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882Y1 -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 - Google Patents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882Y1
KR880001882Y1 KR2019850007283U KR850007283U KR880001882Y1 KR 880001882 Y1 KR880001882 Y1 KR 880001882Y1 KR 2019850007283 U KR2019850007283 U KR 2019850007283U KR 850007283 U KR850007283 U KR 850007283U KR 880001882 Y1 KR880001882 Y1 KR 880001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coustic transducer
piezoelectric element
diaphrag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383U (ko
Inventor
박화수
Original Assignee
박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화수 filed Critical 박화수
Priority to KR2019850007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882Y1/ko
Publication of KR870001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
제1도는 종래의 압전소자를 내장한 음향 트랜스듀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래의 음향 트랜스듀서의 진동판 2 : 흡음판
3 : 압전소자
6.6' : 본 고안의 음향 트랜스듀서의 진동판
10 : 닥트
본 고안은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음향 트랜스듀서 중심부에 압전소자를 설치하고 이 압전소자의 양방향에 진동판을 배설한 신규의 음향 트랜스듀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압전소자 음향 트랜스듀서는 코운 또는 호운에 연결시켜 진동판을 기계적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시키도록 한 음향 트랜스듀서가 미합중국 특허 제 3,548, 116호 동 제 3, 786,202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음향 트랜스는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소자에 의한 진동이 진동판에 전달되도록 맞붙여서 일체화하고, 이때 발생되는 강한음파를 흡수시키기위해 진동판(1)의 외부에 흡음판(2)을 부착시켜 스피커의 바스 켓(4)으로부터 리이드선을 돌출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음향은 화살표 방향으로 방사되어 음의 집중현상이 우수한 반면에 진동판(1)의 외주축에는 음압감쇄현상이 발생하여 플레트한 음향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방향성이 45o이내로 한정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자는 상기의 단점을 제거하고 독특한 음향 트랜스듀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바 압전소자의 상하면에 타원형의 진동판을 접합시켜 특수한 용도의 음향 트랜스듀서를 고안했다.
이하 본원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 구동부재(3)가 음향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설되고 이 압전소자의 양방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진동판(6, 6')을 압전소자 중앙에 포인트접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전소자 구동부재(3)의 진동을 전후 양방향으로 방사되는데, 양방향의 음파가 서로 상쇄되어 거의 재생음을 들을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7, 7')이 구성되어 있을 때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막은 예컨대 방과 방사이의 벽과 같이 단단하게 격리될 수록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4도와 같이 흡음재가 설치된 바스에 넣어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일방에서 재생된음은 전방향으로 방사되고 타방에서 재생된 음은 형성된 공간 S를 거쳐 닥트(10)를 통해 나오게 된다. 후방에서 나온 음은 공간 S에 와서 공명현상을 일으켜 음을 더욱 플래트하게 형성한다.
종래의 압전소자를 내장한 음향 트랜스듀서는 진동판의 후면에 흡음판을 사용하지 않을 시는 압전소자의 단점인 "샤샤"하는 이질음이 발생하나, 본 고안은 압전소자의 양방에 진동판이 부착되어 흡음재가 없이도 상기의 이질음이 발생치 않고 음질이 훨씬 양호하며, 또한 양방향의 진동판이 압전소자를 견고히 고정시켜 상하 운동만 하여 잡음 발생요인을 제거하는 우수한 구조적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음향 트랜스듀서를 양방향으로 음이 재생되어 나오기 때문에 종래의 단방향으로 나오는 음향 트랜스듀서에 비해 약 2/3의 더 많은 양의 음을 같은 조건하에서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압전소자(3)와 진동판(6,6')의 접착부위는 포인트 접착이 유리하나 종래의 공지방법에 의해 접착시켜도 무방하다.

Claims (1)

  1. 음향 트랜스듀서에 있어서, 압전소자(3)의 양방에 진동판(6,6')를 접합시킨 것이 특징인 음향 트랜스듀서.
KR2019850007283U 1985-06-18 1985-06-18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 KR880001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283U KR880001882Y1 (ko) 1985-06-18 1985-06-18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283U KR880001882Y1 (ko) 1985-06-18 1985-06-18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383U KR870001383U (ko) 1987-02-20
KR880001882Y1 true KR880001882Y1 (ko) 1988-05-21

Family

ID=1924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283U KR880001882Y1 (ko) 1985-06-18 1985-06-18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8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059A (ko) * 2001-06-14 2002-12-31 신기옥 도자기 전기포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742B1 (ko) * 2020-08-05 2022-07-19 대진전기(주) 간편한 폐쇄형 무정전 자동절환 스위치의 수동식 스위치 구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059A (ko) * 2001-06-14 2002-12-31 신기옥 도자기 전기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383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1834B2 (ja) スピーカ
KR20000057689A (ko) 진동 패널들을 구비한 전기 음향 변환기
US3849679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controlled beam pattern
RU1838895C (ru) Электроакустическа система
KR880001882Y1 (ko)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
CN211959524U (zh) 发声器件
US6130951A (en) Speaker having multiple sound bodies and multiple sound openings
JPS6024054Y2 (ja) 圧電型スピ−カ
JPH036960Y2 (ko)
JP2531026B2 (ja) 防水スピ―カ
JPH0448079Y2 (ko)
JP2658363B2 (ja) ソーナー用送受波器
JPS59210798A (ja) 超音波セラミツクマイクロホン
JPH10304491A (ja) スピーカ
KR870002810Y1 (ko) 음향트랜스듀서
JP2518220B2 (ja) 電気音響変換器
JP2579459B2 (ja) スピ−カ−
JPS5853834Y2 (ja) 高音スピ−カ
JPS6019438Y2 (ja) 超音波セラミックマイクロホン
JPH0514640Y2 (ko)
JPH08307979A (ja) スピーカの構造
JPS6024055Y2 (ja) 電気音響変換器
JPS5830393Y2 (ja) マイクロホン
JPH0448080Y2 (ko)
JPS6025200Y2 (ja) 圧電ブ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