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51Y1 - 물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물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51Y1
KR880001751Y1 KR2019870024056U KR870024056U KR880001751Y1 KR 880001751 Y1 KR880001751 Y1 KR 880001751Y1 KR 2019870024056 U KR2019870024056 U KR 2019870024056U KR 870024056 U KR870024056 U KR 870024056U KR 880001751 Y1 KR880001751 Y1 KR 880001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inlet
inlet chamber
outle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부 야나기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우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우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의 여과장치
도면은 본 고안을 세탁기용의 물의 여과장치에 적용한 일실시예로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세탁기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탈수조 상부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중 Ⅲ-Ⅲ선 확대 종단면도.
제4도는 제1도중 Ⅳ-Ⅳ선 확대 종단면도.
제5도는 유량 조절장치의 확대 종단면도.
제6도는 동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 : 본체케이스 23 : 여과부재
24 : 물 유입실 25 : 물 유출실
28a : 일수구 36 : 투명캡
40 : 유량조절장치
본 고안은, 수도등의 수원에서 공급되는 수중에서 산화 철분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물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들면 세탁기용의 물의 여과장치에 있어서는 본체 케이스를 내압성을 갖는 밀폐용기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 본체 케이스내에 원통상의 여과부재를 배설해서 해당 본체 케이스내를 여과부재의 외측에 위치한 물 유입실과 여과부재의 안폭에 위치한 물 유출실로 구분하고, 또한 전기물 유입실에 연통해서 입수구부(入水口部)를 설치함과 아울러 전기 물 유출실에 연통해서 출수구부(出水口部)를 설치한 구성이었다. 그리고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입수구부를 수도등의 수원에 연결하여 그의 수원으로부터 물 유입실내에 급수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같이 급수된 물은 여과부재로 여과되어서 산화철분등의 불순물이 제거된 물로 되어 물 유출실내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출수구부로부터 본체 케이스밖으로 유출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의 것으로서는 본체 케이스가 밀폐구조이기 때문에, 여과부재에 막힘이 생겨서 통수저항이 증대할 때에는 급수압이 본체 케이스에 직접 작용한다고 하는 사정이 있으며,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본체 케이스를 내압구조로 해놓지 않으면 안되고, 때문에 생산가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이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 유입실의 소정높이 부위에 대기로 연통하는 일수구를 마련하여, 통상은 물 유입실내에 저장한 물을 자신의 수두(水頭)에 의해서 여과부재를 통해서 물 유입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하고 또한 만일 여고부재의 교환시기를 놓쳐서 그의 통수저항이 증대할 경우에도 물 유입실내의 일수구로부터 넘치도록 함으로서 본체 케이스에 급수압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할 것을 고안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것으로서는 물 유입실내에 저장된 물은 오로지 수두에 의해서 여과부재를 통과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수원으로부터 여과부재의 여과성능을 초과한 유량의 물이 물 유입실내에 공급된 경우에는, 설사 여과부재가 막히지 않아도 여과부재를 통과할 수 없는 물이 일수구로부터 넘쳐나와서 물을 낭비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에 있어서 일일이 수도꼭지의 열림을 조절하여서, 일수구로부터 물의 넘쳐흐름을 방지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고, 마음대로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해서 된 것으로서, 따라서 그의 목적은 여과부재의 눈막힘을 확인할 수가 있어 그의 교환을 적절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본체 케이스를 내압구조로 하지 않드라도 되고, 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하기 편리한 물의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 유입실의 소정높이 부위에 대기로 연통하는 일수구를 마련함과 아울러, 수도등의 수원에서 전기 물 유입실내에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으로 유량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세탁기용의 물의 여과장치에 적용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은 2조식 세탁기의 의상이고, 그 내부에는 세탁조(2)와 탈수조(3)가 병설되어 있다. 그리고 탈수조(3)내에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탈수농(4)이 도시하지 아니한 모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이 탈수농(4)의 내저부 중앙에는 통수성 다공질체로 된 산수통(5)이 입설되어 있다. (6)은 탈수조(3)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개(안뚜껑)로서, 이것에는 그의 주연부이외의 부분을 하방으로 함몰시킴으로써 주수기(7)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으며, 해당 내개(6)의 후단좌방부에는 외상(1)내에 배설된 급수통(8)을 통해서 후술한 바와 같이하여 공급되는 물을 주수기(7)내에 도입하기 위한 수수구(水受口)(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수기(7)의 저부중앙에는 산수통(5)의 상단구부에 대응해서 주수구(10)가 형성되어, 해당 저부 상면에는 수수구(9)로부터 주수기(7)내에 유입한 물을 주수구(10)에 도입시키기 위한 안내 리브(11)이 예를들면 3개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주수기(7)의 후단부에는 유량표시 용단부(12), (13)이 형성되어 있다. (14)는 내개(6)의 상방에 덮여있는 외개로서, 이들의 중앙부에는 주수기(7)에 대응해서 투명판제의 투시창(15)이 마련되어 있다. (16)은 외상(1)의 상단면후부에 입설된 조작상으로서 이들의 전면부에는 세탁타이머(도시하지 않음), 탈수 타이머(17)등의 조작용의 계기가 마련되어 있는 외에, 세탁조(2)측의 소정부위에 수납요부(18)가 형설되어 있다.
한편 (19)는 수납요부(18)내에 수납배설된 여과장치의 본체 케이스로, 이것은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면을 개방하는 용기상의 케이스주부(主部) (20)와 그의 상면 개구부에 씨일(Seal) 부재(21)을 개해서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한 개부(22)에 의해서 성립된다. (23)은 통상(筒狀)으로 형성된 여과부재로서 이들의 양단 개구부는 케이스 주부(20)의 내저부에 형성한 감합통부(20a)와 개부(22)의 하면부에 형성한 강합통부(22a)에 각각 감합되어 있으며, 이 여과부재(23)에 의해서 본체 케이스(19)의 내부를 여과부재(23)의 외측에 위치하는 물 유입실(24)와 여과부재(23)의 내측에 위치한 물 유출실(25)로 구분하고 있다. (26)은 물유입실(24)의 소정높이 부위에 후방(제3도 및 제4도중 우방)에 돌출형성된 평탄부이고 여기에는 입수구(27) 및 내부를 일수구(28a)로 한 하향의 일수통부(28)이 도시하지 않은 차수벽을 끼고 좌우로 병설되어 있다. 그리고 입수구(27)을 개해서 수밀로 감합되어서 이로서 계수통부(29)에 연결된 연결관(31)을 통해서 후술한 바와같이 하여 공급되는 물을 입수구(27)로부터 물 유입식(24)내에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일수통부(28)은 제4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조작상(16)의 상면부에 마련된 수구(32)에 삽입 연결되어, 그 수구(32)에 하단 개구부가 세탁조(2)내에 개방된 일수관(33)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본체 케이스(19)의 일수구(28a)를 대기에 연통시키고 있다. (34)는 물 유출실(25)의 저부에 마련된 출수통으로서 이의 내부를 출수구(34a)로 하고 있다. 이 출수통(34)는 조작상(16)의 수납요부(18) 저부에 형성된 수구(35)내에 삽입되어 있고, 또 수구(35)에는 전술한 급수통(8)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36)은 본체 케이스(19)의 개부(22)의 일수구(28a)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마련된 투명캡으로, 이 투명 캡(36)을 통하여 물 유입실(24) 내의 일수구(28a) 근방을 투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1도에 있어서 (37)은 조작상(16)내에 마련된 급수변으로서, 이것은 그 입수구부(37a)가 호수(hose) (38)에 의해서 수원인 수도의 출수구(39)에 연결되어 있고, 아울러 출수구부(37b)가 전술한 연결관(31)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그의 입수구부(37a)에 여과장치의 물 유입실(24)내에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으로 유량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장치(40)을 내접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유량조절장치(40)의 구체적 구성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41)은 급수변(37)의 입수구부(37a)내에 수납한 통수케이스, (42)는 통수케이스(41)내에 수납한 예를 들면 연질고무제의 환상좌, (43)은 이 환상좌(42)와 중합상태로 수납한 조절변이며, 조절변(43)에서는 대략 중앙에 통수구(43a)를 형성함과 아울러 환상좌(42)측의 단면에 다수의 통수구(43b)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서, 수도의 수압이 높아지면 조절변(43)이 환상좌(42)에 먹어들어가도록 변위하기 때문에 통수구(43b)의 유로단면적이 감소하고, 이로써 수압의 대소를 불구하고 통수량이 대략 일정하게 조절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탁운전후, 탈수헹구기 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미리 수도의 출수구(39)의 꼭지를 열어 놓는다. 이것과 전후해서, 탈수농(4)내의 산수통(5) 주위에 세제 세탁후의 세탁물을 수용하고, 내개(6) 및 외개(14)를 덮은 다음, 탈수타이머(17)를 조작해서 도시하지 않은 탈수 모터에 의해서 탈수농(4)를 고속회전시켜 세탁물중의 세제액을 원심분리한다. 탈수 개시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탈수농(4)이 간헐 구동됨과 아울러 급수변(37)이 통전되어서 개방되고, 이로써 입수구부(37a)내에 유입한 수도물이 유량조절장치(40)에 의해서 대략 일정의 유량으로 조절되고, 또한 출수구부(37b)로부터 연결관(31)을 통해서 본체 케이스(19)의 물 유입실(24)내에 공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도의 출수구(39)의 꼭지를 단지 어느 정도 열어놓기만하면 그 열림의 대소에 불구하고 항상 물 유입실(24)내에는 일정유량의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출수구(39)의 꼭지의 열림을 조절하지 않드라도 된다. 그리고, 물 유입실(24)내에 공급된 물은 물 유입실(24)내에 저류된채 그의 수두(수변)에 의해서 여과부재(23)내를 침투하고, 여기에서 산화철분등의 불순물이 포획제거된 후 물 유출실(25)내에 유입해서 출수구(34a)로부터 급수통(8) 내에 유하한다. 그런데 급수개시 직후는 물 유입실(24) 내의 수위가 낮고, 수두(수변)도 적기때문에 여과부재(23)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은 물 유입실(24)내로의 급수량보다 적으며, 이에 의해서 물 유입실(24)내의 수위도 점차로 상승하는데, 이에 따라서 물 유입실(24)내의 공기는 일수구(28a)를 통해서 본체 케이스(19)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19)내의 내압이 높아지는 일은 없다. 잠시후에 물 유입실(24)내로의 급수류량과 여과부재(23)을 통과한 물의 유량이 같게되어 그후부터 물 유입실(24)내의 수위가 제3도 및 제4도중 실선 L로 표시한 통상수위로 유지된다. 그리하여 전술한 바와같이 출수구(39)의 꼭지의 열림의 대소에 불구하고 항상 물 유입실(24)내에는 대략 일정 유량의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수위 L은 여과부재(23)이 막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수구(39)의 꼭지의 열림의 대소에 불구하고 대략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여과부재(23)이 막히지 않은 경우에는 출수구(39)의 꼭지를 완전히 열었다해도 수위 L은 상승하는 일없이 그리고 무링 일수구(28a)로부터 넘쳐나오는 일이 없다.
한편 여과부재(23)으로서 여과되어서 출수구(34a)로부터 급수통(8)내에 유하한 물은 급수통(9)을 유하하여 그의 하단으로부터 수수구(9)를 통하여 주수기(7)내에 유입하고 주수구(10)으로부터 산수통(5)내에 유하한다.
이와같이 해서 산수통(5)내에 공급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서 산수통(5)의 주벽으로부터 분출되고, 주위의 세탁물을 함수상태로 한다. 이리하여 세탁물에 포함된 물은 탈수농(4)의 회전에 의한 원심탈수작용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으로서, 이와같은 함수와 원심탈수작용에 의해서 세탁물의 헹구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경우, 출수구(39)로부터 표출된 수도물에 산화철분등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드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그의 불순물은 여과부재(23)의 여과작용에 의해서 포획제거되기 때문에 특히 수질이 나쁜 지역에서도 탈수헹구기에 의한 세탁물의 변색이 방지된다. 그런데, 장기 사용에 의해서 여과부재(23)이 막히는 경우, 여과부재(23)의 통수저항이 커지는데, 유량조절장치(40)의 작용에 의해서 물 유입실(24)내에는 항상 일정류량의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물 유입실(24) 내의 수위는 통상수위 L을 초과해서 더욱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그의 수위가 물 유입실(24)의 소정높이 부위에 위치하는 일수구(28a)를 넘어서 상승하려고 하면 그의 물이 일수구(28a)로부터 넘쳐나가서 일수관(33)을 통해서 세탁조(2) 내에 유입하도록 되기때문에 사용자는 일수관(33)으로부터 세탁조(2)내에 넘쳐나가는 물을 볼 수 있어 여과부재(23)이 막힌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것을 기준으로 한다면 여과부재(23)을 적절한 시기에 교환할 수가 있다. 뿐만아니라, 여과부재(23)의 막힘에 의해서 물 유입실(24)내의 수위가 이상으로 상승한다고 하드라도, 일수구(28a)를 약간 넘는 정도에서 멈추기 때문에, 수도의 급수압이 본체 케이스(19)에 직접 가해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본체 케이스(19)가 내압구조로 되어있지 않드라도, 충분히 사용에 견딜 수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 케이스(19)의 개부(22)에 투명 캡(36)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투명 캡(36)을 통하여 물 유입실(24)내의 수위 상승의 정도와 일수구(28a)로부터의 일수를 유무를 볼 수 있어 이로써 여과부재(23)의 교환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수기(7)에 유량표시용 단부(12), (13)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유량 표시 용단부(12), (13)을 기준으로 ㅎ여 주수기(7)내의 수위를 목측하므로써 주수기(7) 내에 유입하는 물의 유량에 따라서 물 유출실(25)에서 유출하는 물의 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주수기(7)내의 수위를 목측하는 것에 의해서도 여과부재(23)의 막힘정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한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개부(22)의 투명캡(36) 및 주수기(7)의 유량 표시용 단부(12), (13) 을 반드시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이들을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도 일수구(28a)로부터 세탁조(2) 내에 넘쳐 나가는 물을 봄으로써 여과부재(23)가 막힌 상태가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물 유입실의 소정높이 부위에 대기로 연통하는 일수구를 마련함과 아울러 수도등의 수원에서 전기 물 유입실내에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으로 유량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이하에서 기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즉, 유량 조절장치의 유량조절작용에 의해서 물 유입실내에 항상 일정 유량의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여과부재가 막힌 상태가 되면, 물 유입실내의 수위가 상승해서 그물이 일수구로부터 넘쳐나온 결과, 그 넘쳐나온 물을 봄으로써 여과재가 막힌 상태가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이것을 기준으로 한다면 여과부재를 적절한 시기에 교환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일수구의 존재로 말미암아 물 유입실의 내압상승이 방지되기 때문에 물 유입실을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를 내압구조로 하지 않드라도 되고, 코스트 저감화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물 유입실내에 공급되는 물은 유량조절 장치에 의해서 일정량으로 유량이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서 일일이 수도꼭지의 열림을 조절하여 급수유량을 적량으로 한다는 불편이 없고, 사용하기가 편리하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1. 본 체 케이스(19)내를 여과부재(23)에 의하여 물 유입실(24)과, 물유출실(25)의 2실로 구분한 것에서, 상기 물 유입실의 통상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대기에 연통하는 일수구(28a)를 마련하고, 급수로에 조절변(43)과 고무제 환상좌(42)로 구성되어 수압이 높하지면 조절변(43)이 고무제의 환상좌(42)에 파고들어가 변위하는 유량 조절장치(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여과장치.
KR2019870024056U 1984-03-16 1987-12-30 물의 여과장치 KR88000175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51973A JPS60197215A (ja) 1984-03-16 1984-03-16 水の濾過装置
JP59-51937 1984-03-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448A Division KR850006148A (ko) 1984-03-16 1985-03-07 물의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751Y1 true KR880001751Y1 (ko) 1988-05-11

Family

ID=129018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448A KR850006148A (ko) 1984-03-16 1985-03-07 물의 여과장치
KR2019870024056U KR880001751Y1 (ko) 1984-03-16 1987-12-30 물의 여과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448A KR850006148A (ko) 1984-03-16 1985-03-07 물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60197215A (ko)
KR (2) KR850006148A (ko)
ZA (1) ZA851878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148A (ko) 1985-10-02
JPS60197215A (ja) 1985-10-05
ZA851878B (en) 1985-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603750U (zh) 一种双层宠物饮水器
US4780197A (en) Chlorination module for cartridge filter unit
US3935106A (en) Water filter assembly
US7387729B2 (en) Filter cartridge for a standalone point of use water purification device
KR880001751Y1 (ko) 물의 여과장치
CN111839219B (zh) 水箱及饮水设备
KR890004731B1 (ko) 세탁기의 조작상
US4658605A (en) Washing machine
CN212799696U (zh) 净水器
KR910002285Y1 (ko) 여과기를 갖는 탈수 헹굼기
KR101074960B1 (ko) 상방 역류형 정수 카트리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호환형 정수장치
GB2163361A (en) Filter device
KR0156714B1 (ko) 정수기용 여과장치
JP3819320B2 (ja) 浄水器
KR200292947Y1 (ko) 수도전 직결형 자연여과식 정수기
KR100203061B1 (ko) 물통 탑재 냉온수기의 정수장치
JP2677211B2 (ja) 浄水器付き電気貯湯容器
CN108619764A (zh) 一种过滤器、净饮机、智能马桶及智能马桶的控制方法
JPS60197216A (ja) 水の濾過装置
KR890004732B1 (ko) 세 탁 기
JPH0314485B2 (ko)
CN111675270A (zh) 净水器
KR100498251B1 (ko) 무동력 수위조절 장치
KR0161085B1 (ko) 정수기용 여과장치
JP2921452B2 (ja) 浄水型の電気貯湯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