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810Y1 - 음향트랜스듀서 - Google Patents

음향트랜스듀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810Y1
KR870002810Y1 KR2019850006359U KR850006359U KR870002810Y1 KR 870002810 Y1 KR870002810 Y1 KR 870002810Y1 KR 2019850006359 U KR2019850006359 U KR 2019850006359U KR 850006359 U KR850006359 U KR 850006359U KR 870002810 Y1 KR870002810 Y1 KR 870002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coustic transducer
diaphragm
piezoelectric element
trans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554U (ko
Inventor
박화수
Original Assignee
박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화수 filed Critical 박화수
Priority to KR2019850006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810Y1/ko
Publication of KR860015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향트랜스듀서
제1도는 종래 압전소자를 내장한 음향트랜스듀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음향트랜스듀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음향 트랜스듀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동판 2 : 흡음재
3 : 압전소자 4 : 바스켓
5 : 리이드선 6 : 진동판
7 : 전음관
본 고안은 음향트랜스듀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압전 소자 트랜스듀서상에 전음관을 내장하며, 코운 또는 호온에 연결되는 진동판을 기계적 구동수단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전술한 기계적 구동수단에 의한 음향트랜스듀서는 고음에 코운 또는 호운에 연결되는 진동판을 기계적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시키도록한 음향트랜스듀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계적 구동수단에 의한 음향트랜스듀서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다. 압전소자를 사용하지 않는 스피커, 즉 마그네트를 사용하는 일반 스피커는 코운형이나 호운형 또는 돔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압전소자 트랜스듀서로는 동형, 평면형 스피커로는 사용할 수 없고 단지 코운형으로 개발되어 왔으나, 이러한 형태는 전 방향으로만의 음의 재생기에 있어서 다소 유리하나 방향성이 나쁘고, 능률이 낮아지며 돔형태로서의 트랜스듀서는 제작할 수 없었다. (참고 : 미합중국 특허 제3, 548, 116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3, 786, 202호)
통상적으로 구동부재를 보유하는 고음발성소자는 압전소자에 의한 진동이 진동판에 직접 전달되도록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이 외주연을 따라 코운상으로 맞붙여서 일체화하고 이때 발생되는 강한 음파를 흡수시키기 위해 진동판(1)외부에 흡음판(2)을 부착시켜 스피커의 바스켓(4)으로 부터 리이드(5)선을 도출시킨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음향은 화살표의 도시와 같이 방사되어 전방으로의 음의 집중현상이 우수한 반면에 진동판(1)의 외주축에는 음압감쇄현상이 발생하여 측면에서는 플래트한 음향을 얻을 수 없고, 압전소자구동부재(3)에서 생기는 인체에 유해한 초음파까지도 그대로 방사되는 결점이있다.
본 고안자는 상기의 단점을 제거한 우수한 음향 트랜스듀서를 개발하고자 에이 연구한바, 종래의 음향 트랜스듀서에 비해, 트랜스듀서 의형태 를자유자재로 제작할 수 있고 방향성이 우수하며, 일그러짐이 거의 없는, 음향업계에서 이상적인 중·고음용 음향트랜스듀서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압전소자 상단에 전음관(7)을 부착하여 음의 일그러짐을 방지하고, 압전소자 자체의 잡음을 제거하고, 사람이나 동물의 신경을 자극하는 35KHz까지 발산을 방지하는 음향 트랜스듀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전음관(7)의 재료의 선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주파수 특성을 자유롭게 변형가능하며, 크기와 형태에 따라 트랜스듀서의 성능이 과거 3KHz 이하는 거의 재생이 불가능 했던 중음대역을 완전히 재생 가능토록한 음향트랜스듀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원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압전소자 구동부재(3)가 부착되는 전음관(7)의 외주연을 진동판(6)의 내측 중앙부(6)에 대어 접착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음관(7)이 압전소자 구동부재(3)의 진동은 진동판(6)의 외주측까지 충실하게 전달되며 또한 그 내부에 공명현상을 일으켜 방출되는 음향은 화살표와 같이 방사되므로, 외주측의 음압 감쇄현상이 저하된 플래트한 음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전음관(7)은 진동판(6)의 중심부에서 일체화되어 진동하므로, 압전소자 구동부재(3)로 부터 방사되는 초음파진동판의 진동시흡수 여과되며, 한편으로는 전음관(7)이 진동판(6)에 직접 맞붙혀서 기존의 보이스 코일(voice coil)용 스피커의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게 되어 트랜스듀서의 커버넬을 자유자재로 변형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전음관의 소재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금속이나, 레진류와 같이 딱딱하고 가벼울수록 바람직하며, 압전소자와 직접 완전하게 포인트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전음관의 재료는 금속이며 금속으로 사용될 때는 트랜스듀서내에서 발생되는 많은 열을 거하는 소위·히트씽크·효과를 나타내어 음향트랜스듀서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킨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 진동판(1)과 전음관(7) 및 압전소자 구동부재(3)간의 접착방법은 주지된 바와 같이 접착물의 표면에 합 성수지층을 코팅하여 이들 합성수지층끼리 접착시켜 주는 것에 의해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여타의 방법도 가능하다.

Claims (1)

  1. 음향트랜스듀서에 있어서 진동판(1)의 내측중앙부에 전음관(7)의 외주연을 맞대어 접착시키고, 전음관(7)을 압전소자(3)에 부착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트랜스듀서.
KR2019850006359U 1985-05-29 1985-05-29 음향트랜스듀서 KR870002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359U KR870002810Y1 (ko) 1985-05-29 1985-05-29 음향트랜스듀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359U KR870002810Y1 (ko) 1985-05-29 1985-05-29 음향트랜스듀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554U KR860015554U (ko) 1986-12-30
KR870002810Y1 true KR870002810Y1 (ko) 1987-08-20

Family

ID=1924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359U KR870002810Y1 (ko) 1985-05-29 1985-05-29 음향트랜스듀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8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554U (ko)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3216B2 (en) Ultra low frequency transducer and loud speaker comprising same
JPS622866Y2 (ko)
JP3123431B2 (ja) 圧電スピーカ
US4979219A (en) Piezoelectric speakers
JP2015122728A (ja) 電気音響変換器
US4461930A (en) Acoustic transducer with honeycomb diaphragm
JP2000201399A (ja) 圧電スピ―カ
KR870002810Y1 (ko) 음향트랜스듀서
JP3690937B2 (ja) 圧電スピーカ
JP2962551B2 (ja) スピーカ装置
JP2531026B2 (ja) 防水スピ―カ
JPH09215093A (ja) 圧電型スピーカ
KR880001882Y1 (ko) 양방성 음향 트랜스듀서
JPS636959Y2 (ko)
JPS636956Y2 (ko)
JPH11275677A (ja) 音響・電気変換装置
JP2001224090A (ja) パッシブラジエータ型スピーカ装置
JPS6127275Y2 (ko)
JP2001045588A (ja) スピーカ
JPH0129909Y2 (ko)
JPH0126239B2 (ko)
JPS636958Y2 (ko)
JPS6230395Y2 (ko)
JPS6024055Y2 (ja) 電気音響変換器
JPH02419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8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