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285Y1 - 여과기를 갖는 탈수 헹굼기 - Google Patents

여과기를 갖는 탈수 헹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285Y1
KR910002285Y1 KR2019900006577U KR900006577U KR910002285Y1 KR 910002285 Y1 KR910002285 Y1 KR 910002285Y1 KR 2019900006577 U KR2019900006577 U KR 2019900006577U KR 900006577 U KR900006577 U KR 900006577U KR 910002285 Y1 KR910002285 Y1 KR 910002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inlet
dehydr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부 야나기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우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5197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9499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우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2019900006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2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7Arrangements of water softe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여과기를 갖는 탈수 헹굼기
도면은 본 고안을 2조식 세탁기에 적용한 1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세탁기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탈수조 상부의 종 단측면도.
제3도는 제1도중 Ⅲ-Ⅲ선에 따라서 나타낸 확대 종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중 Ⅳ-Ⅳ선에 따라서 나타낸 확대 종 단면도.
제5도는 여과기가 불필요한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제3도 상당도이다.
본 고안은 탈수통내의 세탁물에 여과기를 통하여 물을 주입하고 탈수통을 회전시켜서 헹구도록한 여과기를 갖는 탈수헹굼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탈수헹굼기에 의해서 헹구는 경우, 수원의 수질이 나쁜 지역에서는 그 수원의 물을 직접 탈수통내의 세탁물에 주입하면, 수중에 함유된 산화철분 등의 불순물이 세탁물에 부착해서 세탁물을 변색시킨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수질이 나쁜 지역에 있어서, 사용되는 탈수헹굼기에는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여과해서 탈수통내에 공급하는 여과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여과기를 탈수헹굼기의 본체와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여과기를 본체와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 단지 여과기만 별도로 제조할 뿐 탈수헹굼기 본체는 수질이 좋은 지역용의 것과 동일해도 되기 때문에 탈수헹굼기의 제조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탈수헹굼기의 사시에 있어서 본체의 설치공간외에 여과기의 설치공간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대화되고 아울러 그의 취급이 거추장스럽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와 별도로 제조한 여과기를 본체에 설치하되 설치하는 경우와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본체를 겸용할 수 있게하여 제조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 탈수헹굼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과기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2조직 세탁기에 적용한 일실시예에 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겠다. 1은 2조식 세탁기의 본체로서 이것은 케이스(2)와 그의 상단면 후부에 설비된 조작반(2a)를 구비하고 그 케이스(2)의 내부에는 세탁조(3)과 탈수조(4)가 병렬로 설비되어 있다. 그리고 탈수조(4)내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탈수통(5)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탈수통(5)의 내저부 중앙에는 통수성 다공질체로 된 살수통(6)이 설비되어 있다.
7은 탈수조(4)의 상면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부덮개로서, 이것에는 그 주연부이외의 부분을 하방으로 함몰 시킴으로써, 주수기(8)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 내부덮개(7)의 후단좌측에는 케이스(2)내에 배설된 급수관(9)를 통해서 후술한 바와같이 해서 공급되는 물을 물주입기(8)내에 도입하기 위한 물주입구(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수기(8)의 저부 중앙에는 살수통(6)의 상단 개구부에 대응해서 물주입구(11)이 형성되어 이 저부 상면에는 물주입구(10)로부터 주수기(8)내에 유입된 물을 물주입구(11)로 도입하기 위한 안내리브(12)가 예를들면 3개 돌설되어 있다.
또한 주수기(8)의 후단부에는 유량표시용 단이진 부분(13), (14)가 형성되어 있다.
15는 내부덮개(7)의 상방에 씌워지는 외부덮개로서, 이들의 중앙부에는 주수기(8)에 대응해서 투명판재의 투시창(16)이 설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에 있어서, 17은 조작반(2a)에 세탁타이머(도시않음)등과 함께 설비된 탈수타이머이고, 18은 조작반(2a)내에 마련된 급수밸브로서, 이들은 호스(hose)(19)에 의해서 수원인 수도의 출수구(20)에 연결되어있고, 동시에 내부에는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으로 유량 조절해서 유출시키는 유량조절장치(도시않음)가 설비되어 있다. 21은 조작반(2a)의 소정부위에 설비된 수납요부()로서, 이것은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앞에서부터 위쪽에 걸쳐서 개방되어 있어 상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 수납요부(21)의 저부에는 소켓트(22)가 형성되고, 이 소켓트(22)에 상술한 급수관(9)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요부(21)의 후측에 위치한 조작반(2a)의 상단면부에는 밀봉부재(23a)를 갖는 관연결부(23) (제3도 참조)와 다른 소케트(24)(제4도 참조)가 나란히 설비되어 있다.
상기 관연결부(23)의 하단은 연결환(25)를 통해서 급수밸브(18)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 소케트(24)의 하단은 오버후로우관(26)을 통해서 세탁조(3)내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27은 수납요부(21)내에 분해 가능하게 부착된 여과기로서, 이하 그의 구조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즉, 28은 본체 케이스로서 이것은 상면이 개방된 용기상의 케이스 몸체부(29)와 그의 상면개구부에 밀봉부재(30)에 의해서 분해가능하게 부착된 덮개부(31)로 되어 있다.
32는 통상으로 형성된 여과부재로서, 이의 양단개구부는 케이스 몸체부(29)의 내저부에 형성된 끼워맞추는 원통부(29a)와 덮개부(31)의 하면에 형성된 끼워맞추는 원통부(31a)에 각각 끼워맞추어져 있으며, 이 여과부재(32)에 의해서 본체 케이스(28)의 내부가 여과부재(32)의 외측에 위치하는 물유입실(33)과 여과부재(32)의 내측에 위치한 물 유출실(34)로 구분되어 있다. 35는 물유입실(33)의 상부후방(제3도 및 제4도에서 우측)으로 돌출형성된 평탄부로서 여기에는 입수구(36)(제3도 참조)과 내부를 오버후로우 입구(37a)로한 하향의 오버후로우관(37)(제4도 참조)이 도시되지 않은 칸막이 벽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나란히 설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체 케이스(28)을 수납요부(21)내로 수납함으로써 입수구(36)가 관연결부(23)의 상방으로 부터 분리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또 오버후로우관(37)이 소케트(24)에 상방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삽입 연결되어 있다.
38은 물 유출실(34)의 저부로 하향 설치된 출수원통부로서 그 내부를 출수구(38a)로 하고 있다.
이 출수원통부(38)은 소케트(22)에 상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삽입 연결되어 있다.
39는 본체 케이스(28)의 덮개부(31)중에서 오버후로우입구(37a)의 상방에 위치한 부위에 설비된 감시용 투명캡으로서, 이 투명캡(39)를 통해서 물 유입실(33)내의 오버후로우입구(37a)근방이 투시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여과기(27)은 조작반(2a)의 수납요부(21)내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으나 수도의 수질이 좋은 지역용으로 여과기(27)을 생략한 구성의 것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관연결부(23)과 소케트(22)를 연결관(40)으로 연결시키고 수납요부(21)의 개방면부에 장식판넬(panel)(41)을 씌우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여과기(27)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세탁운전후, 탈수헹굼 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미리 수도의 출수구(20)의 꼭지를 열어놓고, 이와 전후해서 탈수통(5)내의 살수통(6)주위에 세제로 세탁한 세탁물을 수용하고, 내부덮개(7) 및 외부덮개(15)를 덮고, 탈수타이머(17)를 조작해서 도시하지 않은 탈수모터에 의해서 탈수통(5)를 고속회전시켜 세탁물중의 세제액을 원심분리한다. 탈수 개시후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탈수통(5)이 간헐구동함과 아울러 급수밸브(18)이 개방된다.
그후에 습수밸브(18)내에 유입된 수도물이 유량조절장치에 의해서 대략 일정한 유량으로 조절되어서 연결관(25)를 통하여 여과기(27)의 입수구(36)로부터 물 유입실(33)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물 유입(33)내에 공급된 물은 물 유입실(33)내에 담기면 그 수두에 의해서 여과부재(32)내로 침투되어, 여기서 산화철분 등의 불순물이 포획 제거된후에 물 유출실(34)내로 유입해서 출수구(38a)로부터 급수관(9)내로 흘러들어간다.
그런데 급수개시 직후는 물 유입실(33)내의 수위가 낮고 수두도 작기 때문에 여과부재(32)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은 물 유입실(33)내로 유입되는 급수량보다도 적고, 이로 인해서 물 유입실(33)내의 수위도 점차로 상승되지만, 이에 따라서 물 유입실(33)내의 공기는 오버후로우입구(37a)를 통해서 본체케이스(28)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28)내의 내압이 높아지는 일은 없다.
그후 잠시동안 있으면, 물 유입실(33)내로 급수량과 여과부재(32)를 통하여 물의 유량이 같아지며, 그 이후 물 유입실(33)내의 수위가 제3도 및 제4도중 실선L로 표시한 통상 수위로 유지된다.
한편, 여과부재(32)로 여과되어 출수구(38a)로부터 급수관(9)내에 흘러 들어온 물은 급수관(9)를 통해서 그 하단에서부터 물주입구(10)을 통해서 물주입기(8)내로 유입되며, 물주입구(11)로부터 살수통(6)내로 흘러들어간다.
그리고, 살수통(6)내에 공급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서 살수통(6)의 주위벽으로부터 분출되어 주위의 세탁물을 함수상태로 한다.
그런후 세탁물에 함유된 물은 탈수통(5)의 회전에 의한 원심탈수작용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함수와 원심탈수 작용에 의해서 세탁물의 헹굼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출수구(20)으로부터 토출된 수도물에 산화철분등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같이 그 불순물은 여과부재(32)의 여과작용에 의해서 포획제거되기 때문에 특히 수질이 나쁜 지역에서도 탈수헹굼에 의한 세탁물의 변색이 방지된다.
한편, 여과기(27)를 생략한 제5도에 표시한 탈수헹굼기에 있어서는 급수밸브(18)로 부턴 연결관(25)를 통해서 급수밸브(18)로부터 연결관(25)를 통해서 공급되는 수도물은 연결간(40)을 통해서 급수관(9)내로 흘러들어가고 이하 전술한 바와같이 해서 탈수통(5)내로 주입된다. 이와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1)의 조작반(2a)에 설치한 수납요부(21)내에 여과기(27)을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여과기(27)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여과기(27)을 수납요부(21)의 윗쪽으로 부터 수납요부(21)안으로 수납해서, 입수구(36), 오버후로우관(37) 및 출수관(38)을 각각 관연결부(23), 소케트(24) 및 소케트(22)로 연결하면 되고, 때문에 여과기(27)의 설치가 간단함은 물론, 여과기(27)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여과기(27)를 대신해서 제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관연결부(23)와 소켓트(22)를 연관(40)으로 연통시키고 수납요부(21)의 개방면부에 장식판넬(41)을 씌우는 일만으로 간단하게 여과기(27)을 생략한 구조로 할 수가 있고, 또한 여과기(27)의 유무에 불구하고 본체(1)의 구성은 전연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성이 뛰어난다. 또한, 여과기(27)는 본체(1)의 조작반(2a)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할때에 여과기(27)전용의 설치공간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설치공간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그런데, 장기사용에 의해서 여과부재(32)가 막히는 경우에 여과부재(32)의 통수저항이 커지는데, 급수밸브(18)의 유량조절장치의 작용에 의해서 물 유입실(33)내에는 항상 일정유량의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물 유입실(33)내의 수위는 통상 수위 L를 넘어서 더욱 상승하게된다. 그러나 그 수위가 물유입실(33)의 소정높이 부위에 위치하는 오버후로우입구(37a)를 넘어서 상승할려고 한다면 그 물이 오버후로우입구(37a)로 부터 넘쳐나오는 오버후로우입관(26)을 통해서 세탁조(3)내에 유입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오버후로우입구(37a)로부터 오버후로우관(26)을 통해서 세탁조(3)내에 넘쳐나오는 물을 볼 수 있거나 혹은 투명 캡(39)을 통해서 오버후로우 입구(37a)로 부터 넘쳐나오는 물을 볼수 있으므로 여과부재(32)가 막힌 상태라고 감지할 수 있고, 이것을 가늠하여 여과부재(32)를 거절한 시기에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여과부재(32)의 막힘에 따라서 물 유입실(33)내의 수위가 이상상태로 상승했다고 하더라도, 오버후로우 입구(37a)을 약간 넘은 근방에서 멈추기 때문에 수도의 급수압이 본체 케이스(28)에 직접 가해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본체 케이스(28)이 내압구조로 되어 있지 않더라도, 충분히 사용에 견딜수가 있다. 그밖에 오버후로우 입구(37a)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처리에 있어서도 본 고안과 같이 본체(1)에 여과기(27)를 장착하도록 한다면 본체(1)의 배수경로의 연통이 용이하기 때문에 여과기를 별개로 설치하는 종래제품과 같이 바닥을 적신다는 걱정없이 사용상의 편리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여과기(27)를 설치하는 장소도 본체(1)의 조작반(2a)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들면 본체(1)의 외부케이스(2)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본 고안은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고 변경가능하다.
본 고안은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수원으로부터 물을 여과해서 탈수통내로 공급하는 여과기를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 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본체와는 별개로 제조한 여과기를 본체에 설치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본체를 여과기를 설치하지 않은 것의 본체와 겸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의 대형화도 초래하지 않는다는 뛰어나 효과를 나타내는 탈수헹굼기를 제공한다.

Claims (2)

  1.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시켜 탈수통에 공급하여 탈수헹굼기를 하는 탈수헹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27)가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여과기에 공급하는 입수구(36)와, 여과된 물을 주수기(8)을 거쳐서 탈수통(5)의 살수통(6)으로 급수하는 출수구(38a)와 상기 여과의 물유입실(33)을 넘치는 물을 세탁조(3)내로 흐르게 하는 오버후로우 입구(37a)와 입수구(36)와 출수구(38a)과의 사이에 설비된 여과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기를 본체(1)외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입수구(36), 출수구(38a), 오버후로우입구(37a)가 끼워질 수 있는 관연결부(23)과 소케트(22, 24)를 상기 본체(1)이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갖는 탈수헹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27)의 덮개부(31)에는 상기 오버후로우 입구(37a)위로 넘치는 물을 감시하기 위해 투시할 수 있는 투명캡(39)이 설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를 갖는 탈수헹굼기.
KR2019900006577U 1984-03-16 1990-05-17 여과기를 갖는 탈수 헹굼기 KR910002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577U KR910002285Y1 (ko) 1984-03-16 1990-05-17 여과기를 갖는 탈수 헹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51975A JPS60194996A (ja) 1984-03-16 1984-03-16 脱水すすぎ機
JP59-51975 1984-03-16
KR1019850001493A KR850006453A (ko) 1984-03-16 1985-03-08 탈수 헹굼기
KR2019900006577U KR910002285Y1 (ko) 1984-03-16 1990-05-17 여과기를 갖는 탈수 헹굼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493A Division KR850006453A (ko) 1984-03-16 1985-03-08 탈수 헹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285Y1 true KR910002285Y1 (ko) 1991-04-06

Family

ID=2729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577U KR910002285Y1 (ko) 1984-03-16 1990-05-17 여과기를 갖는 탈수 헹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2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542A (ko) * 2003-12-23 2005-03-14 주식회사 헬스피아 휴대용 란셋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542A (ko) * 2003-12-23 2005-03-14 주식회사 헬스피아 휴대용 란셋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2306B (zh) 洗衣机
TW201026922A (en) Laundry machine
GB2165267A (en) Detergent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KR890004731B1 (ko) 세탁기의 조작상
KR910002285Y1 (ko) 여과기를 갖는 탈수 헹굼기
US4658605A (en) Washing machine
JP3507622B2 (ja) 洗濯機
JPS60194996A (ja) 脱水すすぎ機
KR880001751Y1 (ko) 물의 여과장치
US2287339A (en) Compound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s
JPH0341997A (ja) 洗濯機等の液剤供給装置
TWI821736B (zh) 洗劑儲存盒組件及洗衣機
JPH0994383A (ja) 洗濯機
JPH02149Y2 (ko)
JP7407413B2 (ja) 洗濯機
JPS6319037Y2 (ko)
ITMI982783A1 (it) Macchina lavatrice
JPH025997A (ja) 洗濯機
JPS6243515Y2 (ko)
KR890004732B1 (ko) 세 탁 기
JPS60197216A (ja) 水の濾過装置
JPS6312877Y2 (ko)
SU996571A1 (ru) Стиральна машина
JPH0232231Y2 (ko)
KR900000057Y1 (ko) 세탁기의 유류세제 자동투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