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436Y1 - 세정용캡 - Google Patents

세정용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436Y1
KR880002436Y1 KR2019850008143U KR850008143U KR880002436Y1 KR 880002436 Y1 KR880002436 Y1 KR 880002436Y1 KR 2019850008143 U KR2019850008143 U KR 2019850008143U KR 850008143 U KR850008143 U KR 850008143U KR 880002436 Y1 KR880002436 Y1 KR 880002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ap
valve
bottl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8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542U (ko
Inventor
가즈노리 무라오
세이끼 다미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스에나가 소오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스에나가 소오이찌로오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1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436Y1/ko

Links

Landscapes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정용캡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세정용캡을 장착하기전의 충전밸브를 표시하는 종단측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세정용밸브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측면도.
제 3 도는 그 상부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 4도, 제5도, 제6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 7 도는 종래의 세정용캡을 표시하는 종단측면도.
제 8 도는 그 상부를 표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충전밸브 52 : 액체탱크
79 : 캡본체 81 : 시일부재
82 : 스프링
본 고안은 병등에 충전하는 액체충전장치의 액체탱크의 하면에 장착된 충전밸브를 세정하는 세정용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기 세정용캡을 제7, 8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7도의(1)이 액체탱크의 하면이며, 동 액체탱크하면(1)에 형성된 개구부(2)에 충전밸브(3)가 장착되어 있다. 동 충전밸브(3)는, 상기 개구부(2)의 주위의 액체탱크하면(1)에 고정된 통형상의 플랜지(4)와, 동 플랜지(4)의 안쪽이고 상기 개구부(2)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동 플랜지(4)에 장착된 환형상의 밸브본체(5)와, 동 밸브본체(5)의 하단에 접하도록 상기 플랜지(4)의 내주면에 장착된 스커어트형상의 병아가리시일벨(6)과, 상기 밸브본체(5) 와 병아가리시일벨(6)에 의하여 협지되어 동 병아가리시일벨(6)의 두부개구내면을 덮는 환형상의 드로우트(7)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병아가리시일벨(6)은, 고무등의 압축가능한 탄성체에 의하여 구성되며, 병(8)의 아래쪽으로부터 병아가리시일벨(6)내에 삽입한때의(압축시의)반력에 의하여 병아가리(8a)를 협지상태로 유지하여, 병(8)의 착탈이 원터치로 향하여지도록 되어있다. 또한(9)가 밸브본체(5)에 형성된 횡공(橫孔) (10)을 개폐하는 스니프트밸브이며, ○링(11)을 개재하여 밸브본체(5)에 장착되어 있으며, 내장된 스프링(12)에 의하여 밸브체(13)가 상기 횡공(10)을 닫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14)가 밸브본체(5)와 병아가리시일벨(6)과드로우트(7)와의 중앙개구부를 관통하도록 액체탱크하면(1)의 개구부(2)의 중앙에 벤트튜우브이며, 밸브본체 (5)의 개구부분에서 배기파이프(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7도의 충전밸브(3)의 병(8)에의 급액(給額)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병아가리(8a)를 병아가리시일벨(6)의 내부에 아래쪽으로 부터 삽입하여, 압축시의 반력에 의하여, 병아가리(8a)를 병아가리시일벨(6)에 의하여 협지시킨다. 그리하여 슬리이브시일(17)을 열고, 액체탱크내의 액체를 개구부(2)로 부터 충전밸브(3)및 스크린 (16)을 통하여 병(8)내에 공급한다. 이때에, 병(8)내의 공기는 벤트튜우브(14)를 통하여 배기파이프(15로 부터 배출되나, 벤트튜우브(14)가 충전액으로 폐색되면, 압력균형에 의하여, 액체탱크로 부터의 액의 흘러내림이 정지되며, 그후, 슬리이브시일(17) 을 닫고, 이어서 밸브체(13)를 밀고, 스니프트밸브(9)를 개방하여, 병(8)의 내압을 해제하고, 병아가리(8a)를 병아가리시일벨(6)의 내면에서 이탈시켜서, 병(8)을 꺼낸다. 또 제7, 8도의(19)가 상기 충전밸브(3)를 세정하는 세정캡이며, 하단부에 개구(18) 를 가진 동 세정용캡(19)은, 플랜지(4)의 바깥쪽에 장착되어 병아가리시일벨(6)을 둘러싼 대경부(大俓部)(19a)와, 벨트튜우브(14)를 둘러싸는 동시에 상기 개구(18)를 하단부에 가진 소경부(19b)와, 이들 대, 소경부(19a)(19b)를 연결하여 병아가리시일벨 (6)의 하단부에 당접하는 중간단부(19c)를 가자며, 대경부(19a)의 플랜지(4)에의 장착은, 예를들면 플랜지(4)의 외주의 3개소에 돌설한 고정용핀(20)에 세정용캡(19)의 상연(上椽)3개소에 천설한 갈고랑이 형상홈(21)의 개구부를 계합하여, 캡(19)을 밀어올리고, 핀(20)을 홈(21)내에 감삽하며, 캡(19)을 돌리고, 핀(20)을 홈의 안깊숙히 위치하게 하여, 캡(19)을 플랜지(4)에 고정한다.
이때에 플랜지의 안쪽에 장착된 병아가리시일벨(6)의 하단이 세정용캡(19)의 중간단부(19c)를 당접하여, 시일부(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세정액을 액체탱크하면 (1)의 개구부(2)로부터 중전밸(3)에 공급했을 경우, 세정액이 세정용캡(19)의 개구(18)로부터 유출하는 한편, 동 세정액이 충전밸브(9)의 밸브체(13)를 밀고, 충전밸브(9) 를 세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7, 8도의 세정용캡(19)에서는,(I)세정용캡(19)이 핀(20)을 개재하여 플랜지(4)에 장착되고, 세정용캡(19)의 중간단부(19c)가 병아가리시일벨(6)의 하단에 당접하여, 시일부(22)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세정시, 세정용캡(19)의 내부는 가압상태에 있으며, 내압에 의하여 세정용캡(19)이 밀어내려가게 된다.
또 병아가리시일벨(6)의 하부에는 바깥쪽 방향으로 열리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내압이 높아지면, 세정액이 시일부(22)로부터 외부로 누설될 우려가 있다.
(II)상기(I)의 좋지 않은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는, 병아가리 시일벨(6)을 강고한 탄성체로 만들지 않으면 안되나, 그렇게 하면, 세정용캡(19)을 플랜지(4)에 장착할 때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되며, 세정용캡(19)을 복수개(수십개 내지 백수십개)의 충전밸브의 전부에 장착하는 세정준비작업이 번잡하게 된다. (III)병아가리시일벨(6)과 세정용캡(19)과의 시일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는, 세정용캡(19)을 적어도 3개소 이상의 핀(20)에 의하여 지지하지 않으면 안되어,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에 대처하는 것으로서, 액체탱크의 하면에 장착한 충전밸브의 하단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치되며, 동 충전밸브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캡본체와, 동 캡본체내에 수납되어 하단부가 동 캡본체의 내주측면에 당접하는 동시에 상단부가 상기 충전밸브의 하면에 당접하는 원통형상의 시일부재와, 동 시일부재를 위쪽으로 부세하는 상기 캡본체내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세정용캡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충전밸브의 모든 통로를 외부에의 유출이 없는 폐회로를 흐르는 세정액에 의하여 세정할 수 있고, 세정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위에, 세정액이 유출하여 생기는 환경오염 및 세정액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준비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개량된 세정용캡을 제공하는점에 있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고안의 세정용캡을 제1, 2, 3도에 표시하고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 1 도의(51)은 공지의 가스입음재용(飮材用) 충전밸브,(52)는 필러보울이며, 동 필러보울(52)은, 액실(50)과 세정액리턴실과 스니프트실(54)과의 3개의 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55)는 스니프트블록이며, 동 스니프트블록(55)은 패킹(56)(57)(58)을 개재하여 스니프티실(54)세정액리턴실(53)액실(50)에 세정액이 새지않도록 장치되어 있다. 또(65)는 세정액리턴밸브,(65a)는 스니프트밸브이며, 양자공히 동일하게 구성되어, 스니프트블록(55)에 패킹(71)개재하여 기밀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동 세정액리턴밸브(65)는, 충전밸브(51)의 사이펀하부유로(55a)와 세정액리턴실(53)과의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이다. 제 1 도는, 동 세정액리턴밸브(65)가 닫힌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즉, 패킹(67)(68)을 유지한 스템(66)이 항상 압축코일스프링(70)에 의하여 밸브본체(72)에 압접되게 되어 있으며, 밸브실(84)(85)의 사이가 ψ링(69)과 패킹(68)에 의하여 시일되어, 기밀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본체(72)에는, 복수개의 구멍(72a)이 천설되어 있으며, 밸브실(85)(86)이 항상 연통되고 있다.(64)는 사이펀하부유로(55a)와 밸브실(84)을 연결하는 통로,(63)은 밸브실(85)과 세정액리턴실(53)을 연결하는 스니프트블록(55)내의 통로, (60)은 세정액리턴실(53)과 통로(63)를 연결하는 통로, (62)는 스니프트밸브(65a)의 밸브실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밸브실 (세정액리턴밸브(65)의 밸브실(85)에 상당하는 밸브실) 에 통하는 통로이며, 통로(62)내에 스니프트오리프스(61)가 짜넣어져 있다. 또(59)는 스니프트시(54)과 통로 (62)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스니프트밸브(65a)의 밸브실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밸브실 (세정액리턴밸브(65)의 밸브실(84)에 상당하는 밸브실) 이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통로를 개재하여 사이펀하부유로(55a)에 연결되어 있다. 스템(66)을 압축코일스프링(70)에 이길수 있는 힘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밀면, 패킹(68)의 시일이 해제되어서, 밸브실(84)(85)의 사이가 연통된다. 즉, 사이펀하부유로(55a)와 세정액리턴실(53)이 연통된다. (73)은 스니프트블록(55)의 하부의 적어도 원주방향 2개소에 형성된 핀,(74)는 병아가리시일고무,(75)는 센터링벨,(77)은 센터링아암이며,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장치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가능하다.
(76)은 센터링벨(75)을 센터링아암(77) 에 원터치로 장착하기 위한 스냅링이며, 상기 병아가리시일고무(74)는, 탄성체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센터링벨(75)에 압입되어 동 센터링벨(75)에 고정되어 있다. 또 스니프트블록(55)의 하면에는, 병아가리시일고부 (74) 의 테이퍼면에 계합하는 테이퍼면 (55b) 이 형성되어 있다.
병(78)은,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리프트 실린더에 의하여 치켜올려지고, 센터링벨(75)에 의하여 안내되며, 충전밸브(51)에 센터링되어서, 병아가리시일고무(74)에 밀접하여, 제 1 도의 상태가 되어서, 액이 충전된다.
제 2 도의(83)은 세정용 캡이며, 동 세정용캡(83)은, 캡본체(79)와 동 캡본체(79)의 적어도 원주방향 2개소에 형성한 외완(外腕)(79a)과 패킹(81)을 위쪽으로 치켜올리는 압축코일스프링(82)과 스토퍼(8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동 스토퍼는, 탄성체로 만들어지며, 캡본체(79)의 내통(79b)의 외주에 형성된 홈(79c)에 계합하는 돌기에 의하여 캡본체 (79)에 위치 결정이 된다. 또 패킹(81)의 안쪽 상부는, 테이퍼면 (55b)에 계합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으며, 하부외주는 립으로서, 내통(79b)의 내주의 테이퍼면(79d)에 당접하여, 시일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완(75a)의상부에는, 갈고랑이형상홈(79e)이 형성되며, 동 갈고랑이형상홈(79e)의 상연개구부가 핀(73)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제 2 도의 세정용캡(83)의 작용을 설명한다. 충전밸브(51)의 세정시, 세정용캡(83)의 외완(79a)의 갈고랑이형상홈(79e)을 핀(73)에 걸기위하여, 캡본체(79)를 압축코일스프링(82)에 대항하여 밀어올리면, 핀(73)이 홈(79e)내에 감삽되며, 캡본체(79)를 오른쪽 방향으로 돌리면, 핀(73) 이 홈(79e)의 안깊숙히 위치하게 되어 제 3 도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패킹(81) 이 테이퍼면(55b)에 의하여 센터링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스니프트블록(55)과의 사이가 확실하게 시일된다. 또 캡본체(79)가 쎈터링된 패킹(81)에 대하여 압축코일스프링(82)에 의하여 밀어내려져 있으므로, 캡본체(79)도 스니프트블록(55)에 대하여 센터링되어 기울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패킹(81)의 립이 내통(79b)의 테이퍼면(79d)에 당접하여, 패킹(81) 의 립과 내통(79b)과의 사이도 확실하게 시일된다. 세정시 세정용캡(83)내는, 가압상태가 되기 때문에, 패킹(81)과 스니프트블록(55)의 사이, 및 패킹(81)과 캡본체(79) 와의 사이에서는, 시일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면, 일층 확실하게 시일된다. 세정중 세정액 리턴밸브(65)와 스니프트밸브(65a)의 스템(66)을 화살표 B방향으로 밀어서 각 밸브를 열면, 세정액이 액실(50)로부터 세정액 리턴실(53)스니프트실(54)로 흐로고, 나아가서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탱크등으로 회수되기 때문에, 충전밸브(51)의 모든 통로를 외부에의 유출이 없는 폐회로를 흐르는 세정액에 의하여 세정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액체탱크의 하면에 장착된 충전밸브의 하단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동 충전밸브의 하단부를 둘러싼 캡본체와, 동 캡본체내에 수납되어 하단부가 동 캡본체의 내주측면에 당접함과 동시에 상단부가 상기 충전밸브의 하면에 당접하는 원통형상의 시일부재와, 동 시일부재를 위쪽으로 부세하는 상기 캡본체내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고, 충전밸브의 모든 통로를 외부에의 유출이 없는 폐회로를 흐르는 세정액에 의하여 세정할 수 있어서, 세정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위에, 세정액이 유출해서 생기는 환경오염 및 세정액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세정용캡을 충전밸브에 직접 장착하여 세정하기 때문에, 세정액의 성분이 병아가리패킹과 센터링 벨과의 사이에 잔류퇴적하는 일이 없어서, 분해세정이 필요없게 된다. 또 세정용캡을 충전밸브에 지극히 간단히(원터치로)장착할 수 있으며, 세정준비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도에서는, 테이퍼면(55b)이 바깥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4도와 같이 안쪽방향으로 형성하여도 좋으며, 제5도와 같이 평탄하게 하여, 이 부분에 패킹(81)의 상단부를 접촉시키게 해도 좋다, 또 제1, 2도에서는, 핀(73)이 스니프트블록(55)에, 갈고라이 형상홈(79e)이 이완(79a)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갈고라이 형상홈(55c)을 스니프트블록(55)에, 핀(79f)을 외완(79a)에 각각 형성하여도 좋다.

Claims (1)

  1. 액체탱크(52)의 하면에 장착된 충전밸브(51)의 하단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동 충전밸브(51)의 하단부를 둘러싼 캡본체(79와, 동 캡본체(79)내에 수납되고 하단부가 동 캡본체(79)의 내주측면에 당접함과 동시에 상단부가 상기 충전밸브 (51)의 하면에 당접하는 원통형상의 시일부재(81)와, 동 시일부재(81)를 위쪽으로 부세하는 상기 캡본체(79)내의 스프링(8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캡.
KR2019850008143U 1984-07-09 1985-07-02 세정용캡 KR88000243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53084U JPS6119597U (ja) 1984-07-09 1984-07-09 洗浄用キヤツ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542U KR860001542U (ko) 1986-03-05
KR880002436Y1 true KR880002436Y1 (ko) 1988-07-05

Family

ID=3066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8143U KR880002436Y1 (ko) 1984-07-09 1985-07-02 세정용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9597U (ko)
KR (1) KR8800024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490A (ja) * 1992-12-08 1994-06-28 Fukuji Abe 連続液定量注入装置
JP5055259B2 (ja) * 2008-12-25 2012-10-24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ノンガス飲料用充填バルブ、同バルブの充填制御方法、及び同バルブのcip洗浄制御方法
CN110092336A (zh) * 2019-05-21 2019-08-06 张家港兆恒机械有限公司 灌装机清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753Y2 (ja) * 1979-10-11 1984-07-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充填バルブ洗浄用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9437Y2 (ko) 1990-05-29
KR860001542U (ko) 1986-03-05
JPS6119597U (ja) 198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0189A (en) Single valve dispensing tube
US3540402A (en) Liquid dispensing device
RU2003113321A (ru) Раздаточное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идкости
KR100480759B1 (ko) 다이어프램밸브
JPS62251386A (ja) 缶等の容器に使用される充填バルブ機構
KR880002436Y1 (ko) 세정용캡
US2783785A (en) Filling head
JPS5834358B2 (ja) 壜詰方法
ZA974253B (en) Device for removing fluid from a container with pressurized air and thereafter placing the container under vacuum.
KR920010198A (ko) 용기충전장치
US4342344A (en) Filling element for counterpressure container-filling machines
GB2177185A (en) Liquid dispensing tap
US4026316A (en) Valve mechanism
JPS636437B2 (ko)
GB1416781A (en) Keg washing filling and tapping valve assembly
US5379920A (en) Liquid containment system
US3046027A (en) Valve sealing elements
JPS5843598Y2 (ja) 充填装置
CA2055407C (en) Choke valve for bottle filling device
JP5055259B2 (ja) ノンガス飲料用充填バルブ、同バルブの充填制御方法、及び同バルブのcip洗浄制御方法
JP2023173615A (ja) キャップ
CN217632789U (zh) 一种无菌灌装用定量泵
CN85105262A (zh) 清洗用的罩
US2630960A (en) Receptacle filler
JPH03328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