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388Y1 - 연결심이 형성되는 조적벽돌 - Google Patents

연결심이 형성되는 조적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388Y1
KR880002388Y1 KR2019850004214U KR850004214U KR880002388Y1 KR 880002388 Y1 KR880002388 Y1 KR 880002388Y1 KR 2019850004214 U KR2019850004214 U KR 2019850004214U KR 850004214 U KR850004214 U KR 850004214U KR 880002388 Y1 KR880002388 Y1 KR 880002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forming
mortar
mason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4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3431U (ko
Inventor
김영동
김화석
Original Assignee
김영동
김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동, 김화석 filed Critical 김영동
Priority to KR2019850004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388Y1/ko
Publication of KR860013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34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결심이 형성되는 조적벽돌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조적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본 고안은 벽돌을 상하부가 개방된 함체형으로 구성하되 내벽면에 가로방향으로는 두개의 연결심형성홈을 형성하고 세로방향으로는 중앙에 연결심형성홈을 형성하여 필요시에 그 형성홈을 뚫어주어 몰탈을 충진시키므로서 연접 시공되는 다른 벽돌과 일체성 있게 연결심을 형성하도록 하고 벽돌의 절단도 절단홈에 의해 간편하게 절단 사용할 수 있게 한 조적 벽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돌이라함은 대부분이 가로, 세로, 높이가 완전히 세멘몰탈을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어 이를 조직시공하려면 일일히 접합 몰탈을 벽돌의 상면과 측면에 충입시키면서 연접시공하거나 조적시공하여 왔기 때문에 벽돌과 벽돌이 접합되는 접합부에 나타나는 줄눈부위가 미관적으로 보기가 나빠 이를 은폐하기 위해 별도로 미장 효과를 얻기 위해 줄눈몰탈을 발라주어야 했고 경우에 따라서는 벽면체를 몰탈을 발라주어야 했기 때문에 시공작업이 번거로웠고 시공비가 고가였음을 경험하였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것은 벽돌과 타벽돌을 단지 접합몰탈에 의해 접합 조적하는 것이므로 조적시공 완료된 벽체는 일체성을 이루질 못해 균열 및 붕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유발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벽돌은 조적시공중 벽돌을 절단해야 하는 경우 흙손등으로 절단하였으나 그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질 않아 불량품이 많이 생겨 경제적 부담을 많이 주었으며 절단작업이 까다로워 작업이 능률적이질 못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고져 제안된 것으로서 상하면이 개방된 상태의 함체형으로 제작하되 내면 수개소에 연결성 형성홈을 삭설하여 필요시에 필요로 하는 면의 연결심 형성홈을 뚫어주어 연접 및 적층 조적되는 벽돌이 상호 일체성 있게 시공하며 절단홈에 의해 임의 위치를 손쉽게 절단시킬 수 있게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벽돌(1)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 하부가 개방되고 중앙부에 요함부(2)를 가지게 함체형으로 구성한 내면의 상하변에는 경사면(3)을 형성하여 융출부(4)를 가지게 하며 그 융출부(4)에는 가로 방향으로는 두개, 세로 방향으로는 한개의 연결심형성홈(5) (5')을 삭설 형성하고 그 사이 사이에는 절단홈(6) (6')이 형성하여주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심이 형성되는 조적벽돌인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벽돌의 형태를 양단 또는 일단 마구리면이 호형으로 요입되게 제작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조적 시공상태를 설명하면, 도면 제3도에서와 보는 바와 같이 벽돌(1)이 상호 연접되는 접합면에 위치한 연결심 형성홈(5')을 망치등으로 두들겨 뚫어준 다음 요함부(2)내에 세멘몰탈을 충입시키면 구멍뚫린 연결심형성홈(5')으로 몰탈이 채워지면서 연접되는 벽돌이 연결심에 의해 일체성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한단을 연접시공한 후 엇갈림 줄눈 형태로 다른 벽돌을 적층 조절한 후 요함부(2) 내로 몰탈을 다시충입시켜 주면 상하 몰탈이 상호 연접 조적되어져 상하좌우로 일체성 있게 연결 조적되어져 조적 시공 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면 상하부에 형성된 경사면 사이로 몰탈이 충입되어지므로 그 조적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연접 시공도중 벽돌을 절단해야할 겨우에도 도면 제2도의 점선에서와 같이 절단홈(6) (6')을 선정하여 손쉽게 절단할 수 있어 절단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적시공되는 본 고안은 벽돌과 벽돌이 연접시공하거나 적층시공할 때 접합부에 별도의 접합몰탈 눈금이 생기지 않아 미관이 미려하고 접합 눈금의 마감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이 능률적이고 경제적 부담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벽돌(1)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 하부가 개방되고 중앙부에 요함부(2)를 가지게 함체형으로 구성한 내면의 상하변에는 경사면(3)을 형성하여 융출부(4)를 가지게 하며 그 융출부(4)에는 가로 방향으로는 두개, 세로 방향으로는 한개의 연결심 형성홈(5) (5')을 삭설 형성하고 그 사이사이에는 절단홈(6) (6')을 형성하여 주어 됨을 특징으로 형성되는 조적벽돌.
KR2019850004214U 1985-04-16 1985-04-16 연결심이 형성되는 조적벽돌 KR880002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214U KR880002388Y1 (ko) 1985-04-16 1985-04-16 연결심이 형성되는 조적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214U KR880002388Y1 (ko) 1985-04-16 1985-04-16 연결심이 형성되는 조적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431U KR860013431U (ko) 1986-11-12
KR880002388Y1 true KR880002388Y1 (ko) 1988-07-02

Family

ID=1924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214U KR880002388Y1 (ko) 1985-04-16 1985-04-16 연결심이 형성되는 조적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3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90A (ko) * 1999-12-31 2000-04-06 이정민 음료용기용 배출대의 공기유입장치 및 그 구조
KR20210011750A (ko) * 2019-07-23 2021-02-02 김병일 조립식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90A (ko) * 1999-12-31 2000-04-06 이정민 음료용기용 배출대의 공기유입장치 및 그 구조
KR20210011750A (ko) * 2019-07-23 2021-02-02 김병일 조립식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431U (ko) 1986-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3585A (en) Building block with insulating center portion
US4557094A (en) Insulated block building
US4473985A (en) Building block
US6122881A (en) Lengthwise extrusion of facing bricks to create interlocking profiles
JPS5949385B2 (ja) 自立壁を組立てる方法とはめ合せブロツク
US5513475A (en) Multi-faceted interfacial building blocks
US4627209A (en) Interlocking blocks and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said blocks
US5226276A (en) Free standing wall construction, a method of constructing same, and a precast elongated construction member
KR880002388Y1 (ko) 연결심이 형성되는 조적벽돌
KR20010089111A (ko) 빌딩 벽용 모듈러 셔터링 요소
ITUD970235A1 (it) Blocchi di cemento per costruzioni
GB2024887A (en) Building blocks
US2176805A (en) Brick
US1422146A (en) Building block
GB2152547A (en) Interconnecting building blocks
US2124430A (en) Building construction and block therefor
US4541213A (en) Shuttering elements
US1271447A (en) Wall construction.
US1798734A (en) Building block and wall construction
US1407349A (en) Hollow wall construction
KR20000015229U (ko) 조립식 콘크리트 단열블록
US2324643A (en) Coping tile
US2847848A (en) Precast masonry unit
JPH0654037B2 (ja) 建築用ブロック,ブロック壁体及びその構築法
GB2152966A (en) Building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