298)을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다. 그리하여 제 2 링(398)은 적당한 회전력으로 조여지고 마모나 다른 영향으로 인하여 볼(380)이 소켓(382)에 적당한 밀봉을 제공할 수 없을때 교환할 수 있다.
제26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420)이 도시되어 있다. 선박용 추진장치(420)는 선미판(426)을 갖는 보우트(424)에 지지된 선내 모터(도시안됨)의 구동 샤프트(422)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균형실린더와 조타실린더는 도면을 보기에 편리하게 하기위해 생략하였다. 하지만 제 1 도-제10도와 제13도에 도시한 균형 실린더를 선박용 추진장치(420)과 함께 사용하여,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428)를 조타축 및 균형축에 대해 상하 및 측방으로 피복시킬 수 있다. 조타축은 제 1 도 내지 제10도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이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구동 샤프트(422)는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428)내의 프로펠러 구동 샤프트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422)와 샤프트(432)(제27도)를 연결하기 위한 변속장치(430)이 선미판(426)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432)는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428)내의 프로펠러 샤프트에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샤프트(422)와 (432)를 연결하는 변속장치(430)에 체인 구동조립체(434)가 사용된다. 체인 구동 조립체(436)은 샤프트(432)상의 저부 스프로킷(440)과 샤프트(422)상의 상부 스프로킷(438)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모터에 의하여 샤프트(422)가 회전할때 샤프트(432)도 동시에 회전하여 프로펠러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킨다.
선미판(426)에 결합된 지지부재(444)에는 덮개(442)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덮개(442)는 변속장치(430)의 내부를 보호하고 적당한 밀봉수단을 구비하여 변속장치내로 물이 들어가지 않게한다. 또한, 변속장치(430)에는 관형 지지케이싱(448)이 결합되어 있고, 그 후단에는 볼(450)(제26도)을 피봇 가능하게 수용하는 볼소켓이 제공되어 있다. 샤프트(422)는 샤프트(432)와 동일 수직면에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샤프트(432)로부터 측방향으로 치우친 수직면에 있을수도 있다. 제28도에는 구동 샤프트(422)가 샤프트(432)와 같이 측방으로 그리고 상측으로 오프셋되고, 변속장치(430)이 그 샤프트들을 연결시키도록 어떻게 계속 사용될수 있는가가 도시되어 있다. 판(448)(제28도)은 선미판(446)상의 균형 실린더의 상단에 대한 부착점을 나타내며, 판(450)은 대응 조타 실린더에 대한 부착점을 나타낸다. 특히, 제28도에 도시된 형상은 제11도에 도시된 한쌍의 구동장치와 함께 사용된다. 물론, 필요하다면 단일 구동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제29도에는 장치(250)과 같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한쌍의 선내 모터(460), (462)를 결합시키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을 위해, 모터(460), (462)의 출력 구동 샤프트(464), (466)들은 각각 유니버설 조인트(468), (470)에 의해 샤프트(472), (474)에 결합된다. 변속장치(430)제26도 및 제27도)와 대체로 유사한 변속장치(476)을 제29도의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다. 변속장치(476)의 체인 구동조립체(478)은 샤프트(474)를 샤프트(472)와 결합시킨다. 여기서, 샤프트(472)는 변속장치(430)의 샤프트(432)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유니버셜 조인트(480)에 의해 프로펠러 구동 샤프트(482)에 결합된 샤프트(472)는 단일 모터 또는 두개의 모터(460), (462)에 의해 구동될수 있고, 이에 따라 제29도의 선박용 추진장치의 출력을 제공해준다.

Claims (49)

  1. 선내엔진과 선미판을 가지는 보우트용 추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미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케이싱과, 그 지지케이싱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볼수용 소켓을 구성하는 수단과, 전, 후단부를 가지고 있고, 그 전단부에 상기 소켓에 대해 피봇점을 중심으로 유니버셜식 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소켓내에 피벗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공의 피봇볼이 장착되어 있는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와, 상기 지지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선내엔진에 연결되는 회전가능한 구동 샤프트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에 저어널되어 있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그 프로펠러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를 볼내의 한위치에서 서로 연결시키도록 작용하고,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와 프로펠러 샤프트를 조타축에 대해 측방으로 피봇운동시키게 함과 동시에 균형축에 대해 상, 하로 피봇운동시킬수 있도록 중심이 볼의 피봇점과 일치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수단과,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그와함께 회전 하는 프로펠러와,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에 결합되어 그 지지체를 상기 조타축 및 균형축에 대해 피벗운동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타축이 프로펠러 샤프트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타축이 상부 전방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에는 그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안정휜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휜이 하향력을 가하도록 그 안정휜에 균형휜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휜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안정휜에 장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휜이 안정휜의 양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케이싱에 대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를 피봇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를 균형축에 대해 피봇운동시키기 위한 제 1 유압식 실린더-피스톤 조립체와,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를 조타축에 대해 피봇운동시키기 위한 제 2 유압식 실린더-피스톤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피스톤 조립체는 일단이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그 조립체를 선미판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실린더-피스톤 조립체의 타단부에 제공된 연결수단의 피봇점이 상기한 볼의 피봇점과 수직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실린더-피스톤 조립체의 타단부에 제공된 연결 수단의 피봇점이 상기한 볼의 피봇점의 전방상측에 배치되어 조타축이 상측전방으로 기울어지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실린더-피스톤 조립체는 후단부가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의 각 측부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의 전단부를 선미판 부근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장착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균형축은 제 2 실린더 피스톤 조립체의 전단부에서 상기 볼의 피봇점과 상기 장착수단의 피봇점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 2 실린더-피스톤 조립체의 전단부에 제공된 수단은 지지케이싱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제 2 실린더-피스톤 조립체의 전단부에 제공된 수단이 선미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후단부가 접근함에따라 단면이 감소되는 원추형 외면을 가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소켓은 볼과 밀봉과 피봇운동 가능한 맞물림을 유지하고, 지지케이싱의 전단부 부근에는 유니버설 조인트가 설치된 볼내부에 유체를 함유할 수 있는 폐쇄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케이싱과 구동 샤프트간의 연결부를 밀봉시키는 수단이 설치된것을 특징으로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에는 윤활유를 함유한 폐쇄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이격된 두지점에 밀봉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에는 그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안정휜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안정휜은 그의 외측 단부가 접근함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의 외측 후방으로 연장되는 선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에는 그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휜이 설치되고, 이 제 2 휜의 상단부에는 캐비테이션 판이 고정되어있고, 그 케비테이션판은 프로펠러 상부에 위치되는 관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휜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안정휜에 하향력을 가하는 균형휜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균형휜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안정휜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균형휜이 안정휜의 양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휜은 안정휜의 양측부에 하나씩 설치되고, 그 균형휜의 받음각을 변화시킬수 있도록 안정휜의 하단부에 상기 균형휜을 각도조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균형휜의 저면에 곡률은 상면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균형휜은 단일 구조로 되어 있고, 그 균형휜의 양단부가 안정휜의 각 측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 될 수 있도록 균형휜을 안정휜의 하단부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안정휜에 균형휜을 각도 조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유니버셜 조인트 수단이 일정속도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유니버셜 조인트는 구동 샤프트에 고정되어 그와 함께 회전 가능한 내부 레이스와, 프로펠러 구동 샤프트에 고정되어 그와 함께 회전 가능한 외부 레이스와, 내부 레이스와 외부 레이스를 연결시켜 그 레이스를 구동 샤프트의 축에 대해 일체로 회전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 레이스를 내부레이스에 대해 유니버셜식으로피봇 운동시키게 하는 볼베어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볼소켓은 한쌍의 링으로 되어 있고, 각링의 내주면은 인접한 볼의 외면과 꼭맞게 접촉하고, 각 링들과 볼 사이의 밀봉을 제공하는 0-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링들을 함께 유지시키도록 그 링들중 하나와 맞물리고 볼의 외면과 접촉하는 스냅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지지케이싱은 환상쇼울더를 가지고 있고, 전방 링은 상기 환상쇼울더에 접하고, 후방링은 케이싱의 개방된 우단부에 수용되어 그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한 링들이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4. 제 1 항에 있어서, 모터에 제 2 구동 샤프트가 지지케이싱 내부의 제 1 구동 샤프트위로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이 제 2 구동 샤프트는 지지케이싱에 결합되고 제 1 구동 샤프트와 제 2 구동 샤프트간을 연결시키는 변속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한 변속 장치는 체인과 스프로킷 조립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제 2 구동 샤프트는 제 1 구동 샤프트의 수직면에서 측방으로 이격된 수직면에 위치하고, 상기 변속 장치는 경사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한쌍의 내부모터가 설치되고, 이중 하나는 제 1 구동샤프트에 직접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 2 구동샤프트에 연결되어 프로펠러 샤프트가 상기 두 내부모터중 1개 혹은 2개 모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8. 전방축과 후방축을 가지며 선내 엔진을 구비하고 있는 보우트에 부착가능한 추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우트에 고정가능한 지지케이싱과 그 지지케이싱에 지지되는 소켓과, 전방부에 상기 소켓에 피복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을 형성하여 피봇링을 가지는 볼 소켓 조인트를 구성하는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와, 상기 엔진에 연결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프로펠러를 수용하며 보우트를 조타시키도록 보우트의 전, 후방축에 대해 수직 및 측방으로 요동가능한 프로펠러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와 프로펠러 샤프트를 연결시키고 중심이 볼소켓 조인트의 피봇짐과 일치하게 되어 있는 유니버셜 조인트 수단과,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를 지지케이싱에 대해 요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프로펠러 구동샤프트는 그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안정휜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안정휜에 하향력을 가하도록 그 안정휜에 균형휜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균형휜이각도 조절가능하게 안정휜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휜이 안정휜의 양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3. 제38항에 있어서, 프로펠러 구동 샤프트가 상기 전, 후방축에 대해 측방으로 요동운동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가 프로펠러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보우트의 상기 전, 후방축, 즉 종축을 가로지르는 횡축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횡축은 배의 평형을 위하여 상기 피봇점을 통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프로펠러 구동축에 그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안정휜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안정휜에 하향력을 가하도록 그 안정휜에 균형휜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휜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안정휜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휜이 안정휜의 양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49. 제38항에 있어서, 프로펠러 샤프트 지지체가 프로펠러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보우트의 전, 후방축, 즉 종축을 가로지르는 횡축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횡축은 배의 평형을 위하여 상기 피봇점을 통과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KR1019830001075A 1982-03-17 1983-03-17 선박용 추진 장치 KR880002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900782A 1982-03-17 1982-03-17
US359007 1989-05-30
US359,007 1989-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015A KR840004015A (ko) 1984-10-06
KR880002529B1 true KR880002529B1 (ko) 1988-11-28

Family

ID=2341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075A KR880002529B1 (ko) 1982-03-17 1983-03-17 선박용 추진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090497B1 (ko)
JP (1) JPS58167296A (ko)
KR (1) KR880002529B1 (ko)
AT (1) ATE30557T1 (ko)
AU (1) AU555119B2 (ko)
BR (1) BR8301082A (ko)
CA (1) CA1208986A (ko)
DE (1) DE3374292D1 (ko)
SG (1) SG95285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796U (ja) * 1984-07-31 1986-03-01 山本機工株式会社 小形船舶用推進装置
JPS61101096U (ko) * 1984-12-10 1986-06-27
JPS62261592A (ja) * 1986-05-09 1987-11-13 Kawasaki Heavy Ind Ltd 船舶用推進装置およびその水中着脱方法
AU619189B2 (en) * 1987-06-15 1992-01-23 Brunswick Corporation Boat propulsion device
GB2216480B (en) * 1988-03-08 1992-02-12 Gkn Automotive Inc Marine propeller drive system
US5205292A (en) * 1991-06-03 1993-04-27 Applied Biometric, Inc. Removable implanted device
FR2705943B1 (fr) * 1993-06-04 1995-08-25 Bezzi Paul Georges Dispositif de propulsion et de gouvernail de bateau du type à hélice de surface.
JP2003107946A (ja) 2001-10-01 2003-04-11 Takao Kawamura 定着用ヒート・プレート、定着用半円形発熱部材、及び、ベルト式定着装置
US7134924B2 (en) 2002-05-31 2006-11-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Outboard motor steering system
US7431620B1 (en) 2006-05-24 2008-10-07 Harley Howard D Articulating surface drive
IT1392732B1 (it) * 2009-01-27 2012-03-16 Palmarix Ltd Sistema per il controllo della guida di un veicolo.
US20110263165A1 (en) * 2010-04-26 2011-10-27 Twin Disc, Inc. Electric Marine Surface Drive
CN109572976B (zh) * 2019-01-04 2024-05-10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内驱动式船舶舵机
CN110341925B (zh) * 2019-07-17 2021-03-30 浙江海洋大学 一种应用于船舶的减振装置
JP7293035B2 (ja) * 2019-08-09 2023-06-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
CN112591013B (zh) * 2019-11-24 2021-12-31 金华他山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户外水上用品设备
CN112498644B (zh) * 2020-12-15 2021-12-03 上海瀚星船舶科技有限公司 内河船电力推进系统及包含该推进系统的内河船航行控制方法
CN112498643B (zh) * 2020-12-15 2021-09-28 上海瀚星船舶科技有限公司 船用可收放空毂推进装置
CN113428311B (zh) * 2021-07-16 2022-07-2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七研究所九江分部 一种基于无轴轮缘驱动泵驱动的流体动量环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74696A (fr) * 1907-01-15 1907-06-20 William Henry Fauber Bateau planeur
US2415183A (en) * 1943-03-22 1947-02-04 Brett D Law Boat propelling and steering unit
FR1024705A (fr) * 1950-08-28 1953-04-07 Moteur hors-bord
US2856883A (en) * 1955-07-20 1958-10-21 Baker John Gordon Boat with adjustable propeller shaft
DE1193386B (de) * 1960-08-17 1965-05-20 Ingefried Junge Dipl Ing Anordnung bei einer in einer Duese arbeitenden Schiffsschraube
US3433195A (en) * 1967-08-23 1969-03-18 Charles W Poole Hydrofoil device for outboard motors
US3976027A (en) * 1974-05-23 1976-08-24 Ron Jones Marine Engineering, Inc. Strut drive mechanism
US3933116A (en) * 1974-12-02 1976-01-20 Thomas F. Adams Unitary propelling and steering assembly for a power boat
US4056074A (en) * 1976-04-23 1977-11-01 Sachs Elmer B Hydrofoil kit
AU542771B2 (en) * 1980-04-07 1985-03-14 Howard Martin Arneson Inboard/outboard drive assembly
US4565532A (en) * 1981-02-18 1986-01-21 Kaama Marine Engineering, Inc. Stern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0557T1 (de) 1987-11-15
JPH0342239B2 (ko) 1991-06-26
DE3374292D1 (en) 1987-12-10
JPS58167296A (ja) 1983-10-03
CA1208986A (en) 1986-08-05
SG95285G (en) 1989-09-01
EP0090497B1 (en) 1987-11-04
EP0090497A2 (en) 1983-10-05
AU555119B2 (en) 1986-09-11
BR8301082A (pt) 1983-11-22
EP0090497A3 (en) 1985-06-12
AU1098183A (en) 1983-09-22
KR840004015A (ko) 198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529B1 (ko) 선박용 추진 장치
US4544362A (en) Marine outdrive apparatus
US4645463A (en) Marine outdrive apparatus
US4790782A (en) Balanced marine surfacing drive
US5326294A (en) Stern drive for boats
US2415183A (en) Boat propelling and steering unit
US7297035B2 (en) Marine craft adapted for shallow water operation
US7662005B2 (en) Outboard motor with reverse shift
US6146220A (en) Pedestal mount for an outboard motor
US6183321B1 (en) Outboard motor with a hydraulic pump and an electric motor located within a steering mechanism
US4981452A (en) Surface drive outboard with improved transmission
CA1149684A (en) Marine outdrive apparatus
US4907994A (en) L-drive
JPH0242719B2 (ko)
JPH0359880B2 (ko)
US4846741A (en) Heel compensating steering arrangement for high speed boats
US5931710A (en) Surface drive kit for marine craft
JP2724626B2 (ja) 船舶推進システム用の調節システム
US4810218A (en) Marine propulsion device
US3605677A (en) Boat drive arrangement
US4726796A (en) Driving and steering mechanism for boats
US6482057B1 (en) Trimmable marine drive apparatus
WO1999022989A1 (en) Omni-directional horizontal thrust adjustable marine propulsion system
US6227920B1 (en) Fastener for attaching an outboard motor to a transom of a boat
US20060035541A1 (en) Outboard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