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200B1 - 텔레비전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200B1
KR880002200B1 KR1019810004908A KR810004908A KR880002200B1 KR 880002200 B1 KR880002200 B1 KR 880002200B1 KR 1019810004908 A KR1019810004908 A KR 1019810004908A KR 810004908 A KR810004908 A KR 810004908A KR 880002200 B1 KR880002200 B1 KR 88000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oltage
signal
circuit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590A (ko
Inventor
루벤 발라반 알빈
알란 스텍켈러 스테벤
유진 펀슬러 로날드
Original Assignee
알.씨.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씨.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씨.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3000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0Prevention of damage to cathode-ray tubes in the event of failure of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전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고전압 방지회로를 갖는 수평 편향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전압제어 발진기의 특정 실시예를 포함하는 제1도 회로의 일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평 편향 회로 11 : 수평 출력단
12 : 수평 구동단 13 : 수평 발진기단
14 : 수평 구동발생기 21 : 비조정 입력 전압단자
22 : 스위칭 조정기 24 : 플라이백 변압기
27 : 소인 스위치 43 : 래치
44 : 비교기 트랜지스터 45 : 상보성 전도형 트랜지스터
54 : 위상고정 루프 회로 55 : 위상 제어 루프
56, 61 : 위상 검출기 57, 62 : 여파기
59 : 발진기 회로 63 : 램프 발생기
64 : 비교기 104 : 차동 증폭기
본 발명은 LC (유도성-용량성)발진기 셧다운(shut down)회로 및 텔레비젼 표시용 고전압 방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텔레비젼 상영 시스템에 있어서, DC얼터 전압이 화상관 캐소드에서 발생된 전자빔을 형광 스크린을 향해 가속시키기 위해 화상관의 최종 애노드 전극에 인가된다. 전자빔이 형광 스크린의 형광 입자에 부딪칠때, 그 입자가 가시 방사선을 방출한다. 방출된 가시 방사선의 양은 얼터 전압의 크기에 관계된다. 얼터 전압이 크면 클 수록 형광방사는 더욱 커지며, 모든 다른 인자들은 동일하게 된다. 화상관 형광 스크린상에 상영된 장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 휘도를 나타내도록 하려면 비교적 큰 얼터 전압이 바람직하다. 섀도우(shadow)마스크형 화상관을 갖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있어서, 얼터 전압은 30킬로볼트 이상일 것이다.
칼라 화상관의 전자빔은 이들이 섀도우마스크 및 형광 스크린상에 부딪치기 전에 비교적 고속으로 가속되므로, 일정량의 X선 방사는 형광입자에 의한 가시 방사선의 방출을 수반한다. 거의 모든 방출된 X선은 자기 차폐와 같은 인접금속 구조물, 면판, 화상관 유리 봉합체에 의해 흡수된다. 정상적인 얼터 전압 및 빔전류 동작상태 하에서, 흡수되지 않은 X선의 양은 극히 낮은 레벨로 유지되므로 관찰자 또는 방관자들에게 유해하기에는 상당히 불충분하다.
얼터 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는 텔레비젼 수신기의 수평 편향 회로의 일부로서 조합될 수 있다. 수평발진기는 수평 레이트(rate)에서 트랜지스터를 온 및 오프로 스위칭 하도록 구동 트랜지스터에 수평 레이트 신호들을 공급한다.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극은 구동 변압기에 의해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가 온 될때,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를 역바이어스시키도록 구동 변압기 제 2권선 양단에 부전압이 발생된다. 구동 트랜지스터의 온 상태 동안, 에너지가 구동 변압기 자기장내에 저장되고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가 오프될때,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를 순바이어스시키도록 구동 변압기 제 2권선 양단에 정전압이 발생된다. 구동 변압기의 저장 에너지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에 순방향 베이스 전류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가 차단 상태가 된 후, 수평 편향 권선 및 귀선 캐패시터는 플라이백 변압기의 제1차 권선에 인가되는 귀선 펄스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공진 귀선 회로를 형성한다. 플라이백 변압기 양단에 인가된 귀선 펄스 전압은 화상관에 대해 DC 얼터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플라이백 변압기 및 정류기 배열에 의해 증가되어 정류된다.
X선의 과잉 방사 레벨에 나타나는 오 상태하에 텔레비젼 수신기가 동작하지 않을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얼터 전압이 허용할 수 없는 레벨로 접근한다면 고전압 발생기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고전압 방지회로를 설치할 수 있다. 얼터 전압을 나타내는 신호가 디스에이블링 래치 회로의 입력에 인가된다. 종래 기술의 회로에 있어서, 주래치 전류가 흘러나오는 래치의 출력단자가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만일 얼터 전압이 설정된 레벨을 초과한다면, 디스에이블링 래치가 구동되어 래치 출력 단자로 부터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래치 전류가 흐른다. 래치는 래치가 구동되는 기간 동안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가 계속 도통상태를 유지하도록 충분한 베이스 전류를 공급한다.
래치가 구동된 후,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는 편향 주기마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를 온 및 오프로 수위칭시키는데 필요한 스위칭 작용을 이미 제공할 수 없게 된다. 계속 도통 상태인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에 대해 어떠한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도 구동 변압기의 2차 권선 양단에 발생될 수 없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는 계속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어떠한 귀선 펄스 전압도 발생되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고전압 발생기는 작동할 수 없으며 얼터 전압의 발생도 중단된다.
상술된 종래 기술의 고전압 방지회로는 스위칭 신호가 수평 발진기의 출력단자에 아직도 스위칭 신호가 유출될때 조차도,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에 순방향 베이스 전류를 계속 공급하는지 확인하도록 상대적으로 큰 래치 전류가 공급되어야 하는 상대적인 약점을 갖고 있다. 디스에이블링 래치는 전류의 일부가 수평 트랜지스터 베이스로 부터 발진기 출력 단자로 주기적으로 전환될때 조차도,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가 계속 도통 상태를 유지하도록 충분한 양의 전류가 아직도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흐를 만큼의 전류를 공급해야 한다.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부터 과량의 래치 전류가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류 제한 직렬 저항이 수평 발진기 출력 단자와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스피드업 캐패시터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의 정상적인 턴-오프를 가속시키기 위해 발진기 출력 단자와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술된 부가된 직렬 저항은 구동 트랜지스터를 부적당하게 구동시키므로써, 정상적인 회로 수행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술된 약점을 갖지 않는 고전압 방지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LC발진기는 수평 편향 회로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발진기단의 일부일 수 있다. 이때 셧다운 회로가 LC 발진기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발진기단 출력 전압은 정상적으로 발진기내의 LC회로망의 공진 발진에 의해 설정된다. 셧다운 회로내의 스위치는 LC공진회로에 결합되며, 셧다운 신호에 의해 공진 회로의 유도성 부분을 AC 단락시키도록 작동된다. LC공진회로가 단락되는 경우 발진기 동작은 정지된다. LC발진기 출력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에 대해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므로, 일단, LC발진기가 정지되면 고전압 발생이 중단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텔레비젼 표시용 디스에이블링 회로는 유도성-용량성 공진 회로를 포함한다. 유도성-용량성 회로망에 접속된 수단은 그 회로망을 여기시켜 교번 출력신호를 전개하는 일정한 발진을 유지시킨다.
교번 출력신호에 접속된 고전압 발생기는 화상관 얼터 전압을 발생시킨다. 수단은 얼터 전압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얼터 전압을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는 수단은 얼터 전압이 설정된 레벨을 초과할때 디스에이블링 신호를 발생한다. 유도성-용량성 공진회로에 결합된 수단은 디스에이블링 신호에 응답하고 고전압 발생기의 동작을 디스에이블하도록 일정하게 유지된 발진을 중단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서, LC공진 회로망을 AC 단락시키기 위한 스위칭 배열은 공진 회로망의 유도성 부분 양단에 결합된 제1 및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며,같은 기능의 다이오드 전극이 한 접합점에 함께 접속된다. 디스에이블링 래치는 두 다이오드의 접합점에 접속된 출력을 갖고 있으며, 그것이 셧다운 신호에 의해 작동될때 다이오드를 순방향으로 바이어스시켜 도통되도록 하므로써, 결과적으로 공진 회로망을 단락시킨다.
디스에이블링 래치는 수평 편향 주기내의 어떤 순간에 작동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의 회로에 있어서, 만일 역 바이어싱 전압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간격 동안, 래치가 작동한다면, 래치의 작동은 단순히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래치 전류를 공급하므로써 출력 트랜지스터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며, 수평 발진기 출력 신호가 구동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려 한 후 조차도 출력 트랜지스터를 도통상태로 유지한다. 만일 래치가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순방향 또는 온-구동 간격동안 작동된다면, 래치가 구동기 트랜지스터를 온 시킬때 온 구동 간격은 급격히 끝나게 된다. 그런연후에, 출력 트랜지스터는 계속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셧다운 회로가 상기 간격내에서 작동된다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온 구동 간격을 급격히 끝내기 보다는완성시키게 하는 고전압 셧다운 배열을 갖는 편향회로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도 있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온-구동 간격이 조속히 끝나지 않도록 보장하므로써, 셧다운시 출력 트랜지스터가 부당하게 억압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온 구동 간격의 완성 후, 텔레비젼 수신기를 오프시키는 경우와 같이 셧다운 회로가 작동되지 않을때 까지, 셧다운 회로가 계속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비젼 수신기 수평 편향 셧다운 회로가 수평 편향 권선, 수평 편향 권선에 접속된 소인 스위치 및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수평 발진기는 수평 레이트 양레벨 신호를 발생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양레벨 신호의 매 주기동안 구동 펄스 전압 간격내의 상기 한 천이의 재 순환에 무관한 펄스 지속시간을 가진 구동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양레벨 신호의 정진행 및 부진행 천이들 중 하나에만 응답한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구동펄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은 구동펄스 전압의 지속 시간동안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를 순방향 바이어스시킨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에 대한 역 방향 바이어싱 전압이 구동 펄스 전압이 없을 때 정상 편향회로 동작 동안되므로,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스위칭 작용이 수평 주사전류를 제공한다.
셧다운 수단이 구동펄스 전압 간격의 완료에 앞서 작동될때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가 구동 펄스 전압을 조속히 끝내지 않고 비도통 상태로 유지하도록 양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평 발진기에 결합된 셧다운 수단이 비정상 편향 회로 동작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원샷 펄스 발생기가 수평 발진기단의 출력 단자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구동회로 사이에 발생된다. 수평 발진기단으로 부터의 출력 신호는 매 수평 편향 주기내의 적합한 순간에 수평 출격 트랜지스터를 온 시키도록 원-샷을 인에이블시킨다. 이때 인에이블된 원-샷 출력은 트랜지스터를 온 시켜 원-샷 펄스의 지속 기간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원-샷의 펄스 출력은 펄스의 완료까지 원-샷 입력에서의 차후의 신호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원-샷의 인에이블 상태동안 셧다운 회로의 작동은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에 온 구동을 조속히 끝낼수 없다.
제1도의 텔레비젼 수신기 수평 편향 회로(10)에서, 단자(21)에 발생된 비조정 DC입력전압 Vin이 단자(23)에서 수평 주사 회로에 대해 조정 B+공급 전압을 발생 시키도록 종래의 스위칭 조정기(22)에 인가된다. 단자(23)는 플라이백 변압기(24)의 1차 권선(24a)을 통해 수평 출력단(11)에 결합된다.
수평 출력단(11)은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 제동 다이오드(29) 및 귀선 캐패시터(30)로 구성된 소인 스위치(27)와 수평 편향권선(25)의 직렬배열 그리고 S형 캐패시터(26)를 포함한다. 수평 주사 전류는 소인 스위치(27)의 스위칭 작용에 응답하여 수평 편향 권선(25)에서 발생된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의 도통 상태는 도선(86)상에 발생되며 수평 구동단(12)을 경유하여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수평 레이트가 fH인 스위칭 신호(69)에 의해 제어된다.
수평 구동단(12)은 반전 트랜지스터(32),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33) 및 구동변압기(31)를 포함한다. 반전 트랜지스터(32)의 콜렉터 및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33)의 베이스에 대한 공급 전압은 저항(36)을 통해 얻어진다.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에 대한 공급 전압은 변압기(31)의 1차 권선과 저항(34)의 직렬 접속을 통해 얻어진다. 파형 캐패시터(35)는 저항(34)과 구동 변압기(31)의 1차 권선의 접합부에 결합된다.
수평 레이트 스위칭 신호(69)의 상승 또는 정진행연부의 시작에서, 순방향 정전압이 구동 변압기(31)의 2차 권선 양단부에 발생되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는제동 다이오드(29)가 수평 소인 간격의 중심부에 앞서 얼마동안 차단된 후 순방향 콜렉더 전류를 전도시키기 시작한다.
수평 레이트 시위칭 신호(69)의 하강 연부 또는 부진행천이의 시작에서, 역방향 부전압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턴-오프 지연 간격후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는 수평 귀선 간격을 시작하도록 차단된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의 콜렉터에 나타나는 귀선 펄스 전압(70)으로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귀선 캐패시터(30) 및 편향 권선(25)은 편향 권선 양단에 수평 귀선 펄스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공진귀선 회로를 형성한다.
고전압 발생기(84)는 수평 출력단(11), 플라이백 변압기(24)의 1차 권선(24a) 및 고전압 권선(24b) 그리고 고전압 발생기(37)를 포함한다. 고전압 발생기(84)는, 도시되지 않은 텔레비젼 수신기 화상관에 대해 단자 U에 DC 얼터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1차 권선(24a)에 인가된 귀선 펄스 전압을 이용한다.
수평 평향 회로(10)는 수평 발진기 출력 단자(85)에 수평 발진기 신호(81)를 발생하는 수평으로 동기된 수평 발진기단(13)을 포함한다. 수평 발진기 신호(81)는 이때 도선 (86)상의 수평 레이트 구형파 또는 양레벨 스위칭 신호(69)를 발생시키도록 주사동기 수평 구동 발생기(14)에 인가된다.
수평 발진기단(13)은 교번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기 VCO (59)를 포함한다. 발진기 출력신호(57)의 주파수는 입력단자(82 및 83)양단에 결합된 유도성-용량성 LC공진 탱크 회로망(74)의 공진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입력단자(82)는 또한 VCO(59)의 회로를 여기시키는데 사용되는 DC공급 전압원 VCC에 결합된다.
LC공진 회로망(74)은 병렬로 배치된 인덕터(77), 캐패시터(75) 및 저항(76)을 포함한다. 저항(76)의 정항값은 공전 회로망(74)의 Q를 제어하고, VCO(59)가 제어될 수 있는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돕는다. 저항(76)은 또한 동작의 주파수 안정을 제공하는 공진 회로망(74)의 양단 피크-투-피크 전압을 결정한다.
입력단자(83)에 발생된 교번 전압(72)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O(59)는 입력단자(82 및 82)의 양단, 인덕터(77)의 양단에 교번 극성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공진 회로망을 일정하게 유지된, 재 발생 발진으로 여기시킨다. 전압(72)의 피크투 피크 전압편차 △V는 DC공급 전압에 비해 작다. VCO(59)는 교번 출력신호(87)를 공급하도록 입력전압 파형을 증폭하고 파형상화 한다. 공진 회로망(74)의 공진 주파수 즉,교번 출력신호(87)의 주파수가 수평 편향 주파수의 배수 예를 들어 제1도에서의 16fH로서 선택될 수 있다.
16fH출력신호(87)는 16으로 나눈 분할기로 구성된 종래 카운터(60)의 클럭입력 단자에 인가된다. 카운터(60)의 출력 단자는 수평 발진기단 출력단자(85)이다. 카운터(60)의 출력신호는 구동 발생기(14)에 인가된 수평 레이트 발진기 신호(81)이다.
위상 고정루프 회로(54)에 의해, 수평 발진기 신호(81)는 도시되지 않은 동기분리기 회로에 의해 단자(88)에 발생된 수평 동기 신호(58)와 함께 동기 된다. 위상 고정 루프(54)는 종래의 디자인 일 수도 있으며, 또는 1980년 4월 10일 공보된 독일연방공화국 OLS 제240491호에 대응하는 에이.알.발라반 및 에스.에이.스텍클러에 의해 "복위상 제어 루프 수평 편향 동기 회로"로 명칭된 1978년 10월 5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948,775호에 기술된 설계와 유사할 수도 있다.
위상 검출기(56)는 수평 동기 신호(58)의 주파수 및 위상에 대해 수평 발진기 신호(81)의 주파수 및 위상을 비교한다. 위상 검출기(56)의 출력은 동기 신호(58)에 대해 수평 발진기 신호(81)의 주파수차 및 위상차를 나타내는 실제로 직류전류 여파 출력전압 DC1을 공급하도록 여파기(57)에 인가된다. 제어전압 DC1은 인입하는 수평 동기 펄스(58)와 수평 발진기 신호(81)를 동기시킬 목적으로 VCO의 주파수 및 위상을 조정하도록 VCO(59)에 인가된다.
단자(85)에서 발생된 동기된 수평 발진기 신호(81)는 수평 동기 신호(59)와 또한 동기되는 수평 레이트 램프형 또는 톱니파형 전압(67)을 발생시키도록 수평 구동 발생기(14)의 램프 발생기(63)에 리셋트로서 인가된다. 수평 톱니파형 전압(67)은 비교기(64)의 정입력 단자에 인가된다. 실제로 직류전류 제어 전압 DC2는 비교기(64)의 부입력 단자에 인가된다. 비교기(64)의 출력전압(68)의 상승연부 또는 정진행 천이는 톱니파형 전압(67)의 정진행 부분이 제어 전압 DC2를 초과 할때 발생한다. 전압(68)의 상승연부의 발생은 제어 전압 DC2의 변화에 따라 변할 것이다. 그러므로, 비교기(64)의 출력은 제어전압 DC2의 값에 의해 결정된 충격 계수를 갖는 수평 레이트, 양레벨 전압(68)이다.
비교기 출력전압(68)은 원샷 또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5)에 인가된다. 원-샷(65)은 양레벨 전압(68)의 정 및 부진행 천이중 하나에 대해서만 응답한다. 를 들어, 전압(68)의 정진행 연부가 양레벨 수평 레이트 스위칭(69)의 상부레벨 부분(69a)에 해당하는 구동 펄스 전압을 도선(86)상에 공급하도록 트리거한다. 트리거된 후, 고정 지속간격 동안 정진행 천이의 재 순환에 무관한 고정 지속간격 Ton에 대해서 원-샷(65)은 상부레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on간격의 경과후, 원-샷(65)이 비교기 출력 전압(68)의 상승 연부에 의해 다시 트리거 될 때 까지 원-샷(65)은 하부레벨 상태로 반전한다. 수평 레이트 스위칭 전압(69)은 고정 지속간격 Ton의 상부레벨 부분(69a)과 비교기 출력 전압(68)의 상승 연부와 일치하는 상승 연부를 갖는 전압을 포함한다. 스위칭 전압(69)의 잔여 하부레벨 부분(69b)은 지속기간이 Toff =1/ fM-Ton 이다. 원-샷(65)은 에이.알.발라반 및 에스.에이.스텍클러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4,289,549호에 기술된 종래 설계이거나 이와 유사할 수도 있다.
스위칭 신호(69)의 구동 펄스 전압 간격 Ton은 각 수평 편향 주기내의 온 구동 간격을 나타내는데, 상기 주기동안,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에 대한 순 방향 바이어싱 전압은 구동 변압기(31)의 2차 권선 양단에 발생된다. 간격 Ton동안, 구동 기간(12)의 반전 트랜지스터(32)는 도통 상태가 되며 구동 트랜지스터(33)는 비도통 상태가 된다. 구동기 트랜지스터(33)가 오프 구동 간격 Toff동안 미리 도통되고 있을때 구동기 변압기(31)의 1차 권선에 저장된 에너지는 이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에 순방향 베이스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온-구동간격 동안 구동기 변압기 2차 권선으로 흘러 나간다.
수평 귀선 간격을 개시 하도록, 구동기 트랜지스터(33)는 스위칭 파형(69)의 하강 또는 부진행 연부에 의해 온 상태로 되므로 구동기 변압기(31)의 2차 권선 양단에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28)에 대하여 부 또는 역 바이어싱 전압을 발생시킨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는 파형(69)의 하강연부 발생때 즉각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의 저장시간 지연 간격을 포함 하는 턴-오프지연 간격 후 차단된다. 저장 시간 지연 간격 동안,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저장된 전하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영역으로 부터 일소된다. 턴-오프 지역간격 경과후,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는 차단되며 구동기 변압기(31)의 2차 권선 양단에 출력 트랜지스터 순 방향 바이어싱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스위칭 파형(69)의 상승 연부가 재 발생될때 까지 차단 상태를 유지한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의 콜렉터 전류는 고전압 발생기(84)의 빔전류 로딩(loading)변화 즉 증가된 로딩에 따라 변화하며, 예를 들어 결국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콜렉터 전류를 증가시키게 된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콜렉터 전류를 증가시키게 된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콜렉터 전류의 변화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저장시간 콜렉터 전류 값에 관계되므로 턴-오프 지연 간격의 지속시간에 있어서 변화를 발생시킨다. 스위칭 신호(69)의 하강 연부의 발생에 관련하여 빔전류 로딩 변화는 수평 귀선을 개시하는데 있어서 변화를 일으킨다.
텔레비젼 수신기 합성 비디오 신호들의 화상 정보를 가진 수평 주사의 동기를 유지시키기 위해, 비교기(64)에 의해 발생된 출력전압(68)의 상승 연부는 위상 제어루프(55)에 의해 변화된다. 합성 비디오 신호의 수평 브랭킹 간격에 대해 수평 귀선 간격을 고정위상 관계로 유지하도록 위상 제어루프(55)는 비교기(64)에 인가된 DC제어전압 DC2를 변화시킨다. 위상 제어루프(55)는 종래의 설계일 수도 있으며, 에스.에이.스텍클러 및 에이.알.발라반에게 1981년 9월 29일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4,292,654호에 기술된 것 또는 알.이.펀슬러 및 디.에이취.윌리스에 의해 "양-루프 수평 AFPC시스템"으로 명칭되어 1980년 9월 29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192,332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할 수도 있다.
위상 제어루프(55)에 있어서, 위상 검출기(61)는 플라이백 변압기(24)의 도시되지 않은 권선 양단에 발생된 수평 귀선 펄스 전압(66)의 위상과 동시된 수평 발진기 출력신호(81)의 위상을 비교한다. 위상검출기(61)의 출력은 위상 고정루프(54)의 응답시간보다 약 6배 빠른 루프 응답시간을 제공하는 여파기(62)에 의해 여파된다. 여파기(62)의 출력은 대략 DC제어전압 DC2이다.
제어 전압 DC2는 귀선 펄스 전압(66)과 수평 발진기 출력신호(81)사이의 위상차 변화에 따라 변할 것이다. 제어 전압 DC2를 변화시키므로써 신호(81)의 상승 연부의 발생에 대하여 파형(68)의 상승 연부의 발생이 변화된다.파형(68)의 상승 연부를 변화시키므로써, 원-샷(65)의 트리거링은 변화될 것이며, 합성비디오 신호의 화상 내용과 동기된 수평 주사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동기된 수평 발진기 출력 신호(81)의 위상에 대해 고정 충격계수를 변화시킨다.
오동작 상태하에서, 고전압 발생기(84)의 동작을 디스에이블할 목적으로, 수평 주사를 디스에이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고전압 발생기(84)의 디스에이블 동작을 필요로하는 오동작 상태의 예는 조정 B+전압을 유지하기위한 수위칭 조정기(22)의 오동작이다. 만일 스위칭 조정기가 오동작을 하면, B+전압은 과잉 얼터 전압이 발생할만큼 증가될 수도 있다.
과잉 얼터 전압이 발생된다면, 고전압 방지회로(73)는 고전압 발생기(84)의 동작을 포함하는 수평 편향회로(10)의 동작을 디스에이블 하거나 싯다운시킨다. 플라이백 변압기 권선(24)양단에 발생된 귀선 펄스 전압(71)은 얼터 전압을 나타내는 DC전압을 단자(88)에 발생시키도록 다이오드(39)에 의해 정류되고 캐패시터(40)에 의해 여파된다. 전류제한 저항(38)은 다이오드(39)와 플라이백 변압기 권선(24C)사이에 위치된다. 전압 분배기는 저항(41)을 포함하고 저항(42)을 캐패시터(40)양단에 위치된다.
비교기 트랜지스터(44)의 에이터 입력단자는 저항(41 및 42)의 접합점에 결합된다. 베이스 입력 전극은저항(47)을 통해, 제어 다이오드(50)에 의해 단자(89)에 발생된 기준전압원 Vref에 결합된다. 제너 다이오드(50)에 대한 바이어스 전류는 비조정 입력 전압단자(21)로 부터 저항(46)을 통해 얻어진다. 다이오드(51)는 기준 전압단자(89)와 비교기 트랜지스터(44)의 에미터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다이오드(51)의 캐소드는 에미터에 접속된다. 비교기 트랜지스터(44)와 상보성 도통 트랜지스터(45)가 래치(43)를 형성하도록 함께 접속된다. 트랜지스터(45)의 콜렉터에 있는 래치(43)의 출력단자(90)는 저항(48)을 통해 접합단자(80)에 접속된다. 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78 및 79)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다이오드는 유사 기능을 갖는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이 접합단자(80)에서 함께 결합되도록 극성화된다.
정상 텔레비젼 표시동작 동안, 고전압 방지회로(37)의 다이오드(51)는 도통되며 비교기 트랜지스터(44)는 차단되므로써, 디스에이블링 래치(43)를 비작동 상태로 유지시킨다. 만일 오 상태가 수평 편향회로(10)의 동작동안 발생하며 얼터 전압을 불안전 레벨로 증가시키면, 단자(88)의 얼터 전압을 나타내는 전압이 다이오드(51) 및 순방향 바이어스 비교기 트랜지스터(44)를 역 바이어스시키므로써 도통상태가 될 정도로 증가한다. 캐패시터(49)는 트랜지스터(44)에미터 입력 전극의 천이 전압이 불필요하게 트랜지스터를 온 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이오드(512) 양단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44)가 온 될때, 베이스 전류는 그것을 온 시키도록 트랜지스터(45)에 공급된다. 디스에이블링 래치(43)는 재발생적으로 유지된 트랜지스터(44 및 45)의 도통에 의해 작동된다. 캐패시터(52) 및 저항(53)으로 구성된 여파기 회로망은 일시적인 화상관 아킹(avcing)상태 동안 래치(43)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트랜지스터(45)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45)가 도통 상태로 스위치되어 디스에이블링 래치(43)가 작동될때, 디스에이블링 신호는 래치 출력단자(90)에 발생되며, 디스에이블링 신호는 트랜지스터(45)가 온으로 스위치될때 출력단자에 발생된 접지전위이다. 접지 전위인 단자(90)로 다이오드(78 및 79)는 순방향 바이어스 되어 저항(48)을 통해 단자(80)로 부터 래치전류 iL이 도통된다. 거의 래치전류 iL의 반은 단자(82)로 부터 다이오드(78)를 통해 흐른다. 그 나머지 반은 DC 전류로서 인덕터(77) 및 다이오드(79)를 통해 흐른다. 그 이유는 인덕터(77)의 DC 저항은 저항(76)의 저항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다이오드(78 및 79)가 동시에 도통되어, 거의 같은 전압 Vcc가 VCO(59)의 입력단자(82 및 83)양단에 발생되므로써, 공진 회로망(74)이 AC 단락된다. 공진 회로망(74)의 반발하는 부분을 단락시키므로써, 교번입력 전압(72)이 제거되어, VCO(59)가 디스에이블되고 VCO교번 출력신호(87)가 제거된다.
VCO 출력신호(87)가 16분 카운더(60)에 대해 클럭 입력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출력신호(87)는 제거하면 결과적으로 수평 발진기단(13)의 출력단자(85)에 나타나는 신호가 계속 상태레벨 혹은 하부레벨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있으며, 양 상태사이의 보다 계속적인 스위칭이 없이 정확한 순간의 래치 작동에 좌우된다. 양레벨 수평 발진기 출력신호(81)가 디스에이블되면, 수평 레이트 스위칭 신호(69)가 발생될 수 없어서, 수평출력 트랜지스터(28)의 스위칭 작용 및 귀선 펄스 전압(70)의 발생이 가능해진다. 고전압 발생기(84)가 디스에이블되어 과잉얼터 전압의 발생에 대한 방지를 제공한다.
일단 디스에이블링, 접지 신호가 단자(90)에서 발생된다면 LC 발진기 VCO(59)의 셧다운이 보장된다는 것이 바로 본 발명의 특징이다. 공간 회로망(74)이 다이오드(78 및 79)에 의해 단락되기 때문에, 공진 회로망이 불필요하게 여기될 수 없으며 어떠한 교번 전압도 VCO(59)의 출력에 발생될 수 없다. 또한, 단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에 래치 전류 iL만이 공진 회로망(74)을 디스에이블시키는데 필요로 된다. 필요로된 래치 전류iL는 단지 VCO(59)의 내부 회로가 아직도 공진 회로망(74)을 여기시켜 발진시키려고 할때조차도 결과적으로 단자(82 및 83)가 거의 같은 전압을 유지하는 정도로 다이오드(78 및 79)를 순방향 바이어스로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양이다.
궁극적으로, 고전압 발생기(84)의 셧다운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도의 본 발명 장치에 의해 필요로된 작은 양의 래치 전류는 예를들어 오동작 상태 동안 래치 전류의 방향이 구동기 트랜지스터(33)의 베이스로 향하는 종래 기술의 회로에 필요한 래치 전류와 비교해볼때 양호하다. 그러한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실제적인 양의 래치 전류가 오동작 상태동안 수평 발진기에서 인출된 스위칭 신호가 수평 구동기 트랜지스터 도통상태 및 비도통 상태로 스위칭하지 못하게 하는데 필요하다.
수평 발진기단으로부터 직류 B+공급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 디스에이블링 래치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회로는 마찬가지로 불리하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디스에이블링 회로에 있어서, 디스에이블 래치의 작동으로 인해 수평 발진기 동작을 디스에이블하는데 충분한 값으로 공급 전압이 감소되어야 하므로 또한 상대적으로 큰 래치 전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장치 VCO(59)가 집적회로의 일부분으로 제조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입력단자(82 및 83)는 집적 회로 기판상에 제조된 소자들에 접속된 집적 회로의 단자핀에 접속된다. 디스에이블링 회로(73)는 직접 VOC의 입력탱크 회로망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입력 단자핀(82 및 83)을 제거하는것 즉, 결합선을 집적 회로의 제조된 성분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도 또한 VCO(59)를 셧다운시킨다. 그리하여, 결합선 제거 즉, VCO의 내부회로로부터 방지회로(73)를 동작상 분리시키는 것은 동시에 VCO를 셧다운 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28)의 온-구동간격 Ton동안 작동된다면, 셧다운을 달성하도록 조속히 온-구동을 끝내지 않고 상기 간격을 완성하게 하는 셧다운 회로의 설계이다. 구동 발생기(14)가 스위칭 전압(69)을 발생하도록 원-샷(65)을 포함하기 때문에, 일단 셧다운 회로가 작동되면, 원-샷의 입력에 인가된 정진행 및 부진행 천이량 어느 것도 원-샷이 그것의 구동펄스 전압부분(69a)을 발생하고 있을때 그것의 인에이블 간격동안 원-샷을 리셋 또는 리트리거 할 수 없다.
또한 원-샷(65)의 안정출력 상태는 수평출력 트랜지스터(28)에 대해 순방향 구동이 상실되는 상태이므로, 고전압 방지회로(73)의 작동으로 인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가 셧다운의 지속 기간동안 오프 상태로 남아 있거나 궁극적으로 온 상태로 스위치된다. 셧다운 회로의 작동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셧다운시 수평출력 트랜지스터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계속 온 상태가 될 수 없다.
제2도는 제1도의 LC전압제어 발진기의 특정 실시예를 포함하는 제1도 회로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동일한 기호가 붙어있는 제1도 및 제2도의 소자는 같은 기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VCO(59)는 1981년 1월 6일 발라반 및 에스. 에이. 스텍클러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243,953호에 기술된 전압제어 발진기와 유사하다.
각각 버퍼 트랜지스터(107 및 108)와 함께 차동적으로 배열된 트랜지스터(105 및 106)을 포함하는 차동증폭기 장치(104)는 공전 회로망(74)의 입력단자(82 및 83)양단에 결합된다. 공진 회로망(74)을 여기시켜 교번전압(72)을 전개하는 일정한 발진기를 유지시키기 위해, 정극성 또는 재발생 궤환이 차동 트랜지스터(105)의 콜렉터를 단자(83)에 결합함으로써 제공된다. 궤환 루프의 이득은 공진 회로망(74)의 임피던스 및 전류원(110)의 크기와 같은 인자들에 의해 결정된다.
차동 트랜지스터(106)의 콜렉터 즉 차동 증폭기(104)의 출력 단자는 트랜지스터(102 및 103)를 포함하는 일대일 전류 미러(119)의 제어 전극판에 결합된다. VCO(59)의 출력 단자는 트랜지스터(103)의 콜렉터에 위치한다. 16fH의 공진 회로망 공진 주파수로 반복되는 구형파 VCO 출력전류 신호(187)는 수평 레이트, 50퍼센트 충격계수인 구형파 신호(81)를 발생시키도록 제 1도의 16분 카운터(60)에 인가된다.
최소 오프셋 전압을 가정한 차동 증폭기(104)의 정지점은 접지에 대한 단자(83)의 전압이 VCC와 같을때 사인파 탱크전압(72)의 AC영-교차 순간 동안 발생한다. 정현파탱크 전압(72)의 AC영 값에 대해 정극성 부분 동안 차동 증폭기(104)의 트랜지스터(105 내지 108)의 바이어싱은 차동 증폭기(106)를 도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구형파 전류신호(187)의 상부레벨 부분을 발생시킨다. 정현파 탱크 전압(72)의부극성 부분동안, 자동 트랜지스터(106)는 차단되어, 구형파 전류신호(187)의 하부레벨 부분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구형파 전류신호(187)는 정현파 탱크 출력전압(72)과 동상이다.
출력전류 신호(187)의 주파수 및 위상을 제어하기 위해 공진 회로망(74)의 공진 주파수는 제1도의 위상 고정 루프(54)에 의해 발생된 DC제어전압 DC1에 응답하는 궤환중 배회로(112)에 의해 제어된다. 궤환 증배기(112)는 상술된 1981년 1월 6일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243,953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거나 1986년 12월에 발간된 고정 회로에 대한 IEEE잡지 SC-3권, 제 4 호 373 내지 380페이지에 기술된 "모노리틱 아날로그 증배기의 응용"이란 제목으로 기술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궤환 증배기(112)는 +Vcc공급단자(81)로부터 공진 회로망(74)을 통해 얻어진 전류 io를 도선(120)에 발생시킨다. 증배기 전류io는 공진전압(72)의 수직성분이다. 따라서 증배기 전류 io는 전류 io가 위상이 뒤쳐지거나 -90도인 전류라면 인덕터(77)에 흐르는 전류in과 동상이거나, 전류io가 위상이 앞서거나 +90도인 전류라면 공진 캐패시터에 흐르는 전류io과 동상이다. DC제어전압 DC1에 응답하여, 증배기(112)는 수직성분(quadrature) 전류io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앞서거나 뒤쳐지는 위상의 전류를 설정하므로써, 공진 회로망(74)의 캐패시턴스와 인덕턴스의 값을 명백히 변화시키며, 각각 공진 전압(72)의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차동 증폭기(104)의 버퍼 트랜지스터(108)는 선형 동작 영역에서 바이어스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108)의 에미터 전압은 공진 전압과 동상인 정현파 전압이다. 이러한 트랜지스터(108)의 에미터에서의 동상 전압은 신호선(119)을 따라 증배기(112)의 파라페이스(paraphase)증폭기(116)에 인가된다. 파라페이스 증폭기(116)는 신호선(119)상의 동상 전압을 서로 180도 위상차가 나는 두개의 수직 성분 신호로 변화시킨다. +90도 즉, 앞서는 위상의 수직성분 신호는 신호선(114)상에 발생되고 -90도 즉, 뒤쳐지는 위상의 수직성분 신호는 선(115)상에 발생된다. 출력도선(118)에 +90도 즉 앞서는 위상의 전류 i1을 제공하고 또 출력도선(117)에 -90도 즉 뒤쳐지는 위상의 전류 i2를 제공하도록 두 수직성분 신호들의 배균형 종속접속 차동 증폭기(113)에 인가된다.
제2도의 차동 증폭기(104)의 재발생 궤환 루프의 이득은 트랜지스터(105)의 콜렉터 출력 임피던스의 함수이며, 더 큰 콜렉터 출력 임피던스는 더 큰 이득을 제공한다. 공진 회로망(74)의 임피던스는 콜렉터 출력 임피던스를 포함한다. 제1도의 디스에이블링 래치(73)가 작용할때, 다이오드(78 및 79)는 동시에 도통되며, 공진 회로망(74)양단에 병렬 연결된 낮은 임피던스를 공급한다. 따라서, 디스에이블링 래치(73)가 작동된 후 재발생 궤환 루프 이득은 1보다 작아지며, 공진 발진은 중단되고 VCO(59)는 디스에이블된다.

Claims (13)

  1. 화상관 얼터 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표시용 디스에이블링 회로에 있어서, 유도성-용량성 공진 회로망(74)과, 교번출력 신호(87)를 발생시키는 일정한 발진을 유도하도록 상기 회로망을 여기시키는 유도성용량성 공진 회로망에 결합된 전압제어 발진기(59)와 화상관 얼터 전압을 발생하도록 상기 교번 출력 신호(87)에 결합되는 고전압 발생기(37)와, 상기 얼터 전압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24C)과, 상기 얼터 전압이 설정된 레벨을 초과할때 디스에이블링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얼터 전압표시 신호에 응답하는 비교기 트랜지스터(44)와, 유도성-용량성 공진 회로망(74)에 결합되어 상기 고전압 발생기(37)의 동작을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해 상기 일정하게 유지된 발진을 중단시키도록 상기 공진 회로망(74)을 단락 시키는 디스에이블링 신호에 응답하는 다이오드(78, 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디스에이블링 신호 발생 동안만 여기되고 상기 공진 회로망(74)이 인덕터(77)양단에 결합된 다이오드(78, 7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용량성 공진 회로망은 병렬 LC 공진 회로망(7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에이블링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다이오드(78, 79) 결합된 래치(43)를 포함하며 상기 얼터 전압 표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는 접합단자(80)에 함께 결합된 동일 기능의 전극을 갖는 제 1 (73) 및 제 2(79)다이오드 포함하며, 상기 래치(43)의 출력단자는 상기 접합단자(8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래치 전류가 상기 제 1(78) 및 제 2(79)다이오드로 부터 상기 접합단자(80)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 수평 발진기 신호(81)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교번출력 신호에 응답하는 카운터(60)와, 수평 편향권선(25)과, 상기 편향권선(25)에 주사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편향권선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발진기 신호에 응답 하는 소인 스위치(27)와, 상기 소인 스위치가 비도통 상태가 될때, 상기 편향권선(25)양단에 귀선 펄스 전압을 발생 시키는 귀선 캐패시터(30)와, 상기 얼터 전압을 발생하도록 상기 귀선 펄스 전압에 응답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8. 상기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소인 스위치(27)가 상기 수평 발진기 신호에 응답하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와 제동 다이오드(29)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발진기 신호발생 수단은 상기 교번 출력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원-샷 펄스 발생기(65)가 인에이블 될때 상기 수평 레이트 스위칭 신호의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온-구동부분을 발생하는 원-샷 펄스 발생기(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9. LC발진기 셧다운 회로에 있어서, LC공진 회로망(74)과, 상기 공진 회로망(74)의 발진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높은 피드백 루프의 이득, 재생 피드백 루프를 형성하는 상기 차동 증폭기(104)의 입력 단자에 상기 공진 회로망 출력 전압을 인가시키는 수단((108)의 베이스)과 상기 공진 회로망(74)에 접속된 출력단자(83)를 갖는 차동 증폭기(104)를 포함하고, 공진 회로망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발진하여 상기 공진 회로망(74)을 여기시키는 전압 제어 발진기(59)와, 상기 유지된 발진을 정지시키기에 충분한 상기 피드백 루프의 이득을 낮추는 반도체 소자의 낮은 임피던스와, 상기 공진 회로망(74)양단에 다이오드(78, 79)를 접속시키는 셧다운 신호에 응답하는 래치(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발진기 셧다운 회로.
  10. 수평 편향권선, 수평 편향권선에 결합되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소인 스위치, 그리고 수평 레이트 양레벨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평 발진기 회로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수평 편향 셧다운 회로에 있어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5)가 상기 양 레벨 신호의 매 사이클동안, 구동 펄스 전압 간격내에 있는 상기 양레벨 신호의 정 및 부진행 천이들중 하나의 재 순환에 무관한 펄스 지속 간격을 가진 구동 펄스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천이들중의 하나에만 응답하는 것과, 상기 구동 펄스 전압의 지속 시간 동안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를 순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에 상기 구동 펄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평 구동단(12)이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에 대해 역 바이어싱 전압이 구동 펄스 전압이 없을때 정상적인 편향회로 동작 동안 발생되며, 상기 수단내에서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작용이 수평 주사 전류를 제공하는 것과, 다이오드(78, 79)가 상기 수평 발진기에 결합되며 상기 셧다운 수단이 상기 구동 펄스 전압 간격의 완성에 앞서 작동될때 상기 구동 펄스 전압을 조속히 끝내지 않고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28)를 비도통 상태로 유지시키는 상기 양레벨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비 정상적인 편향회로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수평 편향 셧다운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발진기가 유도성-용량성 공진 회로망(74), 상기 회로망은 재 발생적으로 여기시켜 발진시키기 위한 수평 발진기(59), 그리고 상기 회로망의 발진에 응답하여 상기 수평 레이트 양레벨 신호를 발생시키는 카운터(60)를 포함하며, 상기 셧다운 수단이 상기 발진을 중단시키도록 상기 공진 회로망을 단락시키는 다이오드(78, 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수평 편향 셧다운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가 상기 공진 회로망(74)의 도성 부분(77)양단에 직렬로 결합된 제1(78) 및 제2(79)다이오드와, 상기 셧다운 수단의 작동시 상기 제1 및 제2다이오드(78, 79)를 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래치(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수평 편향 셧다운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순 바이어싱 수단이 상기 비 정상적인 편향 회로 동작에 의해 작동 되며, 상기 제1 및 제2다이오드의 접합 단자(80)에 결합된 출력 단자(90)를 갖는 래치(43)를 포함하며, 래치 전류가 작동시 상기 제 1 및 제 2다이오드(78, 79)로 부터 상기 접합 단자(80)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수평 편향 셧다운 회로.
KR1019810004908A 1980-12-15 1981-12-14 텔레비전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KR880002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6338 1980-12-15
US216,338 1980-12-15
US06/216,338 US4389676A (en) 1980-12-15 1980-12-15 Television receiver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590A KR830008590A (ko) 1983-12-10
KR880002200B1 true KR880002200B1 (ko) 1988-10-17

Family

ID=2280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908A KR880002200B1 (ko) 1980-12-15 1981-12-14 텔레비전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389676A (ko)
JP (2) JPS57129070A (ko)
KR (1) KR880002200B1 (ko)
CA (1) CA1171957A (ko)
DE (1) DE314974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103705A (nl) * 1981-08-06 1983-03-01 Philips Nv Lijnsynchroniseerschakeling voor een beelweergeefinrichting.
US4435731A (en) * 1981-09-01 1984-03-06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disabling circuit
JPS61128872U (ko) * 1985-01-30 1986-08-12
US4641064A (en) * 1985-04-29 1987-02-03 Rca Corporation Television power supply shutdown circuit
US4797771A (en) * 1987-06-30 1989-01-10 Rca Licensing Corporation Television fault detection and protection apparatus
US4905116A (en) * 1987-09-28 1990-02-27 North American Philips Corp. X-radiation protection circuit
US5047698A (en) * 1991-03-14 1991-09-1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US5111122A (en) * 1991-05-03 1992-05-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Video display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3580A (en) * 1973-01-19 1974-05-28 Rca Corp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
US3840784A (en) * 1973-04-05 1974-10-08 Eastman Kodak Co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
US4042859A (en) * 1975-05-31 1977-08-16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of a television receiver with means to eliminate generation of dangerous high potential under faulty condition
JPS5243322A (en) * 1975-10-02 1977-04-05 Hitachi Ltd High voltage protective circuit
US4082986A (en) * 1976-02-27 1978-04-04 Zenith Radio Corporation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4045742A (en) * 1976-04-12 1977-08-30 Zenith Radio Corporation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responsive to excessive beam current and high voltage
JPS6022694Y2 (ja) * 1977-12-07 1985-07-05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受像機の高圧制限回路
US4147964A (en) * 1978-02-09 1979-04-03 Rca Corporation Complementary latching disabling circuit
US4241296A (en) * 1979-05-29 1980-12-23 Tektronix, Inc.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including protection for output transistor
US4263615A (en) * 1979-09-20 1981-04-21 Zenith Radio Corporation Horizontal drive circuit for video display
US4321513A (en) * 1980-09-08 1982-03-23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149740C2 (de) 1983-12-22
US4389676A (en) 1983-06-21
JPH0251312B2 (ko) 1990-11-07
DE3149740A1 (de) 1982-08-05
JPH0252474B2 (ko) 1990-11-13
CA1171957A (en) 1984-07-31
JPS6379476A (ja) 1988-04-09
JPS57129070A (en) 1982-08-10
KR830008590A (ko) 198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6706B2 (ko)
US4090111A (en) Malfunction detecting apparatus for use in a CRT deflection circuit
KR880002200B1 (ko) 텔레비전 수신기 고전압 방지회로
US4488181A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KR880000908B1 (ko) 이중모드(mode) 수평 편향회로
US4471327A (en) Self-oscillating power supply
JPS5846903B2 (ja) スイヘイシユツリヨクカイロノイジヨウケンシユツカイロ
US3885198A (en) High voltage regulator
KR900008233B1 (ko) 수평 편향 귀선 시간 절환 회로
US3912972A (en) Line deflection circuit for cathode-ray tubes
US4385264A (en) Start-up circuit for a power supply
US3749966A (en) High voltage hold down circuit for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US3891892A (en) Start-up control circuit for SCR deflection
US4042859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of a television receiver with means to eliminate generation of dangerous high potential under faulty condition
KR100239076B1 (ko) Crt 전극 전원용 전압 부우스터
US4521720A (en) Projection TV CRT burn protection
KR910003422B1 (ko) 텔레비젼 표시기
US4082986A (en)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3894269A (en)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
CA1073097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of a television receiver
EP0092954B1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display system
KR100359475B1 (ko) 음극선관용집속코일전류발생기
EP0297846B1 (en) A television fault protection apparatus
GB2311708A (en) A 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KR880000906B1 (ko) 텔레비젼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